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895A -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 Google Patents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895A
KR20130012895A KR1020110074577A KR20110074577A KR20130012895A KR 20130012895 A KR20130012895 A KR 20130012895A KR 1020110074577 A KR1020110074577 A KR 1020110074577A KR 20110074577 A KR20110074577 A KR 20110074577A KR 20130012895 A KR20130012895 A KR 2013001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astal area
block
harbor
t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738B1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1007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7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08Methods for grouting offshore structures; apparatu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가 인접하는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기역이나 항만 등에서 발생하는 밀물이나 썰물이 발생을 하면 이동하는 바닷물에 의하여 제방이나 해저면 등에 침식의 피해가 발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만이나 연안지역(40)에서 외해에서 내해로 들이치는 파랑을 소파 할 수 있도록 방파제용 제방(50)의 기소(46)에 연결되는 해저(30)에 매설되도록 다수개의 뿔대(46)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소파 블록용 삼발이(44)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44)의 뿔대(46)의 일측에 연결구(48)와 타측에 고정구(49)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연결구(48)에 고정구(49)를 고정핀(55)으로 느슨하게 고정시켜서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서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삼발이(44)의 뿔대(46)의 일측과 타측의 뿔대(46)에 연결되도록 만곡성 거푸집(60)을 서로 연결시켜 주되, 상기 만곡성 거푸집(60)에는 투입구(65)로 시멘트 몰탈(69)로 충진시켜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삼발이(44)의 일측의 뿔대(46)에 연결되도록 거푸집(60')을 돌출시켜 주되, 상기 거푸집(60')의 돌출된 구간에는 관통으로 돌출되는 지지관(70)(70')에 파력저지대(73)을 걸쳐서 소파력 보강을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만곡성거푸집(60)의 일측에 별도의 거푸집(66)을 돌출시켜서 소파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고,
상기 거푸집(66)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거푸집(68)을 연결시켜 주되, 투입구(65')로 시멘트몰탈(69)을 충진시켜서 양생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삼발이, 거푸집, 만곡거푸집

Description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omitted}
본 발명은 바다가 인접하는 항만이나 해변인 연안지역 등에서 지형적으로 밀려드는 파도의 파고와 파력을 약화시켜 줌으로서, 해수의 이동력의 감소와 아울러 안정적인 해안을 유지하여 주기 위하도록 제공되는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지역이나 항만 등에서 발생하는 강풍과 같이 밀려오는 밀물이나 썰물이 발생을 하면 이동하는 바닷물에 의하여 제방이나 해저면 등에서 침수와 아울러 풍해의 피해가 발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합성수지제 파이프 중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는 파이프는 외압보강이 좋으면서 만곡성이 양호함으로 지중매설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항만 또는 연안지역에서 계절에 따라 발생을 하는 파도나 태풍 등으로 거대한 파도가 덮쳐오면 항만에 정박 중이거나, 피항 중인 선박에 파도 등이 덮쳐서 선박이나 어선 등이 파손되거나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해변인 연안지역에서는 월파된 파도에 의하여 구축된 제방을 넘겨서 침 수의 위험이 발생을 하며, 또한 해변의 지면을 침식의 피해가 발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고로 상기 거대한 파도 등에서도 월파된 해류를 저지시켜 주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결속수단이 제공되었다.
즉 실용신안 등록 제 0266993호에 의하여 제공된 내용으로는, 테크라포트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몸체에다 정착부를 구비하여 주되, 상기 정착부에 연결고리로 구성되는 결속수단을 다수 정착하여 결속선으로 상호 결속이 되도록 제공되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연안지역 등에서는 호안블럭 등을 적층으로 구비하여 주되, 해안 지역에는 소파블럭(예; 테크라포트, 삼바리)을 쌓아서 방파제로 구축시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적층으로 사용되는 테크라포트와 같은 소파 구조물은 대부분 경질체이면서 각각 개별적으로 놓여있는 상태이므로 밀려오는 파력에 대한 위치유지성 및 내구성이 장기적으로 부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안지역에서 사용되는 방풍림인 경우, 상기 방풍림을 형성하는 나무의 가지목 등의 굽힘응력에 의하여 불어주는 풍력을 감쇄시켜 줌과 동시에 장기적으로 안정성이 보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하는 호안블럭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설명되는 종래의 연안지역이나 항만지역의 보호용 제방에서 태풍, 폭우 등으로 몰려오는 파도 등의 물살을 구조적으로 상쇄함으로서, 상기 지역에 대한 월 파된 바닷물에 대한 침수피해를 방지함으로서 안전을 위한 것이다.
