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714B1 -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714B1
KR101851714B1 KR1020160081360A KR20160081360A KR101851714B1 KR 101851714 B1 KR101851714 B1 KR 101851714B1 KR 1020160081360 A KR1020160081360 A KR 1020160081360A KR 20160081360 A KR20160081360 A KR 20160081360A KR 101851714 B1 KR101851714 B1 KR 101851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member
bracket
pip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819A (ko
Inventor
고수용
Original Assignee
고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수용 filed Critical 고수용
Priority to KR102016008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7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파이프와 한 쌍의 상기 제1파이프 상부에 상기 제1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1발판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2파이프와 한 쌍의 상기 제2파이프 상부에 상기 제2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2발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의 한 쌍의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1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의 한 쌍의 상기 제2파이프와 상기 제1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발판, 상기 제2파이프, 상기 제2브라켓, 상기 제1발판,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파이프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발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브라켓의 직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수용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수용부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고 상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상기 제1발판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고 하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상기 제1발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에 제1발판이 설치되어 있어도 제1발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에서 제1발판이 제1파이프를 보강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Cage culture structure}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에 제1발판이 설치되어 있어도 제1발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이란 바다의 수면에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을 부상시키고, 그 구조물의 하부에 어망을 연결하여 각종 활어 및 어패류를 가두어 양식하는 것으로, 자연환경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각종 활어 및 어패류를 양식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두리 양식을 위한 종래의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03,270호(이하, 종래기술 1)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기술 1은, 두 개의 구조용 파이프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시켜 전체적으로 바둑판 형태로 엮어서 고정용 볼트로 고정하여 프레임골조를 만들고, 상기 프레임골조의 저면에 원통상의 부구(浮具)를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골조의 상부면에 고밀도 합성수지재의 표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와 관통구멍인 파랑구가 형성된 판상의 발판을 배치하고, 결속용 로프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골조와 상기 발판 및 상기 부구를 함께 결속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 1은 파도로 인한 충격이나 사람의 하중 등에 의해 구조용 파이프가 뒤틀리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파도로 인한 충격이나 사람의 하중 등에 의해 구조용 파이프가 흔들려 구조용 파이프와 발판 간의 결속에 하자가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7,188호(이하, 종래기술 2)에서는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에 관한 것이 게재되어 있다.
종래기술 2는, 상측파이프와 하측파이프가 결속되는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측파이프가 고정되는 상부안착부와, 상기 상부안착부의 양 단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하측에 상기 상부안착부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파이프가 고정되는 하부안착부로 구성된 한 쌍의 상부고정구와; 상기 하부안착부의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하측파이프가 고정되도록 파이프안착부가 형성된 한 쌍의 간격유지구;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 2는 하측파이프에서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가 설치된 부위에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발판을 절단하여 그 사이의 하측파이프 상부마다 발판을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 2는 파도로 인한 충격이나 사람의 하중 등에 의해 하측파이프에서 발판이 설치되지 않는 부위, 즉, 하측파이프에서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가 설치된 부분을 발판이 보강해 줄 수 없는 구조이므로 하측파이프의 파손 및 뒤틀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강한 파력이 발생하는 원해에 적용하기에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근에는 근해에서의 가두리 양식의 포화로 인해 원해에서의 가두리 양식에 대한 니즈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이러한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근해보다 파력이 강한 원해에 적용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이 필요하나, 종래기술들은 구조용 파이프가 교차되는 부위를 보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구가 없고(종래기술 1), 보강 하측파이프에서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가 설치된 부분을 발판이 보강해 줄 수 없는 구조(종래기술 2)이므로 원해의 강한 파력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KR 403270 Y1 KR 437188 Y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에 제1발판이 설치되어 있어도 제1발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에서 제1발판이 제1파이프를 보강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파이프와 한 쌍의 상기 제1파이프 상부에 상기 제1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1발판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2파이프와 한 쌍의 상기 제2파이프 상부에 상기 제2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2발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의 한 