KR101713396B1 - 갯지렁이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갯지렁이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396B1
KR101713396B1 KR1020150009718A KR20150009718A KR101713396B1 KR 101713396 B1 KR101713396 B1 KR 101713396B1 KR 1020150009718 A KR1020150009718 A KR 1020150009718A KR 20150009718 A KR20150009718 A KR 20150009718A KR 101713396 B1 KR101713396 B1 KR 10171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brows
water
temperature
sea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998A (ko
Inventor
박윤기
Original Assignee
박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기 filed Critical 박윤기
Priority to KR102015000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낚시용 미끼로 활용되고 있는 갯지렁이 중에서 양식이 어려웠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육상(陸上)에서 양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따라 육상에서 청충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갯벌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청충을 무분별하게 채집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갯벌 생태계의 주요 자원의 고갈을 방지하는 동시에 갯벌 생태계의 복원에 기여할 수 있고, 어민들에게도 많은 소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갯지렁이 양식 방법{PROCESS OF FARMING THE LUGWORM}
본 발명은 갯지렁이를 양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육상(陸上)에서 양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균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해안에 형성되는 갯벌은 해양 생물들의 산란 장소이자, 1차 먹이 공급 장소인 동시에 해양 환경오염을 정화시키는 등 해안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는 갯벌이 만들어질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데, 동·식물 플랑크톤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는 터전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치에 처한 다수의 물새들의 주요 서식지이다. 그런데 최근 바다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는 시점에서 갯벌을 살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한편, 갯벌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종 중에서도 특히 갯지렁이(lugworm)는 갯벌 생태계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갯지렁이는 생활사가 비교적 짧고 번식력이 강하기 때문에 해양 생태계에서 풍부한 2차 생산자 역할을 하고, 수산 생물들의 주된 먹이원이 되며, 해양 오염의 지표생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갯지렁이는 갯벌에서의 침전과 퇴적에 의하여 갯벌의 바닥을 이루고 있는 저질(底質)에 굴을 뚫어 해수 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갯지렁이가 휘젓고 다니는 경로를 통하여 갯벌에 산소가 공급될 뿐만 아니라, 섭식 활동을 통하여 갯지렁이는 갯벌에 침전된 유기물을 섭취하여 갯벌을 정화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갯지렁이는 갯벌에 서식 공간을 형성하고 갯벌의 유기 성분을 분해하여 갯벌을 정화시키는 능력이 우수한 생물종으로서, 해양의 저서생태계(底棲生態系, benthic ecosystem)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갯벌의 저서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갯지렁이는 또한 바다낚시용 미끼로도 이용되고 있다. 바다낚시용 미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갯지렁이로는 일명 '청충(靑蟲)'이라고 불리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 '본충(本蟲)'이라고 불리는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석충(石蟲)'이라고 불리는 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nuntia)등이 있다.
그 중에서 이미 일부 상업적 양식에 활용되고 있는 바위털갯지렁이는 돔 등과 같은 특정 어종의 낚시에 한정되어 있으며, 사육 기간(약 20개월)도 길고 고가여서 수요가 한정되어 있다. 한편 눈썹참갯지렁이는 일본과 국내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등지의 남해안에서 양식에 활용되고 있으나, 다른 갯지렁이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 대중적인 바다낚시로 알려져 있는 우럭(조피볼락)·광어 등에는 미끼로는 적절하지 않아, 대형 갯지렁이에 속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에 비하여 바다낚시용 미끼로서의 상업적 가치가 떨어져 시장성이 없다. 우리나라의 남해와 서해 연안에 다량 분포하는 대략 20㎝ 크기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바다낚시용 미끼로서 대중적 수요가 많아서 어민들의 주요 수입원이었다.
