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624A - 휴대용 죽방렴 - Google Patents

휴대용 죽방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624A
KR20160108624A KR1020150030120A KR20150030120A KR20160108624A KR 20160108624 A KR20160108624 A KR 20160108624A KR 1020150030120 A KR1020150030120 A KR 1020150030120A KR 20150030120 A KR20150030120 A KR 20150030120A KR 20160108624 A KR20160108624 A KR 20160108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ag
end part
weirs
bamb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암
Original Assignee
김평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암 filed Critical 김평암
Priority to KR102015003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8624A/ko
Publication of KR2016010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쪽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성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그물 측판이 벌려지도록 하는 자루형 그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죽방렴에 있어서, 상기 자루형 그물의 선단부는 모두 그물지탱끈에 의해 꿰어져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그물 상판의 선단부를 지나는 그물지탱끈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부구가 꿰어져 물속에서 그물 상판 선단부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그물 하판의 선단부를 지나는 그물지탱끈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추가 꿰어져 그물 하판 선단부가 바닥으로 부터 들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자루형 그물의 끝단부에는 고기가둠망이 자루형 그물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한번 그물 안에 들어온 고기는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죽방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종래 고정형이던 죽방렴을 휴대가 가능하도록 개선함으로써 하천이나 바닷가 등에서의 레저활동에 최적화된 레저도구로써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그물 상판 선단부에는 부구를 달아서 그물 상판 선단부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며, 그물 하판의 선단부에는 추를 달아 그물 하판 선단부가 바닥으로 부터 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포획을 용이하게 하되 그물의 끝단에는 고기가둠망을 형성하여 한번 그물안에 들어온 고기는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고기의 포획력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죽방렴{Portable bag-net}
본 발명은 휴대용 죽방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래 고정형 그물이던 죽방렴을 휴대가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또 고기의 포획을 용이하게 하며, 한번 그물안에 들어온 고기는 쉽게 놓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휴대용 죽방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죽방렴이라 함은 하천이나 바다에서 일정한 수로를 막거나 조류를 이용하여 고기를 잡기 위한 구조로, 일정간격으로 대나무를 꽂고 대발을 둘러쳐서 고기의 이동을 유도하고 유도된 고기는 결국 구석으로 몰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포획하기 위한 우리나라 전통 어업시설을 의미한다.
이러한 죽방렴 시스템의 기본구조를 살펴보면, 해구(물골)에다 자연석을 깔고 그 위에 지지대를 세우되 양날개와 같은 V자형으로 배치하여 고기를 안내하는 발섶부와, 발섶부와 연결되어 들어오는 고기들을 모으고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발통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죽방렴시스템은 최근에는 대나무 대신 자연석과 참나무 등으로 지지대를 대신하고, 상기 지지대에 그물을 쳐서 고기를 포획하는 구조로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죽방렴 시스템은 하천이나 바다에서 넓은 영역에 걸쳐 설치되므로 설치에 많은 수고로움을 필요로 하고, 또 고정형이어서 고기가 죽방렴 시스템으로 오지 않으면 잡을 수 없는 매우 피동적인 어구여서 현재는 그다지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등록 : 20-0375051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고정형이던 죽방렴을 휴대가 가능하도록 자루형 그물 형태로 개선하여 제작하되 그물 측판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벌려지게 하고, 그물 상판 선단부에는 물보다 가벼운 부구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달아서 그물 상판 선단부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며, 그물 하판의 선단부에는 그물이 들리지 않도록 물보다 무거운 추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그물 하판 선단부가 바닥으로 부터 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포획을 용이하게 하되 그물의 끝단에는 고기가둠망을 형성하여 한번 그물안에 들어온 고기는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하천이나 바닷가 등에서의 레저활동에 최적화된 휴대용 죽방렴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양쪽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성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그물 측판이 벌려지도록 하는 자루형 그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죽방렴에 