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874Y1 - 물고기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물고기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874Y1
KR200486874Y1 KR2020180001076U KR20180001076U KR200486874Y1 KR 200486874 Y1 KR200486874 Y1 KR 200486874Y1 KR 2020180001076 U KR2020180001076 U KR 2020180001076U KR 20180001076 U KR20180001076 U KR 20180001076U KR 200486874 Y1 KR200486874 Y1 KR 200486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sh
net
open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숙
Original Assignee
박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숙 filed Critical 박미숙
Priority to KR2020180001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획망에 형성된 개방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어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망이 구비됨으로써, 어류를 포획한 즉시 상기 수용공간에 넣어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통발을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가 간편한 물고기잡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물고기잡이 장치는, 막대 형상이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지지대(100) 및 제2지지대(200);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 사이에 장착되며, 개방공(310)이 관통 형성된 포획망(300); 상단이 상기 포획망(300)의 하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개방공(310)과 연결되는 수용공간(410)이 형성된 수용망(4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고기잡이 장치{Fish net}
본 고안은 물고기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지대 사이에 포획망을 설치하여 수심이 얕은 강, 하천 또는 계곡 등에서 물고기, 개구리 등의 생물을 포획하기 위한 물고기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심이 깊은 강이나 바다 등에서 물고기를 포획하기 위해 낚시 또는 투망 등을 사용한다.
한편, 수심이 낮은 개울, 하천, 계곡 등에서 물고기를 몰거나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해 족대를 사용한다.
종래의 족대는 어망의 양측부를 한 쌍의 어망 연결대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어망 연결대의 간격을 조절해가면서 어망 내로 들어온 물고기를 포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물고기는 물고기의 특성상 전방으로 전진하며 협소한 공간 내로 자신의 몸을 숨기려는 습성을 가지고있어, 어망 내로 물고기가 들어온 경우 한 쌍의 어망 연결대 사이의 간격을 좁게 조절함으로써, 어망 내로 들어온 물고기가 어망으로부터 이탈하여 도망하지 못하도록 하여 물고기를 포획하게 된다.
한편, 물고기가 족대를 향해 전진시 족대의 어망의 끝단에 도달한 후, 족대의 어망의 엉킴 등으로 인해 포획의 시간이 지연되어 진입 반대방향으로 이탈하여 족대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족대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물고기가 어망 내로 유입되는 경우 신속하게 한 쌍의 어망 연결대로 어망의 간격을 좁게 조절하여 물고기를 포획해야 하는데,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어망의 간격을 조절하며 포획하려면 무리한 힘이 요구되므로, 포획 능률이 저하되고, 포획시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며, 흥미감도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579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획망에 형성된 개방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어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망이 구비됨으로써, 어류를 포획한 즉시 상기 수용공간에 넣어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통발을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가 간편한 물고기잡이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물고기잡이 장치는, 막대 형상이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지지대(100) 및 제2지지대(200);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 사이에 장착되며, 개방공(310)이 관통 형성된 포획망(300); 상단이 상기 포획망(300)의 하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개방공(310)과 연결되는 수용공간(410)이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수용망(400); 상기 수용망(4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어류 포획시 상기 수용망(400)이 상류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줄(450); 포함한다.
