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35B1 -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35B1
KR101849935B1 KR1020180023582A KR20180023582A KR101849935B1 KR 101849935 B1 KR101849935 B1 KR 101849935B1 KR 1020180023582 A KR1020180023582 A KR 1020180023582A KR 20180023582 A KR20180023582 A KR 20180023582A KR 101849935 B1 KR101849935 B1 KR 101849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ody
height
hole
support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혁신
Priority to KR102018002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5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판(10); 상기 태양전지판(1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20); 상기 거치대(20)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과 거치대(20)를 지지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 거치대(20) 및 지지부(30)가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00);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A floating structure for solar energy generating facility}
본 발명은, 바다, 강, 호수 위나 수역 내에 조립 설치되고, 부유구조물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이 설치되어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 연료에 대한 무분별한 사용으로 환경파괴와 자원고갈이 우려되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절약과 함께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다. 환경친화적인 에너지 중 많이 활용되는 것이 영구적인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인데,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국가 신재생에너지 국책 사업으로 정부의 지원 아래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인류 미래를 위한 아주 중요한 사업으로서 추진 중에 있다.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꾼다.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 하고, 다수 개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태양전지 모듈이라 하는데,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태양전지 모듈의 집합체이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넓은 면적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영구적인 태양을 이용한다는 점,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각광 받고 있는 발전시스템이긴 하나,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을 확보하여야 하는데, 부지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넓은 땅에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해당 토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없어 경제성 측면에서 불이익이 크며, 육상에 설치하게 되면 여름철의 경우 지열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들이 가열되어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 토지를 훼손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자연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건축물의 외벽이나 지붕위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전력을 생산하기도 하나, 생산되는 전기의 양이 적어 가정용 전기에 충족할 수 밖에 없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0001에는,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수면 위에 구조물을 부유시키기 위한 복수의 공기탱크의 상부에 상판이 설치되어 한 라인을 이루고, 외곽 라인 및 중간을 가로질러 외곽라인과 연결되는 중간 라인을 포함하는 격자형 구조로 부유 구조체를 구성하는 1층 구조체와; 상기 1층 구조체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복수의 기둥부재를 설치하고, 그 기둥부재의 상부 전체를 덮는 2층 상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2층 구조체와; 상기 2층 구조체의 상면에 배열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모듈과; 해저에 고정설치되고 수면의 상부로 돌출 설치되어 상기 1층 구조체 및 2층 구조체를 수면위에 부유시킨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타워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육상으로 송전시키기 위한 콘트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도 18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 0001은 1층구조체 및 2층구조체를 수면위에 부유시킨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타워를 해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복수개의 타워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이 매우 어렵고 시공기간 및 설치비용이 크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75161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태양전지판을 수상에 설치하고, 수상에서 발전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발전을 위한 부유구조물에 있어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판(10); 상기 태양전지판(1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20); 상기 거치대(20)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과 거치대(20)를 지지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 거치대(20) 및 지지부(30)가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체(100)에는, 상기 부력체(100) 높이의 절반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구획벽(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력체(100)에는, 상기 구획벽(120)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부력체(100)를 관통하는 관통홀(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은,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을 기준으로, 1/2 높이보다 위쪽에 형성되거나, 1/2 높이보다 아래쪽에 형성되거나, 1/2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이,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을 기준으로, 1/2 높이의 위쪽과 아래쪽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은,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을 기준으로 1/2 높이보다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100)의 전면부(164)에 형성되되, 부력체(100) 전체 높이의 1/2 높이 아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수공(141)이 구비되며, 상기 통수공(141)이 형성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부력체(100) 내부에는 가로격벽(13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력체(100)의 내부에는, 부력체(100)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세로격벽(131)이 형성된다.
상기 부력체(100)는, 상부판(161), 하부판(162), 측면부(163), 전면부(164), 후면부(16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61)에는 돌출부(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163), 전면부(164), 후면부(165)는 요철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30)는, 경사지지대(31), 수직지지대(32), 제1수평지지대(33), 제2수평지지대(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지지대(33) 위에는 하나 이상의 발판(4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수평지지대(33)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제1연결홀(5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지지대(34)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제2연결홀(60)이 형성된다.
상기 통수공(141)을 막을 수 있는 마개(14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육상에 설치하기 위해 산지를 깎고 기존 지형을 변형하지 않고, 수면위에 태양전지판을 띄우면 되므로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거의 없다.
둘째, 본 발명의 부력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수류가 형성되고, 물이 통과하게 되므로, 부력체가 인공어초 기능을 하게 되어 어류를 비롯한 수생동식물들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어 환경에 순기능을 제공한다.