1976년 1,050만 달러에 달하는 갯지렁이를 일본 등에 수출하기도 하는 등 1990년대까지 우리나라는 갯지렁이를 외국에 수출하였으나, 마구잡이 포획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갯지렁이의 약 90%는 중국이나 베트남 등에서 오히려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국에서도 낚시 인구의 증가와 환경오염·산업화로 인하여 갯지렁이의 채집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갯지렁이의 가격은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76년도에 ㎏당 2,900원에 수출되던 청충은 비수기인 2013년 12월의 수입가격이 ㎏당 30,000원을 호가하고 있으며, 낚시점 유통도매가는 ㎏당 50,000원에 이르고 있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특히 갯지렁이의 마구잡이 채집으로 인한 갯벌의 생태학적 기능 저하, 농어촌 지역의 도시화로 인한 환경오염의 가속화와 연안 해역 생태계를 위협하는 적조 발생 및 어패류의 감소 등으로 어민들의 수입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갯지렁이의 마구잡이 채집은 갯벌의 해양 생태계를 파괴시킬 뿐만 아니라, 갯벌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갯지렁이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결국 자원의 고갈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갯지렁이를 인공적으로 양식할 수만 있다면, 갯지렁이 자원의 고갈을 막는 동시에 무분별한 채집으로 인한 갯벌 생태계의 훼손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일본을 비롯하여 국내에서도 양식에 성공한 바 있는 눈썹참갯지렁이(석충)는 부착침성란(附着沈性卵, demersal egg) 형태로 산란되고, 바위털갯지렁이(본충)는 서식 공에서 산란과 부화를 거쳐 부화 유생을 서식 공 밖으로 내보내는 비교적 안정적인 산란 형태를 갖는 것에 반하여, 바다낚시용 미끼로 대중적인 인기가 가장 높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분리란(分離卵) 형태로 산란되기 때문에 부화율이 낮은 것은 물론 체계적인 육상 양식 방법이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8171호(2008. 06. 0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바다낚시용 미끼 등으로 활용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인위적으로 육상 양식하는 공정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갯벌에서 무분별한 채집을 대신하여, 인위적인 산란·부화를 통하여 다량으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생산함으로써, 갯지렁이의 마구잡이 포획으로 인한 해양 자원의 고갈을 방지하는 동시에 갯벌 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치충(稚蟲) 방류 등으로 갯벌 생태계를 복원시킬 수 있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양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위적 조건을 통하여 대량으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생산하여 그 원가를 낮춤으로써 육상 양식의 대중화를 꾀하는 동시에 치충을 분양하여 어민들의 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양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갯벌에서 채취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인위적으로 조성된 안정적인 조건에서 부화시켜 대량으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양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갯벌에서 채취한 종묘용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의 성충을 급수부(해수인입관)·배수부(배수관)·수위 조절부(오버플로우관)·통풍부(통풍배관)·폭기부(통기관)·역세척부(역세척관)를 구비한 순치조에 입식하고,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료를 공급·순치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모충의 발현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발현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모충을 폭기부(통기관)를 구비한 산란조로 옮긴 후, 수온 20~22℃, 용존산소 7㎎/L를 유지시킨 여과 해수에서 상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모충의 산란 및 방정을 유도하여 수정시키는 단계; 상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수정란을 급수부(해수인입관)·수위 조절부(오버플로우관)·폭기부(통기관)를 구비한 부화조로 이식하고, 수온 18~21℃,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 용존산소 7㎎/L를 유지한 상태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부화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부화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유생을 갯벌의 저질이 채워져 있으며 급수부(해수인입관)·배수부(배수관)·수위조절부(오버플로우관)·폭기부(통기관)를 구비한 치충양성조로 수용하고 사료를 공급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을 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성한 치충을 황토와 미사 해사(海沙)로 혼합된 저질로 채워져 있으며, 급수부(해수인입관)·배수부(배수관)·수위 조절부(오버플로우관)·통풍부(통풍배관)·폭기부(통기관)·역세척부(역세척관)를 구비한 순환여과방식의 양식조로 이송하고,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한 상태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성충으로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양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도 7, 8과 같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을 양성하는 단계는 제 1 치충양성조에서 상기 부화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부화 유생을 예비적으로 양성시키는 단계와; 해사와 저질로 채워져 있으며 급수부(해수인입관)·배수부(배수관)·수위 조절부(오버플로우관)·폭기부(통기관)를 구비한 제 2 치충양성조로 제1 치중양성조에서 양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을 수용하고,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료를 공급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을 양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상기 양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 중에서 종묘로서의 치충을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양식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성충을 선별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순치조 또는 양식조는 상부 저수조와, 유입된 해수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배설물을 걸러 내어 상기 상부 저수조로 이송시키기 위한 하부 집수조와, 수온 조절을 위하여 가온 처리부를 구비한 간접가열장치부 및 산소 공급을 위한 폭기부로 구성되며,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하는 방법에 따르면, 바다낚시 미끼용으로 인기가 많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육상 양식 방법에 따르면, 갯벌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무분별하게 채취할 필요가 없어 갯벌 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하고, 갯벌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복원·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육상 양식 방법에 따라 대량으로 얻어지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어민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양식하게 함으로써, 노령화에 이은 채취 노동력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어민들에게 안정적인 양식 환경이 제공됨에 따라 상당한 소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육상에서 양식하는 장치(시스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장 중 주요 공정인 순치조와 양식조의 개략적인 순환계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 공정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순치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 공정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산란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 공정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부화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 공정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제 1 치충양성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 공정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제 2 치충양성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육상 양식 공정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양식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필요한 경우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육상 양식 공정에 따라 양식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육상 양식하기 위한 장치(시스템, 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이다.
