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248B1 - 해상 구조물용 부기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용 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248B1
KR100977248B1 KR1020070101342A KR20070101342A KR100977248B1 KR 100977248 B1 KR100977248 B1 KR 100977248B1 KR 1020070101342 A KR1020070101342 A KR 1020070101342A KR 20070101342 A KR20070101342 A KR 20070101342A KR 100977248 B1 KR100977248 B1 KR 100977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okkeeping
fusion
integrally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270A (ko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어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어라인 filed Critical (주)아이디어라인
Priority to KR102007010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2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서 작업하거나 각 구조물에 사용되는 어소 또는 어초 및 호오스, 파이프 등을 해상에 설치하는데 부력을 제공하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구조하여 사용하는 구조물에서는 어류를 양식하는데 소요되는 어소, 어초 또는 연료 및 식수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필수품을 운반하거나, 준설되는 모래 등의 건축자재를 물과 같이 이송하는데, 대부분 해상에서 호오스 및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바, 상기 지적한 운반품을 운반하는 경우,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해상에서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적절한 부력을 제공하는 필요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상기 나선권회로 형성되는 부기의 내측공간으로 부력을 보강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3~4회로 나선권회되는 구간의 부기구(13) 내측면에는 간벽(21)에 의해 밀폐되는 고정틀(20)을 일체로 융착하여 부기공간을 형성하는 부기가 제공하였으나, 이는 부기구(13)의 내측으로 삽설하는 간벽(21)의 밀폐벽(20)을 삽설하여 제공하는 장치의 번거로움은 실용적으로 더 보강된 구조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사용 현장에서 조립에 대한 공수가 많이 들며, 또 작업을 마친 다음, 해체하여 운반할 경우 분리하는 번거로움이 많은 현실이다.
따라서, 상기 내벽(11)의 외측방향으로 나선권회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16)과 외벽(17)으로 형성되는 부기구(13)에 삽입구(12')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12')에 맞추어주는 지지벽(12)을 삽설하여 주는 접합부를 일체하는 융착대(25)로 융착시켜서 상기 부기구(13)에 맞추어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며, 또한 상기 지지벽(12)에는 양측면으로는 고정대(31)를 형성하여서, 상기 부기구(13)에서 절개되는 삽입구(12')의 가장자리로 상기 고정대(31)를 일체로 겹쳐 주면서 일체로 융착으로 일체하여 주되, 상기 지지벽(12)을 외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주면서 걸이구(29)을 구성하여서, 해상이나 수중에서 어구 또는 어소등을 엮어서 안정적으로 양식을 장기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부기, 지지대, 걸이, 고정대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용 부기{omitted}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에서 수면 상태에서 뜨게 하여 사용되는 양식장, 수상 건축물, 운반용 구조, 연료 및 용수 등을 이동시키는 호오스 등을 안정적으로 부력을 제공하여 주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구조물을 이용하여 항만공사 또는 수상 건축물에서 구조물 등을 수면 위에 뜨게 하여서 운반하거나 또는 수면하의 준설토를 물과 같이 이송하거나, 또는 해상 구조물에 필요에 따라 석유 등과 같은 액체 연료를 해상에서 수백m에 달하는 수송 호오스를 물에 뜨게 하여서 사용하면서 안정적으로 수상에서의 내구성 등은 해양 환경의 악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지구의 온난화 또는 오염 등으로 해상의 백화 현상으로서 해초, 미역, 다시마 등의 증식이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성장 조건의 미비로 인하여 해산물의 수확에 대한 감소의 영향이 많아서, 이를 위하여 인공적인 어소 블록을 설치하여 주고 있으나, 이는 막대한 비용의 소요와 장기간 지나면서 해류에 의한 파손도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파도와 바람 또한 물의 흐르는 방향이나 수송 호오스 주위의 다른 구조물이나 작업선과 같은 시설물과의 충돌에도 대비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는 해상에서 사용 및 작업 완료 할 경우에, 상기 부력 장치를 조립 해체작업이 곤란하여 해상의 악 조건하에서는 실용화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며, 파이프의 부력 유지 구간도 작업장 형편에 따라 수백m에 달하는 경우 전체 구간을 조립하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해상에서의 악조건 하에서는 파이프 자체에 만곡성을 부가하여 주어야 작업 현장의 필요에 따른 이동에도 용이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첨부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파이프를 사용하면서 파이프의 위측면에 단면이 반원형의 부력장치를 서로 맞물려 조립함으로서 파이프에 부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또한 부기가 운반용 호오스를 삽입하는 내벽을 나선권회로 형성으로 만곡성을 부여하는 부기에서, 상기 나선권회로 형성되는 부기의 내측공간으로 부력을 보강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3∼4회로 나선권회되는 구간의 부기구(13) 내측면에는 간벽(21)에 의해 밀폐되는 고정틀(20)을 일체로 융착하여 부기공간을 형성하는 부기가 제공하였으나, 이는 부기구(13)의 내측으로 삽설하는 간벽(21)의 고정틀(20)을 삽설하여 제공하는 장치의 번거로움은 실용적으로 더 보강된 구조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내벽(11)의 외측에는 측벽(16)과 외벽(17)으로 형성된 부기구(13)를 융착대(25)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융착 나선권회하며, 상기 부기구(13)의 사이에 형성되는 나선요홈(22)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조임구(14)를 천공한다.