즉 월파를 보호하려는 구간에 맞추어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구축된 제방(50)은, 해수가 인접하는 연안지역에 토사 등으로 성토를 하여 주는 외측면에다 상기 월파 등에 대한 침하 등으로 붕괴 현상을 보강하여 주도록 경사벽을 형성하여 주되, 소파 블럭의 구조인 삼발이(44) 등으로 적층시켜서 비탈지는 배수구간을 구비함으로서, 용이하게 썰물이 형성되는 순간에는 상기 삼발이(44)으로 침수된 바닷물이 썰물로 배수가 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도1)
상기 제방은 크기에 따라 제방에 차도 등의 도로를 구성하여 주어 사용하는 현실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축된 제방은 해수의 이동으로 형성되는, 바와 같이 외해에서 내해로 들이치는 파랑을 소파 할 수 있도록 방파제에 대한 설치되는, 간혹 월파로 인하여 인명이나 침수의 피해가 발생을 하는 것이다.
또한 해수의 파도에 의하여 상기 소파 블록 등이 쇄골이나 파손이 쉽게 발생하여 주므로,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연안지역 등에서는 태풍에 대한 피해를 줄여주기 위하여, 방풍림 등을 조성시켜서 불어오는 태풍의 방향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함으로서, 바람의 피해를 감소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연안지역이나 항만용 제방에서 월파되는 파도의 이동을 분산하여 주는 통로를 구축함으로서, 안정적인 소파 구조를 설치하여 주어야 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많았다.
본 발명에서는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외해에서 내해로 들이치는 파랑을 소파 할 수 있도록 방파제에 설치되는 소파 블록에서의 해류의 거칠은 이동력의 흐르는 방향의 일부분을, 만곡되는 연결파이프의 굽힘응력에 의하여 감소되도록 저지하여 주기 위함이며, 또한 일정 구간에 서로 상호 연결로 구비함으로서 상기 연결블럭 구간에는 소정의 소파력에 대한 밀림현상의 감소 및 어류 등의 서식구간으로 제공을 하기 위함이며, 또한 파랑의 밀물현상을 지연시켜 줌으로서 모래나 토사의 침식을 방지하여 주도록 결합시켜서, 상기 파랑의 밀물을 차단하면서 썰물은 배출하는 구성을 시공 현장인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안정성 및 완벽한 내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항만이나 연안지역(40)에서 외해에서 내해로 들이치는 파랑을 소파 할 수 있도록 방파제용 제방(50)의 기소(46)에 연결되는 해저(30)에 매설되도록 다수개의 뿔대(46)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소파 블록용 삼발이(44)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44)의 뿔대(46)의 일측에 연결구(48)와 타측에 고정구(49)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연결구(48)에 고정구(49)를 고정핀(55)으로 느슨하게 고정시켜서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서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삼발이(44)의 뿔대(46)의 일측과 타측의 뿔대(46)에 연결되도록 만곡성 거푸집(60)을 서로 연결시켜 주되, 상기 만곡성 거푸집(60)에는 투입구(65)로 시멘트 몰탈(69)로 충진시켜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삼발이(44)의 일측의 뿔대(46)에 연결되도록 거푸집(60')을 돌출시켜 주되, 상기 거푸집(60')의 돌출된 구간에는 관통으로 돌출되는 지지관(70)(70')에 파력저지대(73)을 걸쳐서 소파력 보강을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만곡성거푸집(60)의 일측에 별도의 거푸집(66)을 돌출시켜서 소파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고,