이들 각각의 도면 및 사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양식하는 공정은 종묘용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갯벌과 같은 자연 상태에서 채집하는 단계(s110), 채집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육상의 순치조(도 2의 200 및 도 4)에 입식·순치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모충을 발현시키는 단계(s120), 순치 과정을 통하여 발현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모충을 산란조(도 2의 300 및 도 5)로 이식하고 소정의 조건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산란·방정(放精)을 유도하여 수정시키는 단계(s130), 수정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중)의 수정란을 부화조(도 2의 400 및 도 6)로 격리 수용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부화를 유도하는 단계(s140), 부화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유충을 치충양성조(도 2의 500 및 도 7, 8)에서 사육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치충을 양성하고(s150), 선택적으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치충 중에서 적절한 종묘를 육성·분양하는 단계(s160), 육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치충을 양식조(도 2의 600 및 도 9)에서 사육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성충을 양식하는 단계(s170), 선택적으로 양식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성충을 포장부(도 2의 700)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단계에서 해수 온도와 같은 사육 조건을 일정한 범위로 조절하는 동시에 각각의 단계에서 별도의 수조(水槽)를 구비함으로써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부화율이나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성충의 채집 시기와 방법, 육상 수조에서의 적응을 위한 순치 과정, 성충이 산란을 위해 변태되는 발현 과정의 관리, 산란을 위한 모충의 관리, 부화 과정의 관리, 부화 유생의 양성을 위한 치충양성조의 관리, 치충의 성장 및 사육 단계의 관리를 통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육상(陸上)에서 양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육상 양식 공정을 통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모충에서 산란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유충이 거의 손실되지 않아 종묘용으로 사용 가능한 다수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육상 양식 공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는 환형동물문(Annelida), 다모강(Polychaeta), 유재목[부채발갯지렁이목(Errantia)], 참갯지렁이과(Nereidae)에 속하는 환형동물(環形動物)로서 흔히 '청충(靑蟲)'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우리나라의 남해와 서해 연안에 주로 분포하며,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수심 5m 전후의 조하대 중 갯벌에서 주로 발견된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갯벌 바닥(低質)의 자갈 틈이나 모래 바닥을 얕게 포복하거나 갯벌 표면을 빠른 속도로 기어다니며, 발달된 이빨을 이용하여 다른 소형 무척추동물이나 착저 유생 등을 포식하는 육식성 포식자이다. 동시에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생활사가 비교적 짧고 번식력이 강하여 해양의 풍부한 2차 생산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섭식 활동을 통하여 갯벌 저질의 유기 성분을 변화시켜 저질을 정화시키는 등 해양 저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저서 어류의 주된 먹이 및 바다낚시용 미끼로도 사용되고 있어 어민 부업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남획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와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 채취 어민들의 노령화에 이은 노동력 감소로 인하여 현재 국내에서 바다낚시용 미끼로 사용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대부분은 중국·북한·베트남 등에서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한 갯벌 생태 자원의 훼손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농어촌 노령화로 인한 채취 노동력의 감소에 따라 점차 줄어들고 있는 어민 부업 증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육상에서 양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종묘용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채집하는 단계(s110)는 본 발명의 양식 공정과 관련된 전체적인 생존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갯벌의 저질 속에 잠입하여 굴을 만드는데(굴의 형태는 보통 I형, J형, L형, O형, S형, Y형 등이 있음), 1개의 굴에 한 개체가 서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략 10㎝ 깊이의 저질 속으로 잠입하며, 먹이를 먹을 때에는 굴 밖으로 충체(蟲體)를 완전히 드러내어 이동한다. 배설 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체위는 굴속에서 두부(頭部)와 미부(尾部)가 서로 반전되어 항문을 굴 밖의 저질 표면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배설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양식 시스템(도 2의 100)이 설치된 지역의 인근 어민들을 통하여 비정기적으로 갯벌에 서식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성충을 채집하도록 하여 이를 구입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로 적절한 조건을 갖춘 배양조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배양하여 모충 자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는 순치 단계(s120)에서 1~3 개월의 적응 기간을 거쳐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가 발현 성충으로 변태되기 때문에 산란기에 들어선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채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 공정에 적용하는 경우에 폐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채집할 때 산란기 1달 이내의 성충이 채집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서식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산란기는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은 5~9월(산란 성기는 6~8월)이며, 경기도 지역은 6~9월(산란 성기는 6~7월)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10월~11월 무렵이나, 2~4월 무렵에 채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10~11월에 채취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생존율은 90% 이상이지만, 2~3월에 채취한 것의 생존율은 80~90%, 4월에 채취한 것의 생존율은 70~80% 가량이었다.