또한, 상기 내벽(11)에 삽입된 호오스(23)의 외측면을 조임구(14)로 조립되는 벨트(26)로 조여서 고정하여 주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부기구(13)의 내측에는 간벽(21)에 의해 밀폐되는 고정틀(20)을 일체로 융착하여서 확실하게 부력이 제공되도록 제공한다.
상기 설명한 해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해상용 부기에서에서 만곡성으로 나선권회로 형성되는 장척의 부력을 제공하면서 만곡성을 제공하는 부기구(13)에서, 소정의 밀폐구간을 형성하고 부력을 보강하면서, 간단한 걸이로 양식장이나 어구를 견고히 결속으로 안정적 조립시켜서 장기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해상 깊숙이 수중에 설치하여 주면서 상기 걸이에 어구 또는 어소를 역어서 제공하면, 이에 따라 수중에서 어류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해상에서 띄우면서 양식이나 구조물에서 수면 위에서 부력을 제공으로 띄우면서 해상의 수면이 움직이는 현상에 따라 움직여 주도록 엮어주는 구조를 제공하는 제품 제공을 위한 것으로서,
특히 해상에서 한정된 수면이나 수중에서 효과적으로 엮어서 사용하는 구조를 제공하여서, 양식장이나 수중에 부력을 제공하여서 장시간 소요되는 미역이나 해초 등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함이다.
내벽(11)의 외측에서 나선권회 방향에 따라 측벽(16)과 외벽(17)에 의해 일체되는 부기구(13)와 나선요홈(22)이 형성하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에 있어서,
상기 부기구(13)에 삽입구(12')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12')에 지지벽(12)을 삽설하여서 융착대(25)로 융착시켜 주고, 상기 지지벽(12)에는 양측면으로는 고정대(31)를 형성하여서 삽입구(12')의 가장자리로 융착하여 주고, 상기 지지벽(12)을 돌출하여 주면서 걸이구(29)을 구성하여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벽(12)을 양측의 고정벽(18)으로 형성하여 주고,
상기 부기구(13)에서 고정벽(18) 사이의 접합부위에는 융착대(25)로 융착하여서 고정하여 주고, 상기 융착대(25) 부위에는 고정대(31')를 돌출하여 형성하여서 부기구(13)와 고정벽(18) 사이의 견고성을 보강하여 주고, 상기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벽(18) 사이의 간격에는 걸이대(28)를 일체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어소 또는 어구 등과 같은 수산용 양식을 하는 부기에서 반영구적이면서 실용적인 구조의 부기를 제공하며, 또한 모래 준설선과 같은 작업선이나 해상 구조물에 공급하는 액체 연료를 공급하거나, 준설토 등을 물과 같이 운반하는 경우에 부기에 의해 안전적으로 부력을 제공하면서, 해수면에서 주위의 환경에 따른 악조건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경제적인 발명이다.
