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644B1 - 자동 작살낚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작살낚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644B1
KR101581644B1 KR1020150114312A KR20150114312A KR101581644B1 KR 101581644 B1 KR101581644 B1 KR 101581644B1 KR 1020150114312 A KR1020150114312 A KR 1020150114312A KR 20150114312 A KR20150114312 A KR 20150114312A KR 101581644 B1 KR101581644 B1 KR 10158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main body
hole
fishing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심
Original Assignee
김태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심 filed Critical 김태심
Priority to KR1020150114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4Fish-sp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작살낚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수직으로 중공된 중공부를 가지며, 하부가 상광하협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원추부가 형성되고, 원추부 하단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공부 상부에서 하향삽입되며, 저면에 하부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살이 결합되고, 본체의 통공으로 관통되며 하단에 낚싯바늘이 결선되며, 통공으로 관통삽입되는 낚싯줄의 상단이 저면에 결합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의 무게중심이 원추부에 형성되게 하며,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원추부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작살이 수직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무게추와;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도록 원추부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통공과; 상기 이동부재를 본체의 상단으로 이동시켰다가 물고기의 낚싯바늘 입질에 의하여 낚싯줄이 이동부재에 힘을 가하면, 이동부재가 하강하면서 작살이 제1, 제2관통공으로 관통되게 하는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낚싯바늘을 물고기가 입질하면서 낚싯줄에 일정한 힘이 작용하게 되면, 마그네틱부에 부착되었던 이동부재가 인장스프링에 의하여 하향으로 탄성복원되면서 작살이 물고기에 꽂혀 자동으로 작살낚시를 가능케 하는 자동 작살낚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작살낚시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Spear Fishing}
본 발명은 자동 작살낚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싯바늘을 물고기가 입질하면서 낚싯줄에 일정한 힘이 작용하면, 장전되었던 작살이 발사되어 물고기가 작살에 꿰임으로써, 작살낚시를 가능케 하는 자동 작살낚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바늘에 미끼를 걸어 물속에 투하하면, 물고기들이 낚싯바늘에 걸린 미끼를 먹기 위하여 미끼에 입질을 하는 과정에서 낚싯바늘이 물고기의 아가미 주변에 꿰이게 되는 것과 입질 중에 낚시꾼이 낚싯줄을 채는 동작을 함에 의하여 낚싯바늘이 물고기에 꿰임에 따라 낚시가 이루어는 것이다.
상기한 일반적인 낚시는 고도의 집중력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기술이다.
즉, 낚싯바늘이 물고기에 의해 입질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낚시꾼이 인지하기 위해서는 낚싯줄에 결합하여 물 위에 부상된 찌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관찰함으로써,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찌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입질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낚싯바늘이 물고기에 꿰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한 명의 낚시꾼이 다수의 낚시를 관찰하면서 물고기를 낚시로 포획한다는 것은 그만큼 고도의 집중력과 관찰력이 요구되는 것이며, 이러한 점은 자칫 낚시를 낚는 시기를 놓칠 수도 있으므로, 물고기 포획에 실패할 수 있으므로, 대량의 낚싯대로 대량의 물고기를 포획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1-0053070호에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찌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1-0053070호 (2011.05.1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바늘에 미끼를 걸어서 물속으로 투하한 상태에서도 찌의 움직임을 관찰하지 않고도 낚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미끼를 물은 물고기가 저항할 때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마그네틱부에 자력으로 부착되었던 이동부재가 인장스프링에 의하여 떨어지면서 인장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작살이 하향으로 발사되어 물고기를 작살로 꿸 수 있게 함으로써, 간편한 작살낚시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내측에 수직으로 중공된 중공부(102)를 가지며, 하부가 상광하협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원추부(104)가 형성되고, 원추부(104) 하단에 통공(104a)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02) 상부에서 하향삽입되며, 저면에는 하부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살(120)이 결합되고, 본체(110)의 통공(104a)으로 관통되며 하단에 낚싯바늘(112)이 결선되며, 통공(104a)으로 관통삽입되는 낚싯줄(114)의 상단이 저면에 결합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116)와; 상기 본체(110)의 무게중심이 원추부(104)에 형성되게 하며,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원추부(104)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작살(120)이 