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841A - 양식 그물용 부구체 - Google Patents

양식 그물용 부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841A
KR20240001841A KR1020220078639A KR20220078639A KR20240001841A KR 20240001841 A KR20240001841 A KR 20240001841A KR 1020220078639 A KR1020220078639 A KR 1020220078639A KR 20220078639 A KR20220078639 A KR 20220078639A KR 20240001841 A KR20240001841 A KR 2024000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rved
support coupling
receiving groove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이상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명 filed Critical 이상명
Priority to KR102022007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841A/ko
Publication of KR2024000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rive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양식 그물용 부구체가 개시된다. 상기 양식 그물용 부구체는, 부유부; 상기 부이의 측면 일측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되고, 중앙에 제1 중심구멍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결합부; 만입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크부를 포함하는 제1 바닥면, 상기 제1 바닥면에 수직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의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관통하는 제2 중심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일면 방향을 일정 두께만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ㄴ'자 형태를 이루면서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구멍은 상기 제1 수용홈에 상기 지지결합구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중심구멍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지지구; 만입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아크부를 포함하는 제2 바닥면, 상기 제2 바닥면에 수직하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의 반대편의 제4 측면,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을 관통하는 제3 중심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지지결합부의 타면 방향을 일정 두께만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측면은 'ㄴ'자 형태를 이루면서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2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중심구멍은 상기 제2 수용홈에 상기 지지결합구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중심구멍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결합부를 상기 제1 지지구 및 상기 제2 지지구 사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구 및 상기 제2 지지구는 상기 지지구결합부에 결합되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양측에 상기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아크부 및 상기 제2 아크부는 서로 대칭되게 대응되어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구결합부 주변에 3개의 그물지지대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식 그물용 부구체{FLOATING TOOL FOR CULTURED NET}
본 발명은 양식 그물용 부구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 또는 김발의 그물지지대의 결속이 용이한 양식 그물용 부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김 양식망이 바닷속에 늘어뜨려져 최적의 김 생육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김발은, 단순히 일정 크기의 스티로폼 덩어리로 되는 복수의 부구에 그물지지대를 끈으로 묶어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이 그물지지대에 다수의 그물의 상단을 걸어 바닷속에 그물이 늘어뜨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김발의 부유에 사용되는 부구는 로프를 통해 상기 그물지지대와 결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부구를 김발에 결속하는 과정이 번거럽고, 그물지지대가 부구의 외면 둘레에 직접 묶어야 하기 때문에 부구를 김발에 결속하는 과정이 불편하고, 그물지지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36808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김발의 그물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김발에 안정적이고 쉽게 결속될 수 있으며, 그물지지대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3방향에 형성되므로 그물지지대의 고정 위치가 일지점으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2 이상의 그물지지대와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한 양식 그물용 부구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는, 부유부; 상기 부이의 측면 일측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되고, 중앙에 제1 중심구멍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결합부; 만입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크부를 포함하는 제1 바닥면, 상기 제1 바닥면에 수직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의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관통하는 제2 중심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일면 방향을 일정 두께만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ㄴ'자 형태를 이루면서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구멍은 상기 제1 수용홈에 상기 지지결합구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중심구멍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지지구; 만입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아크부를 포함하는 제2 바닥면, 상기 제2 바닥면에 수직하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의 반대편의 제4 측면,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을 관통하는 제3 중심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지지결합부의 타면 방향을 일정 두께만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측면은 'ㄴ'자 형태를 이루면서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2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중심구멍은 상기 제2 수용홈에 상기 지지결합구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중심구멍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결합부를 상기 제1 지지구 및 상기 제2 지지구 사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구 및 상기 제2 지지구는 상기 지지구결합부에 결합되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양측에 상기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아크부 및 상기 제2 아크부는 서로 대칭되게 대응되어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구결합부 주변에 3개의 그물지지대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결합부는 양면 각각에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컨택유도홈 및 복수의 제2 컨택유도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구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면에 배열되는 제1 컨택유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구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측면에 배열되는 제2 컨택유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유도돌기 및 상기 제2 컨택유도돌기는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컨택유도홈 및 상기 복수의 제2 컨택유도홈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는 김발의 그물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구 및 제2 지지구의 조립이 쉽고, 김발의 그물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김발(10)에 안정적이고 쉽게 결속될 수 있으며, 그물지지대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3방향에 형성되므로 그물지지대의 고정 위치가 일지점으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2 이상의 그물지지대와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물지지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시 제1 지지구 및 제2 지지구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며, 나아가 그물지지대의 안정적인 지지 상태가 상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구결합부의 타면을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1 지지구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제2 지지구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부유부의 정면에서 본 김발의 그물지지대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구결합부의 타면을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1 지지구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들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제2 지지구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들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부유부의 정면에서 본 김발의 그물지지대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는 부유부(110), 지지구결합부(120), 하나 이상의 제1 지지구(210), 하나 이상의 제2 지지구(220), 복수의 고정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유부(110)는 수면에 부유될 수 있는 무게 및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일 수 있다.