있어서, 상기 자루형 그물의 선단부는 모두 그물지탱끈에 의해 꿰어져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그물 상판의 선단부를 지나는 그물지탱끈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부구가 꿰어져 물속에서 그물 상판 선단부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그물 하판의 선단부를 지나는 그물지탱끈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추가 꿰어져 그물 하판 선단부가 바닥으로 부터 들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자루형 그물의 끝단부에는 고기가둠망이 자루형 그물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한번 그물안에 들어온 고기는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기가둠망은 일측에는 자루형 그물의 끝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속끈에 의해 결속되는 결속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에는 걸림구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 걸림구에는 그물 상판 선단부의 양끝에 형성된 결속끈이 묶여 흘러내지지 않도록 하고, 하부 걸림구에는 그물 하판의 선단부 양끝에 형성된 걸이구가 걸려 위로 들려 올라오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견인줄이 형성되어 지지대의 하단을 견인하여 지지대의 하단 방향을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종래 고정형이던 죽방렴을 휴대가 가능하도록 개선함으로써 하천이나 바닷가 등에서의 레저활동에 최적화된 레저도구로써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그물 상판 선단부에는 부구를 달아서 그물 상판 선단부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고, 그물 하판의 선단부에는 추를 달아 그물 하판 선단부가 바닥으로 부터 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포획을 용이하게 하되 그물의 끝단에는 고기가둠망을 형성하여 한번 그물안에 들어온 고기는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고기의 포획력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죽방렴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죽방렴의 사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죽방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죽방렴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죽방렴의 사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죽방렴(100)은, 양쪽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110)와, 성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그물 측판(123)이 벌려지도록 하는 자루형 그물(120)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죽방렴에 있어서,
상기 자루형 그물(120)의 선단부는 모두 그물지탱끈(121a,122a,123a)에 의해 꿰어져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그물 상판(121)의 선단부를 지나는 그물지탱끈(121a)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부구(126)가 꿰어져 물속에서 그물 상판(121) 선단부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그물 하판(122)의 선단부를 지나는 그물지탱끈(122a)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추(127)가 꿰어져 그물 하판(122) 선단부가 바닥으로 부터 들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자루형 그물(120)의 끝단부에는 고기가둠망(130)이 자루형 그물(120)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한번 그물 안에 들어온 고기는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부구(126)는 물에 떠야 함은 당연하고, 추(127)는 물에 가라앉아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추(127)는 다양한 구조의 추를 사용할 수 있으나, 쇠고리를 연달아서 연결한 체인고리가 작업성 및 고기의 포획을 위해서도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고기가둠망(130)은 일측에는 자루형 그물(120)의 끝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29)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속끈(132)에 의해 결속되는 결속부(131)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부(129)는 고기가둠망(130)의 망눈과 자루형 그물(120)의 망눈을 꿰는 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연결수단 및 접착수단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고기가둠망(130)으로 들어온 고기는 자루형 그물(120)의 끝단이 좁아진 구조이고, 또 입구를 찾기 힘들게 되어 쉬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걸림구(111,11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 걸림구(111)에는 그물 상판(121) 선단부의 양끝에 형성된 결속끈(124)이 묶여 흘러내지지 않도록 하고, 하부 걸림구(112)에는 그물 하판(122)의 선단부 양끝에 형성된 걸이구(125)가 걸려 위로 들려 올라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 본 발명 지지대(110)의 하단에는 견인줄(128)이 형성되어 지지대(110)의 하단을 사용자가 견인줄(128)을 잡고 있는 손으로 지지대(110)를 조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10)는 낚시대와 같이 지름이 각각 다른 다수개의 봉이 겹쳐져 서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이 휴대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휴대용 죽방렴
110: 지지대
120: 자루형 그물
121a,122a,123a: 그물지탱끈
126: 부구
127: 추
130: 고기가둠망

