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713A - 테트라포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테트라포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713A
KR20210054713A KR1020190140698A KR20190140698A KR20210054713A KR 20210054713 A KR20210054713 A KR 20210054713A KR 1020190140698 A KR1020190140698 A KR 1020190140698A KR 20190140698 A KR20190140698 A KR 20190140698A KR 20210054713 A KR20210054713 A KR 20210054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pod
insertion space
connector
assembly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148B1 (ko
Inventor
최경우
Original Assignee
최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우 filed Critical 최경우
Priority to KR102019014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1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중앙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뿔대 형상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다리부를 갖는 테트라포드; 일측은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제1 커넥터; 및 일측은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의 3개의 상기 다리부가 연결된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중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것인 테트라포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트라포드 조립체{TETRAPOD ASSEMBLY}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시 안전하며, 설치 작업이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테트라포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트라포드(TETRAPOD)는 4개의 뿔 모양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의 구조물로, 거센 파도의 힘을 소멸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항만의 외곽에 복수개의 테트라포드를 상이한 각도로 취합시켜 둑의 형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은 바닷가 해안 방파제에 설치된 테트라포드는 파도의 에너지를 감소 흡수하면서 파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고, 수중에는 고기들이 은신하기 좋은 해초류 서식지 환경을 형성하여, 각종 어종 고기들과 조개류, 게 등의 저서생물들이 모여 살아가는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테트라포드는 하천 상류의 계류에 토사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방댐, 바닥막이공, 바닥다지기공 등 횡단구조물로도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사방댐은 대형 구조물로 주변의 자연경관을 훼손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테트라포드는 일정 크기 이상을 갖는 대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짐에 따라 테트라포드의 설치 작업에 위험성이 높고, 설치 작업 과정 역시 어려운 문제가 많다.
따라서, 테트라포드의 설치 작업시 안전하며,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테트라포트 설치 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241240호(2013.03.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설치 작업시 안전하며, 설치 작업이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테트라포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중앙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뿔대 형상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다리부를 갖는 테트라포드; 일측은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제1 커넥터; 및 일측은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의 3개의 상기 다리부가 연결된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중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것인 테트라포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다리부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중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다리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형성된 중공을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으로 상기 다리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 공간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타측으로 상기 다리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 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공간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삽입 공간부의 높이보다 더 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테트라포드의 조립시, 상기 제1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테트라포드는 상기 제2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테트라포드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공간부와 상기 제2 삽입 공간부는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일측에는 상기 다리부가 삽입되는 체결 공간부가 형성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트라포드의 3개의 상기 다리부가 연결된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안착 지지면, 제2 안착 지지면 및 제3 안착 지지면이 연결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단부 테두리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포드의 가로,세로 및 높이는 각 300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조립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트라포드 조립체는 이웃하는 테트라포드를 조립하기 위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구비되어, 최종적으로 조립되는 테트라포드 조립체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테트라포드 조립체에 구비되는 테트라포드의 가로, 세로 및 높이는 300mm 이하의 소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종래의 대형의 테트라포드에 비해 중량이 가볍다. 따라서, 테트라포드 조립체의 설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설치 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소형의 테트라포드는 종래 대형의 테트라포드에 비해 운반이 편리하고, 설치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시공비를 줄일 수 있다. 