상기 개방공(310)에서 상기 수용공간(410)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410)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이탈방지구(50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방공(31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며, 양단을 잡아당겼을 때 상기 개방공(310)을 조여 폐쇄시키는 조임줄(60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조임줄(6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가압레버(710);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조임줄(60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가압레버(720);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1가압레버(710)의 타단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가압레버(710)를 상기 제1지지대(100)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730); 상기 제2지지대(200)와 상기 제2가압레버(720)의 타단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2가압레버(720)를 상기 제2지지대(200)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74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레버(710)와 상기 제2가압레버(720)의 타단을 가압하면 상기 조임줄(600)이 당겨지면서 상기 개방공(310)이 폐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물고기잡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포획망에 형성된 개방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어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망이 구비됨으로써, 어류를 포획한 즉시 상기 수용공간에 넣어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통발을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가 편리한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개방공(310)의 직경이 상기 수용공간(4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410)에 넣은 어류들이 상기 개방공(310)으로 다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 하며, 상기 수용공간(410)의 너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개방공(310)에서 상기 수용공간(410)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구(5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410) 포획된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에 상기 조임줄(600)을 잡아당기는 상기 제1가압레버(710)와 상기 제2가압레버(7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조임줄(600)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개방공(310)의 개폐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류의 포획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는, 제1지지대(100), 제2지지대(200), 포획망(300), 수용망(400), 고정줄(450) 및 이탈방지구(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는 동일한 원통형의 긴 막대 형상이며, 상호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대(100)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대(200)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포획망(300)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를 돌려 상기 포획망(300)을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포획망(3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00)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대(200)의 타단은 어류를 포획할 때 손잡이로 사용된다.
상기 포획망(300)은 나일론 합사를 이용하여 많은 코의 구멍이 나게 얽은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로 방향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100)에 고정되고, 세로 방향 타단은 상기 제2지지대(200)에 고정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포획망(300)은 세로 길이가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세로 방향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100) 및 상기 제2지지대(200)의 길이 방향 일단에 고정되고, 세로 방향 타단은 상기 제1지지대(100) 및 상기 제2지지대(200)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포획망(300)의 가운데에는 개방공(31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방공(310)은 상기 포획망(300)의 가로 방향 가운데에 배치된 구멍으로, 후술할 상기 수용망(400)과 연결되어 상기 포획망(300)으로 잡은 어류를 상기 수용망(400)에 넣기 위한 통로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개방공(310)에는 어류가 상기 수용공간(4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이탈방지구(5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포획망(300)에는 물속에 잠기기 위해 무게추(320)가 장착되는데, 상기 무게추(320)는 상기 포획망(300)의 세로 방향 일단에 구비되며,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포획망(3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무게추(320)는 무거운 철제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장돌 등 부피가 작으면서 물에 잘 가라앉는 물건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무게추(320)는 상기 포획망(300)이 물 속에서 뜨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수용망(400)은 상기 포획망(300)과 동일한 그물망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410)이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용망(400)은 상단이 상기 포획망(300)의 하부에서 상기 개방공(310)과 연결되게 장착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망(400)의 상기 수용공간(410)의 상단 직경은 상기 개방공(310)의 직경과 동일하며, 상기 수용망(400)의 직경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또한, 상기 수용망(400)의 하단에는 어류 포획시 상기 수용망(400)이 상류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줄(45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줄(450)은 긴 밧줄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수용망(400)의 하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줄(450)의 타단은 어류 포획을 시작할 때 상류 방향으로 배치하여 나뭇가지나 바위 등에 묶어 고정한다.
