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017Y1 -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017Y1
KR200258017Y1 KR2020010028937U KR20010028937U KR200258017Y1 KR 200258017 Y1 KR200258017 Y1 KR 200258017Y1 KR 2020010028937 U KR2020010028937 U KR 2020010028937U KR 20010028937 U KR20010028937 U KR 20010028937U KR 200258017 Y1 KR200258017 Y1 KR 200258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quare pipe
reinforcing plate
c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곤
Original Assignee
최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곤 filed Critical 최정곤
Priority to KR2020010028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017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가 중공체인 사각파이프에 보강격판을 형성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단면이 사각형이고 내부가 중공체인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에, 내부가 중공체이고 파이프의 내측 중공부(12)(22)(32)의 공간을 좌우로 양분되게 길이방향으로 보강격판(11)(21)(31)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각파이프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보강격판을 사각파이프와 일체되게 형성하여 위에서 누르는 하중을 지탱하며 두 개의 나사못 또는 볼트및 너트를 사용하여 보강격판을 격하거나 관통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보강력이 증대되어 수명이 연장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Structure of square pipe for fish breeding bed }
본 고안은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가 중공체인 사각파이프에 보강격판을 형성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은 댐과 같은 내수면에서 일정 범위에 그물을 설치하고 특정의 어류를 양식하는 것으로서 근래에는 용수의 수질악화를 우려하거나 해수 자체를 이용하기 위해 근해로 진출하는 추세이다.
가두리 양식을 위한 통상적인 시설을 살펴보면, 대나무 또는 10년에서 20년 사이의 통나무를 이용하여 사다리 형태로 형성한 통로가 다수의 부구에 의해 부력을 받는 상태로 연결되고, 그 하방향으로 그물이 설치되며, 상기 통로상에는 발판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의 통나무로 구성된 통로 또는 발판은 해수에 쉽게 부식됨과 함께 심한 파고에 저항력이 떨어지는 등 내구성을 보장받지 못하고, 상기 발판은 각목을 통해 못이나 나사류를 사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까닭에 해제나 이탈 등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수시로 재고정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양식 면적을 수개로 구획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그 통로를 이루는 각목을 합성수지파이프로 대체하여 내구성을 높이며, 발판 역시 합성수지재로 성형시켜 상기 파이프를 통해 고정설치되며 파이프의 교차되는 지점을 견고히 결속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로용 파이프 결속부재가 제안되어 있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 파이프(1)(2)를 이용하여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1)(2)는 다수의 부구(3)에 의해 부력을 받는 상태로 연결되며, 그 하방향으로 그물이 설치되며, 상기 통로상에는 발판(4)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횡축 파이프(1)와 종축 파이프(2)가 각각 교차되는 크로스 지점은 별도로 사출성형된 결속부재(5)에 의해 결속되고, 양 횡축 파이프(1) 또는 양 종축 파이프(2)끼리의 결속 또한 별도로 사출성형된 코너블럭(6)에 의해 결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횡축 파이프(1)와 종축 파이프(2)의 교차지점에서는 횡축 파이프(1)가 코너블럭(6)의 횡방향 통공을 통해 삽통되고, 종축 파이프(2)가 상기 코너블럭부재(6)의 종방향 통공을 통해 교차 삽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통된 파이프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코너블럭(6)에 형성된 통공 및 파이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볼트를 끼워 너트로 조임으로써 상기 횡축 파이프(1) 및 종축 파이프(2)가 결속부재(5) 및 코너블럭(6)을 통해 고정,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정,설치된 파이프는 심한 파도나 물결이 일 경우 유동되어져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고, 그럴 경우 파이프의 복잡한 교체작업이 요구되고 자재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강도와 내구력이 우수한 원형플라스틱 파이프(1)(2)를 많이 사용하였었다. 하지만 원형파이프의 경우 교차되는 파이프와 파이프 그리고 파이프와 발판과의 접촉면적이 좁아 너트나 볼트 등으로 결속할 때 어려움이 많을 뿐만 아니라 설치후에도 파도에 의해 쉽게 완해되어 버린다.
그래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 대신 접촉면적이 넓은 사각파이프(7)를 이용하게 되었는데 내부가 중공체이고 각이 있고 더욱이 플라스틱 재질이라 밟고 다녔을 때 잘 깨지고 볼트,너트 고정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나사못 또는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쉽게 결속을 할 수 있으며 파이프와 파이프간을 연결하는 결속부재 및 코너블록부재도 필요 없도록 단단히 결속할 수 있으며 밟고 다녀도 잘 깨지지 않는 또 다른 구조의 사각파이프가 필요하다.
이에 본 고안은 사각파이프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인 보강격판이 사각파이프와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위에서 누르는 하중을 지탱하며 또한 두 개의 나사못 또는 볼트와 너트로 이 보강격판을 격하거나 관통시켜 고정시킴으로써 결속부재가 필요 없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사각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두리양식장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사용되어지는 원형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최근에 가두리양식장에서 사용되어지는 사각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파이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각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각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파이프와 나사못과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원형 파이프 3 : 부구
4 : 발판 5 : 결속부재
6 : 코너블록
7,10,10',20,30 ; 사각 파이프 11,21,31 : 보강격판
12,22,32 : 중공부
40 : 나사못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파이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각파이프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각파이프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파이프와 나사못과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모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공부의 공간을 좌우로 양분되게 상하길이방향으로 그리고 파이프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강격판은 위에서 누르는 하중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공통적인 구성이자 특징이며, 단지 보강격판(11)(21)(31)의 형태가 상이하다는 것이다.
상기 보강격판(11)(21)(31)은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플라스틱 중공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각파이프의 보강격판(11)은 상단부분, 중단부분, 하단부분의 두께가 같은 일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즉, 사각파이프 내측 중공부(12)의 단면 모양이 사각형인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격판(21)은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의 두께가 중단부분의 두께보다 넓어 파이프 양옆의 중간부분이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이다. 즉 사각파이프(20)의 내측 중공부(22)의 단면모양이 반원형인 것이특징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격판(31)의 형상은 상기 도 6에 형성된 보강격판(21)과 같으며 사각파이프(30)의 안쪽 네 모서리가 유선형태로 되어 있는, 즉 사각파이프(30)의 내측 중공부(32)의 단면모양이 타원 또는 원형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와 파이프(10') 또는 파이프와 발판과 교차되는 이음부분을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못(22) 등을 두개 사용하여 서로 엇갈리게 보강격판(11)을 격하거나 관통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단단히 결속할 수 있으며, 보강력도 증대되어 사각파이프의 수명이 연장된다.
상기는 사각파이프와 일체형으로 보강격판을 하나만 형성되어 있지만, 두 개 또는 세 개를 사용하여 더욱 보강력을 증대할수 있으며 보강격판의 형태 또한 여러 가지일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각파이프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보강격판을 사각파이프와 일체되게 형성하여 위에서 누르는 하중을 지탱하며 두 개의 나사못 또는 볼트및 너트를 사용하여 보강격판을 격하거나 관통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보강력이 증대되어 수명이 연장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3)

