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600Y1 -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 Google Patents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600Y1
KR200403600Y1 KR20-2005-0018497U KR20050018497U KR200403600Y1 KR 200403600 Y1 KR200403600 Y1 KR 200403600Y1 KR 20050018497 U KR20050018497 U KR 20050018497U KR 200403600 Y1 KR200403600 Y1 KR 200403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fixing member
cone
structure assemb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주
Original Assignee
김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주 filed Critical 김정주
Priority to KR20-2005-0018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6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2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을 조립하여 해저로 침하시켜 어폐류를 양식하고, 출하기에 다시 해상으로 부상시켜 수확할 수 있도록 한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부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공기호스가 부가된 상협하광형상의 콘과; 상기 콘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특정형상의 구조물을 완성하는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Structure assembly of the sea}
본 고안은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을 조립하여 해상의 각종 구조물로 활용하고 필요시에 해저로 침하시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부력재는 스티로폼과 프라스틱 성형물에 우레탄폼 등을 충전하여 사용되고 있다.
전자의 부력재는 구조물이 로프로 결속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파도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고 또 자외선 등에 의해 표면부가 부식되어 해상오염과 생태계에 적지않은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자의 부력재는 스치로폼에 비해 부력이 낮고 가격이 고가이며 시공상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의 부력재는 그 부피로 인하여 보관이나 운반 등의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고, 수표면에 근접하여 병렬로 시공되는 것이므로 근원적으로 수중침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파도나 강풍이 직접 구조체에 전달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기존의 어패류 양식업은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의해 양식장의 구조물이 파손되어 발생되는 손실을 피하고져 태풍 등의 영향을 적게 받는 지역을 선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역은 수심이 낮고 해수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고, 또 수역의 면적이 한정되어 과밀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조현상에 의한 집단 폐사나 동절기의 한파에 의한 동사, 어패류의 배설물에 의한 부영양화에 따른 환경오염과 질병이 발생되는 것이다.
더욱이 질병을 예방하기위하여 다량의 항생제를 투여하여 수질오염을 유발하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부력재를 수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시공하여 파도의 양향을 적게 받고 부력재의 내부의 공기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부력을 자유로히 조절가능토록함과 동시에 태풍 등이 발생되는 경우 수중침하가 가능토록한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비용을 낮추고 시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부에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호스가 부가된 상협하광형상의 콘과; 상기 콘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특정형상의 구조물을 완성하는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연결판을 결합하기 위한 1∼3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구성요소인 고정부재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완성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부력의 발생시키는 콘(5)과, 상기 콘(5)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부재(10) 및 상기 고정부재(10)에 일체로 결합되어 특정형상의 구조물을 완성하는 연결편(15)으로 구성된 것로, 이를 상호 조립하므로서 가두리 양식장, 해상작업용 바지선, 해상용 수영장, 낚시용 좌대, 부교 등의 해상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콘(5)은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상협하광형상으로서, 내부에는 물이 일정높이로 충전되는 중공부(1)와 와측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0)를 결합하기 위한 숫나선부(3)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는 수표면에 수직선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공부(1)에 일정높이 대략 2/3정도까지 물이 충전되고, 상부의 1/3은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부력이 발생되어 수표면으로 부양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중공부(1)에는 공기호스(4)를 부가하여 중공부(1)에 잔류하는 공기를 콤푸레셔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므로서 부력을 조절하여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부력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가능토록한 것이다.
그리고 콘(5)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10)는 체결부(7)와 좌대(9)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7)의 내경은 콘(5)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내측에는 암나선부(6)가 형성되어 상술한 콘(5)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선부(3)와 나사결합되어 콘(5)과 고정부재(10)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 체결부(7)의 상부에 마련된 좌대(9)는 후술하는 연결편(15)의 일측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연결편(15)의 결합을 달리하기 때문에 도 3(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안착홈(8)의 개수를 1~3개로 자유로 변경하여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안착홈(8)에는 볼트(13)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8a)이 형성되어있고, 4개의 연결편(15)을 결합시에는 평면상태에서 나사공(8a)만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재(10)에 의해 연결편(15)을 "-" "T" "+"와 같이 결합시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0)를 구성하는 안착홈(8)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연결편(15)은 패널형상으로서, 양측단부는 안착홈(8)의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갖는 삼각형상으로 볼트(13)를 체결하기위한 통공(11)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갖은 구조를 갖는 콘(5)과 고정부재(10) 및 연결편(15)을 일체로 결합하여 그물(50)을 결합하게되면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갖는 가두리 양식장(20)을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구조물을 해상에 설치하게되면 저부에 배설된 콘(5)의 중공부(1)에는 일정량의 물이 충전되고 상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부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부력이 커서 구조물이 지나치게 수표면으로 노출되어 구조물이 불안정할 경우에는 공기호스(4)를 이용하여 중공부(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공기의 배출량만큼 물이 유입되어 구조물의 부양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사용도중에 태풍 등으로 인하여 구조물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중공부(1)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모두 배출시키게되면 부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면서 구조물이 수중으로 침하되므로서 외부환경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역으로 구조물을 부양시키고져 할 경우에는 공기호스(4)를 이용하여 중공부(1)에 공기를 주입하게되면 부력이 발생하여 구조물이 수표면으로 부양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중공부(22)를 갖는 관체(25)와, 상기 관체(25)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고정클립(30)과, 상기 고정클립(30)에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봉(35)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관체(25)는 일정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중공부(22)에는 공기호스(24)를 부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부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 관체(25)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고정클립(3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관체(25)를 결합하기위한 수직선상으로 삽입홈(26)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연결봉(35)을 결합하는 체결홈(28)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갖는 관체(25)와 고정클립(30) 및 연결봉(35)을 조립하게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형상의 구조물(40)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30)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Y"형상으로 성형하여 각 단부에 연결봉(35)을 조립하게되면 벌집모양의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특정형상의 구조물을 완성하여 수표면에 수직선상으로 설치하여 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구조물을 부양하여 여러 용도로 사용하고, 강력한 태풍에 의해 구조물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콘의 내부로 연장된 공기호스에 의해 중공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배출시켜 물이 충전되도록하여 구조물을 수중으로 침하시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구성요소인 고정부재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완성된 구조물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도 5를 이용하여 완성된 구조물의 사시도
도 7은 고정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중공부 3…숫나선부 5…콘 7…체결부 9…좌대
10…고정부재 15…연결편 25…관체 30…고정클립
35…연결봉