수직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제1관통공(118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통공(104a)와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연결공(118b)이 형성된 무게추(118)와; 상기 제1관통공(118a)과 대응되도록 원추부(104)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통공(104b)과; 상기 이동부재(116)를 본체(110)의 상단으로 이동시켰다가 물고기의 낚싯바늘(112) 입질에 의하여 낚싯줄(114)이 이동부재(116)에 힘을 가하면, 이동부재(116)가 하강하면서 작살(120)이 제1, 제2관통공(118a, 104b)으로 관통되게 하는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작살낚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은, 상기 이동부재(116)의 저면과 원추부(104)의 상면에 상, 하단이 결합되어 이동부재(116)를 하향으로 복원시키려 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인장스프링(122)과;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삽입결합되며,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된 구조로서, 상단에 제1조작공(124a)이 관통형성 캡부(124)와; 상기 캡부(124)에 삽입결합되며, 제1조작공(124a)과 대응되도록 제2조작공(126a)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된 마그네틱부(126)와; 상기 이동부재(116)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1, 제2조작공(124a)(126a)을 경유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이동부재(116)를 본체(110)의 상부로 끌어올려 마그네틱부(126)에 이동부재(116)가 자력으로 부착되게 하는 조작끈(12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부(124)는 본체(110) 상단의 외경에 형성된 숫나사부(106)에 캡부(124)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4b)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그네틱부(126)의 상,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결합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제3조작공(130a)이 형성된 보강와셔(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작살(120)의 상단은 이동부재(116) 저면에 형성된 나사공(116a)에 체결되게 하며, 상기 작살(120)의 하단은 어느 하나의 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물고기가 미끼를 물때를 관찰하거나 기다리지 않고도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저항하는 힘이 발생할 때, 장전되었던 작살이 발사되어 물고기가 작살에 꿰이게 함으로써, 고도의 집중력과 관찰력을 요구하지 않아도 물고기의 포획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 또는 대량의 자동 작살낚시장치를 설치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작살낚시를 수거하여 물고기의 포획 여부를 확인하는 것 만으로도 손쉽게 낚시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대량의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작살낚시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작살낚시장치의 낚시 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작살낚시장치의 작살을 장전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작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작살낚시장치의 작살이 장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작살낚시장치의 작살이 발사되면서 물고기에 꽂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110)는 하부가 상광하협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원추부(104)가 형성되며, 내측은 원추부(104)로부터 수직으로 중공된 중공부(102)가 형성되고, 원추부(104) 하단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04a)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원통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본체(110)의 단면형상을 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단면형상으로도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공(104a)도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를 한정하지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02) 상부에서는 하향으로 이동부재(116)를 삽입하여, 이 이동부재(116)가 자유롭게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하는 바, 상기 이동부재(116)의 저면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의 작살(120)이 결합되며(예를 들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4개의 작살(120)을 결합시킨다.), 상기 작살(120)은 이동부재(116)의 저면에 나사공(116a)에 작살(120)의 상단이 체결되게 함으로써, 작살(120)이 손상될 경우 손쉬운 해체작업과 결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살(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화살표, 후크, 걸고리 등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물고기에 작살(120)이 꽂히면,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기서, 상기 작살(120)의 하단을 어느 하나의 방향을 향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후술하게 될 작살(120)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작살(120)이 확산되면서, 포획구간이 더욱 확장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원추부(104)에는 상기 작살(120)이 발사되었을 때, 작살(120)이 본체(110) 외부로 관통될 수 있도록 작살(120)이 설치된 수직하부에 제2관통공(104b)을 형성하여 작살(120)이 발사될 수 있는 통로를 개설한다.