Claims (4)

  1. 양쪽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성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그물 측판이 벌려지도록 하는 자루형 그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죽방렴에 있어서,
    상기 자루형 그물의 선단부는 모두 그물지탱끈에 의해 꿰어져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그물 상판의 선단부를 지나는 그물지탱끈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부구가 꿰어져 물속에서 그물 상판 선단부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그물 하판의 선단부를 지나는 그물지탱끈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추가 꿰어져 그물 하판 선단부가 바닥으로 부터 들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자루형 그물의 끝단부에는 고기가둠망이 자루형 그물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한번 그물 안에 들어온 고기는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죽방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기가둠망은 일측에는 자루형 그물의 끝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속끈에 의해 결속되는 결속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죽방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에는 걸림구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 걸림구에는 그물 상판 선단부의 양끝에 형성된 결속끈이 묶여 흘러내지지 않도록 하고, 하부 걸림구에는 그물 하판의 선단부 양끝에 형성된 걸이구가 걸려 위로 들려 올라오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죽방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견인줄이 형성되어 지지대의 하단을 견인하여 지지대의 하단 방향을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죽방렴.


KR1020150030120A 2015-03-04 2015-03-04 휴대용 죽방렴 KR20160108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20A KR20160108624A (ko) 2015-03-04 2015-03-04 휴대용 죽방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20A KR20160108624A (ko) 2015-03-04 2015-03-04 휴대용 죽방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24A true KR20160108624A (ko) 2016-09-20

Family

ID=5710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120A KR20160108624A (ko) 2015-03-04 2015-03-04 휴대용 죽방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86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28579A1 (en) * 2016-11-09 2018-05-10 Wendell Leimbach Portable net and deployment system
KR200486874Y1 (ko) * 2018-03-14 2018-07-09 박미숙 물고기잡이 장치
CN111513038A (zh) * 2020-05-28 2020-08-11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毛虾取样抄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28579A1 (en) * 2016-11-09 2018-05-10 Wendell Leimbach Portable net and deployment system
US10712130B2 (en) * 2016-11-09 2020-07-14 Wendell Leimbach Portable net and deployment system
KR200486874Y1 (ko) * 2018-03-14 2018-07-09 박미숙 물고기잡이 장치
CN111513038A (zh) * 2020-05-28 2020-08-11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毛虾取样抄网
CN111513038B (zh) * 2020-05-28 2022-02-01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毛虾取样抄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7306B (zh) 一种近海围网养殖装置
JP5345375B2 (ja) 沈水植物の再生方法、それに使用する沈水植物の栽培方法、植物再生基盤、浮島
CN201563491U (zh) 浮式抗风浪网围
CN103828745B (zh) 一种外海深水海域养殖用围网
JPS62259527A (ja) 大ハマグリ等の貝類の養殖方法及び装置
WO2006063412A1 (en) Self-sustaining abalone farming system
KR20160108624A (ko) 휴대용 죽방렴
CN102349401A (zh) 水下生态修复中的水草水下悬空种植方法及水草悬床装置
CN203482714U (zh) 一种可防鱼害且抗风浪的龙须菜养殖网架
JP2010148404A (ja) 海藻の立体網養殖方法
CN107079805A (zh) 紫菜养殖用自行干出装置和养殖装置
CN204138428U (zh) 一种生态浮床的消浪助浮装置
CN202857551U (zh) 大围网
KR200419022Y1 (ko) 참게 포획기구
KR101174904B1 (ko) 굴 양식용 구조물
KR100261437B1 (ko)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CN104542510B (zh) 一种河口和海岸带海域鳗苗捕捞组合装置及其使用方法
CN204762903U (zh) 一种漂流性鱼卵、仔稚鱼调查网的固定装置
CN210352731U (zh) 一种带有栖息网的小龙虾养殖池
JP6532624B1 (ja) 魚捕獲器、および、魚捕獲器を用いた漁獲方法
CN207870083U (zh) 一种水下网箱养殖装置
CN207505759U (zh) 捕鱼网
CN206005574U (zh) 一种深海网箱拦鱼装置
KR100764484B1 (ko) 패널식 전복 양성기
US117660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attachment and growth of bivalve organisms on coastal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