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49B1 -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 Google Patents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49B1
KR102071649B1 KR1020190041904A KR20190041904A KR102071649B1 KR 102071649 B1 KR102071649 B1 KR 102071649B1 KR 1020190041904 A KR1020190041904 A KR 1020190041904A KR 20190041904 A KR20190041904 A KR 20190041904A KR 102071649 B1 KR102071649 B1 KR 10207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iece
guide hollow
wire
hollow portion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천
Original Assignee
윤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천 filed Critical 윤병천
Priority to KR1020190041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4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sp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조미끼는 한쪽에 낚싯바늘이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중공부와 전방에서 가이드 중공부와 연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낚싯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자석편과,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와,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낚시채비 연결구는 낚시용 채비의 원줄과 목줄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낚싯바늘이 연결된 목줄이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자석편과 강자성체와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이 강자성체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Artificial bait and Fishing tackle connector capable of repeated hooking}
본 발명은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낚싯바늘이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중공부와 전방에서 가이드 중공부와 연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 상기 배출공을 통해 낚싯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자석편과,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와,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조미끼와,
낚시용 채비의 원줄과 목줄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낚싯바늘이 연결된 목줄이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자석편과 강자성체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낚시채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이 강자성체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낚시미끼에는 천연미끼와 인조미끼가 사용되고 있으며, 인조미끼는 일회 사용으로 소모되는 천연미끼와는 달리 재사용 및 반복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인조미끼는 대상어나 포인트의 환경 여건 등에 따라 그 특성에 적합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최적의 조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인조미끼는 유인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실제 자연적 생물 등과 흡사한 형태 등으로 구성되고, 야광 발색 등의 다양한 색상과 무늬로 구성된다. 즉, 인조미끼는 대상어의 유인에 유리한 형상과 색채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매우 높은 조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가 임의로 그 형상이나 색상에 변화를 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등이 제공된다.
특히, 베스와 같은 육식성 어종은 먹이대상이 되는 물고기가 다니는 길목에 숨어 있다가 빠르게 움직이는 먹이를 포획하는 등 시각적으로 움직이는 먹이에 대하여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사냥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육식성 어종을 포획하기 위해서는 주로 물고기의 형상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제 인조미끼인 루어라고 통용되는 인조미끼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루어는 지렁이 등 생미끼가 아닌 인조 미끼를 말하는 것으로, 스푼(spoon)처럼 생기 스푼 루어, 윗부분에 작은 회전날개가 달린 형태의 스피너 루어, 낚싯바늘의 상부에 납덩이를 달아 깊이 가라앉도록 형성된 지그, 그리고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진 소프트 베이트,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하드 베이트 등으로 구분된다.
인조미끼를 이용한 낚시 방법으로는 인조미끼인 루어를 낚싯줄에 연결하고 예상 포인트에 던져넣은 후(캐스팅), 릴을 감아들이는 과정(릴링)에서 낚싯대를 강하고 짧게 끌어당기고 멈추는 동작을 반복(저킹)하는 액션을 연출함에 따라 루어가 살아있는 미끼와 같은 움직임을 연출하고, 이로 인하여 육식성 어종이 먹이로 착각하여 루어를 공격함으로써 루어의 몸체부에 구비된 낚싯바늘에 걸리게(후킹) 유도하여 낚아 올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고기의 섭이 본능을 유발시키기 위한 루어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6420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루어의 몸통에 낚싯줄을 이용한 플라스틱 못을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장식물들을 루어의 몸통을 관통하여 걸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4559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대상어의 청각과 시각을 자극하여 루어의 유인효과를 향상하고, 입질 시 바늘의 탄력이 작용하여 확실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 움직이는 눈을 갖는 루어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물론, 전문적인 낚시조사들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루어의 캐스팅, 릴링의 속도, 낚싯대의 챔질 타이밍과 세기 등을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대상어를 쉽게 포획할 수 있으나, 초보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전문적인 움직임을 채득하기 매우 어렵고 오랜 시간이 필요하여 낚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보자라 하더라도 챔질과정에서 뿐만아니라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서도 반복적으로 후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고기가 낚싯바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많은 조과(釣果)를 얻을 수 있는 인조미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잡한 구조가 아닌 간단한 구조로 저렴한 비용으로도 제공이 가능한 인조미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는 한쪽에 낚싯바늘이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중공부와 전방에서 가이드 중공부와 