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698Y1 - 김 양식용 부자 - Google Patents

김 양식용 부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698Y1
KR200402698Y1 KR20-2005-0021226U KR20050021226U KR200402698Y1 KR 200402698 Y1 KR200402698 Y1 KR 200402698Y1 KR 20050021226 U KR20050021226 U KR 20050021226U KR 200402698 Y1 KR200402698 Y1 KR 200402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rich
groove
protrusion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범식
Original Assignee
황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범식 filed Critical 황범식
Priority to KR20-2005-0021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 양식용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와, 상기 돌기들을 연결하고 그 상면에는 요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그리고 상기 요홈에는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이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해수면에 부류하는 불순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김 양식장에서 김을 양식하는 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질의 김을 생산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김 양식용 부자{FLOATING PAIL FOR THE LAVEL CULTIVATION}
본 고안은 김 양식용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면에 부류하는 불순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김은 소화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김의 올리고당은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리 국민에게는 중요하게 인식되는 식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김의 양식의 과정은, 성숙한 김엽체(葉體)에서 나온 과포자(carpo-spore)를 채취하여 지상의 배양 수조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수온과 조도를 조절해 가면서 배양을 한다. 그리고, 굴이나 조가비 등의 패각에 이식하여 패각의 진주층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으로 파고든 사상체(絲狀體)의 번식 및 포자낭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포자낭에 들어 있는 과포자가 패각으로부터 방출되어 그물(해태발)이나 지주봉에 부착시켜 부자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해태발이나 부자에 구비된 지주봉에서 김 엽체의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해태발이나 부자를 일주에 수차례 뒤집어서 해수면 상부로 2∼3시간 정도 노출시켜 준다. 그런데, 해태발이나 부자를 뒤집는 작업이 수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해태발이나 부자를 뒤집는 작업시 스트로폼 부스러기가 발생되어 김 포자에 혼입되는 불량 김이 양식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김의 대량 양식으로 인해서 갯병이 발생되거나 녹조 현상으로 인해서 무기산 등의 산처리제를 바다에 투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없으며, 또한 수온이 상승하고 저염도 및 태풍과 같은 기상 이변시에 아무런 대책 수단이 없기 때문에 김 양식장이 파괴되어 양식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김 포자가 양식되는 부자의 뒤집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부자의 뒤집기 작업시 부유물(스트로폼 부스러기)이 발생되지 않는 김 양식용 부자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김 양식용 부자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기; 상기 돌기들을 연결하고 그 상면에는 요홈이 형성된 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요홈에는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이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위치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부자 연결줄로 각각의 몸체가 연결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자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도시된 도 1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 양식용 부자(10)는 몸체(11)와 돌기(12a,12b), 그리고 지지부재(13)로 크게 구성된다.상기 몸체(11)는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기 몸체가 파손되지 않도록 내부는 밀폐되고, 외형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면과 하면은 각각 평면을 갖고 모서리부분은 라운드 형상으로 구성된다.또한, 상기 몸체(11)의 상면에는 돌기(12a,12b)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12a,12b)는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2개의 돌기(12a,12b)로 구성되고,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두꺼운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상기 지지부재(13)는 한 쌍의 상기 돌기(12a,12b)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돌기(12a,12b)의 상측을 서로 연결시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3)는 단면은 원형, 사각,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3)는 상기 돌기(12a,12b)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지지부재(13)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12a,12b)와 유사한 두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12a,12b)와 상기 지지부재(13), 그리고 상기 몸체(11)는 일체로 형성된다.상기 지지부재(13)의 상면에는 요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14)은 반원 또는 호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요홈(14)에는 연결봉(미도시)이 위치된다.상기 연결봉은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3)에 상기 연결봉을 끈으로 묶어서 고정시키는 것이다.한편, 상기 몸체(11)의 저면에는 홈부(15)가 더 구비된다. 상기 홈부(15)는 몸체의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3)의 방향과 90°엇갈린 방향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11)를 평면이나 저면에서 봤을 때, 지지부재(13)는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15)는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또한, 상기 홈부(15)에는 체결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6)는 홈부(15)의 중심부에 하나로 형성되거나,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체결부(16)는 돌출부(1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7)에는 각각의 부자(10)를 연결시키는 연결줄이 묶여지는 부분이다.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자(10)는 해수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해수면에 존재하는 각종 불순물이 부자(10)에 붙지 않는다. 또한, 부자(10)가 단일체로 구성되어 부자(10)를 뒤집어서 하루에 한번씩 2∼3시간 정도 수면위로 노출시킬 때 외풍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부자(10)를 수면 아래로 수침시킬 때는 양질성의 김 포자가 성장되는 간조대(부자의 유효수위 약 15∼20cm)를 자동적으로 물속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녹조가 생기지 않고 우량의 김을 생산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자(10)를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작하여 뒤집는 작업시 파열되거나 부스러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스티로폼 부자는 뒤집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스러기로 인해 그 수명이 1년정도 이지만,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자(10)는 약 3∼4년의 수명을 갖는다.그러므로, 김 양식장에서 김을 양식하는 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양질의 김을 생산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자는 해수면에 부류하는 불순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김 양식장에서 김을 양식하는 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질의 김을 생산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자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자의 측면도이다.
삭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자 11 :몸체
12a,12b : 돌기 13 : 지지부재
14 : 요홈 15 : 홈부16 : 체결부 17 : 돌출부