상기 제공되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에서 장기 사용으로 인하여 해류의 이동이나 파도 등으로 가해지는 수충격에 의한 굽힘 응력이나, 상기 부기에 엮어서 사용하는 어구의 조립성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부기구(13)에 대한 부력의 형성에 대한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고로 해상에서 사용되는 어구, 어소 또는 이송용 호오스 등을 부력에 의하여 장기간고정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발명에 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11)의 외측면에서 나선권회된 방향에 따라 일체되면서 형성되는 측벽(16)과 외벽(17)으로 형성되는 부기구(13)의 일측에 삽입구(12')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12')에 맞추어주는 지지벽(12)을 삽설하여 주는 접합부를 일체하는 융착대(25)로 융착시켜서 상기 부기구(13)에 맞추어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며, 또한 상기 지지벽(12)에는 양측면으로는 고정대(31)를 형성하여서, 상기 부기구(13)에서 절개되는 삽입구(12')의 가장자리로 상기 고정대(31)를 일체로 겹쳐 주면서 일체로 융착으로 일체하여 주되, 상기 지지벽(12)을 외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주면서 걸이구(29)을 구성하여서, 해상이나 수중에서 어구 또는 어소 등을 엮어서 안정적으로 양식을 장기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이때, 사용되는 원료는 내충격성이 강하면서 반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반 연질PVC, ABS, 내충격성 HDPE,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벽(11)에 호오스(23)을 삽입하거나, 또는 어소(41) 또는 어구 등을 엮어서 장기적으로 수중에서 양식을 하도록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발명으로, 단면이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내벽(11)의 외측면에는 양측의 측벽(16)과 외벽(17)을 일체로 형성한 부기구(13)를 형성하되, 소정의 간격으로 나선권회 함으로써, 상기 부기구(13) 사이에 나선요홈(22)이 형성하여서 만곡성이 부여하면서 장척의 부기가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부력을 보강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로 설명을 하면, 상기 나선권회의 구조가 3∼4회 되는 구간마다, 부기구(13)를 형성하는 측벽(16)과 외벽(17)에다, 삽설되는 지지벽(12)의 두께에 맞추어서 절단을 하여 준 다음, 상기 절단된 간격으로 지지벽(12)을 삽입하여서 상기 부기구(13)를 차단하여 준 다음, 상기 지지벽(12)과 절단된 측벽(16)과 외벽(17)의 접합부위를 융착대(25)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하여서, 상기 부기구(13)의 내측공간을 서로 차단하여 주도록 구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부기구(13)에 삽설되어서 고정되는 지지벽(12)을 사용 현장인 해상에서 간단히 실용적으로 부기구(13)의 내구성 보강과 아울러 어소(41), 어구 또는 해상 구축물을 고정하여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벽(12)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주면서 어소(41) 등을 서로 엮어서 고정하여 주는 걸이구(29)를 형성하여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벽(12)과 절단된 측벽(16)과 외벽(17)의 접합부위를 융착대(25)로 융착하여서 일체로 구성하는 융착대(25)는 해상에서 파도 또는 걸이구(29)에 걸어서 조립되는 어소(41)의 조립으로 발생하는 응력 등에 대한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융착대(25) 부위에서 지지벽(12)에서 양측으로 돌출로 형성되는 고정대(31)를 형성하여서 안정적인 융착으로 보강하여 제공하여 준다.
여기서, 측벽(16)과 외벽(17)의 크기는, 부력을 높게 유도하기 위하여서는 부기구(13)의 공간을 크게 구성하여 주어야 하므로 내벽(11)의 직경 크기의 2배 정도로 하며, 측벽(16) 사이의 만곡요홈(22)은 본 발명의 부기가 수면에 띄워서 사용할 경우 만곡성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은 부력을 보강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예를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면, 나선권회 방향으로 3∼4회 되는 구간을 기준으로 부기구(13)를 설명하면, 첨부된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6)과 외벽(17)에 삽설하는 지지벽(12)의 두께에 맞추어서 절단을 하여 주되, 상기 절단된 간격으로 지지벽(12)을 삽입함으로서, 상기 부기구(13)를 차단하여 준 다음, 상기 지지벽(12)과 절단된 측벽(16)과 외벽(17)의 접합부위를 융착대(25)로 융착하여서 일체로 구성하여서, 상기 부기구(13)의 내측공간을 서로 차단하여 주도록 구성하여 주는 상기 지지벽(12)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일측을 연결하여 주는 양측의 고정벽(18)을 상기 부기구(13)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벽(18)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주도록 절단하여서 서로 맞추어 조립으로, 서로 맞추어지는 접합부위에는 융착대(25)로 일체로 융착하여서 고정하여 준다.
또한 상기 서로 접하는 융착대(25) 부위에는 고정대(31')를 돌출로 형성하여서 상기 부기구(13)와 고정벽(18) 사이의 견고성을 보강하여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벽(18) 사이의 간격에는 걸이대(28)를 일체로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서, 어소(41) 또는 어구 등을 조립하여 주는 걸이구간(36)을 형성하여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실시예2]
상기 설명되는 부기구(13)에서 장기간 사용하거나 태풍으로 발생하는 파도 등으로 발생하는 수충격으로 일부분이 파손으로 깨어지는 경우, 부기구(13)의 내측공간으로 물이 스며듬으로서, 부력의 역할이 소멸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실용적인 정비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기구(13)의 파손부위를 절결하여 주되, 상기 절결부위의 가장자리에서 연결부(33)가 삽설되는 고정대(31")로 고정하도록, 나선권회로 만곡되는 요철부(35)의 양측가장자리에는 연결부(33)가 형성되는 만곡부기대(42)를, 상기 부기구(13)에서 서로 절단되는 절단부위에 일체로 삽입시켜 줌으로서 고정하여 제공하는 발명이다.