한편, 낚싯바늘(112)이 하단에 결합된 낚싯줄(114)의 상단이 본체(110)의 통공(104a)을 관통하여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16)의 저면에 결선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116)는 금속재질 또는 마그네틱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원추부(104)에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무게추(118)를 삽입설치하여 본체(110)의 무게중심이 원추부(104)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속에 본체(110)가 잠겨질 때에는 원추부(104)가 아래를 향하고 본체(110)의 상단이 상부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본체(110)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게추(118)에는 원추부(104)에 형성된 제2관통과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도록 제1관통공(118a)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작살(120)이 제1관통공(118a)을 경유하여 제2관통공(104b)으로 관통되게 하며, 원추부(104)의 통공(104a)와 수직으로 연결관통되도록 연결공(118b)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살낚시에서는 상기한 본체(110)의 중공부(102)에 삽입된 이동부재(116) 및 작살(120)이 상단으로 이동되었다가 물고기가 낚싯바늘(112)을 입질하여 미끼를 먹은 상태에서 일정한 힘 이상이 낚싯줄(114)에 작용하였을 때, 이동부재(116)와 작살(120)이 신속하고도 강력하게 제1관통공(118a)과 제2관통공(104b)을 관통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물고기를 작살(120)로 꽂음으로써, 낚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을 제공한다.
상기한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16)의 저면과 원추부(104)의 상면에 인장스프링(122)을 결합시키고, 이 인장스프링(122)이 항상 이동부재(116)를 하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되게 하되, 일정한 힘이 낚싯줄(114)에 작용하지 않을 경우 항상 이동부재(116) 및 작살(120)이 본체(110)의 상단에서 위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캡 형상과 같이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캡부(124)를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시키되, 상기 본체(110)의 상단 외경에는 숫나사부(106)를 형성하고, 이 숫나사부(106)에 체결되도록 캡부(124)의 내경면 하부에는 암나사부(124b)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캡부(124)를 본체(110)에 체결하기전, 캡부(124)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부(126)를 삽입하여 캡부(124)를 본체(110)에 체결하면 본체(110)의 상단 외주연부가 마그네틱부(126)를 상향으로 가압하거나 마그네틱부(126)가 하향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마그네틱부(126)가 본체(11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부(126)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금속으로 된 보강와셔(130)를 삽입하여 마그네틱부(126)의 자력이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캡부(124)의 상단에는 제1조작공(124a)을 형성하고, 마그네틱부(126)에는 상기 제1조작공(124a)과 수직으로 대응되어 연통되도록 제2조작공(126a)을 형성하며, 보강와셔(130)가 설치될 경우, 상기 보강와셔(130)에도 제1조작공(124a)과 제2조작공(126a)에 대응되어 연통되도록 제3조작공(130a)을 형성하여, 이동부재(116)의 상단에 결합된 조작끈(128)이 제1, 제2, 제3조작을 경유하여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이 조작끈(128)을 잡아당기면, 이동부재(116)가 승강하여 마그네틱부(126) 또는 보강와셔(13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인장스프링(122)의 장력보다 마그네틱부(126)와 이동부재(116)의 자력에 의한 부착력이 더 강하게 설정함으로써, 마그네틱부(126) 또는 보강와셔(130)에 부착된 이동부재(116)가 항상 본체(110)의 상부에서 장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작살낚시장치의 작용상태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작살낚시장치는 최초에 이동부재(116)가 인장스프링(122)에 의해 본체(110)의 하부에 하강된 상태를 가지며, 낚시를 하게 될 경우, 상기 낚싯바늘(112)에 미끼를 걸고, 도 3과 같이 조작끈(128)을 잡아당기면, 조작끈(128) 하단에 결합된 이동부재(116)가 인장스프링(122)을 팽창시키면서 마그네틱부(126) 또는 보강와셔(130)에 밀착되며, 이때, 발생하는 마그네틱부(126)의 자력에 의해 마그네틱부(126) 또는 보강와셔(130)에 도 4와 같이 이동부재(116)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116)가 본체(110)의 상단으로 승강함에 따라, 이동부재(116)에 결합된 작살(120)도 끌어 올려지는 바, 도 4에서는 작살(120)이 제2관통공(104b)으로 돌출된 상태로 장전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작살(120)이 