Claims (2)

  1.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
    상기 돌기들을 연결하고, 그 상면에는 요홈이 형성된 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요홈에는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위치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연결줄로 각각의 몸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김 양식용 부자.
KR20-2005-0021226U 2005-07-21 2005-07-21 김 양식용 부자 KR200402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226U KR200402698Y1 (ko) 2005-07-21 2005-07-21 김 양식용 부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226U KR200402698Y1 (ko) 2005-07-21 2005-07-21 김 양식용 부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121A Division KR100691649B1 (ko) 2005-07-25 2005-07-25 김 양식용 부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698Y1 true KR200402698Y1 (ko) 2005-12-06

Family

ID=4370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226U KR200402698Y1 (ko) 2005-07-21 2005-07-21 김 양식용 부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69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870B1 (ko) 2017-11-09 2018-07-25 (주) 태광 김양식용 부구
KR20190113315A (ko) 2018-03-28 2019-10-08 유옥수 다공과 살빼기형 양식용 코팅 부자
KR20190113312A (ko) 2018-03-28 2019-10-08 유옥수 다공과 살빼기형 양식용 코팅 부자
KR20190126485A (ko) 2018-05-02 2019-11-12 주영테크 주식회사 발포성형 부표의 코팅을 위한 양식용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2230914B1 (ko) 2020-08-13 2021-03-24 정용현 발포성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부구와 그 제조방법
KR20220079151A (ko) 2020-12-04 2022-06-13 김홍진 레일형 미역양식부자 자동추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870B1 (ko) 2017-11-09 2018-07-25 (주) 태광 김양식용 부구
KR20190113315A (ko) 2018-03-28 2019-10-08 유옥수 다공과 살빼기형 양식용 코팅 부자
KR20190113312A (ko) 2018-03-28 2019-10-08 유옥수 다공과 살빼기형 양식용 코팅 부자
KR20190126485A (ko) 2018-05-02 2019-11-12 주영테크 주식회사 발포성형 부표의 코팅을 위한 양식용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2230914B1 (ko) 2020-08-13 2021-03-24 정용현 발포성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부구와 그 제조방법
KR20220079151A (ko) 2020-12-04 2022-06-13 김홍진 레일형 미역양식부자 자동추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2698Y1 (ko) 김 양식용 부자
CN107055792A (zh) 生态浮床及利用浮床恢复富营养化水库水生态系统的方法
CN102860272B (zh) 敞开式网箱鲍鱼养殖方法及装置
CN106719220A (zh) 一种具有消浪功能的海洋牧场的建设方法
KR101395758B1 (ko) 해삼용 인공어초
CN102687662A (zh) 一种水上植物栽培筏及其制造方法
CN101933467A (zh) 仿刺参养殖池塘底栖大型藻类过度繁殖控制技术
CN206635119U (zh) 生态浮床
CN211470937U (zh) 一种生态净水杀菌型人工生态浮岛系统
CN209693690U (zh) 一种用于生态浮岛的植物种植模块
CN208338653U (zh) 一种多功能人工鱼巢
KR100691649B1 (ko) 김 양식용 부자
CN203708986U (zh) 池塘多功能浮萍培育网箱
CN203613030U (zh) 用于消落带生态护岸的湿式生态浮床单元体
CN216513333U (zh) 一种立体组合式生态浮岛结构
CN206423363U (zh) 一种螺旋上升流式人工鱼礁
KR200436808Y1 (ko) 김 양식용 부구
CN208609591U (zh) 一种用于鱼塘净化的水生植物种植浮板
KR200392572Y1 (ko) 해중림용 밴드어초
CN207767272U (zh) 便于采收的鱼虾养殖器
CN103798119A (zh) 池塘多功能浮萍培育网箱
CN207040455U (zh) 一种池塘悬浮式水草种植器
KR100385477B1 (ko) 패각을 이용한 인공어초
CN206433586U (zh) 一种高密度养殖拟穴青蟹的装置
CN111109015A (zh) 一种可升降式沉水植物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