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089Y1 - 부력체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부력체 조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8089Y1 KR200438089Y1 KR2020070010186U KR20070010186U KR200438089Y1 KR 200438089 Y1 KR200438089 Y1 KR 200438089Y1 KR 2020070010186 U KR2020070010186 U KR 2020070010186U KR 20070010186 U KR20070010186 U KR 20070010186U KR 200438089 Y1 KR200438089 Y1 KR 2004380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body
- connecting member
- assembly structure
- buoyancy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측면에 둘레를 따라 조립홈이 형성되고 모서리부분에 조립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립구멍이 형성되며 이웃하여 위치하는 서로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부력체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이상의 부력체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부력체의 양쪽 조립홈에 각각 조립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체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부력체, 연결부재, 일체화, 조립구멍, 요철, 폴리에틸렌, 목재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를 나타내는 조립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를 나타내는 조립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고안은 부력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체의 측면에 조립홈을 형성하여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한 부력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상에서 부유되는 부력체는 수상에서의 작업을 위해 호수나 하천 등의 양식장이나 낚시터 등에 사용되거나 호수나 하천의 수질정화 및 생태계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수상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대기중 오염물질이나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이 호수나 하천 등에 유입됨에 따라 수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중 생태계의 자정 능력의 한계를 초과하는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상생태공원이 개발되어 왔다.
이 같은 수상생태공원은 미생물 및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유기물은 물론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수상생태공원은 육상식물 및 수생식물이 심겨진 상태로 물위에 떠 있는 섬과 같은 구조물로서 새로운 형태의 수상 생태계 창출이라는 점에서 조경 및 환경 등 자연생태계와 관련된 분야에서 주목되고 있으며, 호수나 하천 등에 서식하는 동식물에게 생태계의 터전을 제공하고 주변의 단조로운 경관에 새로운 자연환경을 제 공하며 주변 경관 개선과 아울러 어류의 산란장과 조류의 생식 공간으로도 활용되어 수생식물에 의한 수질 정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수상생태공원은 고정용 부력체에 식물을 식재하고, 부력체 하부에 미생물접촉재 등을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부력체는 오일이나 약품통을 다 사용하고 버리는 속이 빈 드럼통이나 나무, 발포폴리스티렌 등으로 제작된 부양물체를 서로 연결하여 물위에 띄워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부력체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부양물체의 일체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부력체 가설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부식 또는 파손됨으로 인하여 교체해야 하거나 유지보수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부력체를 제작하는 시도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제작된 부력체는 경도가 좋고 강도가 우수하여 부력체의 부식 및 외부충격으로부터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부력체는 측면 모서리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부력체를 끈으로 결합하거나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서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사출성형으로 제작되어 부력체의 형상이 복잡하거나 굴곡이 많으면 가공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 부력체는 각각의 부력체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부력체에 체결구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필요하여 설비투자비가 많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각각의 부력체를 끈으로 조이는 경우 사람이 직접 조립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시공작업이 복잡하고, 부력체의 고정 및 일체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주기적인 점검 등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력이 소요된다.
또 이웃하는 각각의 부력체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는 경우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부력체와 체결구가 견고하게 접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끈으로 조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람이 직접 조립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부력체는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추가적인 인력이 소요되므로 가공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력체의 측면에 조립홈을 형성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부력체의 조립홈을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부력체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로 교차하면서 끝부분이 결합되도록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이 가능한 부력체 조립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부력체 조립구조는 측면에 둘레를 따라 조립홈이 형성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서로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부력체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이상의 부력체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부력체의 양쪽 조립홈에 각각 조립되는 막대형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른 연결부재와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는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홈(12)이 형성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서로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부력체(10)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부력체(10)의 양쪽 조립홈(12)에 각각 조립되는 복수의 연결부재(20)와, 상기 부력체(10)에 형성된 조립구멍(14)을 관통하여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부가적으로 연결부재(20)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핀(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체(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4~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 양한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부력체(10)의 각이진 구석부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하거나 모따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력체(10)는 측면에 둘레를 따라 조립홈(12)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부력체(10)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부력체(10)를 형성하는 합성수지는 항상 수면에 노출되므로 내식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벼우면서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한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부력체(10)는 하천 및 호수 등 수중의 환경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광에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내후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부력체(10)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 상기 부력체(10)의 재질로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나 섬유강화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력체(10)를 형성하는 합성수지는 내부가 빈 고밀도 합성수지나 기공이 많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력체(10)는 물살에 쉽게 휩쓸려 가지 않도록 대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체(10)의 모서리부분에 조립홈(12)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립구멍(14)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구멍(1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서리 끝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모서리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립구멍(14)은 상기 부력체(10)의 상면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구멍(14)이 하면쪽에 형성되는 경우 수면위에 서로 연결되어 띄어져 있는 부력체(10)가 물살에 의해서 상하로 흔들리게 됨에 따라 조립구멍(14)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핀(30)이 이탈될 우려가 있다.