쌍의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1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의 한 쌍의 상기 제2파이프와 상기 제1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발판, 상기 제2파이프, 상기 제2브라켓, 상기 제1발판,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파이프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발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브라켓의 직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수용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수용부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고 상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상기 제1발판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고 하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상기 제1발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에 제1발판이 설치되어 있어도 제1발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의 파력에 대한 내구성이 강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은 제1발판을 절단하지 않아도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에서 제1발판이 제1파이프를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은 강한 파력도 견딜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약한 파력이 발생하는 근해뿐만 아니라 강한 파력이 발생하는 원해에도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의 제1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의 제2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모든 설명에서 전후좌우상하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의 제1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의 제2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파이프(110)와 한 쌍의 제1파이프(110) 상부에 제1파이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1발판(120)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100)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2파이프(210)와 한 쌍의 제2파이프(210) 상부에 제2파이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2발판(220)을 포함하여 제1지지부재(100)와 교차하도록 제1지지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200)와,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교차하는 부분의 한 쌍의 제1파이프(110)와 제1발판(120) 사이에 위치하되 제1파이프(110)의 상부 일부가 수용되는 제1브라켓(300)과,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교차하는 부분의 한 쌍의 제2파이프(210)와 제1발판(120) 사이에 위치하되 제2파이프(21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는 제2브라켓(400) 및, 제2발판(220), 제2파이프(210), 제2브라켓(400), 제1발판(120), 제1브라켓(300) 및 제1파이프(11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500)을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10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지지부재(100)는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제1지지부재(100)는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제1지지부재(100)는 한 쌍의 제1파이프(110)와 제1발판(120)을 포함한다.
제1파이프(11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관이다. 제1파이프(110)의 내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파이프(110)는 한 쌍, 즉, 두 개가 하나의 제1지지부재(100)에 포함된다. 하나의 제1지지부재(100)에 포함되는 한 쌍의 제1파이프(110)는 전후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제1파이프(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볼트(510)가 삽입되는 제1체결공(11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1체결공(112)은 전방측 제1파이프(110)의 상하를 관통하는 좌우 두 곳의 제1체결공(112)과 후방측 제1파이프(110)의 상하를 관통하는 좌우 두 곳의 제1체결공(112)이 한 세트를 이룬다.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은 서로 가장 인접하게 전후좌우로 나란히 네 곳에 배치된다. 제1체결공(112)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여러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파이프(110)의 상부에는 제1발판(120)이 설치된다.
제1발판(12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제1발판(120)은 한 쌍의 제1파이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제1발판(120)의 좌우 길이는 제1파이프(110)의 좌우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발판(120)의 전방측 단부는 한 쌍의 제1파이프(110) 중 전방측에 위치한 제1파이프(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1발판(120)의 후방측 단부는 한 쌍의 제1파이프(110) 중 후방측에 위치한 제1파이프(110)의 상부에 고정된다. 제1발판(120)은 후술할 결합수단(500)에 의해 결합되기 전 나사못(미도시)으로 제1파이프(110)에 가고정될 수 있다. 제1발판(120)에는 복수 개의 제1구멍(121)이 형성된다. 제1구멍(121)은 제1발판(120)의 상면부터 하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구멍(121)은 파도로 인해 제1발판(120)에 가해지는 힘을 감쇄하기 위해 바닷물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이다. 제1구멍(121)은 복수 개가 제1발판(120)의 전후 폭방향으로 3열 배치되도록 형성되나, 제1구멍(121)의 개수 및 배치형태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발판(120)에는 볼트(510)가 삽입되는 제2체결공(12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2체결공(122)은 서로 가장 인접하게 전후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네 개가 한 세트를 이룬다. 제2체결공(122)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여러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은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은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과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제1발판(120)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00)의 상부에는 제2지지부재(200)가 제1지지부재(100)와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제2지지부재(20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지지부재(200)는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제2지지부재(200)는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 개의 제1지지부재(100)와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는 전체적으로 격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후술할 제1브라켓(300)과 제2브라켓(400)이 제1발판(120)을 사이에 두고 아래, 위로 배치된다. 제2지지부재(200)는 한 쌍의 제2파이프(210)와 제2발판(220)을 포함한다.