상기 거푸집(66)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거푸집(68)을 연결시켜 주되, 투입구(65')로 시멘트몰탈(69)을 충진시켜서 양생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해수면에서 밀려오는 파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블럭에 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제방에서는 일정한 량의 해수를 이동이 용이하면서 해류를 상쇄하여 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도대의 구동으로서 차단 및 이동용 통로로 제공하며, 종래의 제방에서 해수에 대한 침식방지와 배수를 보장하는 환경성 및 견고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1,2는 종래에 사용되는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3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부분 사용상태도이며, 도4은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이며, 도5는 도4에서 요부의 사용상태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6는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8은 도6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즉 바닷가에 인접으로 구축되어 있는 항만이나 연안지역(40)에서는, 태풍이나 지구의 온난화 등에 의한 기후변화 등으로 간혹 발생을 하는, 즉 외해에서 내해로 들이치는 파랑의 월파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는 시설물인 삼발이(44)를 소정의 구간 지역에는 연속적으로 쌓아줌으로서, 상기 삼발이(44)에서 돌출된 뿔대(46)의 소파력에 의하여 파도의 흐름을 저속시켜 주도록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소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가능한 삼발이(44)의 중량을 높혀 주어야 폭풍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월파에 대한 저지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도1 내지 도2)
그러나 상기 설명되는 삼발이(44)의 재질은 사용상 고하중이면서 내구성이 양호하는 콘크리트 재질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장기간 사용을 하는 경우, 바닷물의 파도에 의한 마찰 등으로 파손의 우려가 높은 현실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파도에 대한 지지력 및 내수성을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다수개의 삼발이(44)을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시켜 줌으로서, 고중량의 소파장치와 아울러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다수개의 삼발이(44)를 서로 엮어주도록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3 내지 도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항만이나 연안지역(40)에서 외해에서 내해로 들이치는 파랑을 소파 할 수 있도록 방파제용 제방(50)의 기소(46)에 연결되는 해저(30)에 매설되도록 다수개의 뿔대(46)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소파 블록용 삼발이(44)에서, 서로 연결되기 적절한 위치에 접근시켜 주되, 서로 접근된 구간에 위치하는 뿔대(46)을 서로 역어주도록, 상기 삼발이(44)의 뿔대(46)의 일측에 연결구(48)와 타측에 고정구(49)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연결구(48)에 고정구(49)를 고정핀(55)으로 느슨하게 고정시켜서 제공함으로서, 상기 연결구(48)과 고정구(49)로 느슨하게 결합된 구간에서, 상기 월파된 파도에 의한 움직이는 여유의 간격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한쌍의 삼발이(44)에서 서로 근접간격으로 위치하는 일측의 뿔대(46)로 연결고정기켜 주는 장뿔대(46') 구간에서는,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서로 연결되는 장뿔대(46') 구간이 쉽게 파손으로 절단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장뿔대(46') 구간을 거푸집(60)의 양측 단부를 서로 접하여서 연결시켜 주는 내측공간에다, 상기 거푸집(60)의 일측에 관통되는 투입구(65)에 투입되는 시멘트몰탈(69)을 삽입시켜서 충만시켜 주되, 일정기간동안 양생함으로서 제공되는 연결장치로서, 상기 외장으로 피복되는 거푸집(60)의 내측공간에 충만된 시멘트 몰탈(69)의 양생된 충진으로, 이는 상기 거푸집(60)에 대한 내구성과 결속성의 보강이 제공되는 발명이다.
