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711U - 김 양식용 부구 - Google Patents

김 양식용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711U
KR20170003711U KR2020160002088U KR20160002088U KR20170003711U KR 20170003711 U KR20170003711 U KR 20170003711U KR 2020160002088 U KR2020160002088 U KR 2020160002088U KR 20160002088 U KR20160002088 U KR 20160002088U KR 20170003711 U KR20170003711 U KR 201700037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upport
fixed
seating groo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988Y1 (ko
Inventor
임종흥
Original Assignee
우성화학(주)
임종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화학(주), 임종흥 filed Critical 우성화학(주)
Priority to KR2020160002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8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구와 김발지지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고, 특히 부구연결로프로 각 부구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김발지지대로부터 부구가 분리된 경우에 발생되는 부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는, 김발을 지지하는 김발지지대(200)의 양측에 고정로프(250)로 고정된 상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일렬로 배치되고, 내부가 빈 수지재의 통체로 형성시켜 된 김 양식용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일측 외주면에는 2개의 상기 김발지지대(200)가 서로 나란하게 안착되도록 각각 안착홈(110)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0)의 양측으로는 상기 고정로프(250)를 통과시켜 부구에 김발지지대를 결박시키도록 고정로프연결고리(115)가 형성되며, 상기 부구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로프관통공(121)이 형성된 로프연결고리(120)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로프연결고리(120)에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부구를 서로 연결하도록 로프관통공(121)을 관통하여 부구연결로프(30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김 양식용 부구{A float for laver farming}
본 고안은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구와 김발지지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고, 특히 부구연결로프로 각 부구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김발지지대로부터 부구가 분리된 경우에 발생되는 부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재를 블로우성형한 형태의 부구는 실용신안등록 제186340호의 김 양식용 부통, 동 등록 제402698호의 김 양식용 부자, 동 등록 제408915호의 김 양식용 부구, 특허 제615435호의 어패류 양식용 개량 부자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부구에 있어서는 기존의 스티로폼 부구에 비하여 견고하고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아 청정한 김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점차적으로 그 사용비중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김 양식틀을 이루는 파이프나 대나무 등의 김발지지대를 부구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부구의 일측 외주면에 김발지지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로프로 결박하는 방법, 부구의 일측 외주면에 김발지지대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부구에 김발지지대를 로프로 결박하는 방법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436808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부구에 관통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의 양측에 김발지지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끈을 이용하여 돌출부에 김발지지대를 결박하는 방법으로 김발지지대를 부구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 결박방법은 부구에 김발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끈으로 고정함에 따라 파도 등의 외부 가압력에 의해 김발지지대가 부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부구의 일측 외주면에 김발지지대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408915호, 제0423890호, 0448423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들은 모두 부구에 김발지지대를 관통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결합부에 김발지지대를 관통시킨 후 볼트 등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김발지지대를 부구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방법은 부구에 필수적으로 볼트 등이 사용됨에 따라 쉽게 부식될 수 있고, 비용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한편, 상기한 기술들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부구와 김발지지대를 연결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으로써 파도 등에 의해 부구가 김발지지대와 분리된 경우에는 부구의 유실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 전무하였다.
따라서, 부구가 김발지지대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그대로 유실됨에 따라 부구의 재구매 등 유지를 위한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423호(2010.04.05, 김양식용 부구)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0408915호(2006.02.09, 김 양식용 부구)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0423890호(2006.08.07, 김양식용 부구)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0436808호(2007.09.27, 김 양식용 부구)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로프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부구연결로프로 각각의 부구를 서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부구가 김발지지대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부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를 제곰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슬립방지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부구의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김발지지대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안착홈에 고정로프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김발지지대의 접촉면적 증가로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며, 부구 외주면에 리브 및 고정로프결속홈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로프를 결속하도록 하면서도 리브에 의해 부구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김 양식용 부구를 제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는, 김발을 지지하는 김발지지대(200)의 양측에 고정로프(250)로 고정된 상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일렬로 배치되고, 내부가 빈 수지재의 통체로 형성시켜 된 김 양식용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일측 외주면에는 2개의 상기 김발지지대(200)가 서로 나란하게 안착되도록 각각 안착홈(110)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구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로프관통공(121)이 형성된 로프연결고리(120)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로프연결고리(120)에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부구를 서로 연결하도록 로프관통공(121)을 관통하여 부구연결로프(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110)의 표면에는 안착된 김발지지대(20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도록 논슬립 처리된 슬립방지패드(13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110)의 표면에는 상기 김발지지대(200)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로프(250)가 