연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낚싯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자석편;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자석편은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금속재의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된 영구자석과, 케이싱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돌출형성된 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에는 상기 자석편의 잦은 충격에 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통공과 상기 자석편에 돌출형성된 고정고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어,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이 강자성체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중공부는 후방으로 향해 폭이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석편의 전방에 위치한 기체 또는 유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주면에 나란한 유동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충격할 때 빠른 속도로 충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아울러, 상기 강자성체는 철, 코발트, 니켈, 이산화크롬의 금속편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자석편과 동일하게 금속재의 케이싱과 내부에 삽입된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복 후킹이 가능한 낚시채비 연결구는 낚시용 채비의 원줄과 목줄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낚싯바늘이 연결된 목줄이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원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자석편과,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와,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자석편은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금속재의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된 영구자석과, 케이싱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돌출형성된 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에는 상기 자석편의 잦은 충격에 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통공과 상기 자석편에 돌출형성된 고정고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어,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이 강자성체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가 아닌 간단한 구조로 저렴한 비용으로도 제조할 수 있으며, 챔질과정에서 뿐만아니라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서도 반복적으로 후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킹의 효율를 극대화 하여 물고기가 낚싯바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많은 조과(釣果)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외형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길이방향 수직절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폭방향 수직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충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수직절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외형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길이방향 수직절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폭방향 수직절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의 전방을 충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수직절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100)은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낚싯바늘이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중공부(11)와 전방에서 가이드 중공부와 연통된 배출공(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낚싯줄에 연결되는 와이어(21)가 구비되는 자석편(20)과,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30)와,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고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가 낚싯바늘(a)이 결합되어 낚싯줄(b)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낚싯바늘(a)이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중공부(11)와 전방에서 가이드 중공부와 연통된 배출공(12)이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좌측본체(10a)와 우측본체(10b)가 나뉘어 형성되어 서로 접합되면서 물고기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좌측본체(10a)와 우측본체(10b)에 각각 형성된 원통홈이 치합되면서 가이드 중공부(1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물고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상어에 따라 지렁이나 도마뱀 또는 갑각류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중공부(11)는 후방으로 향해 폭이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공(12)은 외부에서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 단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후술되는 와이어(21)가 삽입되어 이동된다.
상기 자석편(20)은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낚싯줄(b)에 연결되는 와이어(21)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가짜 미끼, 즉 인조 미끼인 루어(lure)를 사용하는 루어낚시의 채비는 다른 채비에 비해 단조로운 편으로, 낚싯줄에 바로 루어를 결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사용되는 루어의 종류나 기법 및 대상 어종에 따라서 채비가 달라지곤 하는데, 일반적으로 원줄을 가늘게 그리고 목줄을 굵게 쓰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21)는 배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낚싯줄(b)에 연결되며, 낚싯줄의 원줄이나 목줄에 상관없이 고리나 통상의 연결구를 통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자석편(20)은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금속재의 케이싱(22)과,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된 영구자석(23)과, 케이싱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와이어(21)의 단부가 체결되는 고정고리(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자석(23)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희토류 자석인 네오디뮴 자석(-磁石, Neodymium Magnet) 또는 NIB 자석(Neodymium-Iron-Boron Magnet)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네오디뮴 자석은 가장 강한 자력(25~50MGOe)을 지니고 있으며, 가공성이 양호하고 사마륨-코발트 자석이나 알니코 자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나, 녹이 잘 슬어 표면을 니켈로 도금하여 사용한다.