종묘용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성충을 채집할 때, 바람직하게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청충)이 성체의 훼손을 막을 수 있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와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채집 시 갯벌의 저질 등을 함께 채집·투여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의 미역과 파래 등을 투입하는 등 자연 갯벌에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면 후술하는 순치 단계의 기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48171호에서는 채취한 갯지렁이 성충을 황산가나마이신 용액으로 약욕하여 채집 시 발생한 갯지렁이 성충의 상처 치료와 부착 불순물을 소독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약용으로 상처 부위의 치료를 확신할 수 없음은 물론 이 경우 채취된 갯지렁이 성충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선택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묘용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채집할 때 특정인에 의해 유의하여 채집되어지고, 분류 과정에서 움직임이 둔하거나 상처가 있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청충)이 성충은 분리 입식하여 약액으로 소독하는 과정을 피할 수 있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모충을 발현하기 위한 순치 단계(s120)는 채집된 종묘용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순치조(도 2의 200 및 도 4)에서 순치(馴致) 또는 적응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채집 단계(s110)에서 얻어진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중에서 상처가 없고 훼손되지 않은 그룹을 선별하여 육상의 순치조(도 2의 200 및 도 4)에 입식한 뒤, 적절한 조건에서 약 30~60일간의 순치 기간을 두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모충을 발현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순치 단계에서 사용되는 육상 양식장은 신선한 해수가 바로 유입될 수 있는 곳에 설치되며, 도 3과 같이 실내에서 상부저수조와 집수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3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서 양식 공정상 가장 중요한 순치조와 양식조만을 도시하였고, 산란조·부화조 등은 별도의 수조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서식 장소와 유사한 환경을 유도하는 동시에 유입되는 해수와 투여되는 사료나 배설물 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순치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육상 양식장을 구성하는 순치조의 개략적인 형태가 도 2의 200에 개시되어 있는데, 타원형의 황갈색 플라스틱 용기[1000×700× D400(㎜)]일 수 있다.
