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74Y1 - 낚시 채비 - Google Patents

낚시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974Y1
KR200474974Y1 KR2020140004610U KR20140004610U KR200474974Y1 KR 200474974 Y1 KR200474974 Y1 KR 200474974Y1 KR 2020140004610 U KR2020140004610 U KR 2020140004610U KR 20140004610 U KR20140004610 U KR 20140004610U KR 200474974 Y1 KR200474974 Y1 KR 200474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metal wire
present
pi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모
Original Assignee
남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모 filed Critical 남영모
Priority to KR2020140004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줄에 핀도래 및 회전도래를 설치하여 목줄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목줄의 유동 반경을 감소시켜 어류의 입질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낚시채비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는, 바다낚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낚시대와, 상기 낚시대에 연결된 원줄과, 상기 원줄에 연결되며 복수의 도래를 구비한 기둥줄, 및 상기 기둥줄의 도래에 일단이 연결되고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낚시바늘이 연결된 목줄을 포함하는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목줄은, 나일론 및 카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의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각각이 연결고리를 갖도록 매듭지어져 있고, 상기 매듭져 있는 일단에 제1 핀도래 및 제1 회전도래를 포함하는 제1연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핀도래가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둥줄에 연결되고, 상기 낚시바늘에는 금속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낚시바늘과 연결된 금속 와이어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목줄의 매듭져 있는 타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 채비{Fishing tool}
본 고안은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줄에 핀도래 및 회전도래를 설치하여 목줄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목줄의 유동 반경을 감소시켜 물고기의 입질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낚시 또는 민물 낚시를 위해 낚싯대, 낚싯줄 및 낚시바늘 등으로 구성되는 낚시채비가 준비된다. 여기서, 낚시채비는 지역, 어종, 낚시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낚시채비란 용어는 특정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낚시 도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낚시바늘과 낚싯줄로 구성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의미로부터 특정 낚시를 위해 구성되는 모든 부품들, 예컨대, 낚싯대, 낚싯줄, 낚시바늘, 봉돌, 도래 및 찌 등을 지칭하는 용어에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낚시채비에 있어서, 낚싯대로부터 연장되는 낚싯줄(이하, '원줄'이라 함)에 복수의 다른 낚싯줄(이하, '목줄'이라 함.)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줄의 연결을 통해 낚시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갈치를 잡기 위한 종래의 낚시채비는 낚싯대, 원줄, 기둥줄 및 복수의 목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줄은 낚싯대에 묶인 원줄에 그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즉, 끝단에 납 재질의 무거운 중량체인 봉돌이 설치되며, 그의 중간 부분에 복수 개의 도래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원줄에 묶인 채로 물속에서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목줄은 낚시의 효율성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나일론 또는 카본 재질로 이루어져 끝단에 낚시바늘을 구비한 채로 기둥줄의 도래들 각각에 공지의 매듭 법으로 연결된다.
한편, 각각 끝단에 낚시바늘이 연결되어 있는 목줄들은 조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조류 방향과 일치하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지게 되며, 목줄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낚시바늘은 조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회전 유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낚시채비는 목줄이 매듭 법으로 연결되는 것과 관련해서 복수의 목줄 연결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낚시채비는 목줄을 매듭 법으로 묶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목줄의 특정 부위에서 꺾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목줄의 꺾임이 발생하게 되면, 목줄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낚시바늘의 조류 흐름에 대한 유동 반경이 커짐으로써 물고기, 예컨대, 갈치가 낚시바늘에 끼워진 미끼를 잘 물지 않으며, 그래서, 어획량 감소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줄(10)은 나일론 또는 카본 재질로 이루어진 낚싯줄(2)의 끝 부분에 금속 재질의 낚시바늘(4)이 연결되고, 이 연결부위에 고무 재질의 튜브(6)가 씌워져 있는 구조를 갖는데, 갈치는 이빨이 매우 날카롭기 때문에, 큰 갈치가 미끼를 문 경우, 고무재질의 튜브(6)를 포함하여 낚싯줄(2)이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9310 공개특허공보 10-2012-0048831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목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낚시채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줄의 꺾임에 기인하는 유동 반경의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유동 