지지구결합부(120)는 상기 부유부(110)의 측면 일측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되고, 중앙에 제1 중심구멍(1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구결합부(12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중심구멍(121)은 사각 형상일 수 있고, 지지구결합부(120)는 2개일 수 있고, 각각의 지지구결합부(12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지지구(210) 및 하나 이상의 제2 지지구(220)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에 결합되어 김발(10)의 그물(11)들 사이사이에 묶인 봉 또는 바 형태의 그물지지대(12)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지지구(210)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구(210)는 상기 2개의 지지구결합부(120)에 지지되도록 2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지지구(210)는 제1 바닥면(211), 제1 측면(212), 제2 측면(213), 제2 중심구멍(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면(21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만입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크부(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212)은 상기 제1 바닥면(211)에 수직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일면 방향을 일정 두께만큼 수용하는 제1 수용홈(2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213)은 상기 제1 측면(212)의 반대편이고, 'ㄴ'자 형태를 이루면서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곡면부(2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심구멍(214)은 상기 제1 측면(212) 및 상기 제2 측면(213)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홈(2121)에 상기 지지구결합부(120)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중심구멍(121)에 대응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지지구(220)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구(220)는 상기 2개의 지지구결합부(120)에 지지되도록 2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지지구(220)는 제2 바닥면(221), 제3 측면(222), 제4 측면(223), 제3 중심구멍(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닥면(22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만입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아크부(2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222)은 상기 제2 바닥면(221)에 수직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타면 방향을 일정 두께만큼 수용하는 제2 수용홈(2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측면(223)은 상기 제3 측면(222)의 반대편이고, 'ㄴ'자 형태를 이루면서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2 곡면부(2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심구멍(224)은 상기 제3 측면(222) 및 상기 제4 측면(223)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홈(2221)에 상기 지지구결합부(120)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중심구멍(121)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230)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를 상기 제1 지지구(210) 및 상기 제2 지지구(220) 사이에 고정한다. 일 예로, 복수의 고정부재(230)는 상기 제1 수용홈(2121) 또는 상기 제2 수용홈(2221)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체형의 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지지구(220)의 제2 수용홈(2221)으로부터 핀 형태로 돌출될 수 있고, 단부에는 핀의 직경보다 큰 고정홀더부(231)가 형성될 수 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에는 제1 핀결합구멍(1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구(210)에는 제2 핀결합구멍(216)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230)가 상기 제1 핀결합구멍(124) 및 상기 제2 핀결합구멍(216)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홀더부(231)가 상기 제1 지지구(210)의 외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지지구(210) 및 상기 제2 지지구(220)가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일면 및 타면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구결합부(120)는 양면 각각에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컨택유도홈(122) 및 복수의 제2 컨택유도홈(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제1 컨택유도홈(122) 및 상기 복수의 제2 컨택유도홈(123)은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컨택유도홈(122)은 상기 제1 지지구(210)가 결합되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일면에 2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컨택유도홈(123)은 상기 제2 지지구(220)가 결합되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타면에 3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구(210)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면(212)에 배열되는 제1 컨택유도돌기(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컨택유도돌기(215)는 2개일 수 있고, 상기 제1 컨택유도돌기(215)는 상기 제1 지지구(210)가 결합되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일면에 