도 4와 같이 순치조의 하부에는 배수부로서 필터 기능이 부착된 배수관과 수위 조절부로서 상부에 수위 조절 기능을 위한 오버플로우(Overflow)관이 형성된다. 순치조의 내부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0.1㎜ 이하인 미사 해사(海沙)를 15~20㎝의 깊이로 채운다. 또한 순치조는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개의 급수부(해수인입관)와 폭기(aeration)를 위한 호스와 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며(통기관), 세척부로서 역세척(back wash) 기능을 구비하여 순치 과정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과 불순물을 역세척에 의하여 하부 저수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통풍배관으로서 600㎜aq 사양의 송풍기를 설치하여 순치조 저면의 배출되지 못한 불순물 등의 부패를 방지하여 쾌적한 저질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순치조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원활한 순치(적응)와 모충으로의 발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 2회의 조수간만의 고저의 수위와 시차를 부여하여, 갯벌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한다. 이에 따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원활한 습식 활동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모충 발현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갯벌이 장시간 노출되는 시점인 조금(neap tide)을 비롯한 무쉬, 1~5물 전후의 환경을 부여하여야 하며, 간조시간대의 저질의 과대 건조와 습식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분무장치를 준비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유입되는 해수와 순치조로부터 배출된 배수가 저장되는 하부 집수조에 필터 시스템, 예를 들어 마이크로 필터 시스템이 부착된 수중 펌프를 구비하여 유입된 해수와 순치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 등을 걸러낸 뒤, 상부 저수조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순치조는 가온처리부(heating system)를 구비하여 간접가열방식에 의한 온도 조절과 폭기부를 통한 산소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만약 순치조의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라면, 드럼 방식의 필터 시스템이 하부 저수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순환 여과에서 생물학적 결핍을 보완할 수 있도록 생물 여과조를 설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채집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순치하는 과정에서 순치조는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의 수질 환경을 유지하면서 임붙임 과정을 통해 소량의 사료를 순치 단계 5일 이후에 투여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료는 분말을 가공·건조한 상태에서 약 2~3㎜의 고체의 낱알 형태로 투여하여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모충이 발현되는 시점은 수위가 오르는 만조 위에서 발견되는데 이를 수거하여 산란조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순치조에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이식한 시점부터 대략 40일 전후 시점의 만수위에서 발현 모충이 발견되는데, 예시적으로 사료는 전체 수용 체중 대비 5~10 중량%의 비율로 투여하여 모충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순치 단계(s120)에서 순치조의 바닥을 채운 해사에서 저서 생활을 하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성충은 30~60여 일이 경과하면 산란을 준비하기 위하여 15~25㎝의 충체가 3~5㎝의 물고기와 같은 유영체 형태(도 2의 300)로 변형되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이후 먹이 섭취를 중단하고 산란을 준비한다.
산란·방정(放精) 및 수정 유도 단계(s130)는 본 발명에 따라 다량의 양질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치충을 얻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종묘 생산을 위한 산란 및 부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순치 단계(s120)와는 별도의 수조(水槽)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산란과 방정을 유도하여 수정시킨다.
산란·방정 및 수정 유도 단계(s130)에서는 전술한 순치 단계에서 발현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모충을 폭기(aeration) 시설이 구비된 전용 산란조(도 2의 300 및 도 5)로 이송·관리한다. 이때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온과 실온을 유지하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유영체(遊泳體)로 형태가 변형되고 어류와 같이 유영하면서 산란을 시작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채란을 위한 산란조[300, 22×14×H12(㎝)의 투명 플라스틱 용기]를 준비하고, 전술한 순치 단계에서 발현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모충에 살균과 여과를 거친 해수가 채워지고, 용존산소 7㎎/L을 유지하면서 폭기 시설이 구비된 전용 산란조(도2의 300)로 이송·관리한다. 예를 들어 산란조의 해수로서 전술한 순치조에서의 수온에 비하여 2~3℃ 높은 온도,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20~22℃ 수온의 정제된 해수를 깊이 8~10㎝ 정도의 깊이로 채워 모충으로 발현된 성충 암수 5~6 마리 정도를 수용한다.
발현 성충들은 1~3시간 유영한 뒤 서로 근접하여 원을 그리며 헤엄을 치고 몸을 경련시켜 난과 정자를 방출하여 수정된다. 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정이 확인되면, 세란 과정을 거쳐 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부화조(도 2의 400 및 도 6)로 이송된다.
