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478B1 -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478B1
KR101044478B1 KR1020100124768A KR20100124768A KR101044478B1 KR 101044478 B1 KR101044478 B1 KR 101044478B1 KR 1020100124768 A KR1020100124768 A KR 1020100124768A KR 20100124768 A KR20100124768 A KR 20100124768A KR 101044478 B1 KR101044478 B1 KR 10104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onnecting rod
needle
fishing line
cephalo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067A (ko
Inventor
황인열
Original Assignee
황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열 filed Critical 황인열
Priority to KR102010012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4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 재질의 연결막대를 사용하여 무게를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탄성력과 복원력도 우수하며 용접이나 납땜 대신 강도가 우수한 낚시줄을 이용하여 낚시바늘 조합을 연결막대에 결합시킴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연결막대의 단부에 고리 형상의 확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직렬로 연결하여 무한확장이 가능케 하여 두족류 연체동물의 타고오르는 속성을 충분히 활용함에 의해 대량 채집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야광 튜브를 삽입하여 밝은 곳에서 빛을 흡수하여 어두운 수중에서 자체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두족류 연체동물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 단부에 바늘 침이 구비된 연결 막대;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단일 낚시바늘 복수개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조합된 낚시바늘 조합;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상기 낚시바늘 조합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낚시바늘 조합의 일부에 와류 형상으로 감겨지는 낚시줄 타이(tie)부; 및 상기 낚시줄 타이부와 상기 낚시바늘 조합 및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도포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Angling gea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or Cephalopoda Mollusca}
본 발명은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 재질의 연결막대를 사용하여 무게를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탄성력과 복원력도 우수하며 용접이나 납땜 대신 강도가 우수한 낚시줄을 이용하여 낚시바늘 조합을 연결막대에 결합시킴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연결막대의 단부에 고리 형상의 확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직렬로 연결하여 무한확장이 가능케 하여 두족류 연체동물의 타고오르는 속성을 충분히 활용함에 의해 대량 채집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야광 튜브를 삽입하여 밝은 곳에서 빛을 흡수하여 어두운 수중에서 자체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두족류 연체동물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쭈꾸미, 낙지와 같은 두족류 연체동물은 일반적으로 생존 특성상 바위틈이나 어패류의 껍질 내에서 서식하며, 기어오르거나 올라타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호래기라고 불리는 생물은 오징어과에 속하는 바다 생물 중 크기가 작고 다리가 짧은 종류를 일컫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작은 갑오징어 새끼를 호래기라고 부르고 있으나 지방마다 한치 새끼, 오징어, 꼴뚜기, 쭈꾸미 등을 호래기라 부르기도 한다.
호래기는 10월 초경부터 불빛이 있는 낮은 수심의 방파제 주위에서 먹이 활동을 하다가 12월 말경에는 수온이 안정된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는 생물이다. 호래기와 같은 두족류 연체동물의 채집을 위해서는 이들의 습성을 활용하여야 하며, 일례로 조개류의 패각을 이용하거나 주낙, 통발 등을 방법을 이용하여 포획하고 있다. 그러나, 조개류의 경우는 바다 투입시 이물질에 의해 입구가 막히는 문제점이 있고, 주낙의 경우에는 여러 개의 낚시바늘을 연결하여 포획하고 있으나 포획량에 한계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호래기를 잡기 위해서는 불빛이 있는 방파제에서 낚시대를 사용하여 잡을 수 있으며, 호래기를 낚는 낚시바늘은 낚시꾼들이 각자의 경험에 의해 여러 종류의 낚시바늘을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호래기 낚시에 이용되는 낚시바늘로는 여러 개의 단일 낚시 바늘을 조합한 후 중앙부를 용접 또는 납땜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낚시바늘은 금속 재질의 단일 낚시 바늘이 여러 개 용접 또는 납땜된 것이므로 무게가 무겁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납땜의 경우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개의 낚시바늘을 조합한 후 중앙부를 용접하는 대신,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고자 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착제로 접착시킨 경우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접착제의 접착강도가 저하되어 개별 낚시바늘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무게를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탄성력과 복원력도 우수하며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무한확장이 가능케 하여 두족류 연체동물의 타고오르는 속성을 충분히 활용함에 의해 대량 채집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어두운 수중에서 자체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두족류 연체동물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는 일측 단부에 바늘 침이 구비된 연결 막대;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단일 낚시바늘 복수개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조합된 낚시바늘 