즉, 별도의 중장비 없이도 요구하는 형상의 테트라포드 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조립된 테트라포드 조립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1 내지 도 3은 테트라포드(100)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조립된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를 보여주는 예로,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형상 및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조립되는 동일한 형태의 테트라포드(100)를 제1 테트라포드(110), 제2 테트라포드(120) 및 제3 테트라포드(130)로 구분지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는 테트라포드(100), 제1 커넥터(200) 및 제2 커넥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트라포드(100)는 종래의 테트라포드와는 달리 소형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테트라포드(100)의 가로, 세로 및 높이는 각 300mm 이하의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테트라포드(100)의 크기는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된 크기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에 구비되는 테트라포드(100)는 가로, 세로 및 높이가 300mm 이하인 소형의 테트라포드(100)가 이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테트라포드(100)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100)는 예로, 종래의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버려지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테트라포드(100)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버려지는 콘크리트를 사용한다면 폐기물 처리비용을 줄일 수도 있고, 제품의 생산원가 절감 및 오염 침출수를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형의 테트라포드(100)는 예를 들어 내부가 비어있는 PET 용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는 등, 테트라포드(100)의 제조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테트라포드(100)는 중앙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뿔대 형상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다리부(105)가 구비된다. 이러한 테트라포드(100)는 중앙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다리부(101), 제2 다리부(102), 제3 다리부(103) 및 제4 다리부(104)가 방사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1 다리부(101), 제2 다리부(102), 제3 다리부(103) 및 제4 다리부(104)는 테트라포드(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출된 방향만 다를 뿐,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다리부(101), 제2 다리부(102), 제3 다리부(103) 및 제4 다리부(104)의 단부 테두리에는 테이퍼부(106)가 형성된다. 이러한 테이퍼부(106)는 예를 들어, 다리부(105)와 제1 커넥터(200)와의 조립시, 지지부(220)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넥터(200)는 제1 몸체부(210)와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몸체부(210)는 제1 커넥터(200)의 외형을 이룬다. 이와 같은 제1 몸체부(210)는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제1 몸체부(210)에는 중공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몸체부(2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는 다리부(105)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테트라포드(100)는 제1 커넥터(200)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20)는 제1 몸체부(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제1 몸체부(2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220)는 제1 몸체부(210)에 형성된 중공을 제1 삽입 공간부(211)와 제2 삽입 공간부(212)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즉, 지지부(220)는 제1 몸체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삽입 공간부(211)와, 제1 몸체부(21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삽입 공간부(212)를 구획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부(220)는 제1 삽입 공간부(211)와 제2 삽입 공간부(212)가 연통되도록 제1 몸체부(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220)는 제1 삽입 공간부(211) 또는/및 제2 삽입 공간부(212)로 삽입되는 다리부(105)의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106)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삽입 공간부(211) 또는/및 제2 삽입 공간부(212)로 삽입되는 다리부(105)의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106)는 지지부(220)와 맞닿은 상태로 지지부(220)에 견고히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20)에 의해 구획된 제1 삽입 공간부(211)와 제2 삽입 공간부(212)의 높이는 서로 다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삽입 공간부(211)의 높이(D1)가 제2 삽입 공간부(212)의 높이(D2)보다 더 낮도록 이루어진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삽입 공간부(211)의 높이(D1)가 제2 삽입 공간부(212)의 높이(D2)보다 더 낮도록 이루어진 경우, 제1 삽입 공간부(211)에 삽입되는 테트라포드(100)는 제2 삽입 공간부(212)에 삽입되는 테트라포드(100)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개의 테트라포드(100)가 상부로 적층됨에 있어, 상부에 배치되는 테트라포드(100)와 하부에 배치되는 테트라포드(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테트라포드(120)의 다리부(105)가 제1 삽입 공간부(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삽입 공간부(212)에 제3 테트라포드(130)의 다리부(105)가 삽입된 경우, 제3 테트라포드(130)는 자체 중량에 의해 제1 커넥터(200)를 누르게 된다. 이때, 제3 테트라포드(130)에 의해 눌려지는 제1 커넥터(200)의 하부는 제2 테트라포드(120)의 다리부(105)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다. 