부화 유도 단계(s140)에서는 전술한 단계에서 확인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수정란을 급수부(해수인입관), 수위 조절 기능을 위한 오버플로우(Overflow)관 및 폭기(aeration) 시설이 구비된 전용 부화조(도 2의 400 및 도 6)로 이송·관리한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대략 50,000~수십만 개의 알을 낳는데, 자연 상태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알은 분리란이기 때문에 부화율이 극도로 낮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안정적인 부화 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수정란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대부분 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투명의 플라스틱[350×250×D120(㎜)] 용기를 부화조(도2의 400)로 준비하고, 여과 해수를 8~10㎝ 정도로 채운 뒤 수정란의 유출에 유의하면서, 각각의 부화조에 약 20,000개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수정란을 분배한다. 신선한 해수를 1일 1회 교환하여 세란 및 수질 향상 효과를 부여하고, 미량의 산소를 주입하고, 수정란이 몰려 있지 않도록 피펫(pipette)으로 펼쳐 원활하게 부화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부화조(도의 400 및 도 6)의 수온은 18~21℃,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 용존산소 7mg/L요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가 수정된 후 수분이 경과하면 수정란은 젤리층으로 둘러싸이고, 수정 후 약 2시간이 경과하면 극체가 방출된다. 수정 후 대략 하루 정도가 지나면 prototrochophore 유생이 되어 젤리층 안에서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정 후 약 40시간이 경과하면 metatrochophore 유생이 되어 안점이 출현하고, 그 후 몸의 양쪽에 측각의 원기가 생성되고, 50~60시간이 경과하면 nectochaeta 유생이 되어 젤리층을 뚫고 나온다. 부화 유생은 기어다니기도 하고 유영하기도 하지만 하루 정도 지나면 평균 2개의 체절을 가지게 되고, 기어다니며 먹이를 먹는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부화 유생의 초기 사료로 해산 클로렐라나 시판되고 있는 3~5 미크론 크기의 양성 미세조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부화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부화 유생은 황토와 미사 해사가 혼합된 저질도 채워져 있으며 폭기를 위한 통기관, 배수관, 수위 조절 기능을 위한 오버플로우(Overflow) 및 급수관(해수인입관) 등이 구비된 순환여과방식의 치충양성조(도 2의 500)로 수용하고,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료를 공급하여 약 15일간의 기간을 거쳐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치충을 양성한다(s150).
이후 필요에 따라 제2차 치충양성조, 예를 들어 해사와 갯벌을 혼합한 치충양성조(도2의 500)에 제1차 치충양성조에서 양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유충을 수용하고, 적절한 조건에서 약 60일간 양성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치충을 얻는다. 필요한 경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치충 중에서 종묘를 위한 분양을 위한 선별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치충양성조(도 2의 500)는 육상 양식장 메인 수조 내에 설치되는 제 1 치충양성조(도 7)와 해사와 갯벌의 저질 구조를 갖는 제 2 치충 양성조(도 8)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투명 플라스틱[150×200×D150(㎜)]일 수 있는 제 1 치충양성조의 바닥은 적절한 필터 시스템, 예를 들어 150㎛와 같은 100 ~ 200㎛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치충양성조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부화 유생에서부터 적절한 종묘(치충)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전술한 부화 단계에서 얻어진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부화 유생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메인 수조 내의 제 1 치충양성조에서 예비적으로 양성될 수 있다. 제 1 치충양성조에서 10~15일의 양성 과정을 거친 뒤, 활성 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해사와 갯벌 저질 구조를 가지는 제 2 치충양성조로 이송된다.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해사와 갯벌의 저질 구조를 갖는 제 2 치충양성조는 600×400×D300(㎜) 크기의 황갈색 플라스틱 용기일 수 있다. 제 2 치충양성조는 급수부(해수인입관)·배수부(배수관)·수위 조절부(오버플로우관)· 폭기부(통기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치충양성조의 하부에 평균 입경이 0.1㎛ 이하인 해사와 갯벌의 저질을 혼합하여 10~150㎝ 가량 채운 뒤 그 상부에 급수관(해수인입관)과 폭기(aeration)를 위한 호스와 노즐을 구비한다.
또한 순치조와 유사하게 역세척(back wash) 기능을 구비하여 양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치충의 배출물과 잉여 사료·불순물 등을 배출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뱀장어 치어용 배합사료일 수 있는 사료는 전체 수용 체중 대비 5~10중량%의 비율로 투여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부화 유생에서 치충으로의 양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제 2치충양성조(도 8)도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한다. 대략 45일간 제 2 치충양성조에서 양성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치충의 크기가 3~4㎝에 이르면 분리·수거하여 노지 양식장과 같은 양식조(도 2의 600 및 도 9)로 이전한다.