조합;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상기 낚시바늘 조합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낚시바늘 조합의 일부에 와류 형상으로 감겨지는 낚시줄 타이(tie)부; 및 상기 낚시줄 타이부와 상기 낚시바늘 조합 및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도포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낚시줄 타이부 이외의 낚시줄 부분인 낚시줄부는 상기 연결 막대의 일측 단부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며, 상기 바늘 침에 상기 낚시줄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무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막대는 카본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의 외주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야광 튜브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제조방법은 (a) 형광물질이 도포된 야광 튜브를 절단하는 단계; (b) 단일 낚시바늘 복수개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조합하여 상기 야광 튜브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야광 튜브에 삽입된 상기 낚시바늘 조합의 중앙에 카본 재질의 연결 막대를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낚시바늘 조합이 상기 연결 막대에 고정되도록 상기 낚시바늘 조합에 낚시줄을 와류 형상으로 감는 단계; (e) 상기 야광 튜브와 상기 낚시바늘 조합 및 상기 연결 막대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본 재질의 연결막대를 사용하여 무게를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탄성력과 복원력도 우수하며, 용접이나 납땜 대신 강도가 우수한 낚시줄을 이용하여 낚시바늘 조합을 연결막대에 결합시킴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막대의 단부에 고리 형상의 확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직렬로 연결하여 무한확장이 가능케 하여 두족류 연체동물의 타고오르는 속성을 충분히 활용함에 의해 대량 채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야광 튜브를 삽입하여 밝은 곳에서 빛을 흡수하여 어두운 수중에서 자체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두족류 연체동물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막대(10), 낚시바늘 조합(20), 낚시줄 타이부(30), 낚시줄부(32), 접착제층(40), 및 고무패킹(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막대(10)는 낚시바늘 조합(20)을 포함한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막대(10)는 두께가 얇은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끝이 날카로운 바늘침(12)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14)는 뭉툭하게 원기둥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막대(1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 또는 카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게는 가벼우나 충분한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카본(carb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막대(10)가 카본 재질로 형성될 경우 탄성력과 복원력도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연결막대(10)의 일측 단부인 바늘침(12)에는 낚시줄부(32)를 연결막대(10)에 고정시키고 낚시줄부(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50)이 결합된다. 또한,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14)에는 낚시줄 타이부(30)와 접착제층(40)에 의해 낚시바늘 조합(20)이 결합된다.
낚시바늘 조합(20)은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단일 낚시바늘 복수개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조합된다. 낚시바늘 조합(20)을 구성하는 단일 낚시바늘은 기어오르고 올라타기 좋아하는 두족류 연체동물의 습성을 이용하기 위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낚시바늘 조합(20)을 구성하는 단일 낚시바늘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실제 바다에서 시험해 본 결과 방사형으로 8개가 조합되는 것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낚시바늘 조합(20)은 낚시줄 타이부(30)에 의해 단단히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다.
낚시줄 타이부(30)는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에 낚시바늘 조합(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를 중심으로 낚시바늘 조합(20)의 일부에 와류 형상으로 감겨진다. 낚시줄 타이부(30)는 실제 낚시줄과 동일한 재질이며, 일측 단부(감기기 시작하는 부분)는 낚시바늘 조합(2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바늘침(12) 방향으로 연장되어 낚시줄부(32)를 이루게 된다.
낚시줄 타이부(30)는 낚시바늘 조합(20)을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에 보다 강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강한 텐션(tension)으로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낚시줄은 가닥의 수에 따라 여러 가닥의 실을 땋아서 만든 합사, 하나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단사로 구분되고, 재질에 따라 나일론사, 카본사, 실리콘사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카본사는 가늘고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낚시줄 타이부(30)의 재질로 적당하다. 낚시줄 타이부(30)는 강도가 우수한 낚시줄의 감김에 의해 낚시바늘 조합(20)을 연결막대(10)에 고정시키므로, 낚시어구 전체의 무게를 매우 가볍게 하면서도 용접에 가까운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낚시줄부(32)는 낚시줄 타이부(30) 이외의 낚시줄 부분에 해당하며, 연결막대(10)의 일측 단부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낚시줄부(32)는 연결막대(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무패킹(50)에 의해 연결막대(10)의 바늘침(12)에 고정되며, 고무패킹(50)을 통과한 낚시줄부(32)는 바늘침(12) 후방으로 인출된다.