제2파이프(21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관이다. 제2파이프(210)의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2파이프(210)는 한 쌍, 즉, 두 개가 하나의 제2지지부재(200)에 포함된다. 하나의 제2지지부재(200)에 포함되는 한 쌍의 제2파이프(210)는 좌우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제2파이프(2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볼트(510)가 삽입되는 제3체결공(21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3체결공(212)은 좌측 제2파이프(210)의 상하를 관통하는 전후 두 곳의 제3체결공(212)과 우측 제2파이프(210)의 상하를 관통하는 전후 두 곳의 제3체결공(212)이 한 세트를 이룬다. 한 세트의 제3체결공(212)은 서로 가장 인접하게 전후좌우로 나란히 네 곳에 배치된다. 제3체결공(212)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여러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세트의 제3체결공(212)은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 및 제2체결공(12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세트의 제3체결공(212)은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 및 제2체결공(122)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 및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과 연통되도록 배치된다.한 쌍의 제2파이프(210)의 상부에는 제2발판(220)이 설치된다.
제2발판(22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제2발판(220)은 한 쌍의 제2파이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제2발판(220)의 전후 길이는 제2파이프(210)의 전후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발판(220)의 좌측 단부는 한 쌍의 제2파이프(210) 중 좌측에 위치한 제2파이프(2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2발판(220)의 우측 단부는 한 쌍의 제2파이프(210) 중 우측에 위치한 제2파이프(210)의 상부에 고정된다. 제2발판(220)은 후술할 결합수단(500)에 의해 결합되기 전 나사못(미도시)으로 제2파이프(210)에 가고정될 수 있다. 제2발판(220)에는 복수 개의 제2구멍(221)이 형성된다. 제2구멍(221)은 제2발판(220)의 상면부터 하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구멍(221)은 파도로 인해 제2발판(220)에 가해지는 힘을 감쇄하기 위해 바닷물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이다. 제2구멍(221)은 복수 개가 제2발판(220)의 좌우 폭방향으로 3열 배치되도록 형성되나, 제2구멍(221)의 개수 및 배치형태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발판(220)에는 볼트(510)가 삽입되는 제4체결공(22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4체결공(222)은 서로 가장 인접하게 전후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네 개가 한 세트를 이룬다. 제4체결공(222)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여러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세트의 제4체결공(222)은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 및 한 세트의 제3체결공(21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세트의 제4체결공(222)은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 및 한 세트의 제3체결공(212)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 및 한 세트의 제3체결공(212)과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제2발판(220)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파이프(110)의 제1체결공(112), 제1발판(120)의 제2체결공(122), 제2파이프(210)의 제3체결공(212) 및 제2발판(220)의 제4체결공(222)은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교차하는 부분마다 각각 네 개씩이 형성되며 서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한 쌍의 제1파이프(110)와 제1발판(120) 사이에는 제1브라켓(300)이 설치된다. 제1브라켓(30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직사각틀의 형상을 가지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제1브라켓(300)의 하부는 한 쌍의 제1파이프(110)의 상부 일부를 각각 수용하고, 제1브라켓(300)의 상부는 제1발판(120)의 하면에 접촉된다. 제1브라켓(300)은 한 쌍의 제1수용부(310)와 한 쌍의 제1연결부(3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수용부(310)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 쌍의 제1수용부(310)는 전후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제1수용부(310)의 상면 좌측과 우측은 제1발판(120)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각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수평면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310)의 상면 좌측과 우측 사이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수용부(310)의 상면에서 수평면으로 형성된 부분의 높이는 제1수용부(310)의 상면에서 곡면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1수용부(310)의 좌측 상면과 우측 상면, 즉, 제1수용부(310)의 상면에서 수평면으로 형성된 부분은 제1발판(120)의 하면에 접촉하여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수용부(310)에는 제1수용홈(311)이 형성된다. 