즉 상기 서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삼발이(44)의 뿔대(46)의 일측과 타측의 뿔대(46)에 연결되도록 만곡성 거푸집(60)을 서로 연결시켜 주되, 상기 만곡성 거푸집(60)의 일측에 관통되는 투입구(65)로 시멘트 몰탈(69)로 충진시켜서 구성되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만곡성거푸집(60)에 대한 구성은, 연결하려는 삼발이(44)의 뿔대(46)의 구조가 거의 상측 방향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구조로서, 이에 대한 완벽한 연결구조는 상기 수직상태의 뿔대(46)를 감싸주면서 원호형 구조로 만곡상태로 굽혀주도록 제공되는 구조로서, 이에 대한 여유로운 길이 즉 장척의 만곡성거푸집(60)을 제공하여 주되, 상기 만곡성거푸집(60)의 구조는 외압강도가 야호하면서 만곡성이 양호한 요철부(67)가 연속 반 복적으로 나선방향으로 일체되는 다면이 원저형의 구조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삼발이(44)의 뿔대(46)에 결합으로 고정되는 블록(30)이 파도의 흐름에 의한 굽힘성을 유연하게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굽힘성과 복원성이 보강도록 미도시된 스프링이 내장되면서 탄성재질인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유연성의 뿔대(46')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도5)
(실시예의 1)
본 발명에서는 연안지역의 바닷물이 잠기는 내수면 구간에서의 소파력을 보강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블록(80)의 구조에서 형성되는 이격공간에서의 어류에 대한 증식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하도록 삼발이(44)가 설치된 상측 구간의 내수면 구간을 어소구간으로 제공을 함과 동시에, 파도에 의한 이동하는 해수의 흐름을 저지하는 역할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삼발이(44)의 일측인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뿔대(46)의 몸체구간에서 고정되면서 연결되도록 서장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거푸집(60')을 상측구간인 해수의 수중구간으로 돌출시켜 준다.
또한 상기 거푸집(60')의 돌출된 구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외측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개의 관통구을 형성시켜 주되, 상기 관통구로 각각 관통되면서 돌출되는 지지관(70)(70')을 설치시켜 주고, 상기 지지관(70)(70')은 거푸집(60')의 외측 주위에 위치하면서 어류의 산란구간과 아울어 소파력이 보강되도록 파력저지대(73)을 묶어서 걸쳐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60')에 대한 구조는 가능한 원통형이면서 두께부위에 나선권회로 중공구(74)를 형성하는 지지벽(75)이 사선권회로 일체되는 합성수지제 나선관 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소파력 제공에 대한 굽힘응력의 제공으로 내구성 보강에 바람직하는 발명이다.(도7)
또한 상기 설명되는 양측 구간에 각각 구비되는 삼발이(44)의 뿔대(46)로 고정시켜서 연결로 일체되는 상기 만곡성거푸집(60)의 중간부에서 일측구간으로 돌출되면서 연결됨으로서 상기 만곡성거푸집(60)의 상측 구간에 대한 소파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하기 위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만곡성거푸집(60)의 일측에 별도의 거푸집(66)을 돌출시켜서 소파력을 보강시켜 주도는 블록(80)을 제공시켜 주고,
상기 블록(80)을 소파하려는 항만이나 연안지역(40)의 구간에 설치하여 주기 위한 면적에 맞추어서 좌우구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블록(80)을 설치하여 주 면서 서로 연결을 위하여, 상기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거푸집(66)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거푸집(68)을 연결시켜 주되, 상기 연결거푸집(68)의 일측에 구비하면서 관통되는 투입구(65')로 시멘트몰탈(69)을 충진시켜서 양생되도록 제공함으러서, 서로 연결되는 블록(80)의 거푸집의 내측 공간에 충진된 시멘트몰탈(69)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양생으로 굳어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도6,8)
도1,2는 종래에 사용되는 요부의 부분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부분 사용상태도
도4은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5는 도4에서 요부의 사용 상태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6는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8은 도6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연안지역 44. 삼발이 46. 뿔대 48. 연결구 49. 고정구
50. 제방 51.경사지 55. 고정핀 60. 거푸집 65,65'. 투입구
68. 연결거푸집 69. 시멘트 몰탈 70. 지지관 73. 파력저지구

Claims (4)

  1. 항만이나 연안지역(40)에서 외해에서 내해로 들이치는 파랑을 소파 할 수 있도록 방파제용 제방(50)의 기소(46)에 연결되는 해저(30)에 매설되도록 다수개의 뿔대(46)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소파 블록용 삼발이(44)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44)의 뿔대(46)의 일측에 연결구(48)와 타측에 고정구(49)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연결구(48)에 고정구(49)를 고정핀(55)으로 느슨하게 고정시켜서 구비되는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삼발이(44)의 뿔대(46)의 일측과 타측의 뿔대(46)에 연결되도록 만곡성 거푸집(60)을 서로 연결시켜 주되, 상기 만곡성 거푸집(60)에는 투입구(65)로 시멘트 몰탈(69)로 충진시켜 구성되는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3. 제1랑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44)의 일측의 뿔대(46)에 연결되도록 거푸집(60')을 돌출시켜 주되, 상기 거푸집(60')의 돌출된 구간에는 관통으로 돌출되는 지지관(70)(70')에 파력저지대(73)을 걸쳐서 소파력 보강을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성거푸집(60)의 일측에 별도의 거푸집(66)을 돌출시켜서 소파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고,