상기 강자성체(30)는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며, 철, 코발트, 니켈, 이산화크롬의 금속편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자석편(20)과 동일하게 금속재의 케이싱과 내부에 삽입된 영구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강자성(ferromagnetism)이란 외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화되는 물질의 자기적 성질을 말하는 것으로, 단원자 강자성체로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이 있으며, 합금 상태의 영구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자성체(30)가 가이드 중공부(11)의 후방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강자성체가 단턱부에 끼움되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지 하는 것으로, 한쪽이 상기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에 고정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1)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대상어가 인조미끼를 건드릴 때 낚싯대를 낚아채는 챔질 과정에서 낚싯줄에 연결된 와이어(21)에 끌어올리는 낚싯줄(b)과 낚싯바늘(a)에 걸린 대상어에 의해 장력이 발생하고, 상기 강자성체(30)에 밀착된 자석편(20)이 장력에 의해 강자성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챔질 과정에서 와이어(21)에 장력이 순간적으로 높이지게 되며, 장력이 계속 높아져서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에 부착되기 위한 인력을 극복할 때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와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에 당김이 해제되었다가 자석편(20)이 와이어(21)에 의해 끌어당겨지면서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낚싯바늘이 대상어의 입 주변을 파고들어 단단하게 고정하는 후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30)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21)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낚싯바늘에 걸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릴링하는 과정에서, 낚싯대를 기울이거나 릴을 순간적으로 풀어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40)이 자석편(20)을 가이드 중공부(11)의 후방으로 탄지하여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에 부착되고, 다시 낚싯대를 잡아당겨 와이어(21)에 순간적으로 높은 장력이 걸리도록 챔질을 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로부터 다시 분리되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재차 충격함으로써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편(20)의 전방에 위치한 기체 또는 유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중공부(11)의 내주면에 나란한 유동홈(1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할 때 빠른 속도로 충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에는 상기 자석편(20)의 잦은 충격에 몸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스토퍼(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토퍼의 내측에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통공(15)과 상기 자석편(20)에 돌출형성된 고정고리(24)가 수용되는 수용홈(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14)가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에 고정설치 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스토퍼가 단턱부에 끼움되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복 후킹이 가능한 낚시채비 연결구(200)는 낚시용 채비의 원줄과 목줄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공(12)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낚싯바늘이 연결된 목줄이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50);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원줄에 연결되는 와이어(21)가 구비되는 자석편(20);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30);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하여,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1)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30)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21)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5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공(12)이 형성되된 것으로, 낚싯줄의 원줄과 봉돌과 낚싯바늘이 결합된 목줄의 사이에 배치되되, 전방은 낚싯줄의 원줄에 연결되고 후방은 낚싯바늘이 연결된 목줄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원줄에 연결되는 와이어(21)가 구비되는 자석편(20)과,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30)와,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0)이 배치된다.
따라서,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1)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100)는 한쪽에 낚싯바늘이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중공부(11)와 전방에서 가이드 중공부와 연통된 배출공(12)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낚싯줄에 연결되는 와이어(21)가 구비되는 자석편(20);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30);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하며, 반복 후킹이 가능한 낚시채비 연결구(200)는 낚시용 채비의 원줄과 목줄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공(12)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낚싯바늘이 연결된 목줄이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50)과,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원줄에 연결되는 와이어(21)가 구비되는 자석편(20)과,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30)와,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는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1)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30)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21)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복잡한 구조가 아닌 간단한 구조로 저렴한 비용으로도 제조할 수 있으며, 챔질과정에서 뿐만아니라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서도 반복적으로 후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0: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
200: 반복 후킹이 가능한 낚시채비 연결구
a: 낚싯바늘 b: 낚싯줄
10: 본체 11: 가이드 중공부
12: 배출공 13: 유동홈
14: 스토퍼 15: 연통공
16: 수용홈 20: 자석편
21: 와이어 22: 케이싱
23: 영구자석 24: 고정고리
30: 강자성체 40: 스프링
50: 케이싱

Claims (6)

  1. 한쪽에 낚싯바늘이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중공부(11)와 전방에서 가이드 중공부와 연통된 배출공(12)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낚싯줄에 연결되는 와이어(21)가 구비되는 자석편(20);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30);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하되,