제1수용홈(31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 및 좌우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1수용홈(311)의 내부면은 제1파이프(1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제1수용홈(311)에 수용되는 제1파이프(110)의 상부 일부를 감싸므로써 제1파이프(11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제1수용홈(311)에는 제1파이프(110)의 상부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한 쌍의 제1수용부(310)의 좌측과 우측에는 볼트(510)가 삽입되는 제5체결공(312)이 각각 형성된다. 제5체결공(312)은 제1브라켓(300)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하나씩 총 네 개가 형성된다. 제5체결공(312)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310)의 상면 좌측과 우측 중앙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브라켓(300)에 형성된 네 개의 제5체결공(312)은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의 직상방에 위치하고,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한 세트의 제1체결공(112) 및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에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5체결공(312) 사이에는 제3구멍(313)이 형성된다. 제3구멍(313)은 관통공으로써, 한 쌍의 제1수용부(310)의 상면에서 곡면으로 형성된 부분에 각각 세 개씩 형성되고, 후술할 한 쌍의 제1연결부(320)에 각각 세 개씩 형성되어 총 열두 개가 제1브라켓(300)에 형성된다. 제3구멍(313)은 파도로 인해 제1브라켓(300)에 고이는 바닷물의 배수를 위해 형성되며, 제3구멍(31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수용부(310)의 중앙 전방측 하단 일부와 제1수용부(310)의 중앙 후방측 하단 일부는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제1함몰부(314)를 이룬다. 제1함몰부(314)는 하나의 제1수용부(310)의 전후측에 각각 하나씩 총 두 개가 형성된다. 제1수용부(310)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제1함몰부(314)로 인해 하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제1수용부(310) 사이에는 한 쌍의 제1연결부(320)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1연결부(320)는 한 쌍의 제1수용부(310)의 좌측 단부 사이와 우측 단부 사이를 각각 잇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320)는 전방측 제1수용부(310)의 좌측 단부와 후방측 제1수용부(310)의 좌측 단부를 잇도록 하나가 형성되고, 전방측 제1수용부(310)의 우측 단부와 후방측 제1수용부(310)의 우측 단부를 잇도록 하나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1연결부(320)는 한 쌍의 제1수용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연결부(32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다. 제1연결부(320)의 상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310)의 상면 좌우측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제1브라켓(3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발판(1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320)의 상면과 수평면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310)의 상면 좌우측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제1발판(12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제1연결부(320)에는 세 개의 제3구멍(3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부(320)는 한 쌍의 제1파이프(11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제2파이프(210)와 제1발판(120) 사이에는 제2브라켓(400)이 설치된다. 제2브라켓(400)은 제1발판(120)을 사이에 두고 제1브라켓(300)의 직상방에 위치한다. 제2브라켓(40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직사각틀의 형상을 가지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제2브라켓(400)의 상부는 한 쌍의 제2파이프(210)의 하부 일부를 각각 수용하고, 제2브라켓(400)의 하부는 제1발판(120)의 상면에 접촉된다. 제2브라켓(400)은 한 쌍의 제2수용부(410)와 한 쌍의 제2연결부(4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수용부(410)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 쌍의 제2수용부(410)는 좌우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제2수용부(410)의 하면 전방측과 후방측은 제1발판(120)의 상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각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수평면으로 형성된 제2수용부(410)의 하면 전방측과 후방측 사이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2수용부(410)의 하면에서 수평면으로 형성된 부분은 제2수용부(410)의 하면에서 곡면으로 형성된 부분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더 튀어나오도록 형성된다. 제2수용부(410)의 전방측 하면과 후방측 하면, 즉, 제2수용부(410)의 하면에서 수평면으로 형성된 부분은 제1발판(120)의 상면에 접촉하여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수용부(410)에는 제2수용홈(411)이 형성된다. 