접착제층(40)은 낚시줄 타이부(30)와 낚시바늘 조합(20) 및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접착제의 도포는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 방향(도 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주입된다. 즉, 낚시바늘 조합(20)의 중심부를 향해 접착제를 주입하면 접착제가 낚시줄 타이부(30)와 낚시바늘 조합(20) 및 연결막대(10)에 스며들어, 낚시바늘 조합(20)이 연결막대(10)에 강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접착제층(40)은 낚시줄 타이부(30)의 보조 역할을 수행하여, 낚시줄 타이부(30)에 의해 충분히 강하게 고정된 낚시바늘 조합(20)을 보다 강하게 연결막대(10)에 결합시킨다.
고무패킹(50)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늘침(12)에 낚시줄부(3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무패킹(50)의 넓은 부분은 낚시바늘 조합(20) 방향을 향하고 좁은 부분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어, 넓은 부분으로 바늘침(12)과 낚시줄부(32)를 수용하고 좁은 부분으로 낚시줄부(32)를 인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정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연결막대의 타측 단부에 고리 형상의 확장부를 구비하여 낚시어구의 무한확장이 가능하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는,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막대(10), 낚시바늘 조합(20), 낚시줄 타이부(30), 낚시줄부(32), 접착제층(40), 및 고무패킹(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막대(10)의 일측 단부에는 바늘침(12)이 구비되며, 타측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확장부(16)가 구비된다.
확장부(16)는 연결막대(10)의 타측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하며, 이러한 가공을 위해서는 연결막대(10)가 스테인리스 스틸을 비롯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탄성력과 복원력 및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내부식성이 우수하여 수중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질이다.
확장부(16)를 통해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무한확장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고무패킹(미도시)을 통해 인출된 낚시줄부(32)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절단된 낚시줄부(32)를 다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확장부에 묶는 방식으로 직렬연결이 가능하며, 연결되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를 직렬로 연결하여 수중에 잠기게 하면 다층 구조의 낚시어구가 만들어지며, 두족류 연체동물의 타고오르는 속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대량 채집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정면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접착제층의 외주면에 형광물질이 도포된 야광 튜브가 삽입된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는,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막대(10), 낚시바늘 조합(20), 낚시줄 타이부(30), 낚시줄부(32), 접착제층(미도시), 고무패킹(50) 및 야광 튜브(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호래기를 비롯한 두족류 연체동물은 야간에 불빛을 선호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야간에 두족류 연체동물의 낚시를 수행할 경우 별도의 손전등을 준비하여 수면 위에서 비추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야광 튜브(60)는 밝은 곳에서 빛을 흡수하여 어두운 수중에서 자체 발광하므로, 두족류 연체동물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야광 튜브(60)가 삽입되는 경우,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카본 재질의 연결막대(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형광물질이 도포된 야광 튜브를 원하는 크기로 적당하게 절단한다.
다음으로, 단일 낚시바늘을 야광 튜브에 삽입하여 정렬하되 복수개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조합한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단일 낚시바늘 8개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야광 튜브 내부에 삽입한 후 정렬한다.
이후, 야광 튜브에 삽입된 낚시바늘 조합의 중앙에 카본 재질의 연결막대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야광 튜브에 삽입된 낚시바늘 조합과 연결막대가 상호 고정되도록 낚시바늘 조합에 낚시줄을 와류 형상으로 감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야광 튜브 외부로 노출된 낚시바늘 조합 부분에 낚시줄을 조밀하게 강한 텐션으로 감는다.
