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547B1 -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 Google Patents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547B1
KR100580547B1 KR1020040083070A KR20040083070A KR100580547B1 KR 100580547 B1 KR100580547 B1 KR 100580547B1 KR 1020040083070 A KR1020040083070 A KR 1020040083070A KR 20040083070 A KR20040083070 A KR 20040083070A KR 100580547 B1 KR100580547 B1 KR 10058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constituting
forced reef
sandwic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970A (ko
Inventor
홍성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프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프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프티맥스
Priority to KR102004008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5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강제어초로서, 본 발명의 강제어초(300)는, 서로 다른 크기의 사각형태로 구성된 베이스부 2개를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하단을 구성하는 사각뿔대형 구조물(100A)과, 사각뿔대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동일 크기를 갖는 베이스부를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중단을 구성하는 육면체형 구조물(200), 및 육면체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베이스부를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상단을 구성하는 다른 사각뿔대형 구조물(10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각뿔대형 구조물과 다면체형 구조물을 기반으로 저층에서 고층에 이르기까지 그 높낮이를 편리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층이나 고층에 무관하게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샌드위치형 강제어초{Sandwich Type Steel Artificial Reef}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저층 강제어초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층 강제어초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한 샌드위치형 강제어초의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를 구성하는 사각뿔대형 구조물 및 육면체형 구조물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형 강제어초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각뿔대형 구조물 110 : 하단부
120 : 상단부 130 : 연결부
200 : 육면체형 구조물 210 : 하단부
220 : 상단부 230 : 연결부
300 :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본 발명은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강제어초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각뿔대형 구조물과 다면체형 구조물을 기반으로 저층에서 고층에 이르기까지 그 높낮이를 편리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라 함은 연안어장의 수산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하는 인공적인 구조물이다. 인공어초는 최초 폐선박을 침몰시키거나 지상 구조물을 바다에 투하하여 서식공간을 조성한 것에서부터 서식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육면체형, 원통형, 요철형 구조물로 설계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왔다. 인공어초를 만드는 재료도 다양하여 콘크리트, 폐타이어, 강재 등을 이용한 것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어초의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은 뛰어나나, 중량 등의 측면을 고려해볼 때 고층어초를 제작하는데 부적합하고, 그 구조가 반구형, 상자형 등으로 단순하게 제작될 수밖에 없어 복잡한 내부공간 형성에 미흡할 뿐만 아니라, 백화현상으로 인해 오히려 바다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폐타이어 를 이용한 어초의 경우에도 재활용의 측면만이 고려되었을 뿐 그 형상 자체의 변형이 어려워 어초의 제기능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콘크리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 복잡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어류서식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는 강제어초가 많이 제작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저층 강제어초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a는 상자형 저층 강제어초를 나타내고, 도 1b는 2단 상자형 저층 강제어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층 강제어초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2a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7824호에 기술된 고층 강제어초를 나타내고, 도 2b는 일본 실원평6-11864호에 기술된 고층 강제어초를 나타내며, 도 2c는 일본 특개평8-289695호에 기술된 고층 강제어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강제어초는 설치하고자 하는 수심에 적합하도록 그 높낮이를 비롯한 구조설계를 통해 제작한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강제어초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구조설계를 각각 해야만 한다. 즉, 종래에는 각각의 강제어초를 제작하는데 서로 연관성이 없어 설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층 강제어초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각뿔대형 구조물과 다면체형 구조물을 기반으로 저층에서 고층에 이르기까지 그 높낮이를 편리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층이나 고층에 무관하게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제어초는, 다수개의 수평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다각형태의 테두리를 이루는 다수개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상하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서로 다른 크기의 다각형태로 구성된 상기 베이스부 2개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하단을 구성하는 다각뿔대형 구조물과, 상기 다각뿔대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동일 크기를 갖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중단을 구성하는 다면체형 구조물, 및 상기 다면체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상단을 구성하는 다른 다각뿔대형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한 샌드위치형 강제어초의 형태에 대해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한 샌드위치형 강제어초의 형태를 나타낸 개념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10)는 하단 및 상단에 다각뿔대형 구조물(11, 13)이 각각 위치하고 그 사이에 육면체형 구조물(12)이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때, 각 구조물(11, 12, 13)은 가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관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는 최상하단에 다각뿔대형 구조물이 각각 위치하고 그 사이에 1개 이상의 육면체형 구조물 및/또는 사각뿔대형 구조물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편리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양한 크기별로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 때에도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는 각 구조물들이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관계를 갖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도 3에서는 사각뿔대형 및 육면체형 구조물을 일례로 하여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뿔대형을 구성하는 정삼각뿔대형, 정오각뿔대형, 정칠각뿔대형 및 정팔각뿔대형 등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다면체형을 구성하는 정삼각면체형, 정오각면체형, 정칠각면체형 및 정팔각면체형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와 같은 개념을 적용한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를 구성하는 각 구조물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4a는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를 구성하는 사각뿔대형 구조물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뿔대형 구조물(100)은 일정크기의 사각형태를 갖는 하단부(110)와, 하단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사각형태를 갖는 상단부(120)와, 하단부(110)와 상단부(120)를 일정 상하간 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30)로 구성된다. 이 때, 하단부(110)와 상단부(120)는 베이스부의 역할을 한다.