제2수용홈(411)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 및 전후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2수용홈(411)의 내부면은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제2수용홈(411)에 수용되는 제2파이프(210)의 하부 일부를 감싸므로써 제2파이프(2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제2수용홈(411)에는 제2파이프(21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한 쌍의 제2수용부(41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볼트(510)가 삽입되는 제6체결공(412)이 각각 형성된다. 제6체결공(412)은 제2브라켓(400)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하나씩 총 네 개가 형성된다. 제6체결공(412)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제2수용부(410)의 하면 전방측과 후방측 중앙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브라켓(400)에 형성된 네 개의 제6체결공(412)은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의 직상방에 위치하고, 한 세트의 제3체결공(212)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한 세트의 제2체결공(122) 및 한 세트의 제3체결공(212)에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6체결공(412) 사이에는 제4구멍(413)이 형성된다. 제4구멍(413)은 관통공으로써, 한 쌍의 제2수용부(410)의 하면에서 곡면으로 형성된 부분에 각각 세 개씩 형성되고, 후술할 한 쌍의 제2연결부(420)에 각각 세 개씩 형성되어 총 열두 개가 제2브라켓(400)에 형성된다. 제4구멍(413)은 파도로 인해 제2브라켓(400)에 고이는 바닷물의 배수를 위해 형성되며, 제4구멍(41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수용부(410)의 중앙 좌측 상단 일부와 제2수용부(410)의 중앙 우측 상단 일부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제2함몰부(414)를 이룬다. 제2함몰부(414)는 하나의 제2수용부(41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총 두 개가 형성된다. 제2수용부(410)의 전측부와 후측부는 제1함몰부(314)로 인해 상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제2수용부(410) 사이에는 한 쌍의 제2연결부(420)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2연결부(420)는 한 쌍의 제2수용부(410)의 전방측 단부 사이와 후방측 단부 사이를 각각 잇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연결부(420)는 좌측 제2수용부(410)의 전방측 단부와 우측 제2수용부(410)의 전방측 단부를 잇도록 하나가 형성되고, 좌측 제2수용부(410)의 후방측 단부와 우측 제2수용부(410)의 후방측 단부를 잇도록 하나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2연결부(420)는 한 쌍의 제2수용부(4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연결부(42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다. 제2연결부(420)의 하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제2수용부(410)의 하면 좌우측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제2브라켓(40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발판(120)이 제2브라켓(4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420)의 하면과 수평면으로 형성된 제2수용부(410)의 하면 좌우측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제1발판(1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제2연결부(420)에는 세 개의 제3구멍(313)이 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부(420)는 한 쌍의 제2파이프(21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브라켓(300)과 제2브라켓(400)은 제1발판(120)의 하면과 제1발판(120)의 상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므로 제1브라켓(300)과 제2브라켓(400)을 고정설치하기 위해 제1발판(120)을 절단하여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2발판(220), 제2파이프(210), 제2브라켓(400), 제1발판(120), 제1브라켓(300) 및 제1파이프(110)는 결합수단(500)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수단(500)은 볼트(510)와 너트(5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510)는 제2발판(220), 제2파이프(210), 제2브라켓(400), 제1발판(120), 제1브라켓(300) 및 제1파이프(110) 순으로 삽입된다. 이때, 각각 서로 대응하는 제2발판(220)의 제4체결공(222), 제2파이프(210)의 제3체결공(212), 제2브라켓(400)의 제6체결공(412), 제1발판(120)의 제2체결공(122), 제1브라켓(300)의 제5체결공(312) 및 제1파이프(110)의 제1체결공(112)은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볼트(510)가 삽입되고, 이후 너트(520)가 볼트(510)에 체결되어 제2발판(220), 제2파이프(210), 제2브라켓(400), 제1발판(120), 제1브라켓(300) 및 제1파이프(110)가 서로 결합 및 고정된다. 볼트(510)와 너트(520)의 체결 시, 볼트(510)의 헤드와 제2발판(220)의 상면 사이에는 와셔(530)가 배치될 수 있고, 볼트(510) 체결된 너트(520)와 제1파이프(110)의 하부 사이에도 와셔(5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의 하부에는 각각 복수 개의 부구(600)가 설치된다. 부구(600)는 원통형상의 스티로폼으로써 외면이 커버(미도시)로 씌워질 수 있다. 부구(600)는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끈(700)으로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에 묶여 고정된다. 부구(600)는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바다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는 배치 방향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즉, 제1지지부재(100)는 제2지지부재(2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형태이다.