상기 조립구멍(14)은 상기 부력체(10)의 상면쪽에서 조립홈(12)이 형성되는 부분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 조립구멍(1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구석부(코너부)에 하나 또는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조립구멍(14)은 부력체(10)의 형상에 따라 모서리 각각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삼각형인 경우에는 3개의 모서리에, 사각형인 경우에는 4개의 모서리에, 오각형인 경우에는 5개의 모서리에, 육각형인 경우에는 6개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이상의 부력체(10)가 서로 만나 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 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연결부재(20)를 목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자연친화적인 소재로 환경오염과 생태복원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상기 연결부재(20)는 가벼우면서 수중의 환경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고 수면에 노출되므로 내식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재질의 목재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0)를 형성하는 합성수지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이 이용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2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부력체(10)의 조립홈(12)의 형상에 따라 단면형상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 또는 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부력체(10)를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그 자체로서 다양한 부력체 조립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연결핀(30)을 꽂아 더욱 견고한 조립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부력체(10)를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그 자체로서 다양한 부력체 조립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연결핀(30)을 꽂아 더욱 견고한 조립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핀(30)은 상기 부력체(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조립홈(12)에 연결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부력체(10)에 형성된 조립구멍을 관통하여 연결부재(20)에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핀(30)은 일반적으로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의 못, 작은나사, 박음쇠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조립구멍(14)을 관통하여 연결부재(20)까지 삽입 고 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동으로 못 또는 박음쇠를 박는 장치(예를들면 타카)를 이용하여 삽입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연결핀(30)을 연결부재(20)의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관통하여 형성하지 않고 대략 ½정도의 깊이까지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핀(30)이 연결부재(20)의 ½이하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부력체(10)와 연결부재(20)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아 수면에서 유동이 심하게 일어날 경우 부력체(10)가 이탈될 우려가 있고, 상기 연결핀(30)이 연결부재(20)의 ½이상으로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재(20)가 갈라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 조립구멍(14)을 관통하여 연결부재(20)까지 전동드릴 등을 이용하여 연결부재(20)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핀(30)을 삽입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연결핀(3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분할홈(32a)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철(32b)이 형성되는 관형상의 고정구(32)와, 상기 고정구(32)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구(32)의 분할되는 부분을 바깥쪽으로 확관시키는 핀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32)는 내부가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0)에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32)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구(32)의 내부에 핀부재(34)를 삽입한다.
상기 고정구(32)의 내부에 핀부재(34)를 삽입하게 되면 고정구(32)의 분할되 는 부분이 연결부재(20) 내부로 확관됨에 따라 상기 부력체(10)와 연결부재(2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수면 위에서 유동이 심하게 일어나는 경우라도 부력체(10)의 유실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2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의 조립홈(12)에 삽입되는 측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26)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10)의 조립홈(12)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의 고정홈(16)이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돌기(26)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조립홈의 측면에 모두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26)은 부력체(10)의 형상에 따라 각면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삼각형인 경우에는 3개의 측면에, 사각형인 경우에는 4개의 측면에, 오각형인 경우에는 5개의 측면에, 육각형인 경우에는 6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의 양쪽 측면에 복수의 고정돌기(2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이웃하여 위치하는 부력체(10)의 조립홈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돌기(26)와 고정홈(16)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10)와 연결부재(20)의 조립과정에서 서로를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상기 부력체(10)와 연결부재(20)가 어긋나거나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지만 본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10)와 연결부재(20)가 서로 결합되어 시공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3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른 연결부재(20)와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나의 연결부재(20)에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연결부재(20)와 끝부분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다른 연결부재(20)에는 상기 결합돌기(27)가 삽입되는 결합홈(2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끝부분이 교차하는 연결부재(20)가 서로 결합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20)의 결합구조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제4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는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가 복수의 부력체(10)가 연이어서 조립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나머지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는 하나의 부력체(10)와 조립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어느 한 방향으로 연결부재(20)를 길게 형성하게 되면 하나의 연결부재(20)에 복수의 부력체(10)가 조립되게 되므로 상기 연결부재(20)와 부력체(10)가 일체화되어 효과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부력체(10) 연결구조가 견고해지는 것이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나의 부력체(10)에 형성된 조립홈(1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부재(20) 를 삽입하고 상기 부력체(10)의 다른 조립홈(12)에는 상기 연결부재(20)와 교차하면서 끝부분이 결합되도록 다른 연결부재(20)를 삽입하고 상기 부력체(10)에 삽입된 연결부재(20)에 각각 다른 부력체(10)의 조립홈(12)을 삽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부력체(10)가 일체화되도록 시공한다.
상기 부력체(10)의 조립홈(12)에 연결부재(20)를 삽입하여 전체 부력체(10)를 조립한 상태에서 조립구멍(14)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20)의 일정깊이까지 관통하는 연결핀(3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에 의하면, 부력체의 측면에 조립홈을 형성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부력체의 조립홈을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에 의하면, 연결부재의 측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부력체의 조립홈에는 복수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도가 향상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 조립구조에 의하면, 서로 교차하면서 끝부분이 결 합되도록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연결부재에 복수의 부력체가 연이어서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연결부재와 부력체가 일체화되어 부력체 연결구조가 견고해지고 시공이 용이하다.