반경의 최소화를 달성함으로써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끼워진 미끼를 잘 물도록 할 수 있는 낚시채비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은 낚싯줄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갈치의 어획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낚시바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채비를 제공함에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는, 바다낚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낚시대와, 상기 낚시대에 연결된 원줄과, 상기 원줄에 연결되며 복수의 도래를 구비한 기둥줄, 및 상기 기둥줄의 도래에 일단이 연결되고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낚시바늘이 연결된 목줄을 포함하는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목줄은, 나일론 및 카본 재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그의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각각이 연결고리를 갖도록 매듭지어져 있고, 상기 매듭져 있는 일단에 제1 핀도래 및 제1 회전도래를 포함하는 제1연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핀도래가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둥줄에 연결되고, 상기 낚시바늘에는 금속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낚시바늘과 연결된 금속 와이어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목줄의 매듭져 있는 타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는, 상기 금속 와이어의 타단에 설치된 제2 핀도래 및 제2 회전도래를 포함하는 제2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목줄은 그의 일단과 타단 사이 부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회전도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해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는, 상기 낚시바늘과 상기 금속 와이어의 연결부위에 끼워진 고무 재질의 야광 튜브 또는 일반 튜브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는 낚시바늘이 연결되지 않는 목줄의 일단 부분에 핀도래를 설치함으로써 매듭 법으로 일일이 묶었던 목줄의 연결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는 목줄의 양측 단부들 각각에 회전도래를 설치해줌으로써 나일론 재질의 낚시줄이 쉽게 회전되도록 만들 수 있으며, 특히, 전체적으로 낚시줄이 미세하게 꺽여도 물속 조류에 의해 낚시바늘의 유동 반경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갈치가 미끼를 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르면, 낚시바늘과 연결되는 낚싯줄 부분을 나일론 재질이 아닌, 금속 재질의 와이어로 변경하고, 이 연결부위를 튜브로 감싸도록 하며, 그리고, 낚시바늘과 연결되지 않은 와이어 부분을 나일론 또는 카본 재질의 낚싯줄과 연결해 줌으로써 큰 갈치가 물면 낚싯줄이 절단되는 문제를 완전 해소할 수 있고, 그래서, 어획량 증가 및 낚시바늘 유실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채비의 목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낚시채비의 낚시바늘을 포함한 목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낚시채비의 제1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낚시채비의 낚시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 상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즉,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낚시채비의 낚시바늘을 포함한 목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낚시채비의 제1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낚시채비의 낚시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100)는 물고기, 예컨대, 갈치를 잡기 위한 바다낚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낚시대(12)와, 상기 낚시대(12)에 연결된 원줄(20)과, 상기 원줄(20)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도래(32)를 구비한 기둥줄(30) 및 기둥줄(30)의 각 도래(32)에 연결되고 각각 낚시바늘(50)을 구비한 복수 개의 목줄(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100)에 있어서, 기둥줄(30)은 그의 일단이 낚싯대(12)에 묶인 원줄(20)에 연결되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즉, 끝단에는 납 재질의 무거운 중량체인 봉돌(도시안됨)이 설치되어 물속에서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기둥줄(30)은 복수의 목줄(40)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예컨대, 8자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도래(32)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 개의 도래들(32)은 목줄들(40) 간의 상호 간섭이 없도록 기둥줄(30)에 일정 간격을 이격해서 배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목줄(40)은 낚시의 효율성을 위해 기둥줄(30)의 각 도래(32)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나일론 또는 카본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각각이 연결고리를 갖도록 매듭지어져 있고, 그리고, 매듭져 있는 일단에 제1 핀도래(42) 및 제1 회전도래(44)를 포함하는 제1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1 핀도래(4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후크 모양의 걸림 핀이 걸림 판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대상물에 의한 누리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 핀이 걸림 판으로부터 빠져나온 후, 재차 다시 끼워지는 구조로서, 통상의 그것과 동일 또는 유사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1 핀도래(42)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의 제1 핀도래(42)는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 및 구조 이외에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갖도록 