즉, 제1 삽입 공간부(211)의 높이(D1)가 제2 삽입 공간부(212)의 높이(D2)보다 낮게 형성되되더라도 제1 삽입 공간부(211)에 삽입되는 제2 테트라포드(120)는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제3 테트라포드(130)에 의해 제1 커넥터(200)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삽입 공간부(212)에 삽입되는 제3 테트라포드(130)는 제2 삽입 공간부(212)의 높이(D2)가 제1 삽입 공간부(211)의 높이(D1)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제1 커넥터(2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200)로부터 상, 하로 적층되는 테트라포드(100)는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 공간부(211)와 제2 삽입 공간부(212)는 연통 형성됨에 따라 제1 삽입 공간부(211)에 삽입되는 제2 테트라포드(120)의 다리부(105)의 단부와 제2 삽입 공간부(212)에 삽입되는 제3 테트라포드(130)의 다리부(105)의 단부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 공간부(211)의 높이(D1)와 제2 삽입 공간부(212)의 높이(D2)는 하나의 예일뿐, 반드시 제1 삽입 공간부(211)의 높이(D1)가 제2 삽입 공간부(212)의 높이(D2)보다 반드시 더 낮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삽입 공간부(211)의 높이(D1)와 제2 삽입 공간부(212)의 높이(D2)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커넥터(300)는 제2 몸체부(310)와 안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몸체부(310)는 제2 커넥터(3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제2 몸체부(310)의 일측에는 테트라포드(100)의 다리부(105)가 삽입되는 체결 공간부(3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을 위한 테트라포드(100)의 다리부(105)는 체결 공간부(311)에 삽입 결합되어, 이웃하는 테트라포드(100)와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몸체부(310)의 타측에는 안착부(3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부(320)는 제1 안착 지지면(321), 제2 안착 지지면(322) 및 제3 안착 지지면(32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안착 지지면(321), 제2 안착 지지면(322) 및 제3 안착 지지면(323)은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안착 지지면(321), 제2 안착 지지면(322) 및 제3 안착 지지면(323)은 테트라포드(100)의 3개의 다리부(105)가 연결된 다리부(105)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예를 들면 제1 안착 지지면(321), 제2 안착 지지면(322) 및 제3 안착 지지면(323)은 제1 다리부(101), 제2 다리부(102) 및 제3 다리부(103)의 외측면과 각각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테트라포드(100)의 조립시 제1 다리부(101), 제2 다리부(102) 및 제3 다리부(103)의 외측면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안착 지지면(321), 제2 안착 지지면(322) 및 제3 안착 지지면(323)은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테트라포드(110)의 다리부(105)가 제2 커넥터(300)의 체결 공간부(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커넥터(300)의 안착부(320)는 상부에 배치된 제2 테트라포드(120)의 제1 다리부(101), 제2 다리부(102) 및 제3 다리부(103)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조립된 테트라포드 조립체를 보여주는 예시도로,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는 제1 커넥터(200)와 제2 커넥터(300)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은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로부터 조립된 구조물의 몇가지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로부터 조립되는 구조물의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형상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는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수직구조물 구축을 통해 건축의 수직 벽체로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의 테트라포드(100)는 기존 방파제 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용도로 이용하여, 기존 방파제에서 발생되던 낙하 사고을 방지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크기만 다르고 형태와 재료가 동일하여 기존의 방파제와 이질감없이 병행 설치 가능하다.
또한, 도 7의 (g)에서와 같이, 소형의 테트라포드(100)는 파렛트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복수개의 테트라포드(100)를 간편하게 운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로부터 조립된 구조물은 사방댐, 계류보전, 화단석 및 경계석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조립체(1000)는 상기에서 언급된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테트라포드
101: 제1 다리부
102: 제2 다리부
103: 제3 다리부
104: 제4 다리부
105: 다리부
106: 테이퍼부
110: 제1 테트라포드
120: 제2 테트라포드
130: 제3 테트라포드
200: 제1 커넥터
210: 제1 몸체부
211: 제1 삽입 공간부
212: 제2 삽입 공간부
220: 지지부
300: 제2 커넥터
310: 제2 몸체부
311: 체결 공간부
320: 안착부
321: 제1 안착 지지면
322: 제2 안착 지지면
323: 제3 안착 지지면
1000: 테트라포드 조립체

Claims (7)

  1. 중앙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뿔대 형상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다리부를 갖는 테트라포드;
    일측은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제1 커넥터; 및
    일측은 상기 테트라포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다리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의 3개의 상기 다리부가 연결된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이웃하는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중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테트라포드를 조립하는 것인 테트라포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다리부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중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다리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형성된 중공을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으로 상기 다리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 공간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타측으로 상기 다리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 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공간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삽입 공간부의 높이보다 더 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테트라포드의 조립시, 상기 제1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테트라포드는 상기 제2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테트라포드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공간부와 상기 제2 삽입 공간부는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일측에는 상기 다리부가 삽입되는 체결 공간부가 형성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트라포드의 3개의 상기 다리부가 연결된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안착 지지면, 제2 안착 지지면 및 제3 안착 지지면이 연결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단부 테두리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포드의 가로, 세로 및 높이는 각 300mm 이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조립체.