일반적으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는 부화 후 10여 일이 지나면 대략 10개 가량의 체절을 가진 개체로 성장하고, 40일이 경과하면 40여 개의 체절을 가지는 치충으로 양성될 수 있다. 이때까지는 체절의 성장은 매우 빠른 반면 체폭(體幅))이나 체장(體長))은 작아 성장이 양호한 개체로서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치충으로 양성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치충을 양성한 뒤, 양성된 치충 중에서 종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양질의 치충을 선별하여, 인근 어민들에게 분양할 수 있다(s160). 인근 어민들은 분양된 치충을 소정의 양식장 등에서 양식함으로써, 갯벌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채집할 필요 없이 짧은 시간에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성충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어민들의 부수입원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양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치충을 연안의 갯벌로 방류하여 다량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가 갯벌의 저질에서 서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갯벌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지속적인 서식을 유도함으로써, 갯벌 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갯벌 생태계를 정화시킬 수 있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성충 양식 단계(s170)는 황토와 미사 해사가 혼합된 저질로 채워져 있는 소정의 양식 시설을 구비한 양식조(도 2의 600 및 도 9)에서 수행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 노지에 설치되어 2중의 비닐하우스와 통풍시설·가온시스템(heating system)을 구비하고, 양질의 해수의 유입과 배수가 원활한 실내에 4각형의 2,000 ×1,000×D900(㎜) 크기를 갖는 플라스틱 판재의 내부 마감 구조를 갖는 양식조를 사용할 수 있다.
양식조(도 2의 600 및 도 9)는 황토와 미사 해사가 혼합된 저질로 채우면서 저면에 50㎜ 이상의 공간(space)을 두어 완전한 배수를 유도하고, 통풍배관으로 600㎜aq 사양의 송풍기를 설치하여 양식조 저면의 배출되지 못한 불순물 등의 부패를 방지하여 쾌적한 저질 환경을 유지한다. 이때 별도의 급수관(해수인입관), 포기로서 공기 공급을 위한 호스와 노즐(통기관), 수위조절을 위한 오버플로관, 역세척(back wash) 기능 등을 순환여과방식으로 구비하여 성충으로 양식한다.
양식조(600)를 흐르는 해수의 수온은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로 유지한 상태에서 사료를 전체 수용 체중 대비 5~10중량%의 비율로 투여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성충으로 양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사료로는 양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가 입식된 초기에는 뱀장어 치어용 백자사료를 가공 투여하고, 이후에는 어분 등을 포함한 배합사료 등을 가공 투여할 수 있다.
이어서 선택적으로 양식조(도 2의 600)에서 일정 기간 양식하여 생산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성충을 선별·포장하여(s180), 바다낚시용 미끼로 공급하거나 건조 가공하여 화장품/의약품의 원료로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공급한다. 이는 포장부(도 2의 700)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육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성충을 용도별(예를 들어 우럭·놀래미·광어 등 어종에 따라 크기를 선별) 미끼용으로 포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推考)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갯벌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바다낚시용 미끼로도 많은 수요가 있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육상 양식 방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현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에 대한 국내 시장은 약 800억원 가량으로 그 중 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바, 본 발명을 통하여 수입을 상당 부분 대체할 수 있고, 어민의 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대략 330㎡의 육상 양식장에서 약 700㎏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를 양식할 수 있으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회전율(치충 양성 후 성충 생산기간)이 4개월 정도면 연간 1,400㎏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성충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식 공정은 녹색성장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단백질 분해 능력이 우수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의 대량 확보를 통하여 의약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성분의 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 양식 시스템 200 : 순치조
300 : 산란조 400 : 부화조
500 : 치충양성조 600 : 양식조
700 : 포장부

Claims (4)

  1. 갯벌에서 채취한 종묘용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의 성충을 급수부·배수부·수위 조절부·통풍부·폭기부·역세척부를 구비한 순치조에 입식하고,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료를 공급·순치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모충의 발현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발현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모충을 폭기부를 구비한 산란조로 옮긴 후 수온 20~22℃, 용존산소 7㎎/L를 유지시킨 여과 해수에서 상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모충의 산란 및 방정을 유도하여 수정시키는 단계;
    상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수정란을 급수부·수위 조절부·폭기부를 구비한 부화조로 이식하고 수온 18~21℃,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 용존산소 7mg/L를 유지한 상태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부화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부화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유생을 갯벌의 저질이 채워져 있으며 급수부·배수부·수위 조절부 및 폭기부를 구비한 치충양성조로 수용하고 사료를 공급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을 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성한 치충을 황토와 미사 해사로 혼합된 저질로 채워져 있으며 급수부·배수부·수위 조절부·통풍부·폭기부·역세척부를 구비한 순환여과방식의 양식조로 이송하고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한 상태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성충으로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을 양성하는 단계는 제1 치충양성조에서 상기 부화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부화 유생을 예비적으로 양성시키는 단계와;
    해사와 갯벌의 저질로 채워져 있으며 급수부·배수부·수위 조절부·폭기부를 구비한 제 2 치충양성조로 제1 치충양성조에서 양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유생을 수용하고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료를 공급하여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을 양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양식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치충 중에서 종묘로서의 치충을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양식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성충을 선별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양식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치조 또는 양식조는 상부 저수조와, 유입된 해수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배설물을 걸러 내어 상기 상부 저수조로 이송시키기 위한 하부 집수조와, 수온 조절을 위하여 가온 처리부를 구비한 간접가열장치부 및 산소 공급을 위한 폭기부로 구성되며 수온 15~20℃, 해수 pH 5.0~6.0, 해수 염도 30~40‰, 상대습도 80~90%, 실온 18~22℃를 유지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양식하는 방법.