설계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핀도래(42)의 설치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100)에 있어서 기둥줄(30)에의 목줄(40) 연결이 매듭 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종래의 연결 방식과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핀도래(42)의 설치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100)에서 복수 개의 목줄들(40)은 비교적 용이하고 빠르게 기둥줄(30)의 각 도래(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도래(44)는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목줄(30)의 특정 부위에 꺾임이 발생한 경우에 목줄(40)의 타단에 연결되는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이 커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즉, 목줄(40)의 특정 부위에서 꺾임이 발생하면, 꺾여진 각도만큼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이 커지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처럼 기둥줄(30)의 도래(32)와 연결되는 목줄(40)의 일단 부분에 제1 회전도래(44)를 설치하는 경우, 이 제1 회전도래(44)에 의해 목줄(40)이 회전됨으로써 목줄(40)의 타단에 연결되는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은 증가하지 않게 되고, 특히, 목줄(40)의 유동이 물속 조류 방향과 거의 일치하게 됨으로써 제1 회전도래(44)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낚시바늘(50)은 물고기, 예컨대, 갈치 낚시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끝단이 구부러져 날카로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낚시바늘(50)은 목줄(40)의 타단과 연결되되, 종래의 그것과는 다르게, 금속 재질 와이어(60; 이하, ;금속 와이어'라 함.)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금속 와이어(60)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이 목줄(40)의 매듭져 있는 타단과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낚시바늘(50)과 목줄(40)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낚시바늘(50)과 금속 와이어(6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연결부위의 보호함과 아울러 집어 역할, 즉, 물고기를 모으는 역할을 위해 고무 재질의 튜브(70)가 끼워진다. 여기서, 튜브(70)는 야광 튜브의 적용이 바람직하지만, 일반 튜브 또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낚시채비(100)에 있어서, 금속 와이어(60)의 타단에는 제2 핀도래(62) 및 제2 회전도래(64)를 포함하는 제2연결구(66)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핀도래(62)는 매듭져 있는 목줄(40) 타단 부분과의 용이한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금속 와이어(60)의 타단에 제2 핀도래(62)를 설치함에 따라 금속 와이어(60)를 포함하는 낚시바늘(50)은 목줄(40)과 분리되어 개별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제2 핀도래(62)의 구조 및 형상은 제1 핀도래(42)의 그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회전도래(64)는 금속 와이어(60)를 포함한 낚시바늘(50)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 회전도래(64)의 설치에 따라 물속에서 낚시바늘(50)의 회전 가능하게 되고, 그래서,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은 더욱 작아지게 된다. 즉, 낚시바늘(50)은 제2 회전도래(64)에 의해 물속 조류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목줄(40)로부터 전달되는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 크기는 더욱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100)는 기둥줄(30)의 도래(32)와 연결되는 목줄(40)의 일단에 제1 회전도래(44)를 설치하고, 낚시바늘(50)과 연결된 금속 와이어(60)의 타단에 제2 회전도래(64)를 설치함으로써,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그래서, 갈치 등의 물고기의 입질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회전도래들(44, 64)의 설치에 따라, 목줄(40)은 물속의 여러 가지 조류에 대하여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조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늘어질 수 있다.
아울러, 기둥줄(30)에는 복수 개의 목줄(40)이 연결되는데, 목줄(40)의 꺾임이 발생하여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이 커지게 되면, 인접하는 낚시바늘들(50) 간에 상호 간섭이 일어나게 되고, 심한 경우, 서로 엉켜져서 갈치 등의 물고기가 미끼를 먹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반해, 본 고안에서처럼 제1 및 제2 회전도래들(44, 64)을 설치하는 경우, 낚시바늘(50)을 포함하는 목줄(40)이 물속 조류 방향과 동일하게 늘어지게 됨은 물론 목줄(40) 및 낚시바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낚시바늘(50)의 유동 반경이 매우 작아져서 거의 제자리를 지키게 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낚시바늘들(50) 사이에 상호 간섭 및 엉킴 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며, 따라서, 갈치 등의 고기들이 미끼에 쉽게 입질을 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100)의 경우, 낚시바늘(50)과 연결되는 부분이 종래의 나일론 또는 카본 재질로 된 목줄(40)이 아니라, 금속 와이어(60)이기 때문에 이빨이 날카로운 큰 갈치가 물더라도 끊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100)의 경우, 낚시바늘(50) 이음새 부분이 끊어져 갈치 등의 물고기를 제대로 잡지 못하는 문제, 그리고, 낚시바늘(50)이 유실되는 문제 등이 개선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일단이 낚시바늘(50)에 연결되어 있는 금속 와이어(60)의 타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구가 설치되지 않은 채로 매듭져 있을 수 있으며, 이렇게 매듭진 금속 와이어(60)의 타단 부분은 목줄(40)의 타단 매듭 부분과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속 와이어(60)를 포함하는 낚시바늘(50)은 목줄(40)의 타단과 연결된 채로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해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에 따른 낚시채비(100)에 있어서, 목줄(40)은 그의 일단과 타단 사이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회전도래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회전도래의 설치에 따라 낚시바늘의 유동 반경은 더욱 줄어들게 되고, 그래서, 갈치 등의 물고기의 입질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금속 와이어(60)의 타단 부분이 매듭져 있는 구조적 차이점 이외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구조는 이전 실시 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2: 낚싯대 20: 원줄