하단부(1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제1 수평부재(111)를 사각형태로 용접하여 사각 테두리를 구성하고, 사각 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중심에서 테두리를 향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는 다수개의 보부재(112)를 포함한다. 이 때, 사각 테두리의 중심, 즉 보부재(112)의 한 쪽 끝단이 모이는 부위에는 연결부재(114)가 위치한다. 따라서 다수개의 보부재(112)는 그 한 쪽 끝단이 연결부재(114)의 둘레를 따라 각각 고정되고, 다른 끝단이 방사형으로 사각 테두리를 구성하는 제1 수평부재(111)에 고정된다. 이 때, 보부재(112)의 다른 끝단은 사각 테두리의 코너와 제1 수평부재(111)의 길이방향 중앙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하단부(110)에는 제1 수평부재(111)가 서로 접합되는 사각 테두리의 4곳의 코너 및 4개의 제1 수평부재(111)의 중앙과 연결부재(114)를 서로 연결하는 8개의 보부재(112)가 사용된다. 그러나 하단부(110)에서 보부재(112)의 개수는 큰 의미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단부(110)에는 8개의 보부재(112)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내측 사각 테두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제2 수평부재(113)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하단부(110)는 중심이 되는 연결부재(114)를 기준으로 크기가 다른 2개의 사각 테두리가 형성되고, 이들 사각 테두리의 코너 및 각 수평부재(111, 113)의 중앙과 연결부재(114)를 보부재(112)로 방사형으로 연결하는 안정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 때, 8개의 보부재(112)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다른 수평부재를 통해 내측 사각 테두리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단부(110)를 구성하는 수평부재(111, 113) 및 보부재(112)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결합이 용이하며 강도가 우수한 H형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부(120)는 그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내측 사각 테두리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단부(11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단부(120)는 사각 테두리를 각각 구성되는 다수개의 수평부재(121)와, 수평부재(121)가 서로 접합되는 사각 테두리의 코너 및 수평부재(121)의 중앙과 연결부재(123)를 방사형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부재(1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단부(120)는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이 때, 상단부(120)의 사각 테두리와 하단부(110)의 내측 사각 테두리가 동일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단부(120)를 구성하는 수평부재(121) 및 보부재(122)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결합이 용이하며 강도가 우수한 H형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부(120)는 다수개의 보부재(122)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내측 사각 테두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다른 수평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연결부(130)는 하단부(110)와 상단부(120)를 일정 상하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하단부(110)와 상단부(120)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부재(131)와, 하단부(110)와 상단부(120)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재(132), 및 수직부재(131)들의 사이에서 인접하는 수직부재(131)와 상하단부(120, 110)를 서로 연결하는 격자부재(133)로 구성된다.