셋째, 간단한 구조체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면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완성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넷째, 본 발명의 부력체는 물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있어, 바람, 풍랑, 파도, 폭풍우에도 출렁거림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부유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유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유구조물을 측면에서 3차원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유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부력체의 전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6은 부력체의 측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7은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부력체의 전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9는 부력체의 측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10은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부력체의 전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12는 부력체의 측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13은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부력체의 전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15는 부력체의 측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16은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부력체의 측면부에서 본 모습이다.
도 18은 종래기술의 전체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1)은, 도 1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다, 강, 호수 위나 수역 내에 조립 설치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판(10), 상기 태양전지판(1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20), 상기 거치대(20)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과 거치대(20)를 지지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 거치대(20) 및 지지부(30)를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의 상부에 거치대(20)가 결합되어 있고, 태양전지판(10)은 거치대(20)의 상부를 따라 하나 이상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눕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판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나, 경우에 따라 수평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태양전지판(10)은 지지부(30)와 거치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데, 태양전지판(10)은 다수개의 태양전지셀이 조립된 모듈상태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지지부(30)의 상부에 구비된 거치대(20) 위에 볼트나 너트 등으로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통상의 축전지 및 레귤레이터 등의 전원공급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회로 연결되어 있어 태양전지판(1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다른 시설물이나 장치 등에 전력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축전지 및 레귤레이터 등 전원공급수단(도시하지 않음)은 부유구조물(1)의 발판(40)이나 지지부(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축전지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육지에 설치되는 발전소 등으로 연결되어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태양전지판(10)과 거치대(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경사지지대(31), 수직지지대(32), 제1수평지지대(33), 제2수평지지대(34)를 포함한다.
경사지지대(31), 수직지지대(32), 제1수평지지대(33), 제2수평지지대(34)는 POSCO에서 개발한 포스맥(상표명 PosMAC)이라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강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지지대들의 재질은 포스맥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형강, 합성수지, FRP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경사지지대(31), 수직지지대(32), 제1수평지지대(33), 제2수평지지대(34)들 간의 결합은 볼트,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경사지지대(31), 수직지지대(32), 제1수평지지대(33), 제2수평지지대(34)를 금속으로 만든 경우, 용접에 의한 접합도 가능하다.
또한 부유구조물의 위에서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과 설비 수납공간을 만들기 위해 상기 제1수평지지대(33) 위에는 하나 이상의 발판(40)이 설치된다. 작업자는 발판을 통해 이동하거나 발판 위에서 작업하게 된다.
부유구조물(1)과 인접한 다른 부유구조물을 연결할 때 연결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1수평지지대(33)의 일단 또는 양단에 제1연결홀(50)을 형성하고, 제2수평지지대(34)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제2연결홀(60)을 형성한다.
부유구조물(1)과 인접한 다른 부유구조물을 연결하고자 할 때, 하나의 부유구조물의 제1수평지지대(33)의 일단에 형성된 제1연결홀(50)에다, 다른 하나의 부유구조물의 제1수평지지대(33)의 타단에 형성된 제1연결홀(50)을 맞춘 후, 핀으로 연결하게 된다.
제2수평지지대(34)에 형성된 제2연결홀(60)들간의 연결 역시 같은 방식으로 하면 된다.
부력체(100)는 지지부(30)의 아래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수평지지대(33)의 아래에 볼트(182), 너트(181)에 의해 결합된다.
부력체(100)의 상부판(161) 네 모서리에는 볼트구멍이 뚫려져 있는 체결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부력체(100)는 이 체결부(150)를 통해 볼트, 너트에 의해 제1수평지지대(33)에 결합된다.
태양전지판(10)과 지지부(30)를 수상에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체(100)는, 상부판(161), 하부판(162), 측면부(163), 전면부(164), 후면부(165)를 포함한다.
부력체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이나 FRP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상부판(161)의 위로는 돌출부(170)가 형성되어 있어, 부력체의 강성을 높여줄 수 있고, 제1수평지지대(33)의 아래에 부력체를 결합시킬 때, 상부판(161)의 위로 형성된 돌출부(170)가 2개의 제1수평지지대(33)의 사이 위로 끼게 되므로 제1수평지지대(33)와 부력체(100)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부력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측면부(163), 전면부(164), 후면부(165)는 요철형태로 형성한다.
도 1 내지 17에서 보는 것과 같이, 부력체(100)에는 구획벽(120)이 형성되어 있고, 구획벽(120)들의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에 의해 부력체를 관통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관통홀은 관통홀 내부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여 부유구조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구획벽과 관통홀의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 실시예를 통해 구체화된다.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의 위치는,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 높이를 기준으로 정하게 되는데, 첫 번째 실시예로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 높이보다 아래의 위치에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이 형성된다.