제2관통공(104b) 속으로 은폐되어 출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살(120)이 장전된 후 낚시가 개시되면, 물고기가 낚싯바늘(112)에 걸어둔 미끼에 입질을 하며,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싯바늘(112)이 물고기 입에 꿰이거나 미끼를 문 상태에서 저항하면서 발생하는 힘이 낚싯줄(114)에 작용하고, 낚싯줄(114)이 이동부재(116)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그 힘은 이동부재(116)를 마그네틱부(126) 또는 보강와셔(130)를 분리시키려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싯줄(114)에 작용하는 힘이 일정한 힘을 초과하게 되면, 그때, 팽창된 인장스프림을 멈춤유지시키고 있던 마그네틱부(126)의 자력보다 낚싯줄(114)에 가해지는 힘이 더 커지게 되므로, 이동부재(116)가 마그네틱부(126) 또는 보강와셔(130)로부터 분리되고, 이때, 인장스프링(1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116)와 이동부재(116)에 결합된 작살(120)이 순간적이고도 강력하게 하강하는바, 제2관통공(104b)을 관통하는 작살(120)이 본체(110)의 하부에서 낚싯바늘(112)에 걸린 물고기의 몸통에 꽂히게 되므로, 낚싯바늘(112)에 물린 물고기를 완전하게 포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낚싯바늘(112)에 물고기가 걸릴때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낚시대를 채올리지 않아도, 낚싯바늘(112)에 물고기가 걸려 저항을 하게 되면, 이 저항하는 힘을 이용하여 작살(120)이 발사되게 함으로써, 물고기를 손쉽게 포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본 발명의 본체(110) 또는 캡부(124)의 외경면에 형성된 것은 다수 개의 날개부(132)이다.
102 : 중공부 104 : 원추부
106 : 숫나사부 110 : 본체
112 : 낚싯바늘 114 : 낚싯줄
116 : 이동부재 118 : 무게추
120 : 작살 122 : 인장스프링
124 : 캡부 126 : 마그네틱부
128 : 조작끈 130 : 보강와셔
132 : 날개부

Claims (4)

  1. 내측에 수직으로 중공된 중공부(102)를 가지며, 하부가 상광하협의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원추부(104)가 형성되고, 원추부(104) 하단에 통공(104a)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02) 상부에서 하향삽입되며, 저면에는 하부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살(120)이 결합되고, 본체(110)의 통공(104a)으로 관통되며 하단에 낚싯바늘(112)이 결선되며, 통공(104a)으로 관통삽입되는 낚싯줄(114)의 상단이 저면에 결합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116)와;
    상기 본체(110)의 무게중심이 원추부(104)에 형성되게 하며,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원추부(104)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작살(120)이 수직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제1관통공(118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통공(104a)와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연결공(118b)이 형성된 무게추(118)와;
    상기 제1관통공(118a)과 대응되도록 원추부(104)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통공(104b)과;
    상기 이동부재(116)를 본체(110)의 상단으로 이동시켰다가 물고기의 낚싯바늘(112) 입질에 의하여 낚싯줄(114)이 이동부재(116)에 힘을 가하면, 이동부재(116)가 하강하면서 작살(120)이 제1, 제2관통공(118a, 104b)으로 관통되게 하는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작살낚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은,
    상기 이동부재(116)의 저면과 원추부(104)의 상면에 상, 하단이 결합되어 이동부재(116)를 하향으로 복원시키려 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인장스프링(122)과;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삽입결합되며,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된 구조로서, 상단에 제1조작공(124a)이 관통형성 캡부(124)와;
    상기 캡부(124)에 삽입결합되며, 제1조작공(124a)과 대응되도록 제2조작공(126a)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된 마그네틱부(126)와;
    상기 이동부재(116)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1, 제2조작공(124a)(126a)을 경유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이동부재(116)를 본체(110)의 상부로 끌어올려 마그네틱부(126)에 이동부재(116)가 자력으로 부착되게 하는 조작끈(1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작살낚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124)는 본체(110) 상단의 외경에 형성된 숫나사부(106)에 캡부(124)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4b)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작살낚시장치.