이와 같이 어로 포획 작업시 상기 고정줄(450)을 이용해 상기 수용망(400)의 하단이 상류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상류로 올라가는 습성을 갖는 어류를 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수용망(400)은 하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수용망(400)에 포획된 어류를 꺼낼 때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구(500)는 상기 수용망(400)과 마찬가지로 그물망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공(310)에서 상기 수용공간(410)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개방공(310)과 동심을 이루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구(500)의 상단 직경은 상기 개방공(310)과 동일하며, 상기 수용공간(410) 방향, 즉 하단 직경은 상기 개방공(310)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410)과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아탈방지구(500)는 상기 수용망(400)에 포획된 어류가 상기 개방공(310)을 통해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구(500)의 길이는 상기 수용망(400)의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이 상기 개방공(310)에서 상기 수용공간(410)으로 돌출된 상기 이탈방지구(5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410) 포획된 어류가 다시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포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정줄(450)의 타단을 물이 흐르는 일정 장소에 묶어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물고기는 상류로 올라가는 습성이 있으므로 상기 수용망(400)의 하단이 상류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후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를 돌려 상기 포획망(300)을 풀고, 일정한 넓이가 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포획망(300)의 양측과 뒤에 각각 서서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100)을 잡고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끌고 다니면서 물고기를 포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잡이 장치는, 상기 포획망(300)의 개방공(310)을 통해 어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망(400)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통발을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가 간편하고, 어류를 포획한 즉시 상기 수용망(400)에 넣을 수 있어 어류의 포획 확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어로 포획 작업시 상기 고정줄(450)을 이용해 상기 수용망(400)의 하단이 상류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상류로 올라가는 습성을 갖는 어류를 쉽게 포획하며, 포획 확률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개방공(310)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개방공(310)을 폐쇄시키는 조임줄(6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줄(600)은 상기 개방공(31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제1지지대(100)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지지대(200)의 타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조임줄(600)은 양단을 손으로 잡아당겼을 때 상기 개방공(310)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조여지며, 이로 인해 상기 개방공(310)이 폐쇄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00)의 타단에는 상기 조임줄(6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가압레버(7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대(200)의 타단에는 상기 조임줄(60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가압레버(7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레버(710)는 긴 막대 형상이며, 가운데 부분이 상기 제1지지대(10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획망(300) 방향 끝단에 상기 조입줄의 일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00)의 타단과 상기 제1가압레버(710)의 타단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730)가 장착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730)는 'U'자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압레버(710)를 상기 제2지지대(200)의 타단과 벌어지도록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가압레버(710)는 타단을 손으로 가압하게 되면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100)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조임줄(600)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임줄(600)이 상기 개방공(310)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2가압레버(720)는 상기 제2지지대(200)의 타단에 장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1가압레버(710)와 동일하며, 상기 제2가압레버(720)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대(200)의 타단 사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730)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2탄성부재(74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에 상기 조임줄(600)을 잡아당기는 상기 제1가압레버(710)와 상기 제2가압레버(7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조임줄(600)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개방공(310)의 개폐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류의 포획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제1지지대 200 : 제2지지대
300 : 포획망 310 : 개방공
320 : 무게추 400 : 수용망
410 : 수용공간 500 : 이탈방지구
600 : 조임줄 710 : 제1가압레버
720 : 제2가압레버 730 : 제2탄성부재
740 : 제2탄성부재 450 : 고정줄

Claims (4)

  1. 막대 형상이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지지대(100) 및 제2지지대(200);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2지지대(200) 사이에 장착되며, 개방공(310)이 관통 형성되고,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무게추(320)가 구비된 포획망(300);