부력체(100) 전체 높이의 1/2 높이보다 아래의 위치에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이 형성되면, 관통홀(110)이 수위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관통홀 속으로 물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바람, 풍랑, 파도, 폭풍우에도 부력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부유구조물 전체의 유동이 적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물속에 잠긴 관통홀에 의해 물속에 작은 동굴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로 수면 가까이에서 서식하는 작은 물고기나 치어들에게 숨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물고기 이외의 전반적인 수생 동식물에게 좋은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력체가 물에 잠기는 정도는 부력체의 크기와 무게, 부력체의 위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구조물(태양전지판, 거치대, 지지부)의 무게, 부유구조물이 설치되는 장소(물의 비중)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렇게 부력체의 흘수를 고려하여 부력체의 흘수선에 맞도록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의 높낮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의 위치를, 부력체 전체높이의 1/2 높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부력체 전체 높이의 1/2 높이보다 위쪽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의 높낮이 위치는 부력체의 크기와 무게, 부력체의 위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구조물(태양전지판, 거치대, 지지부)의 무게, 부유구조물이 설치되는 장소(물의 비중)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이때 관통홀이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고, 부력체의 흘수선이 관통홀에 걸치도록 하거나, 부력체의 흘수선이 관통홀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을 두군데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도 13 내지 15 참조), 부력체(100) 전체 높이의 1/2을 기준으로, 1/2 높이의 아래쪽과 위쪽 모두에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아래쪽 관통홀은 물에 잠기게 되고, 위쪽 관통홀을 부력체의 흘수선보다 위쪽이거나 흘수선과 겹치게 될 것이다.
한편,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의 부력체 내부에는 부력체(100)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세로격벽(131)이 형성된다.
불의의 사고로 인해 부력체가 손상될 경우, 부력체의 내부공간이 하나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부력체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나, 부력체의 내부공간이 하나 이상의 세로격벽에 의해 복수개의 격실(133)로 나누어져 있을 경우에는, 부력체의 일부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격실들에 의해 부력체의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은,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을 기준으로 1/2 높이보다 위쪽에 형성하고, 부력체(100) 전체 높이의 1/2 높이 아래에는 하나 이상의 통수공(141)을 형성하며(도 16 참조), 통수공(141)이 형성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부력체(100) 내부에는 가로격벽(132)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통수공(141)을 통해 가로격벽(132)에 의해 형성되는 부력체의 내부 공간으로 물이 침투하게 되어 부력체의 하부 공간에는 물이 차 있는 형태가 된다. 이 경우 부력체의 아래에 물이 가득차 있으므로 부력체가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부력체 상부 구조의 하중, 부력체 제원 등에 따라 부력체의 흘수선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나 부력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통수공(141)을 막을 수 있는 마개(142)를 별도로 구비하여 가로격벽(132) 아래에 형성된 부력체의 내부 공간으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부유구조물 10. 태양전지판
20. 거치대 30. 지지부
31. 경사지지대 32. 수직지지대
33. 제1수평지지대 34. 제2수평지지대
40. 발판 50. 제1연결홀
60. 제2연결홀 100. 부력체
110. 관통홀 120. 구획벽
131. 세로격벽 132. 가로격벽
133. 격실 141. 통수공
142. 마개 150. 체결부
161. 상부판 162. 하부판
163. 측면부 164. 전면부
165. 후면부 170. 돌출부
181. 너트 182. 볼트

Claims (10)

  1. 삭제
  2. 태양광발전을 위한 부유구조물에 있어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판(10);
    상기 태양전지판(1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20);
    상기 거치대(20)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과 거치대(20)를 지지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아래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0), 거치대(20) 및 지지부(30)가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체(100)에는, 상기 부력체(100) 높이의 절반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구획벽(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력체(100)에는, 상기 구획벽(120)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부력체(100)를 관통하는 관통홀(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은,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을 기준으로, 1/2 높이보다 위쪽에 형성되거나, 1/2 높이보다 아래쪽에 형성되거나, 1/2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이,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을 기준으로, 1/2 높이의 위쪽과 아래쪽 모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10)과 구획벽(120)은, 부력체(100)의 전체 높이의 1/2을 기준으로 1/2 높이보다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100)의 전면부(164)에 형성되되, 부력체(100) 전체 높이의 1/2 높이 아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수공(141)이 구비되며,
