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588B1 -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588B1
KR100849588B1 KR1020080042232A KR20080042232A KR100849588B1 KR 100849588 B1 KR100849588 B1 KR 100849588B1 KR 1020080042232 A KR1020080042232 A KR 1020080042232A KR 20080042232 A KR20080042232 A KR 20080042232A KR 100849588 B1 KR100849588 B1 KR 10084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ishing
string
lif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현
Original Assignee
오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현 filed Critical 오세현
Priority to KR102008004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낚시대와 연결된 제3끈(34)과 연결되고 내부 중공홀(1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측자석(12) 및 하측자석(13)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상측자석(12)과 하측자석(13)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자력에 의해 상승힘을 받으며 하부에 낚시바늘(33)을 고정한 제2끈(32)과 연결된 승강자석(20); 상기 승강자석의 상승힘을 억제하고 상기 제2끈(32)과 연결되는 제1끈(31)이 체결된 결속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낚시바늘의 당김시 상기 결속구가 승강자석의 상승력 억제를 해제하여 승강자석의 상승과 함께 낚시바늘이 상승하게 된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자동 채임 수단을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므로 종래 금속성의 탄성부재와 같이 녹이 슬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또한 결속구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므로 충격이나 파력 등에 의한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물고기의 포획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JERKING DEVICE OF A FISH-HOOK}
본 발명은 낚시용 바늘에 꿰진 미끼에 물고기가 입질을 할 때 자석의 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바늘을 고속 상승시켜서 물고기를 챌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낚시 방식은 낚싯대에 연결된 낚싯줄 끝에 물고기의 미끼를 꿴 상태에서 상기 미끼를 물속에 넣고 물고기가 미끼를 입질할 때, 순간적으로 낚싯대를 당겨서(채임) 물고기를 낚고 있다. 이때, 낚싯줄의 소정 위치에는 부력에 의해서 수면에 일정 부분이 노출되는 찌를 설치하여 낚시꾼이 찌를 주시함으로써 어신을 감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찌 포착 방식은 야간 중이나 파고가 높은 경우, 육안 관측이 어려워 어신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초보자의 경우 어신을 감지하여라도 제대로 낚싯대를 잡아채지 못하여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흥미를 느끼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00-0002809호에는, 본체 상단에 낚싯줄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낚시 포획구 본체 내에는 탄성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는 낚시 바늘의 줄을 묶을 수 있도록 목줄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 하단에는 감지레버에 형성된 걸이부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감지레버에는 목줄고리에 묶인 낚시 바늘의 줄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고리를 형성하고, 물고기가 입질을 하면, 상기 낚시 바늘의 줄이 진동을 하여 이 진동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감지레버와, 상기 감지레버는 걸이부에 재가된 걸림돌기를 이탈시키고, 이때, 상기 작동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물고기를 순간적으로 낚아챌 수 있도록 한 낚시 포획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작동부의 상승 작용이 탄성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작성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탄성부재는 금속 재질로 제조되지만, 대부분의 금속은 수분이나 물에 대단히 취약하여 쉽게 부식되고, 따라서 상기 포획구가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면, 탄성부재가 쉽게 부식하여 탄성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급속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강이나 바다 등의 물속에는 미세한 부유물이 혼재되어 있는데, 포획구를 장시간 물속에 침수시킨 경우, 부유물이 상기 스프링 사이에 껴서 스프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감지레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부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포획구를 투척하면, 포획구가 물의 수면에 닿는 순간의 충격이나 혹은 파력에 의한 진동으로 감지레버가 오작동하여, 물고기를 챌 수 없는 무용지물의 상태가 되는 치명적인 결함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속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부식이 되지 않음은 물론 부유물 등에 의해 승강 작용이 영향을 받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승강부재를 결속하고 결속구가 하우징 내부에 내입 설치되어 충격이나 파력 등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낚시대와 연결된 제3끈(34)과 연결되고 내부 중공홀(1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측자석(12) 및 하측자석(13)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상측자석(12)과 하측자석(13)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자력에 의해 상승힘을 받으며 하부에 낚시바늘(33)을 고정한 제2끈(32)과 연결된 승강자석(20); 상기 승강자석의 상승힘을 억제하고 상기 제2끈(32)과 연결되는 제1끈(31)이 체결된 결속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낚시바늘의 당김시 상기 결속구가 승강자석의 상승력 억제를 해제하여 승강자석의 상승과 함께 낚시바늘이 상승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부재가 부식이 되지 않는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므로 금속성의 탄성부재와 같이 쉽게 녹이 슬지 않게 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부유물 등이 끼지 않게 되므로 자력에 