    상기 자석편(20)은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금속재의 케이싱(22)과,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된 영구자석(23)과, 케이싱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와이어(21)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돌출형성된 고정고리(2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에는 상기 자석편의 잦은 충격에 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와이어(21)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통공(15)과 상기 자석편(20)에 돌출형성된 고정고리(24)가 수용되는 수용홈(16)이 형성된 스토퍼(14)가 구비되어,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1)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30)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21)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중공부(11)는 후방으로 향해 폭이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석편(20)의 전방에 위치한 기체 또는 유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중공부(11)의 내주면에 나란한 유동홈(1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할 때 빠른 속도로 충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체(30)는 철, 코발트, 니켈, 이산화크롬의 금속편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자석편과 동일하게 금속재의 케이싱과 내부에 삽입된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
  5. 삭제
  6. 낚시용 채비의 원줄과 목줄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공(12)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낚싯바늘이 연결된 목줄이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50);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한쪽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원줄에 연결되는 와이어(21)가 구비되는 자석편(20);
    상기 가이드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강자성체(30);
    상기 자석편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하되,
    상기 자석편(20)은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금속재의 케이싱(22)과,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된 영구자석(23)과, 케이싱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와이어(21)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돌출형성된 고정고리(2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에는 상기 자석편의 잦은 충격에 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와이어(21)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통공(15)과 상기 자석편(20)에 돌출형성된 고정고리(24)가 수용되는 수용홈(16)이 형성된 스토퍼(14)가 구비되어,
    챔질 과정 중에 당겨지는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이 높아지고 상기 자석편(20)이 강자성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낚싯바늘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다가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1)에 의해 자석편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충격하면서 강한 후킹이 이루어지며,
    대상어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과정 중에 낚싯대를 기울여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추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강자성체(30)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21)에 높은 장력이 부가되도록 낚싯대를 급하게 잡아당기면 자석편(20)이 가이드 중공부(11)의 전방을 다시 충격하면서 후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후킹이 가능한 낚시채비 연결구.
KR1020190041904A 2019-04-10 2019-04-10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KR10207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904A KR102071649B1 (ko) 2019-04-10 2019-04-10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904A KR102071649B1 (ko) 2019-04-10 2019-04-10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649B1 true KR102071649B1 (ko) 2020-01-30

Family

ID=6932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904A KR102071649B1 (ko) 2019-04-10 2019-04-10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88B1 (ko) * 2008-05-07 2008-07-31 오세현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JP2011229423A (ja) * 2010-04-26 2011-11-17 Shimano Inc ルアー
JP2015008650A (ja) *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 ホーペック トローリング用のウエアラブル透明ルアー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88B1 (ko) * 2008-05-07 2008-07-31 오세현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JP2011229423A (ja) * 2010-04-26 2011-11-17 Shimano Inc ルアー
JP2015008650A (ja) *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 ホーペック トローリング用のウエアラブル透明ルアー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4285B1 (en) Snagless artificial fishing lure with pectoral appendages, and with a snag guard and top-mounted hook configuration
US5953849A (en) Fishing lure
US9504237B2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CA2198942C (en) Natural bait holding fishing lure
US8020339B1 (en) Fishing lure release system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US4932154A (en) Fishing rig method and apparatus
CN202145801U (zh) 一种背钩式软体假饵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US8087200B1 (en) Fishing lure weight
US20110283595A1 (en) Fishing fly and method of fly fishing
US20160330946A1 (en) Crawfish lure
US4922645A (en) Magnetic fishing hook guard and method
US20130318859A1 (en) Weighted keeper and hook apparatus for anglers
US20040010959A1 (en) Hood for artificial lure and baitfish
US20030074829A1 (en) Fish catching system
US6505432B2 (en) Fish catching system
US20050172538A1 (en) Fish catching system
US10477844B2 (en) Fishing lure
US20020095853A1 (en) Fishing wobble device
US6571508B2 (en) Fish catching system
US20030074830A1 (en) Luminescent jig component, jig,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KR102071649B1 (ko) 반복 후킹이 가능한 인조미끼와 낚시채비 연결구
US20020073599A1 (en) Fish ca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