    상기 통수공(141)이 형성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부력체(100) 내부에는 가로격벽(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0)의 내부에는, 부력체(100)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세로격벽(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0)는, 상부판(161), 하부판(162), 측면부(163), 전면부(164), 후면부(16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61)에는 돌출부(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163), 전면부(164), 후면부(165)는 요철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는, 경사지지대(31), 수직지지대(32), 제1수평지지대(33), 제2수평지지대(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지지대(33) 위에는 하나 이상의 발판(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지지대(33)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제1연결홀(5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지지대(34)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제2연결홀(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공(141)을 막을 수 있는 마개(1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20180023582A 2018-02-27 2018-02-27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1849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582A KR101849935B1 (ko) 2018-02-27 2018-02-27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582A KR101849935B1 (ko) 2018-02-27 2018-02-27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935B1 true KR101849935B1 (ko) 2018-04-18

Family

ID=6208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582A KR101849935B1 (ko) 2018-02-27 2018-02-27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3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9683A (zh) * 2019-06-25 2019-09-17 合肥浔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主浮体及水上光伏电站
CN110239682A (zh) * 2019-06-25 2019-09-17 合肥浔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浮体、光伏板支撑机构和水上漂浮式光伏电站
WO2020204301A1 (ko) * 2019-04-02 2020-10-08 솔라테라스 주식회사 일체형 해양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299282B1 (ko) * 2020-05-06 2021-09-07 (주) 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2299283B1 (ko) * 2020-05-06 2021-09-07 (주) 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2299281B1 (ko) * 2020-05-06 2021-09-07 (주) 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2314189B1 (ko) * 2021-06-17 2021-10-19 주식회사 신화철강 포스맥 강판을 이용한 부식 방지 수상 태양광 상부 구조물
KR102319793B1 (ko) * 2020-05-06 2021-11-01 (주) 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20210151422A (ko) * 2020-06-05 2021-12-1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해상 태양광 모듈 설치용 단위 부력체 및 이를 적용한 수해상 태양광 시스템의 부력구조
KR20220017668A (ko) 2020-08-05 2022-02-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양력 저감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017Y1 (ko) 2001-09-19 2001-12-31 최정곤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017Y1 (ko) 2001-09-19 2001-12-31 최정곤 가두리 양식장용 사각 파이프의 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01A1 (ko) * 2019-04-02 2020-10-08 솔라테라스 주식회사 일체형 해양 태양광 발전 장치
CN110239683A (zh) * 2019-06-25 2019-09-17 合肥浔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主浮体及水上光伏电站
CN110239682A (zh) * 2019-06-25 2019-09-17 合肥浔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浮体、光伏板支撑机构和水上漂浮式光伏电站
KR102299282B1 (ko) * 2020-05-06 2021-09-07 (주) 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2299283B1 (ko) * 2020-05-06 2021-09-07 (주) 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2299281B1 (ko) * 2020-05-06 2021-09-07 (주) 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2319793B1 (ko) * 2020-05-06 2021-11-01 (주) 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20210151422A (ko) * 2020-06-05 2021-12-1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해상 태양광 모듈 설치용 단위 부력체 및 이를 적용한 수해상 태양광 시스템의 부력구조
KR102364660B1 (ko) * 2020-06-05 2022-02-1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해상 태양광 모듈 설치용 단위 부력체 및 이를 적용한 수해상 태양광 시스템의 부력구조
KR20220017668A (ko) 2020-08-05 2022-02-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양력 저감구조
KR102314189B1 (ko) * 2021-06-17 2021-10-19 주식회사 신화철강 포스맥 강판을 이용한 부식 방지 수상 태양광 상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935B1 (ko)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2411835B1 (ko) 태양광 발전소
KR101377616B1 (ko) 태양광발전용 부유해상구조물
CN103523183B (zh) 可移动半潜浮式多功能海上能源供应平台
KR101543727B1 (ko) 수상에서의 균형 유지 가능한 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82856B1 (ko) 플렉서블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970640B1 (ko) 수중 부력을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JP3193799U (ja) フレキシブル太陽光発電シートによる水上ソーラー発電機構造
WO2017118998A1 (en) Floating solar platform
CN104183659A (zh) 太阳能电池组件结构体
KR20130071831A (ko) 태양광 발전을 위한 수면 부상 플랫폼
KR101849936B1 (ko) 태양광발전용 부유구조물
KR20100030009A (ko) 수면위에 뜨는 태양전지부력체
US20230139270A1 (en) Eco-friendly marine-farm type anchor module and floating photovoltaic installation structrue using thereof, floating wind power system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reof, and floating breakwater installation structrue using thereof
KR20130027837A (ko) 조립식구조의 다목적 부유식(浮游式) 소파제(消波提)
CN214591241U (zh) 一种基于风、光、渔互补的海洋资源立体开发结构
Ravichandran et al. Review on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floating photovoltaic covering systems
KR200481086Y1 (ko)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KR102248933B1 (ko) 수상 태양광패널 설치용 부력체
KR102589567B1 (ko) 양식어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KR20230135366A (ko) 생태친화 바다목장형 계류 앵커 모듈이 적용된 수상 태양광 패널 설치 구조물
EA036603B1 (ru) Солнеч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