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029Y1 -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029Y1
KR200306029Y1 KR20-2002-0035524U KR20020035524U KR200306029Y1 KR 200306029 Y1 KR200306029 Y1 KR 200306029Y1 KR 20020035524 U KR20020035524 U KR 20020035524U KR 200306029 Y1 KR200306029 Y1 KR 200306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ea
tightening
buoyanc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20-2002-0035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16L11/133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buoy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4Hoses, i.e. flexible pipes wound from stri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상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각 구조물에 사용되는 호오스 및 파이프 등을 해상을 통과하여 설치하는데 부력을 제공하는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구조하여 사용하는 구조물에서는 연료 및 식수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필수품을 운반하거나, 준설되는 모래 등의 건축자재를 물과 같이 이송하는데, 대부분 해상에서 호오스 및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바, 호오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적한 운반품을 운반하는 경우,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해상에서 수면하로 가라앉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적절한 부력을 제공하는 필요가 존재하는바,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단면이 반달형의 부기를 서로 조립으로 고정하여 제공하였으나, 이는 사용 현장에서 조립에 대한 공수가 많이 들며, 또 작업을 마친 다음, 해체하여 운반할 경우 분리하는 번거로움이 많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호오스와 같은 장척의 길이에도 만곡성을 제공하여 유연성을 제공하며, 또 조립이 용이하면서 사용 작업을 마친 다음에도 간단히 분리하면서 수면에 대한 부력을 이루도록 부력 공간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내벽(11)의 외측 방향으로 나선권회반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만곡요홈(22)을 형성되도록 측벽(16)을 내벽(11)의 외측면에서 돌출시켜 만곡요홈(22)을 형성하여 주되, 측벽에 외벽(17)을 일체로 부기구(13)을 형성하며,간헐적으로 간벽(21)이 형성된 고정틀(20)로 부기구(13)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고정하여 부기 공간을 형성하여 주며, 내벽(11)의 내측 방향에 연질 수지 등으로 형성된 조임대(12)를 지지리브(18)로 조임공간(19)를 형성하되, 만곡요홈(22)을 형성하는 내벽(11)에 간헐적으로 천공된 양측의 조임구(14)(14')에 벨트(26) 및 철심(15)을 조임공간(19)를 통하여 조여주면, 철심(15)이 연질의 조임대(12)를 밀어주면서 호오스(23)의 외측면을 조여서 고정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omitted}
본 고안은 해상 구조물에서 수면 상태에서 뜨게하여 연료 및 용수 등을 이동시키는 호오스 등을 안정적으로 부력을 제공하여 주는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구조물을 이용하여 항만공사에서 호오스 등을 수면 위에 뜨게하여 수면하의 준설토를 물과 같이 이송하거나, 또는 해상 구조물에 필요에 따라 석유 등과 같은 액체 연료를 해상에서 수백m에 달하는 수송 호오스를 물에 뜨게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양 환경의 악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즉 파도와 바람 또한 물의 흐르는 방향이나 수송 호오스 주위의 다른 구조물이나 작업선과 같은 시설물과의 충돌에도 대비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에는 주로 파이프를 사용하면서 파이프의 위측면에 단면이 반원형의 부력장치를 서로 맞물려 조립하므로서 파이프에 부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는 해상에서 사용 및 작업 완료 할 경우에, 상기 부력 장치를 조립 해체작업이 곤란하여 해상의 악조건하에서는 실용화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며, 파이프의 부력 유지 구간도 작업장 형편에 따라 수백m에 달하는 경우 전체 구간을 조립하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해상에서의 악조건 하에서는 파이프 자체에 만곡성을 부가하여 주어야 작업 현장의 필요에 따른 이동에도 용이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해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호오스에서 장척의 부력을 제공하면서 만곡성을 제공하고, 또 호오스와 본 고안에 의거 제공되는 만곡성 부기와의 결속 장치 제공으로 주위의 바람 및 작업상 항상 움직이는 해상에서 견고히 결속으로안정적으로 호오스를 수면 위에 띄우면서 사용하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고안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은 도2에 대한 요부를 본 고안의 부기에 조립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5는 도4에서 A-A선 단면도
도6는 본 고안의 제품을 만곡상태로 도시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내벽 12. 조임대 13. 부기구 14. 조임구
15. 철심 16. 측벽 17. 외벽 18. 지지리브
19. 조임공간 20. 고정틀 21. 간벽 22. 만곡요홈
23. 호오스 25. 융착대 26. 벨트
본 고안에서는 해상에서 띄우면서 구조물 사이의 거리를 지나는 호오스를 수면 위에서 부력을 제공으로 띄우면서 해상의 수면이 움직이는 현상에 따라 움직여 주도록 만곡상을 제공하는 제품 제공을 위한 것으로서, 내벽(11)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나선권회로 측벽(16)을 융착대(25)로 일체하는 부기구(13)를 형성하되, 내벽(11)에 일체되는 융착대(26)에 원호 간격으로 조임구(14)를 천공하되 벨트(26)로 호오스(23)의 외측면을 조여서 고정하여 주는 고안이다.