  4. 내측에 수직으로 중공된 중공부(102)를 가지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02) 상부에서 하향삽입되며, 저면에는 하부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작살(120), 및 낚싯바늘(112)을 결선하기 위한 낚싯줄(114)이 결합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116); 및
    상기 이동부재(116)를 본체(110)의 상단으로 이동시켰다가 물고기의 낚싯바늘(112) 입질에 의하여 낚싯줄(114)이 이동부재(116)에 힘을 가하면, 이동부재(116)가 하강하면서 작살(120)을 물고기를 향하여 발사시키는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작살의 장전 및 발사수단은:
    상기 이동부재(116)의 저면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상, 하단이 결합되어 이동부재(116)를 하향으로 복원시키려 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인장스프링(122);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고정된 자성의 마그네틱부(126); 및
    상기 이동부재(116)의 상단에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이동부재(116)를 본체(110)의 상부로 끌어올려 상기 마그네틱부(126)에 상기 이동부재(116)가 자력으로 부착되게 하는 조작끈(12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20150114312A 2015-08-13 2015-08-13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158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312A KR101581644B1 (ko) 2015-08-13 2015-08-13 자동 작살낚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312A KR101581644B1 (ko) 2015-08-13 2015-08-13 자동 작살낚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644B1 true KR101581644B1 (ko) 2015-12-31

Family

ID=5512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312A KR101581644B1 (ko) 2015-08-13 2015-08-13 자동 작살낚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6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069A (ko) * 2017-05-25 2018-12-05 장선웅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KR101926313B1 (ko) * 2018-07-30 2018-12-06 권다훈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KR102071649B1 (ko) * 2019-04-10 2020-01-30 윤병천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KR20200108605A (ko) 2019-03-11 2020-09-21 배원직 자동 포획 낚시장치
KR102657271B1 (ko) 2023-03-02 2024-04-16 신아영 두족류 포획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811Y1 (ko) * 2005-10-10 2006-01-11 김영래 자동식 작살
KR100849588B1 (ko) * 2008-05-07 2008-07-31 오세현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KR20110053070A (ko) 2009-11-13 2011-05-19 안병석 민물낚시용 낚시찌 및 낚시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811Y1 (ko) * 2005-10-10 2006-01-11 김영래 자동식 작살
KR100849588B1 (ko) * 2008-05-07 2008-07-31 오세현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KR20110053070A (ko) 2009-11-13 2011-05-19 안병석 민물낚시용 낚시찌 및 낚시찌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069A (ko) * 2017-05-25 2018-12-05 장선웅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KR102052049B1 (ko) 2017-05-25 2019-12-04 (주) 아이렘기술개발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KR101926313B1 (ko) * 2018-07-30 2018-12-06 권다훈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KR20200108605A (ko) 2019-03-11 2020-09-21 배원직 자동 포획 낚시장치
KR102071649B1 (ko) * 2019-04-10 2020-01-30 윤병천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KR102657271B1 (ko) 2023-03-02 2024-04-16 신아영 두족류 포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644B1 (ko) 자동 작살낚시장치
US10375940B2 (en) Fish trap with buoy-activated net
US2502816A (en) Minnow holder
US4565026A (en) Remote release deep trolling system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KR20170003424A (ko) 낚시용 리그
US2700843A (en) Slip noose fishing leader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US2009298A (en) Automatic grab fishhook
KR101819424B1 (ko)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US20100319236A1 (en) Apparatus For Grabbing Fish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CN107232153B (zh) 磁力触发自动钓鱼器
US3216143A (en) Fishing lure retrievers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US3729854A (en) Lure releasing device
KR102432877B1 (ko) 낚시채비
JP3772284B2 (ja) 複合釣具
KR200321173Y1 (ko)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KR200484364Y1 (ko) 다운샷용 낚시채비
KR101482688B1 (ko) 물고기 포획되는 낚시어구
US1763921A (en) Snare
JP7212980B1 (ja) 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及び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の胴付き仕掛け及びサビキ仕掛けの製造方法。
CN212414411U (zh) 带诱饵笼的自动钓鱼器
KR101043442B1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