이 때, 수직부재(131)는 상단부(120)의 사각 테두리의 코너 및 수평부재(121)의 중앙과, 하단부(110)의 내측 사각 테두리의 코너 및 제2 수평부재(113)의 중앙을 서로 수직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부(130)에는 8개의 수직부재(131)가 사용된다. 그리고 경사부재(132)는 상단부(120)의 사각 테두리의 코너 및 수평부재(121)의 중앙과, 하단부(110)의 외측 사각 테두리의 코너 및 제1 수평부재(111)의 중앙 및 양 일측을 서로 경사지게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부(130)에는 16개의 경사부재(132)가 사용된다. 그러나 연결부(130)에서 수직부재(131) 및 경사부재(132)의 개수는 큰 의미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31)는 하중(유체력)이 작게 작용하고 조류의 흐름을 거의 방해하지 않는 원형 파이프를 이용하고, 경사부재(132)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H형강을 이용하며, 격자부재(133)는 상호간의 원활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사각뿔대형 구조물(100)은 연결부재(123)를 가상의 중심축으로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대칭구조를 가지며, 또한 연결부재(123)를 기준으로 하단부(110) 및 상단부(120)의 보부재(112, 122)가 방사형으로 배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각뿔대형 구조물(100)은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도 4b는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를 구성하는 육면체형 구조물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면체형 구조물(200)은 하단부(210)와 상단부(220)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며, 그에 따라 연결부 (230)가 다르게 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사각뿔대형 구조물(100)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육면체형 구조물(200)은 하단부(210)와 상단부(220)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부(230)는 하단부(210)와 상단부(220)의 외측 및 내측 사각 테두리를 수직으로 각각 연결하는 제1, 제2 수직부재(231, 232)와, 제1, 제2 수직부재(231, 232)들의 사이에서 인접하는 제1, 제2 수직부재(231, 232)와 상하단부(220, 210)를 서로 각각 연결하는 제1, 제2 격자부재(233, 234)로 구성된다. 즉, 제1 수직부재(231)는 상하단부(220, 210)의 외측 사각 테두리의 코너 및 제1 수평부재(221, 211)의 중앙을 서로 수직하게 연결하고, 제2 수직부재(232)는 상하단부(220, 210)의 내측 사각 테두리의 코너 및 제2 수평부재(223, 213)의 중앙을 서로 수직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육면체형 구조물(200)은 연결부재(224)를 가상의 중심축으로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대칭구조를 가지며, 또한 연결부재(224)를 기준으로 하단부(210) 및 상단부(220)의 보부재(212, 222)가 방사형으로 배열 구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육면체형 구조물(200)은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물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형 강제어초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형 강제어초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300)는 크기가 다른 사각뿔대형 구조물(100, 100A)의 사이에 육면체형 구조물(200)이 배열되는 1단 샌드위치 형태로 구성된다. 이 때, 사각뿔대형 구조물(100)은 도 4a의 구조물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다른 사각뿔대형 구조물(100A)은 도 4a의 구조물(100)과 동일 개념으로 구성하되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들이 추가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육면체형 구조물(200)은 도 4b의 구조물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300)는 사각뿔대형 구조물(100, 100A)의 사이에 육면체형 구조물(200)이 배열되는 샌드위치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사각 테두리가 상하로 서로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300)는 상하로 접하는 사각 테두리의 어느 한 쪽을 제거하여 한 개의 사각 테두리에 의해 상하단이 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400)는 도 5와 같이 구성되는 강제어초(300)의 상단에 육면체형 구조물(200A)과 사각뿔대형 구조물(100B)을 순차적으로 더 적층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400)는 제일 하단과 상단에 사각뿔대형 구조물이 각각 위치하고, 그 사이에 육면체형 구조물 및 다른 사각뿔대형 구조물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2단 샌드위치 형태를 갖는다.
이 때, 육면체형 구조물(200A)은 도 4b의 구조물(200)과 동일 개념으로 구성하되 그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들이 제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사각뿔대형 구조물(100B)은 도 4a의 구조물(100)과 동일 개념으로 구성하되 그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들이 제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400)는 제1 실시예의 강제어초(300)와 같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사각 테두리가 상하로 서로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400)는 상하로 접하는 사각 테두리의 어느 한 쪽을 제거하여 한 개의 사각 테두리에 의해 상하단이 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500)는 도 6과 같이 고층 강제어초(400)의 상단부위에 위치하는 육면체형 구조물(200A)을 다수개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제일 상단에 사각뿔대형 구조물(100B)을 적층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500)는 제일 하단과 상단에 사각뿔대형 구조물이 각각 위치하고, 그 사이에 다수개의 육면체형 구조물 및 다른 한 개의 사각뿔대형 구조물이 위치함으로써 중간부위가 긴 2단 샌드위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500)는 제2 실시예의 강제어초(400)와 같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사각 테두리가 상하로 서로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고층 강제어초(500)는 상하로 접하는 사각 테두리의 어느 한 쪽을 제거하여 한 개의 사각 테두리에 의해 상하단이 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4a에 도시된 사각뿔대형 구조물(100)과 도 4b에 도시된 육면체형 구조물(200)을 기본적 구성으로 하되, 최상하단에 다각뿔대형 구조물이 각각 위치하고 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육면체형 구조물 및/또는 사각뿔대형 