그리고 이의 실시예로서는 나선권회가 내벽(11)을 기준으로 수회전 회전하는 사이마다 간벽(21)을 고정틀(20)로 부기구(13)의 내측 공간을 융착으로 밀폐시켜 부력을 제공하고, 또한 내벽(1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하여서 조임공간(19)을 형성하도록 연질의 신축성이 양호한 조임대(12)를 지지리브(18)의 단부에 일체하여 주며, 또한 융착대(25)에 원호 사이의 간격에 조임구(14)(14')를 천공하여 조임대(12)에 삽입된 호오스(23)의 외측면을 조임철심(15)으로 조여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안으로 사용 길이가 수백m의 길이를 연속적으로 조립하므로서 사용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부력 제공 및 만곡성 제공으로 안정적으로 악조건의 수면에서 사용하는 만곡성 부기를 제공하는 고안이다.
고로,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1)에 호오스(23)을 삽입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고안으로, 내벽(1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벽(16)을 내벽(11)의 외측면에 일체로 고정하면서 만곡요홈(22)을 형성하고, 외벽(17)을 일체하면서 나선권회 구조로 부기구(13)을 형성하면서 부력을 보강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나선권회되는 구간을 3∼4 회 되는 구간에 부기구(13)의 내측면에 고정틀(20)로 간벽(20)을 일체로 융착으로 밀폐되는 부기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측벽(16)과 외벽(17)의 크기는 부력을 높게 유도하기 위하여서는 부기구(13)의 공간을 크게 구성하여 주어야 하므로 내벽(11)의 직경 크기의 2배 정도로 하며, 측벽(16) 사이의 만곡요홈(22)은 본 고안의 부기가 수면에 띄워서 사용할 경우 만곡성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이때, 사용되는 원료는 내충격성이 강하면서 반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반연질PVC, ABS, 내충격성 HDPE,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제를 사용한다.
또한, 내벽(11)의 내측 공간에 호오스(23)를 삽입하여 서로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는 내벽(11)에서 측벽을 고정하는 나선권회 구조의 일체된 융착대(25)에 원호를 이루는 간격에 조임구(14)(14')를 각각 천공하되 벨트(26)로 삽입하여 조여주면 벨트(25)가 2개의 조임구(14)(14') 사이의 원호를 이루는 간격으로 호오스(23)의 외측면을 벨트(26)를 조여서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때, 내벽(11)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호오스(23)는 벨트(26)를 조임구(14)(14')로 삽입하여 조여 줄 정도의 느슨한 간격을 유지하여 준다.
또한, 호오스(23)의 외측면을 조여서 고정하는 구조의 실시예로서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1)에 삽설되는 호오스(23)를 수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구조의 결속장치가 필요하는 바, 본 고안에서는 나선권회로 형성된 내벽(11)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나선권회로 돌출되는 지지리브(18)의 단부에, 연질이면서 신축성이 있는 연질의 고무 및 수지로 형성되는 조임대(12)를, 조임공간(19)을 형성하면서, 일체로 형성하여 준다.
또한, 내벽(11)에 삽설되는 호오스(23)를 수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구조의 결속장치가 필요하는 바, 본 고안에서는 내벽(11)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나선권회로 돌출되는 지지리브(18)의 단부에, 연질이면서 신축성이 있는 연질의 고무 및 수지로 형성되는 조임대(12)로, 조임공간(19)을 형성하면서, 일체로 형성하여 준다.