수용되어 상기 김발지지대(200)의 외면이 안착홈(110)에 면접하도록 고정로프수용홈(16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김 양식용 부구에 따르면, 로프연결고리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부구를 서로 연결할 수 있어 부구의 분리시 발생될 수 있는 부구의 유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슬립방지패드가 설치됨으로써 김발지지대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결합력 증대로 부구의 분리를 예방하여 유실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고정로프수용홈이 형성됨으로써 김발지지대의 결합상태에서 안착홈의 표면과 김발지지대의 접촉면적 증가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부구와 김발지지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리브 및 고정로프결속홈이 형성됨으로써 고정로프를 흔들림없이 부구에 결속할 수 있음은 물론, 부구에 리브형성으로 강도를 증가시켜 부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로프연결고리가 설치된 김 양식용 부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의 안착홈에 슬립방지패드가 설치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의 안착홈에 슬립방지패드가 설치되고 고정로프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의 외주면에 리브가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의 외주면에 고정로프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김발지지대가 설치된 김 양식용 부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발을 지지하는 김발지지대(200)의 양측에 고정로프(250)로 결합 고정된 상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일렬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김 양식용 부구는 내부가 빈 수지재의 통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김발지지대(200)의 결합을 위해 2개의 안착홈(110)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10)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김발지지대(200)가 서로 나란하게 안착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부구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측에 로프관통공(121)이 형성된 로프연결고리(120)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그 로프연결고리(120)의 로프관통공(121)에는 부구연결로프(300)가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로프관통공(121)은 상기 부구연결로프가 수평으로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로프연결고리(120)를 설치하고, 부구연결로프(300)로 관통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도 7과 같이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부구를 부구연결로프로 상호 연결시키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부구가 김발지지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바닷물에 의해 흘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부구의 분리시에도 부구연결로프에 의해 부구가 연결된 상태에 있게 하여 유실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종래 부구의 유실에 따른 부구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로프연결고리(120)는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예로서 도 1과 같이 부구의 일측면 일부분에 1개의 로프연결고리가 설치되고, 각 부구에 형성된 로프연결고리(120)에 부구연결로프가 관통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구연결로프(300)는 하나의 로프가 구비되어, 일렬로 배치된 모든 부구를 연결하여 김발의 처음과 끝부분에 각 단부를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2개 이상 구비하여 일정 구간마다(예로서 10개의 부구씩 연결) 각각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부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로프(250)를 부구에 연결시키도록 고정로프연결고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후술되는 이탈방지수단(고정로프결속홈, 고정로프삽입홈)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로프연결고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10)의 표면에는 표면이 논슬립 처리된 슬립방지패드(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논슬립방지패드(130)는 상기 안착홈(110)에 안착된 김발지지대(20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김발지지대(200)가 파도 등에 의해 손쉽게 분리되거나 이탈 또는 회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상기 김발지지대(200)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김발지지대(200)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로프(250)가 결속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로프(250)의 이탈방지수단의 예로서, 도 3과 같이, 상기 부구의 외주면에 그 부구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의 리브(140)를 형성하여 그 리브(140)의 사이에 상기 고정로프(250)가 결속되도록 고정로프결속홈(14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브(140)는 그 사에에 상기 고정로프결속홈을 형성하면서도 리브 자체로서 부구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바닷물에 의한 파손을 줄여주어 수명 연장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로프(250)의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 4와 같이 상기 부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로프(250)가 삽입 결속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 깊이로 고정로프삽입홈(15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부구의 성형시 그 부구 자체를 일정 깊이로 함몰시켜 상기 고정로프삽입홈(150)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안착홈(110)의 표면에는 상기 김발지지대(200)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로프(250)가 수용되도록 고정로프수용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로프가 김발지지대(200)를 감싸 고정한 상태에서는 안착홈의 표면에 고정로프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김발지지대(200)가 안착홈의 표면에 밀착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김발지지대가 안착홈의 표면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닷물 등에 의해 김발지지대가 유동됨으로 인해 쉽게 부구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로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고정로프수용홈(16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김발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로프가 수용되면서 김발지지대의 외면이 안착홈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견고한 결합력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지 않음은 물론 분리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는 부구연결로프로 각 부구를 상호 연결시켜 놓음으로써 부구와 김발지지대와의 분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슬립방지패드, 고정로프수용홈의 구성을 통해 김발지지대와 부구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은 물론 결합력 증대로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고정로프결속홈 또는 고정로프삽입홈의 구성을 통해 고정로프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김발지지대와 부구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부구의 유실로 인한 문제, 부구와 김발지지대의 견고하지 못한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구의 상호 연결은 물론, 부구와 김발지지대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부구의 유실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100: 부구 110: 안착홈
120: 로프연결고리 121: 로프관통공
130: 슬립방지패드 140: 리브
145: 고정로프결속홈 150: 고정로프삽입홈
160: 고정로프수용홈 200: 김발지지대
250: 고정로프 300: 부구연결로프