KR1020190140698A 2019-11-06 2019-11-06 테트라포드 조립체 KR102316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98A KR102316148B1 (ko) 2019-11-06 2019-11-06 테트라포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98A KR102316148B1 (ko) 2019-11-06 2019-11-06 테트라포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713A true KR20210054713A (ko) 2021-05-14
KR102316148B1 KR102316148B1 (ko) 2021-10-22

Family

ID=7591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698A KR102316148B1 (ko) 2019-11-06 2019-11-06 테트라포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1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691U (ko) * 1994-08-22 1996-03-15 자동차용 클립부착식 엠블렘
JPH0874224A (ja) * 1994-09-07 1996-03-19 Tetra:Kk 四脚消波ブロックの転置装置
JP2000129651A (ja) * 1998-10-23 2000-05-09 Nippon Conveyor Co Ltd ブロック
KR20130012895A (ko) * 2011-07-26 2013-02-05 민승기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KR101241240B1 (ko) 2010-07-08 2013-03-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테트라포드
KR101334545B1 (ko) * 2013-05-08 2013-11-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구조물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691U (ko) * 1994-08-22 1996-03-15 자동차용 클립부착식 엠블렘
JPH0874224A (ja) * 1994-09-07 1996-03-19 Tetra:Kk 四脚消波ブロックの転置装置
JP2000129651A (ja) * 1998-10-23 2000-05-09 Nippon Conveyor Co Ltd ブロック
KR101241240B1 (ko) 2010-07-08 2013-03-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테트라포드
KR20130012895A (ko) * 2011-07-26 2013-02-05 민승기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KR101334545B1 (ko) * 2013-05-08 2013-11-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구조물용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148B1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3160C2 (ru) Пластиковый блок инфильтрации,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множество пластиковых блоков инфильтрации
JP2006214103A (ja) 桝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JP5496121B2 (ja) 貯水空間形成ブロック
KR20210054713A (ko) 테트라포드 조립체
KR20180015432A (ko) 서식공간이 구비된 어초블록
JP2014530975A (ja) 捨石が除去された防波堤構造物
KR101168833B1 (ko) 케이슨 방파제, 그 케이슨 방파제 구축용 케이슨유닛, 및 그 케이슨 방파제의 제조방법
KR20160108257A (ko) 방파제 단위모듈,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27034B1 (ko) 폐전주를 이용한 다기능 밴드어초
KR200389607Y1 (ko) 복합형 경사어초
JP2006345721A (ja) 餌料生物増殖構成体、餌料生物増殖装置及び集魚装置
JP5783916B2 (ja) 貯水空間形成ブロック
JP4638502B2 (ja) 魚類の生態環境改善用鋼製魚礁
WO2013054183A1 (fr) Module d'habitation pour la protection de post-larves notamment dans des infrastructures portuaires
JP2006075102A (ja) 海中林構造体
KR200372881Y1 (ko) 고기능성 강제어초
JP6512427B2 (ja) 浮体式構造物の基礎構造の施工方法
KR101825084B1 (ko) 서식공간을 갖는 어초블록의 적층방법
JPH0224565B2 (ko)
KR102435813B1 (ko) 국지적인 해안침식을 저감하기 위한 투과성 호형 수중 방파제
KR100580547B1 (ko)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KR10141365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갖는 방파제 구조물
KR101190723B1 (ko) 슬릿형 수중의 소파구조물
KR200389608Y1 (ko) 복합형 어초
KR102081874B1 (ko) 경량 개비온 옹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