도1은 종래에 제공된 발명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은 본 발명에 대한 요부에서 일부 절개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도4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6는 도4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공정 상태도
도7는 도4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8은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1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9는 도8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10은 도8에서 B-B선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2의 사시도
도12는 도11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만곡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내벽 12. 지지벽 12'. 지지요홈 13. 부기구
14. 조임구 16. 측벽 17. 외벽 18. 고정벽
19. 조임공간 22. 만곡요홈 25. 융착대 28. 걸이대
29. 걸이구 31,31'. 고정대 33. 연결부기구 35. 요철부
36. 걸이구간 41. 어소 42. 만곡부기대

Claims (3)

  1. 내벽(11)의 외측에서 나선권회 방향에 따라 측벽(16)과 외벽(17)에 의해 일체되는 부기구(13)와 나선요홈(22)이 형성하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에 있어서,
    상기 부기구(13)에 삽입구(12')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12')에 지지벽(12)을 삽설하여서 융착대(25)로 융착시켜 주고,
    상기 지지벽(12)에는 양측면으로는 고정대(31)를 형성하여서 삽입구(12')의 가장자리로 융착하여 주고,
    상기 지지벽(12)을 돌출하여 주면서 걸이구(29)을 구성하여서 제공되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2)을 양측의 고정벽(18)으로 형성하여 주고,
    상기 부기구(13)에서 고정벽(18) 사이의 접합부위에는 융착대(25)로 융착하여서 고정하여 주고,
    상기 융착대(25) 부위에는 고정대(31')를 돌출하여 형성하여서 부기구(13)와 고정벽(18) 사이의 견고성을 보강하여 주고,
    상기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벽(18) 사이의 간격에는 걸이대(28)를 일체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기구(13)를 절결시켜 주는 절결부위에 고정대(31")를 형성시켜 주고, 상기 고정대(31")에 연결하도록 나선권회로 만곡되는 요철부(35)의 양측가장자리에는 연결부(33)가 형성되는 만곡부기대(42)를 일체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
KR1020070101342A 2007-10-09 2007-10-09 해상 구조물용 부기 KR100977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342A KR100977248B1 (ko) 2007-10-09 2007-10-09 해상 구조물용 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342A KR100977248B1 (ko) 2007-10-09 2007-10-09 해상 구조물용 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270A KR20090036270A (ko) 2009-04-14
KR100977248B1 true KR100977248B1 (ko) 2010-08-30

Family

ID=4076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342A KR100977248B1 (ko) 2007-10-09 2007-10-09 해상 구조물용 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2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57U (ko) * 1997-07-12 1999-02-18 성기팔 양식장용 부구
KR200330278Y1 (ko) * 2003-07-30 2003-10-17 이소낭 금속제 그물용 부구
KR200436808Y1 (ko) 2006-11-08 2007-10-04 황범식 김 양식용 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57U (ko) * 1997-07-12 1999-02-18 성기팔 양식장용 부구
KR200330278Y1 (ko) * 2003-07-30 2003-10-17 이소낭 금속제 그물용 부구
KR200436808Y1 (ko) 2006-11-08 2007-10-04 황범식 김 양식용 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270A (ko)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014B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JP5197019B2 (ja) 水上フロートおよびその連結体
US9681645B2 (en) Structure for attracting and accumulating aquatic organisms
CN109068616B (zh) 鲍鱼养殖设备和方法
KR100977248B1 (ko) 해상 구조물용 부기
KR100692362B1 (ko)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JP4603431B2 (ja) 水質改善用構造体
CN1590658A (zh) 一种半潜式隧道及其架设方法
JP2019030251A (ja) 魚礁ブロック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KR101788562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JP2002330662A (ja) 水底沈設部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人工魚礁、沈床、魚道及び護岸部材
JP2009072153A (ja) 水槽及び水槽の構築方法
KR20130012895A (ko)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KR200203670Y1 (ko) 해태(김)양식망용 지지대
KR101606926B1 (ko) 수상 구조물 결속체
KR100812224B1 (ko)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KR102378180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인공어초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인공어초
JP2008106441A (ja) ウォータフロートバリア
KR200341851Y1 (ko) 바다목장용 해상부유장치
KR200306029Y1 (ko)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JP2019041730A (ja) 支柱構造体
JP3577639B2 (ja) 人工魚礁
KR200358721Y1 (ko) 수상 부양식 어/패류 가두리형 양식장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