Claims (5)

  1. 김발을 지지하는 김발지지대(200)의 양측에 고정로프(250)로 고정된 상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일렬로 배치되고, 내부가 빈 수지재의 통체로 형성시켜 된 김 양식용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일측 외주면에는 2개의 상기 김발지지대(200)가 서로 나란하게 안착되도록 각각 안착홈(110)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구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로프관통공(121)이 형성된 로프연결고리(120)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로프연결고리(120)에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부구를 서로 연결하도록 로프관통공(121)을 관통하여 부구연결로프(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10)의 표면에는 안착된 김발지지대(20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도록 논슬립 처리된 슬립방지패드(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김발지지대(200)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로프(250)가 결속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안쪽에 고정로프결속홈(145)이 형성되게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리브(140)가 부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홈(110)에 안착된 김발지지대(200)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로프(250)가 삽입 결속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로프삽입홈(150)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10)의 표면에는 상기 김발지지대(200)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로프(250)가 수용되어 상기 김발지지대(200)의 외면이 안착홈(110)에 면접하여 밀착되도록 고정로프수용홈(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KR2020160002088U 2016-04-18 2016-04-18 김 양식용 부구 KR200485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88U KR200485988Y1 (ko) 2016-04-18 2016-04-18 김 양식용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88U KR200485988Y1 (ko) 2016-04-18 2016-04-18 김 양식용 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11U true KR20170003711U (ko) 2017-10-26
KR200485988Y1 KR200485988Y1 (ko) 2018-03-20

Family

ID=6040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88U KR200485988Y1 (ko) 2016-04-18 2016-04-18 김 양식용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217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신명 에어백을 구비한 친환경 부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870B1 (ko) 2018-06-22 2020-12-11 강춘예 부구
KR102579437B1 (ko) * 2021-02-02 2023-09-15 박진석 양식용 부구
KR20230054035A (ko) 2021-10-15 2023-04-24 신학균 김양식용 부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942U (ko) * 1999-05-17 2000-12-15 김득수 가두리 양식장용 부표
KR20040008915A (ko)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23890A (ko) 2002-09-12 2004-03-20 유-추안 셴 Oled 모니터의 복수의 전압 구동 트랜지스터용 최적화소 설계 방법
KR20040036808A (ko)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환실 등의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0048423A (ko) 2001-10-19 2004-06-09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당해 조성물의 경화생성물의 용도 및 반도체 장치
KR200436808Y1 (ko) * 2006-11-08 2007-10-04 황범식 김 양식용 부구
KR101162007B1 (ko) * 2011-03-15 2012-07-03 윤강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KR20150061764A (ko) * 2013-11-28 2015-06-05 박영현 김양식용 부구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942U (ko) * 1999-05-17 2000-12-15 김득수 가두리 양식장용 부표
KR20040048423A (ko) 2001-10-19 2004-06-09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당해 조성물의 경화생성물의 용도 및 반도체 장치
KR20040008915A (ko)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23890A (ko) 2002-09-12 2004-03-20 유-추안 셴 Oled 모니터의 복수의 전압 구동 트랜지스터용 최적화소 설계 방법
KR20040036808A (ko)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환실 등의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36808Y1 (ko) * 2006-11-08 2007-10-04 황범식 김 양식용 부구
KR101162007B1 (ko) * 2011-03-15 2012-07-03 윤강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KR20150061764A (ko) * 2013-11-28 2015-06-05 박영현 김양식용 부구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217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신명 에어백을 구비한 친환경 부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88Y1 (ko)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988Y1 (ko) 김 양식용 부구
KR101725072B1 (ko) 김 양식용 그물의 지지장치
US8484906B1 (en) Boat cover frame system
AU2015238795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US8608407B1 (en) Top-lock connector for a floating dock
KR101913080B1 (ko) 김 양식용 부구
KR101895581B1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KR101974404B1 (ko) 천연 해조장 조성 및 확대를 위한 해조류 이식방법
EP3849302A1 (en) Bottom-founded semi-submersible spar-type offshore fish far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CN105104250A (zh) 一种深海养殖网箱
KR200489613Y1 (ko) 대나무 형상의 부동대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조립이 가능한 양식용 부구장치
KR101660691B1 (ko) 패류의 채묘장치
KR20020045588A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결속구
KR20170001216A (ko)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연결구
KR200228358Y1 (ko) 해태양식용부구
KR20140088651A (ko) 가두리 양식장의 발판 지지장치
KR20170057819A (ko)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KR100582935B1 (ko)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KR101928462B1 (ko) 수상 부유 구조물의 계류 브라켓
KR200460466Y1 (ko) 연결프레임 체결구멍을 갖춘 해상용 금속제 부구
KR101190851B1 (ko) 어업용 로프의 고정장치
NO20171477A1 (en) Installation for cultivating marine biomass
CN211211001U (zh) 一种用于养殖渔排的直角连接结构
KR200448065Y1 (ko) 수밀성이 향상된 부구를 갖는 고기잡이 장치
KR200387733Y1 (ko) 조립식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