KR1020150009718A 2015-01-21 2015-01-21 갯지렁이 양식 방법 KR10171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18A KR101713396B1 (ko) 2015-01-21 2015-01-21 갯지렁이 양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18A KR101713396B1 (ko) 2015-01-21 2015-01-21 갯지렁이 양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998A KR20160089998A (ko) 2016-07-29
KR101713396B1 true KR101713396B1 (ko) 2017-03-07

Family

ID=5661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718A KR101713396B1 (ko) 2015-01-21 2015-01-21 갯지렁이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995B1 (ko) * 2016-12-30 2019-02-1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갯지렁이 종묘생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86B1 (ko) * 2008-06-30 2010-09-10 전철호 갯지렁이 양식 방법
KR101170304B1 (ko) 2011-02-24 2012-08-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178392B1 (ko) * 2011-02-24 2012-08-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갯지렁이의 인공종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231B1 (ko) 2006-11-28 2008-07-31 최황영 갯지렁이의 양식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86B1 (ko) * 2008-06-30 2010-09-10 전철호 갯지렁이 양식 방법
KR101170304B1 (ko) 2011-02-24 2012-08-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178392B1 (ko) * 2011-02-24 2012-08-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갯지렁이의 인공종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한국양식학회지 21(1), 2008.2, 34-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998A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2362B (zh) 一种海马生态养殖方法
CN101411311B (zh) 松江鲈鱼苗种的生产方法
CN103392658A (zh) 一种胭脂鱼养殖方法
Moser et al. Lamprey reproduction and early life history: insights from artificial propagation
CN102106326B (zh) 一种双齿围沙蚕立体人工育苗的方法
CN101622974B (zh) 沙蚕育苗方法
CN1401225A (zh) 一种文蛤育苗越冬及中间育成方法
KR101978417B1 (ko) 갯지렁이의 부화방법
KR101713396B1 (ko) 갯지렁이 양식 방법
Fermin et al. Grow-out culture of tropical abalone, Haliotis asinina (Linnaeus) in suspended mesh cages with different shelter surface areas
CN111066695B (zh) 一种暗纹东方鲀、南美白对虾、空心菜立体种养的方法
Patil et al. Present status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farming
KR101317143B1 (ko) 능성어류의 초기 먹이생물 및 그 배양방법
KR100588419B1 (ko) 말쥐치의 조기산란유도 및 종묘 생산방법
CN112931332A (zh) 一种绿色食品对虾种虾培育方法
CN112970642A (zh) 一种有机虾种虾的培育方法
CN105961249A (zh) 一种胭脂鱼养殖工艺及饲养饲料
CN106962238B (zh) 一茬半刺厚唇鱼混养两茬日本沼虾的池塘混养方法
CN105123589A (zh) 一种防止河蟹颤抖病发生的生态养殖方法
UA65842C2 (en) Method of commercial growing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zenbergii)
KR101839314B1 (ko)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KR101839315B1 (ko)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Panda et al. Earning animals
Vallainc Reproduction and rearing of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Linneus, 1758) and of the sea urchin Paracentrotus lividus (Lamark, 1816) for restocking purposes
CN102524135B (zh) 一种暗纹东方鲀苗种与似刺鳊鮈苗种的池塘混合培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