  1. 단면이 사각형이고 내부가 중공체인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체이고 파이프의 내측 중공부(12)(22)(32)의 공간을 좌우로 양분되게 길이방향으로 보강격판(11)(21)(31)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격판(11)은 상단부분, 중단부분, 하단부분의 두께가 같은 일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격판(21)은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의 두께는 넓으며 중단부분의 두께는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보다 좁아서 전체적으로 그 표면이 유선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의 구조
KR2020010028937U 2001-09-19 2001-09-19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KR200258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37U KR200258017Y1 (ko) 2001-09-19 2001-09-19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37U KR200258017Y1 (ko) 2001-09-19 2001-09-19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017Y1 true KR200258017Y1 (ko) 2001-12-31

Family

ID=7308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937U KR200258017Y1 (ko) 2001-09-19 2001-09-19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0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935B1 (ko) 2018-02-27 2018-04-18 주식회사 혁신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CN108575843A (zh) * 2018-05-30 2018-09-28 宁德市力霸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造养殖鱼排的踏板及具有该踏板的养殖鱼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935B1 (ko) 2018-02-27 2018-04-18 주식회사 혁신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CN108575843A (zh) * 2018-05-30 2018-09-28 宁德市力霸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造养殖鱼排的踏板及具有该踏板的养殖鱼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978B1 (ko) 부력 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 및 그 제조방법
KR200258017Y1 (ko)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200278187Y1 (ko)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438089Y1 (ko) 부력체 조립구조
KR200186595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KR20090017001A (ko)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KR200167452Y1 (ko) 가두리 양식장 통로용 파이프 결속부재
KR200306395Y1 (ko) 테트라포드
KR100329665B1 (ko) 가두리 양식장 설치구조
KR200179373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KR200175063Y1 (ko) 가두리 양식장 설치구조
KR200283816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결속구
KR200227247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JP2000344182A (ja) 合成樹脂体を利用した水上施設
KR200373552Y1 (ko) 가두리 양식장 구축용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KR200392564Y1 (ko) 가두리 양식장통로용 파이프 결속부재
KR200358671Y1 (ko) 내구성이 향상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KR200403600Y1 (ko)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KR101186116B1 (ko) 양식장의 해상 구조물용 부상체
KR100378250B1 (ko) 파이프상에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구조물
JP3115285B2 (ja) 合成樹脂体を利用した水上施設
KR100456229B1 (ko) 양식장용 수상구조물
KR200194974Y1 (ko) 양식장용 부자
KR200453222Y1 (ko) 조립식 부잔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