또한, 제1브라켓(300)과 제2브라켓(400) 역시 배치 방향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즉, 제1브라켓(300)는 제2브라켓(400)을 뒤집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형태이다.
제1파이프(110), 제1발판(120), 제2파이프(210), 제2발판(220), 제1브라켓(300) 및 제2브라켓(400)은 PVC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제1지지부재 110 : 제1파이프
112 : 제1체결공 120 : 제1발판
121 : 제1구멍 122 : 제2체결공
200 : 제2지지부재 210 : 제2파이프
212 : 제3체결공 220 : 제2발판
221 : 제2구멍 222 : 제4체결공
300 : 제1브라켓 310 : 제1수용부
311 : 제1수용홈 312 : 제5체결공
313 : 제3구멍 314 : 제1함몰부
320 : 제1연결부 400 : 제2브라켓
410 : 제2수용부 411 : 제2수용홈
412 : 제6체결공 413 : 제4구멍
414 : 제2함몰부 420 : 제2연결부
500 : 결합수단 510 : 볼트
520 : 너트 530 : 와셔
600 : 부구 700 : 끈

Claims (1)

  1.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파이프와 한 쌍의 상기 제1파이프 상부에 상기 제1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1발판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2파이프와 한 쌍의 상기 제2파이프 상부에 상기 제2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2발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의 한 쌍의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1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의 한 쌍의 상기 제2파이프와 상기 제1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발판, 상기 제2파이프, 상기 제2브라켓, 상기 제1발판,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파이프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발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브라켓의 직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수용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수용부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고 상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상기 제1발판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고 하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상기 제1발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제3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제4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3구멍 및 상기 제4구멍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에 고이는 바닷물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KR1020160081360A 2016-06-29 2016-06-29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KR10185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360A KR101851714B1 (ko) 2016-06-29 2016-06-29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360A KR101851714B1 (ko) 2016-06-29 2016-06-29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103 Division 2015-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19A KR20170057819A (ko) 2017-05-25
KR101851714B1 true KR101851714B1 (ko) 2018-04-24

Family

ID=5905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360A KR101851714B1 (ko) 2016-06-29 2016-06-29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303B1 (ko) * 2019-04-12 2020-10-30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내구성이 향상된 부유체와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발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270Y1 (ko) * 2005-09-22 2005-12-08 (주)창일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KR200437188Y1 (ko) 2006-12-22 2007-11-08 송영선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270Y1 (ko) * 2005-09-22 2005-12-08 (주)창일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KR200437188Y1 (ko) 2006-12-22 2007-11-08 송영선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19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501B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력체
KR101851714B1 (ko)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KR200485988Y1 (ko) 김 양식용 부구
KR20180015432A (ko) 서식공간이 구비된 어초블록
KR200409213Y1 (ko) 전복양식 구조물
JP5097035B2 (ja) サンゴ増養殖用構造物の格子状構造物の連結具
KR100700021B1 (ko) 침수방틀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05986B1 (ko) 인공어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낚시환경 조성구조물
KR20130004450U (ko) 전복 중간육성용 파형쉘터 구조
KR20140111201A (ko) 패류를 위한 쉘터
JP2008038337A (ja) 浮島式網場
KR20090012383U (ko) 가두리 양식장용 이경 브라켓
KR20200113608A (ko) 인공 수초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 매트리스 블록
KR101716711B1 (ko) 부유구조물에 사용되는 브라켓
JP3435527B2 (ja) 樹木の支持具
KR20150077507A (ko) 수중 구조물
KR200373552Y1 (ko) 가두리 양식장 구축용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CN218789867U (zh) 一种深水抗风浪养殖网箱用套管固定架
KR102579436B1 (ko) 양식장용 그물망 고정구
CN209861951U (zh) 用于小熊猫舍区与活动区间的连接桥
KR200258017Y1 (ko)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JP2013106592A (ja) 浮魚礁
KR20080001446U (ko)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구
KR101273516B1 (ko) 브라켓 어셈블리
KR102141120B1 (ko) 해양시설용 발판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