의해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를 결속하고 있는 결속구가 하우징 내부에 내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채임 장치를 물속에 투척할 때의 충격이나 파력에 의한 진동으로 결속구의 결속이 해제되지 않게 되어 정확한 포획을 이룰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신뢰와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는, 낚시대와 연결된 제3끈(34)과 연결되고 내부 중공홀(1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측자석(12) 및 하측자석(13)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상측자석(12)과 하측자석(13)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자력에 의해 상승힘을 받으며 하부에 낚시바늘(33)을 고정한 제2끈(32)과 연결된 승강자석(20); 상기 승강자석의 상승힘을 억제하고 상기 제2끈(32)과 연결되는 제1끈(31)이 체결된 결속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낚시바늘의 당김시 상기 결속구가 승강자석의 상승력 억제를 해제하여 승강자석의 상승과 함께 낚시바늘이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의 중공부(11) 내에 설치되는 승강자석(20)을 비롯하여 상측자석(12)과 하측자석(13)에 의한 자력이 작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되고, 상기 상측자석(12)과 하측자석(13)은 하우징(10) 내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승강자석(20)은 상기 상측자석(12)과 상호 끌 어당기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S극과 N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편, 하측자석(13)과는 밀어내는 척력(13)이 작용하도록 동일한 극을 부여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낚싯대(미도시)와 연결된 제3끈(34)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이 물속에 침수되어 있을 때 수직 방향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0)의 하부에 무게추(40)를 연결한 제4끈(41)이 연결되도록 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경사를 이루는 절개부(14)가 형성되어 내부 중공부(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4)에서 하우징(10)의 하단까지 수직하게 천공된 가이드홀(15)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홀(15)은 2개를 한 쌍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자석(20)은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외부에 합성수지로 제조된 케이스(21) 내에 밀봉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바다와 같이 짠 물속에 승강자석(20)이 침수될 때 부식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함으로써 중공부(11) 내에서 승강자석(20)이 슬라이딩 왕복 이동할 때 부식으로 인한 이동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상기 승강자석(20) 하단에는 연결로드(22)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하측자석(13)은 중앙에 중공홀(13a)이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로드(22)가 중공홀(13a)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연결로드(22)의 하단에는 스토퍼(23)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23)는 승강자석(20)의 상승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제1끈(31) 및 제2끈(32)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승강자석(20)의 상승과 동시에 스토퍼(23)가 상승할 때, 스토퍼(23)가 하우징(10) 하단과 접촉되는 시점에서 승강자석(20)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설계되며, 승강자석(20)이 멈추는 위치에서 상측자석(12)과 승강자석(20)이 서로 맞닿아 인력에 의해 완전 부착되도록 설계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승강자석(20)이 상승하여 상측자석(12)과 접할 때, 스토퍼(23)와 하우징(10) 하단이 접하지 않도록 여유 거리를 둘 수 있는데, 이때 승강자석(20)이 자력에 의해 고속 상승하면서 상측자석(12)과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어느 일측 자석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자석(12)의 하단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예컨대 부직포나 탄성패드, 합성수지 플레이트 등)의 완충플레이트(12a)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완충플레이트(12a)는 승강자석(20)의 상단에 부착되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절개부(14) 내에는 상기 승강자석(20)의 상승을 억제하는 결속구(30)가 내입 설치된다. 상기 결속구(30)는 중앙에 상기 제1끈(31)이 관통하도록 결속홀(30a)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30a)을 관통한 제1끈(31)의 양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홀(15)에 내입 관통되어 하우징(10)의 하부로 이어져서, 상기 스토퍼(23)에 형성된 고정홀(23a)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끈(32)은 상기 고정홀(23a)에 연결된 제1끈(31)과 연결되고 하단에 낚시바늘(33)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2를 통한 작용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측은 승강자석(20)이 하우징(10)의 최하부에 위치한 상태로서 물고기를 낚기 전의 대기 상태이고, 우측은 승강자석(20)이 하우징(10)의 최상부에 위치한 상태로서, 물고기를 낚은 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10)에 대해 승강자석(20)을 아래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승강자석(20)과 하측자석(13)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척력이 점차 크게 발생하여 승강자석(20)은 척력에 의한 상승 힘을 받게 된다. 승강자석(20)을 강제로 밀어 내릴 때 승강자석(20)의 상단이 절개부(14)의 하부까지 내려올 때, 결속구(30)를 절개부(14) 내로 밀어 넣어 승강자석(20)의 상단에 위치하게 한 뒤, 승강자석(20)을 놓으면 도 2의 좌측 도면과 같이 척력에 의한 승강자석(20)의 상승 힘이 결속구(30)에 의해 억제되어 상승하지 않게 된다. 이때, 결속구(30)와 스토퍼(23)에 연결된 제1끈(31)은 팽팽한 당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물고기가 바늘(3)에 꿰진 미끼에 입질을 하면, 제2끈(32)과 제1끈(31)에 진동(①)이 가해지고, 이후 결속구(30)가 절개부(14)에서 이탈(②)하며, 결속이 해제된 승강자석(20)이 하측자석(13)에 의한 척력을 비롯하여 상측자석(12)과의 인력에 의해서 급상승(③)한다.