나아가, 부력체와 연결부재가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것이 가능하고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므로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되고, 자동생산이 가능하므로 생산에 필요한 인력을 절감시켜 인력난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 측면에 둘레를 따라 조립홈이 형성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서로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부력체와,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이상의 부력체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부력체의 양쪽 조립홈에 각각 조립되는 막대형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체 조립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부력체의 모서리 부분에 조립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립구멍과,상기 조립구멍을 관통하여 연결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핀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 조립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부력체는 평면에서 보아서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조립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측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의 조립홈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부력체 조립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른 연결부재와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조립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하나의 연결부재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연결부재와 끝부분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다른 연결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부력체 조립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 폼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조립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는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가 복수의 부력체가 연이어서 조립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나머지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는 하나의 부력체와 조립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부력체 조립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연결핀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분할홈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관형상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구의 분할되는 부분을 바깥쪽으로 확관시키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력체 조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0186U KR200438089Y1 (ko) | 2007-06-21 | 2007-06-21 | 부력체 조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0186U KR200438089Y1 (ko) | 2007-06-21 | 2007-06-21 | 부력체 조립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8089Y1 true KR200438089Y1 (ko) | 2008-01-21 |
Family
ID=4134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0186U KR200438089Y1 (ko) | 2007-06-21 | 2007-06-21 | 부력체 조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8089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4316B1 (ko) * | 2012-05-04 | 2014-09-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슬로싱 방지 장치 |
KR20170016236A (ko) | 2015-08-03 | 2017-02-13 | (주)아이시스이엔씨 | 원통형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식 태양발전 모듈 |
KR20170138311A (ko) | 2016-06-07 | 2017-12-15 | 주형중 | 태양전지판용 부력체 모듈 |
CN109774878A (zh) * | 2019-03-15 | 2019-05-21 | 国家电网有限公司 | 一种组合式水上工作平台 |
SE2050250A1 (en) * | 2020-03-05 | 2021-09-06 | Nimolin Ab | Pontoon unit and an arrangment for a pontoon |
-
2007
- 2007-06-21 KR KR2020070010186U patent/KR20043808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4316B1 (ko) * | 2012-05-04 | 2014-09-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슬로싱 방지 장치 |
KR20170016236A (ko) | 2015-08-03 | 2017-02-13 | (주)아이시스이엔씨 | 원통형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식 태양발전 모듈 |
KR20170138311A (ko) | 2016-06-07 | 2017-12-15 | 주형중 | 태양전지판용 부력체 모듈 |
CN109774878A (zh) * | 2019-03-15 | 2019-05-21 | 国家电网有限公司 | 一种组合式水上工作平台 |
CN109774878B (zh) * | 2019-03-15 | 2024-06-04 | 国家电网有限公司 | 一种组合式水上工作平台 |
SE2050250A1 (en) * | 2020-03-05 | 2021-09-06 | Nimolin Ab | Pontoon unit and an arrangment for a pontoon |
SE544507C2 (en) * | 2020-03-05 | 2022-06-28 | Nimolin Ab | Pontoon unit and an arrangment for a ponto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8089Y1 (ko) | 부력체 조립구조 | |
KR100731213B1 (ko) | 인공 생태 수초섬 | |
US8033250B2 (en) | Marine habitat systems | |
KR100977138B1 (ko) | 인공섬유니트 | |
KR100582210B1 (ko) |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 |
KR20000065897A (ko) | 식생섬 | |
KR100834091B1 (ko) | 펜스형 조립식 생태 수초섬 | |
KR20120007987U (ko) | 양식장용 플로트 | |
KR20060101000A (ko) | 그물망을 이용한 인공 수초섬 | |
KR200418963Y1 (ko) | 습지생물용 식생대 구조물 | |
KR200358671Y1 (ko) | 내구성이 향상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 |
KR200443092Y1 (ko) | 부력파이프를 이용한 침하식 가두리 양식장 | |
KR101025104B1 (ko) |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 |
KR100874467B1 (ko) | 인공어초 | |
KR200266121Y1 (ko) | 전복 양식용 쉘터 | |
KR100352341B1 (ko) | 조립식 인공어초 | |
KR100740419B1 (ko) | 친환경 소재로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 |
KR200194974Y1 (ko) | 양식장용 부자 | |
KR200403600Y1 (ko) |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 |
KR200269863Y1 (ko) |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 |
KR100656794B1 (ko) | 그물망을 이용한 인공 수초섬 | |
KR20160003102U (ko) | 전복 서식용 하우스 | |
KR100516981B1 (ko) | 사각전주어초 | |
KR200227247Y1 (ko) |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 |
KR800001238B1 (ko) | 수중 양어(養魚)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