30: 기둥줄 32: 도래
40: 목줄 42: 제1 핀도래
44: 제1 회전도래 46: 제1연결구
50: 낚시바늘 60: 금속 와이어
62: 제2 핀도래 64: 제2 회전도래
66: 제2연결구 70: 튜브
100: 낚시채비

Claims (4)

  1. 낚시대;
    상기 낚시대에 연결된 원줄;
    상기 원줄에 연결되며 복수의 도래를 구비한 기둥줄;
    나일론 및 카본 재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고리를 갖도록 매듭지어져 있고, 상기 일단에는 상기 도래를 통해 상기 기둥줄과 결합되는 제1연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단에는 제2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목줄;
    일단이 연결고리를 갖도록 매듭지어져 상기 제2연결구와 연결된 금속 와이어;
    상기 금속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된 낚시바늘; 및
    상기 낚시바늘과 상기 금속 와이어의 연결부위에 끼워진 고무재질의 튜브;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도래와 연결되는 제1핀도래와, 상기 제1핀도래와 연결된 제1회전도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금속 와이어의 매듭지어진 일단과 연결되는 제2회전도래와, 상기 제2회전도래와 연결된 제2핀도래를 포함하고,
    상기 목줄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회전도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채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4610U 2014-06-18 2014-06-18 낚시 채비 KR200474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10U KR200474974Y1 (ko) 2014-06-18 2014-06-18 낚시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10U KR200474974Y1 (ko) 2014-06-18 2014-06-18 낚시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974Y1 true KR200474974Y1 (ko) 2014-10-28

Family

ID=5214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610U KR200474974Y1 (ko) 2014-06-18 2014-06-18 낚시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07A (ko) * 2020-07-21 2022-01-28 이재기 구멍치기낚시용 낚시대
KR20220063403A (ko) * 2020-11-10 2022-05-17 이석주 자동 후킹 기능을 갖는 낚시 채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729A (ja) * 1987-09-30 1989-04-11 Daido Steel Co Ltd 魚釣り糸及び魚釣り具
KR920702605A (ko) * 1990-05-02 1992-10-06 원본미기재 낚시바늘과 낚싯줄의 결합방법 및 낚싯줄 달린 낚시바늘
KR200301965Y1 (ko) * 2002-09-10 2003-01-24 차판열 바다 낚시용 채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729A (ja) * 1987-09-30 1989-04-11 Daido Steel Co Ltd 魚釣り糸及び魚釣り具
KR920702605A (ko) * 1990-05-02 1992-10-06 원본미기재 낚시바늘과 낚싯줄의 결합방법 및 낚싯줄 달린 낚시바늘
KR200301965Y1 (ko) * 2002-09-10 2003-01-24 차판열 바다 낚시용 채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07A (ko) * 2020-07-21 2022-01-28 이재기 구멍치기낚시용 낚시대
KR102425249B1 (ko) * 2020-07-21 2022-07-25 이재기 구멍치기낚시용 낚시대
KR20220063403A (ko) * 2020-11-10 2022-05-17 이석주 자동 후킹 기능을 갖는 낚시 채비
KR102519071B1 (ko) * 2020-11-10 2023-04-06 이석주 자동 후킹 기능을 갖는 낚시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127B1 (en) Soft bait connector for a fishing hook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JP6639486B2 (ja) 疑似餌システム
WO2005089401A2 (en) Terminal tackle including bearing for fishing line
JP2007129999A (ja) 釣り用錘および擬似餌仕掛け
Melvin et al.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treamer lines as a seabird by-catch mitigation technique in longline fisheries and CCAMLR streamer line requirements
KR200474974Y1 (ko) 낚시 채비
US20220151211A1 (en) Fishing Device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US20100313463A1 (en) Stinger Spinner Jig
JP4138847B1 (ja) 猿対策用の防獣ネットの構造
KR20190067061A (ko) 호래기 낚시바늘
KR200409920Y1 (ko) 낚시채비
US6082039A (en) Fishing lure having articulatable hook connector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KR100554620B1 (ko) 안전낚시바늘
US20070169398A1 (en) Artificial fishing bait
Keith Tori line designs for New Zealand domestic pelagic longliners
KR20110008021U (ko) 배스포획용 탈착식 실고리 로켓창
US8826586B1 (en) Fishing rig
KR101149198B1 (ko) 촉수 기능을 갖는 원투낚시채비
JP6340607B2 (ja) ハギ釣り仕掛け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CN111165449B (zh) 一种钓鱼线及其组装方法
CN207561199U (zh) 一种膨胀鱼钩
KR200408885Y1 (ko) 낚시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