승강자석(20)이 급상승하는 경우, 스토퍼(23)가 동시에 급상승하면서 제1끈(31)은 느슨해지게 되고, 또한 제2끈(32)이 당겨지면서 낚시바늘(33)이 동시에 급상승하여 물고기를 챌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도시된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설명된 기술사상에 의 해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자력의 척력과 인력에 의해 승강자석이 상승력을 가지며, 결속구에 의해서 승강자석의 상승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이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일치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자석을 제외한 기타 요소, 즉 하우징(10), 케이스(21), 결속로드(22), 스토퍼(23)를 비롯하여 결속구(30) 등의 요소는 자석의 자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자석의 극성은 도시된 예와 반대로 부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중공부
12 : 상측자석 13 : 하측자석
14 : 절개부 15 : 가이드홀
20 : 승강자석 21 : 케이스
22 : 승강로드 23 : 스토퍼
30 : 결속구 31 : 제1끈
32 : 제2끈 33 : 낚시바늘
34 : 제3끈 40 : 무게추
41 : 제4끈

Claims (7)

  1. 낚시대와 연결된 제3끈(34)과 연결되고 내부 중공홀(1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측자석(12) 및 하측자석(13)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상측자석(12)과 하측자석(13)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자력에 의해 상승힘을 받으며 하부에 낚시바늘(33)을 고정한 제2끈(32)과 연결된 승강자석(20);
    상기 승강자석의 상승힘을 억제하고 상기 제2끈(32)과 연결되는 제1끈(31)이 체결된 결속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낚시바늘의 당김시 상기 결속구가 승강자석의 상승력 억제를 해제하여 승강자석의 상승과 함께 낚시바늘이 상승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자석(20)의 상부는 상측자석(12)과 인력이 작용하고, 하부는 하측자석(13)과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상기 중공부(11)가 노출되도록 절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4)에서 하단까지 가이드홀(15)이 천공되어서, 상기 결속구(20) 가 절개부(14)에 내입 설치되고, 상기 제1끈(31)은 가이드홀(15)을 관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자석(20)은 합성수지 케이스(21)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승강자석(20) 하단에 하향 연장된 승강로드(22)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22)는 하측자석(13)의 중공홀(13a)을 관통하며, 승강로드(22) 하단에 상기 제1끈(31) 및 제2끈(32)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홀(23a)이 형성된 스토퍼(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자석(12) 하단 또는 승강자석(20) 상부에 완충플레이트(1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 무게추(40)를 연결하는 제4끈(41)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KR1020080042232A 2008-05-07 2008-05-07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KR10084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32A KR100849588B1 (ko) 2008-05-07 2008-05-07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32A KR100849588B1 (ko) 2008-05-07 2008-05-07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588B1 true KR100849588B1 (ko) 2008-07-31

Family

ID=3982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232A KR100849588B1 (ko) 2008-05-07 2008-05-07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5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2071649B1 (ko) * 2019-04-10 2020-01-30 윤병천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US20220142133A1 (en) * 2020-11-10 2022-05-12 Nick William Wichert Magnetic levitation spool assembly for ice fishing tip-up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005Y1 (ko) * 1981-01-13 1982-01-27 조건제 주낙용 자동낚시기
KR930017516U (ko) * 1992-01-13 1993-08-20 강병석 낚시용 찌
KR970053143U (ko) * 1996-03-05 1997-10-13 이천석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낚시 쨈질기
KR20000012799A (ko) * 1999-12-27 2000-03-06 송용석 전자 찌
KR200282089Y1 (ko) 2002-04-09 2002-07-19 김인숙 낚시대 자동챔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005Y1 (ko) * 1981-01-13 1982-01-27 조건제 주낙용 자동낚시기
KR930017516U (ko) * 1992-01-13 1993-08-20 강병석 낚시용 찌
KR970053143U (ko) * 1996-03-05 1997-10-13 이천석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낚시 쨈질기
KR20000012799A (ko) * 1999-12-27 2000-03-06 송용석 전자 찌
KR200282089Y1 (ko) 2002-04-09 2002-07-19 김인숙 낚시대 자동챔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2071649B1 (ko) * 2019-04-10 2020-01-30 윤병천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US20220142133A1 (en) * 2020-11-10 2022-05-12 Nick William Wichert Magnetic levitation spool assembly for ice fishing tip-u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588B1 (ko)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US7849629B1 (en) Automatic fish hook setter apparatus and method
US8028466B1 (en) Thwartable bottom link for vertical line
CN2776050Y (zh) 可自动提钓鱼漂
US20100293836A1 (en) Magnetic slip bobber
KR102275532B1 (ko) 자동 포획 낚시장치
US1816235A (en) Fishing appliance
KR102624084B1 (ko) 개량형 봉돌
KR20210128112A (ko) 호환성을 갖는 낚시 채비
CN106922633A (zh) 一种刺网捕捞装置
CN207531727U (zh) 一种浮漂水深检测单向扣
KR20000002809A (ko) 낚시 포획구
KR200260412Y1 (ko)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KR200227106Y1 (ko)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
KR200204974Y1 (ko) 낚시찌
KR200204981Y1 (ko) 자동 챔질 낚시찌
KR200146958Y1 (ko) 바다 낚시용 추
JP2012105576A (ja) 自動合わせ浮き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JP2018201453A (ja) 蛸釣り仕掛け。
KR200497432Y1 (ko) 낚시용 봉돌
KR20110035821A (ko)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KR102464680B1 (ko) 낚시추
KR200321173Y1 (ko)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KR200285356Y1 (ko) 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