Claims (4)

  1. 내부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공기호스가 부가된 상협하광형상의 콘과; 상기 콘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특정형상의 구조물을 완성하는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연결판을 결합하기 위한 1~3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3. 공기호스가 부가된 중공부를 갖는 관체와; 수직선상으로 삽입홈과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관체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고정클립과; 상기 고정클립에 일체로 결합되는 중공형 연결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Y형상으로서 3개의 연결봉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KR20-2005-0018497U 2005-06-27 2005-06-27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KR200403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497U KR200403600Y1 (ko) 2005-06-27 2005-06-27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497U KR200403600Y1 (ko) 2005-06-27 2005-06-27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600Y1 true KR200403600Y1 (ko) 2005-12-12

Family

ID=4370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497U KR200403600Y1 (ko) 2005-06-27 2005-06-27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6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1B1 (ko) 2012-09-18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1B1 (ko) 2012-09-18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8958A (en) Open water fish farming apparatus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1821127B1 (ko) 수상 부유체 및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10090528A (ko)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WO2011014052A1 (en) Floating frame and its components for aquaculture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GB2596633A (en)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JP2022542995A (ja) 外洋水産養殖用魚囲い
KR200403600Y1 (ko)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KR200367519Y1 (ko) 수상 부양식 어/패류 가두리형 양식장의 프레임
KR100951177B1 (ko) 어초블록을 가진 부상장치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102322875B1 (ko)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CN108308079B (zh) 四孔式圆台型滩涂组合构建礁及其建设方法
KR101737278B1 (ko)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1193622B1 (ko) 롤링-피칭 감쇠수단을 가진 수상 부유체의 부력관 지지대
KR101806071B1 (ko)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방법
KR200443092Y1 (ko) 부력파이프를 이용한 침하식 가두리 양식장
KR101871829B1 (ko) 사각 돔형 강제어초
KR100281365B1 (ko)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KR100281366B1 (ko)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CN219920018U (zh) 一种带有高层鱼礁的渔业观察平台
KR101438997B1 (ko) 가두리 양식장 프레임 파이프용 교차결속 연결구
KR200194974Y1 (ko) 양식장용 부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