형성되는 2개의 제1 컨택유도홈(12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구(220)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측면(222)에 배열되는 제2 컨택유도돌기(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컨택유도돌기(225)는 3개일 수 있고, 상기 제2 컨택유도돌기(225)는 상기 제2 지지구(220)가 결합되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타면에 형성되는 3개의 제2 컨택유도홈(1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는 상기 제1 지지구(210)의 제1 수용홈(2121)에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일면 방향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수용홈(2121)을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일면에 밀착한 후, 상기 제2 지지구(220)의 제2 수용홈(2221)에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타면 방향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2 수용홈(2221)을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타면에 밀착하며, 이때 상기 제2 수용홈(2221)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부재(230)가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제1 핀결합구멍(124) 및 상기 제1 지지구(210)의 제2 핀결합구멍(216)에 삽입되어, 복수의 고정부재(230)의 단부의 고정홀더부(231)가 상기 제1 지지구(210)의 외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지지구(210) 및 상기 제2 지지구(220)가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일면 및 타면에 결합 및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지지구(210) 및 상기 제2 지지구(220)가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지지구(210) 및 상기 제2 지지구(220)는 상기 지지구결합부(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양측에 상기 제1 곡면부(2131) 및 상기 제2 곡면부(2231)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아크부(2111) 및 상기 제2 아크부(2211)는 서로 대칭되게 대응되어 상기 지지구결합부(1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구결합부(120) 주변, 3방향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그물지지대 안착부(310, 320, 3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제1 지지구(210) 및 제2 지지구(2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김발(10)의 그물지지대(12)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물지지대(12)의 결합을 위해, 제1 지지구(210) 및 제2 지지구(220)의 조립에 의해 3방향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그물지지대 안착부(310, 320, 33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구(210)의 제1 아크부(2111) 및 상기 제2 지지구(220)의 제2 아크부(2211)에 의해 형성되는 제3 그물지지대 안착부(330)에 상기 그물지지대(12)를 안착시킨 후 상기 제1 중심구멍(121)에 로프(20)를 삽입하여 그물지지대(12)의 둘레를 1회 이상 감싸도록 그물지지대(12)를 상기 로프(20)로 감은 후 로프(20)의 양단부를 묶어서 그물지지대(12)를 고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그물지지대(12)가 2개인 경우에는 제1 지지구(210) 방향에 위치하는 제1 그물지지대 안착부(310) 및 제2 지지구(220) 방향에 위치하는 제2 그물지지대 안착부(320)에 각각의 그물지지대(12)를 안착시킨 후 로프(20)로 묶어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는 김발(10)의 그물지지대(12)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구(210) 및 제2 지지구(220)의 조립이 쉽고, 김발(10)의 그물지지대(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김발(10)에 안정적이고 쉽게 결속될 수 있으며, 그물지지대(12)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3방향에 형성되므로 그물지지대(12)의 고정 위치가 일지점으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2 이상의 그물지지대(12)와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물지지대(12)가 제1 지지구(210) 및 제2 지지구(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김발(10)의 무게에 의해 제1 지지구(210) 및 제2 지지구(220)는 부유부(110)의 아래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지만, 상기 제1 지지구(210) 및 상기 제2 지지구(220)의 복수의 제1 컨택유도돌기(215) 및 복수의 제2 컨택유도돌기(225)가 지지구결합부(120)의 복수의 제1 컨택유도홈(122) 및 복수의 제2 컨택유도홈(123)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구(210) 및 제2 지지구(220)에 아래 방향으로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하중이 가해지는 부유부(110)의 아래 방향으로 쉽게 미끌리거나 낙하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상시 제1 지지구(210) 및 제2 지지구(2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며, 나아가 그물지지대(12)의 안정적인 지지 상태가 상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그물용 부구체는 김발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어류 양식장에 설치되는 그물에 결속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부유부;
    상기 부이의 측면 일측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되고, 중앙에 제1 중심구멍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결합부;