    상기 거푸집(66)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거푸집(68)을 연결시켜 주되, 투입구(65')로 시멘트몰탈(69)을 충진시켜서 양생되도록 제공되는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KR1020110074577A 2011-07-26 2011-07-26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KR101700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577A KR101700738B1 (ko) 2011-07-26 2011-07-26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577A KR101700738B1 (ko) 2011-07-26 2011-07-26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895A true KR20130012895A (ko) 2013-02-05
KR101700738B1 KR101700738B1 (ko) 2017-02-01

Family

ID=4789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577A KR101700738B1 (ko) 2011-07-26 2011-07-26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45B1 (ko) * 2013-05-08 2013-11-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구조물용 거푸집
KR102042736B1 (ko) * 2019-04-29 2019-11-08 이요섭 분절형 소파블록, 그 거치 방법 및 소파 구조물
KR20210054713A (ko) * 2019-11-06 2021-05-14 최경우 테트라포드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603U (ko) * 1998-05-01 1999-12-06 양원회 방파제 피복블럭 연결구조
JP2002348836A (ja) * 2001-01-17 2002-12-04 Genkai Ryo 防波堤被覆用消波ブロック
KR100761966B1 (ko) * 2007-06-01 2007-10-0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 포드 및 그것을 이용한침식방지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603U (ko) * 1998-05-01 1999-12-06 양원회 방파제 피복블럭 연결구조
JP2002348836A (ja) * 2001-01-17 2002-12-04 Genkai Ryo 防波堤被覆用消波ブロック
KR100761966B1 (ko) * 2007-06-01 2007-10-0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 포드 및 그것을 이용한침식방지구조물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45B1 (ko) * 2013-05-08 2013-11-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구조물용 거푸집
KR102042736B1 (ko) * 2019-04-29 2019-11-08 이요섭 분절형 소파블록, 그 거치 방법 및 소파 구조물
WO2020222479A1 (ko) * 2019-04-29 2020-11-05 이요섭 분절형 소파블록, 그 거치 방법 및 소파 구조물
KR20210054713A (ko) * 2019-11-06 2021-05-14 최경우 테트라포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738B1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2759T3 (es) Estructuras de espigon permanente y semi-permanente y metodo para recuperacion del litoral y su tierra.
US7942607B2 (en) Underwater tunnel
AU2014200674B2 (en) Submarine construction for tsunami and flooding protection, for tidal energy and energy storage, and for fish farming
CN104234001B (zh) 潮汐响应式屏障
US6027285A (en) Mat installation
BR112021014346A2 (pt) Método de construção de uma estrutura de bloco de concreto subaquática
EP1105580B1 (en) Method of forming an artificial reef unit
US8979427B2 (en) Coastal recovery utilizing repositionable shoal module
US8052348B2 (en) Erosion control system
KR20130012895A (ko)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GB2583105A (en) Breakwater
US9279223B2 (en) Sand retention system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KR101738465B1 (ko)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소파 방지를 위한 블럭
JP4502268B2 (ja) 護岸ブロック及び海底面保護構造体
US20150225915A1 (en) Device and Method for Keeping Channels Clear of Silt
CN203256673U (zh) 一种防护勾连体及由其组成的堆砌空间结构
CN203256670U (zh) 一种防护勾连体及由其组成的堆砌空间结构
JP2007113261A (ja) 起立姿勢保持機構を備える止水施設
KR100665013B1 (ko) 해안방호시설
US8517631B1 (en) Shoreline erosion mitigation device
CN203256690U (zh) 一种防护勾连体及由其组成的堆砌空间结构
KR101019145B1 (ko)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RU2478750C2 (ru) Защитная гибкая секционная дамба
US20120321388A1 (en) Coastal recovery utilizing repositionable shoal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