이때, 내벽(11)의 내측면에 나선권회로 돌출되는 지지리브(18)는 내벽(11)의 융착대(25)에 양측에다 원호 간격으로 2개의 조임구(14)(14')를 천공하여 준 다음, 철심(15)를 삽입하여 조임대(12)의 내측으로 삽설되는 호오스(23)의 외측면에 연질의 조임대(12)를 연신시켜 조여서 고정으로 해상에서 악조건의 작업에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안이다.
여기서, 지지리브(18)는 철심(15)을 삽입하여 호오스(23)의 외측면을 연질의 조임대(12)로 조여 주는 조임공간(19)의 구성을 위하여 내벽(11)에서 부기구(13)의 중간부위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공간(19)에서 호오스(23)를 조여주는 철심(16)을 내벽(11)의 양측 방향에서 서로 교호상으로 3∼4회 반복적으로 조여 주면 해상의 수면에서 요동치는 악조건하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이 제공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1)의 외측방향으로 융착대(25)로 일체되면서 측벽(16)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요홈(22)은 수면 위에서 부력으로 띄워서 현장 사용하는 경우에 만곡성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본 고안은 해상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모래 준설선과 같은 작업선이나 해상 구조물에 공급하는 액체 연료를 공급하거나, 준설토 등을 물과 같이 운반하는 경우에 안전적으로 부력을 제공하면서 만곡성으로 해수면에서 주위의 환경에 따른 악조건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경제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내벽(11)의 외측방향으로 나선권회되어 일정간격으로 외벽(17)으로 일체된 측벽(16)을 융착대(25)로 내벽(11)에 고정하여 나선권회로 형성되는 부기구(13)가 형성되는 해상 구조물용 부기에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부기구(13)의 내측면에 일체로 융착되는 간벽(21)이 형성된 고정틀(20)을 융착하고, 내벽(11)에 일체된 융착대(25)에 벨트(26)로 조립하여 주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조임구(14)(14')를 각각 천공하여 구성하는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2. 제1항에 있어서, 내벽(1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리브(18)의 단부에 연질 수지로 형성된 조임대(12)를 조임공간(19)을 형성하여고, 융착대(25)에 조임구(14)(14')를 천공하여 철심(15)으로 조임대(12)를 조여 주도록 구성하는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KR20-2002-0035524U 2002-11-27 2002-11-27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KR200306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524U KR200306029Y1 (ko) 2002-11-27 2002-11-27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524U KR200306029Y1 (ko) 2002-11-27 2002-11-27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166A Division KR100812224B1 (ko) 2002-11-26 2002-11-26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029Y1 true KR200306029Y1 (ko) 2003-03-03

Family

ID=4940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524U KR200306029Y1 (ko) 2002-11-27 2002-11-27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0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5540B1 (en) Vortex induced vibration suppression device and method
US4261671A (en) Corrugated pipe for deepwater applications
JPH0158314B2 (ko)
US6357966B1 (en) Balla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synthetic underwater pipelines
US20040013473A1 (en) Protection of underwater elongate members
AU5350598A (en) Buoyant device
CA2182891A1 (en) Fluid riser between seabed and floating vessel
US200700033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rag and/or vortex induced vibration
US7210531B2 (en) Protective element for a riser segment
BR112019026680A2 (pt) conjunto de cinta de supressão de viv
WO2000061433A1 (en) System for reducing vortex induced vibration of a marine element
WO2009070483A1 (en) Strake systems and methods
ITMI20080269A1 (it) Dispositivo galleggiante perfezionato per tubazioni
KR200306029Y1 (ko)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KR100812224B1 (ko) 해상 구조물용 만곡성 부기
US11732821B2 (en) Protection apparatus
WO2008035559A1 (fr) Flotteur pour un tuyau souple marin
KR101453445B1 (ko) 가변형 페어링
GB2401921A (en) Shrouded thermal insulation for submarine pipelines
JP2005143458A (ja) フロ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生け簀
WO2021220033A1 (en) Thermoplastic pipe with inner coextruded tp-e layer. with or without tp-e floats, for the transport of fluids under pressure containing materials. also abrasive ones
JP2009239994A (ja) 長尺体の海底布設方法
KR100225025B1 (ko) 오탁방지장치
US20230250697A1 (en) Slurry transporting riser assembly
US11834910B2 (en) Floa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