마지막으로, 야광 튜브와 낚시바늘 조합 및 연결막대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한 후 건조시킨다. 이때, 접착제의 주입방향은 도 3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낚시바늘 조합의 중심부를 향해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착제가 낚시줄 타이부와 낚시바늘 조합 및 연결막대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시어구의 설계 및 제조분야, 특히 호래기와 같은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의 설계 및 제조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 - 연결막대 20 - 낚시바늘 조합
30 - 낚시줄 타이부 40 - 접착제층
50 - 고무패킹 60 - 야광튜브

Claims (5)

  1. 일측 단부에 바늘침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고리 형상의 확장부가 구비된 연결 막대;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단일 낚시바늘 복수개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조합된 낚시바늘 조합;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상기 낚시바늘 조합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낚시바늘 조합의 일부에 와류 형상으로 감겨지는 낚시줄 타이(tie)부; 및
    상기 낚시줄 타이부와 상기 낚시바늘 조합 및 상기 연결 막대의 타측 단부에 도포된 접착제층
    을 포함하며,
    상기 낚시줄 타이부 이외의 낚시줄 부분인 낚시줄부는 상기 연결 막대의 일측 단부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늘침에 상기 낚시줄부를 고정시키되, 넓은 부분은 상기 낚시바늘 조합 방향을 향하고 좁은 부분은 상기 바늘침 방향을 향함으로써 상기 넓은 부분으로 상기 바늘침과 상기 낚시줄부를 수용하고 상기 좁은 부분으로 상기 낚시줄부를 인출하는 고무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 막대는 카본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이며, 상기 접착제층의 외주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야광 튜브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124768A 2010-12-08 2010-12-08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 KR10104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768A KR101044478B1 (ko) 2010-12-08 2010-12-08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768A KR101044478B1 (ko) 2010-12-08 2010-12-08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67A KR20110009067A (ko) 2011-01-27
KR101044478B1 true KR101044478B1 (ko) 2011-06-27

Family

ID=4361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768A KR101044478B1 (ko) 2010-12-08 2010-12-08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225A (zh) * 2013-08-01 2013-11-13 张有振 棍式钓组钩
KR200475237Y1 (ko) * 2014-09-05 2014-11-14 김화규 호래기 낚시바늘
KR20210111714A (ko) 2021-08-24 2021-09-13 장병수 두족류용 낚시어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09Y1 (ko) 2016-11-11 2019-04-16 김화규 문어 속공 채비
KR20180002682U (ko) 2017-03-06 2018-09-14 김화규 문어 생미끼 낚시채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151A (ja) * 1998-07-22 2000-02-08 Michio Fujii イカ釣り用擬似餌
KR20030048717A (ko) * 2001-12-12 2003-06-25 박승식 수평기달린 바르는 흙손
KR200348717Y1 (ko) * 2004-02-07 2004-04-29 엄종철 낚시 받침대
JP2005245237A (ja) * 2004-03-02 2005-09-15 Asari Kenkyusho:Kk イカ釣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151A (ja) * 1998-07-22 2000-02-08 Michio Fujii イカ釣り用擬似餌
KR20030048717A (ko) * 2001-12-12 2003-06-25 박승식 수평기달린 바르는 흙손
KR200348717Y1 (ko) * 2004-02-07 2004-04-29 엄종철 낚시 받침대
JP2005245237A (ja) * 2004-03-02 2005-09-15 Asari Kenkyusho:Kk イカ釣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225A (zh) * 2013-08-01 2013-11-13 张有振 棍式钓组钩
KR200475237Y1 (ko) * 2014-09-05 2014-11-14 김화규 호래기 낚시바늘
KR20210111714A (ko) 2021-08-24 2021-09-13 장병수 두족류용 낚시어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67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78B1 (ko)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
KR200485088Y1 (ko) 오징어 낚싯바늘 유닛
AU2015238795B2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CN201192038Y (zh) 高效金枪鱼延绳钓渔具
JP2014522640A (ja) 水生捕食者に耐性の網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KR20210111714A (ko) 두족류용 낚시어구 및 그 제조방법
JP2016093105A (ja) 太刀魚用テンヤ
KR20180002682U (ko) 문어 생미끼 낚시채비
KR200446455Y1 (ko) 훌치기 낚시
KR200409920Y1 (ko) 낚시채비
JP2008187907A (ja) 疑似餌用スカート及び疑似餌
KR20190067061A (ko) 호래기 낚시바늘
KR200474974Y1 (ko) 낚시 채비
KR20190000756U (ko) 집어등과 반사부를 가진 낚시용 루어
CN102763612B (zh) 节能降耗型大黄鱼养殖用斜方网网箱
KR20150002173U (ko) 두족류 연체동물 낚시용 낚시어구
JP6340607B2 (ja) ハギ釣り仕掛け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KR102425249B1 (ko) 구멍치기낚시용 낚시대
US20170290311A1 (en) Fish And Game Device
CN205576381U (zh) 一种能减少生物附着的养殖网的网线
JP2006223284A (ja) 疑似餌
JP7329826B2 (ja) 釣針および釣り用仕掛け
KR101265747B1 (ko) 탄성체를 구성한 낚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