    상단이 상기 포획망(300)의 하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개방공(310)과 연결되는 수용공간(410)이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수용망(400);
    상기 수용망(4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어류 포획시 상기 수용망(400)이 상류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줄(450);
    상기 개방공(31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며, 양단을 잡아당겼을 때 상기 개방공(310)을 조여 폐쇄시키는 조임줄(6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조임줄(6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가압레버(710);
    상기 제2지지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조임줄(60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가압레버(720);
    상기 제1지지대(100)와 상기 제1가압레버(710)의 타단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가압레버(710)를 상기 제1지지대(100)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730);
    상기 제2지지대(200)와 상기 제2가압레버(720)의 타단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2가압레버(720)를 상기 제2지지대(200)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74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레버(710)와 상기 제2가압레버(720)의 타단을 가압하면 상기 조임줄(600)이 당겨지면서 상기 개방공(310)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잡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공(310)에서 상기 수용공간(410)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410)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이탈방지구(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잡이 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180001076U 2018-03-14 2018-03-14 물고기잡이 장치 KR200486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76U KR200486874Y1 (ko) 2018-03-14 2018-03-14 물고기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76U KR200486874Y1 (ko) 2018-03-14 2018-03-14 물고기잡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74Y1 true KR200486874Y1 (ko) 2018-07-09

Family

ID=6290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076U KR200486874Y1 (ko) 2018-03-14 2018-03-14 물고기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2065A (zh) * 2018-07-16 2018-11-30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放置式湿地水生无脊椎动物采集器及其应用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563U (ko) * 1997-05-02 1998-12-05 윤근성 물고기 이탈방지용 어망을 갖는 족대
KR19990012623U (ko) * 1997-09-10 1999-04-06 강희세 어망설치용 지주대
KR200368750Y1 (ko) * 2004-09-03 2004-12-03 임영도 물고기 포획망을 갖는 족대
KR200375051Y1 (ko) * 2004-10-04 2005-02-05 송제연 신죽방염 그물장치
KR20110007669U (ko) * 2010-01-27 2011-08-03 김동배 물고기 이탈방지 족대
KR101063124B1 (ko) * 2011-04-25 2011-09-07 이상완 삼각 그물망
KR20120003960U (ko) * 2012-04-13 2012-06-05 대한민국(농림수산식품부 동해어업관리단장) 활 새우 미끼어망
KR20160108624A (ko) * 2015-03-04 2016-09-20 김평암 휴대용 죽방렴
KR101720579B1 (ko) 2014-04-24 2017-03-29 주식회사 맘러브스유 족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563U (ko) * 1997-05-02 1998-12-05 윤근성 물고기 이탈방지용 어망을 갖는 족대
KR19990012623U (ko) * 1997-09-10 1999-04-06 강희세 어망설치용 지주대
KR200368750Y1 (ko) * 2004-09-03 2004-12-03 임영도 물고기 포획망을 갖는 족대
KR200375051Y1 (ko) * 2004-10-04 2005-02-05 송제연 신죽방염 그물장치
KR20110007669U (ko) * 2010-01-27 2011-08-03 김동배 물고기 이탈방지 족대
KR101063124B1 (ko) * 2011-04-25 2011-09-07 이상완 삼각 그물망
KR20120003960U (ko) * 2012-04-13 2012-06-05 대한민국(농림수산식품부 동해어업관리단장) 활 새우 미끼어망
KR101720579B1 (ko) 2014-04-24 2017-03-29 주식회사 맘러브스유 족대
KR20160108624A (ko) * 2015-03-04 2016-09-20 김평암 휴대용 죽방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2065A (zh) * 2018-07-16 2018-11-30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放置式湿地水生无脊椎动物采集器及其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940B2 (en) Fish trap with buoy-activated net
Webb et al. Crocodile capture techniques
KR200486874Y1 (ko) 물고기잡이 장치
US3394483A (en) Bait catcher
US8516737B2 (en) Coverable fish net apparatus
KR200442806Y1 (ko) 통발용 미끼통 취부 장치
US4373286A (en) Reaction gill net
US20090223114A1 (en) Live bait trap and bucket
US20100281752A1 (en) Collapsible loop-spring actuated fish cradle device
US20090255165A1 (en) Fishing line stop
KR200419022Y1 (ko) 참게 포획기구
US3464138A (en) Device for releasing a snagged fishing lure
KR101939909B1 (ko) 유해동물 포획기구
US9426975B2 (en) Raccoon trap cap
KR100775966B1 (ko) 물고기용 통발
KR102423042B1 (ko) 물고기잡이용 족대
TWM580875U (zh) Safety trap spring structure improvement
KR200470111Y1 (ko) 부력주머니가 구비된 낚시찌
US91316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ttracting and collecting earthworms
KR101316081B1 (ko) 주머니형 새우망
KR102388386B1 (ko)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US2513130A (en) Trap anchoring and animal drowning stake
KR102425249B1 (ko) 구멍치기낚시용 낚시대
KR100326169B1 (ko) 잠자리채
KR200186778Y1 (ko) 장어 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