    만입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크부를 포함하는 제1 바닥면, 상기 제1 바닥면에 수직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의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관통하는 제2 중심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일면 방향을 일정 두께만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ㄴ'자 형태를 이루면서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구멍은 상기 제1 수용홈에 상기 지지결합구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중심구멍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지지구;
    만입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아크부를 포함하는 제2 바닥면, 상기 제2 바닥면에 수직하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의 반대편의 제4 측면,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을 관통하는 제3 중심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지지결합부의 타면 방향을 일정 두께만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측면은 'ㄴ'자 형태를 이루면서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2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중심구멍은 상기 제2 수용홈에 상기 지지결합구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중심구멍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결합부를 상기 제1 지지구 및 상기 제2 지지구 사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구 및 상기 제2 지지구는 상기 지지구결합부에 결합되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양측에 상기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아크부 및 상기 제2 아크부는 서로 대칭되게 대응되어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구결합부 주변에 3개의 그물지지대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그물용 부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결합부는 양면 각각에 상기 지지구결합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컨택유도홈 및 복수의 제2 컨택유도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구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면에 배열되는 제1 컨택유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구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측면에 배열되는 제2 컨택유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유도돌기 및 상기 제2 컨택유도돌기는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컨택유도홈 및 상기 복수의 제2 컨택유도홈 중 하나에 결합되는,
    양식 그물용 부구체.

KR1020220078639A 2022-06-28 2022-06-28 양식 그물용 부구체 KR20240001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39A KR20240001841A (ko) 2022-06-28 2022-06-28 양식 그물용 부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39A KR20240001841A (ko) 2022-06-28 2022-06-28 양식 그물용 부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841A true KR20240001841A (ko) 2024-01-04

Family

ID=8954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639A KR20240001841A (ko) 2022-06-28 2022-06-28 양식 그물용 부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8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808Y1 (ko) 2006-11-08 2007-10-04 황범식 김 양식용 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808Y1 (ko) 2006-11-08 2007-10-04 황범식 김 양식용 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647B1 (ko) 수상 설치용 태양광 패널 지지체
KR950034283A (ko) 원자로내에서 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격자 구조체
KR20240001841A (ko) 양식 그물용 부구체
AU2012208248A1 (en) Structure for aquatic farming
JP3139216U (ja) 水生生物用吊り下げ式産卵巣
US20160311507A1 (en) Personal flotation apparatus
US20200077805A1 (en) Play yard having adjustable bassinet
KR200487140Y1 (ko) 이동식 수상 낚시 좌대
ES2857725T3 (es) Elemento para el desarrollo de la fauna o flora acuática y dispositivo de hábitat artificial que comprende al menos un elemento de este tipo
KR20150061764A (ko) 김양식용 부구체
US8707883B2 (en) Modular floating bar with optional canopy mounts
KR20130058425A (ko) 부력지붕을 구비한 낚시배
KR20140117776A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KR101806744B1 (ko) 접기 및 조립식 책받침대
US20140317990A1 (en) Fishing Rod Holder
JP2019129753A (ja) 産卵床
KR20220150188A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1851714B1 (ko)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JP2013106592A (ja) 浮魚礁
JP7417104B2 (ja) スタンド、及びこれを備えた飛沫防止スクリーン
JP2019088193A (ja) 構造体
US6357897B1 (en) Sideless collapsible frame lampshade
JP3950127B2 (ja) 魚類養殖装置
US20230189779A1 (en) Fly fishing strike indicator having multiple trapped air enclosures
CN208762240U (zh) 水生植物浮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