구조물이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단에 다각뿔대형 구조물(100, 100A)이 각각 위치하고 그 사이에 1개의 육면체형 구조물(200)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도 5와 같은 1단 샌드위치형 강제어초(300)가 완성되고, 1단 샌드위치형 강제어초(300)의 상단에 1개의 육면체형 구조물(200A) 및 1개의 다각뿔대형 구조물(100B)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도 6과 같은 2단 샌드위치형 강제어초(400)가 완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1단 샌드위치형 강제어초(300)의 상단에 다수개의 육면체형 구조물(200A) 및 1개의 다각뿔대형 구조물(100B)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도 7과 같이 중간부위가 긴 2단 샌드위치형 강제어초(500)가 완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리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양한 크기별로 다단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를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는 각 구조물들이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관계를 갖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각뿔대형 구조물과 다면체형 구조물을 기반으로 저층에서 고층에 이르기까지 그 높낮이를 편리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층이나 고층에 무관하게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샌드위치형 강제어초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강제어초로서,
    다수개의 수평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다각형태의 테두리를 이루는 다수개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상하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서로 다른 크기의 다각형태로 구성된 상기 베이스부 2개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하단을 구성하는 다각뿔대형 구조물과,
    상기 다각뿔대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동일 크기를 갖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중단을 구성하는 다면체형 구조물, 및
    상기 다면체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상단을 구성하는 다른 다각뿔대형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다각뿔대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동일 크기를 갖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구성하는 다른 다면체형 구조물과, 상기 다른 다면체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최상단을 구성하는 또다른 다각뿔대형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다각뿔대형 구조물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동일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부를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로 순차적으로 상하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다른 다면체형 구조물들과, 상기 다른 다면체형 구조물들의 상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연결부로 상하 연결하여 최상단을 구성하는 또다른 다각뿔대형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뿔대형 구조물은 사각뿔대형 구조물이고, 상기 다면체형 구조물은 육면체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부위에서 테두리를 향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는 다수개의 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다수개의 보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한 개의 이상의 내측 테두리를 더 구성하는 다수개의 다른 수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KR1020040083070A 2004-10-18 2004-10-18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KR10058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70A KR100580547B1 (ko) 2004-10-18 2004-10-18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70A KR100580547B1 (ko) 2004-10-18 2004-10-18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391U Division KR200372882Y1 (ko) 2004-10-18 2004-10-18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970A KR20060033970A (ko) 2006-04-21
KR100580547B1 true KR100580547B1 (ko) 2006-05-23

Family

ID=3714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070A KR100580547B1 (ko) 2004-10-18 2004-10-18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5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970A (ko) 200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25336A (ja) 箱網
KR101836995B1 (ko) 서식공간이 구비된 어초블록
KR100580546B1 (ko) 고기능성 강제어초
KR100580547B1 (ko)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KR200372882Y1 (ko) 샌드위치형 강제어초
WO2009064085A1 (en) The artificial fish reef
JP4638502B2 (ja) 魚類の生態環境改善用鋼製魚礁
KR200372881Y1 (ko) 고기능성 강제어초
KR100580544B1 (ko)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강제어초 및 그 제작방법
KR200372879Y1 (ko)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강제어초
KR200372880Y1 (ko) 어류의 생태환경을 개선한 기능성 강제어초
KR100927034B1 (ko) 폐전주를 이용한 다기능 밴드어초
JPH0645449U (ja) 人工魚礁
CN216674320U (zh) 钢筋珊瑚礁体结构
KR100474559B1 (ko) 폐 콘크리트 침목과 형강을 이용한 인공어초
KR200335773Y1 (ko) 어패류용 세라믹 인공어초
CN219593402U (zh) 一种井字型堆积的鱼礁组合件
JP3605396B2 (ja) 間伐材取替式海中林魚礁
JPS60207535A (ja) 人工魚礁用八脚ブロツク
JP3010323B2 (ja) 組立型人工魚礁
KR200407507Y1 (ko) 피라미드형 인공산호초
KR200389608Y1 (ko) 복합형 어초
KR100729494B1 (ko)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한 인공어초
JP3181559U (ja) 屈曲可能に連結可能な魚礁ブロック
JPS62409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