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173Y1 -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 Google Patents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173Y1
KR200321173Y1 KR20-2003-0013642U KR20030013642U KR200321173Y1 KR 200321173 Y1 KR200321173 Y1 KR 200321173Y1 KR 20030013642 U KR20030013642 U KR 20030013642U KR 200321173 Y1 KR200321173 Y1 KR 200321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holding
fish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순
Original Assignee
박권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권순 filed Critical 박권순
Priority to KR20-2003-0013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1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본줄(11)과 낚시목줄(23)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기존의 부력조정추 대신에 자동챔질 수단을 구성하고, 낚싯바늘(25)에 물고기가 입질을 하면 낚시목줄(23)과 어신전달줄(31)을 통해 전달되는 물고기 입질(어신)에 의하여 챔질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의 전체구성은 장치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에서 크게 낚시본줄 고정부(10); 낚시목줄 고정부(20); 자동챔질 작동부(30);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이나 수면파동이 심한 민물낚시 현장과 파도가 심한 바다낚시 현장에서 야간낚시, 주간낚시 그리고 낚시 초보자나 숙련가, 생업으로 낚시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숙련도 등의 외부조건에 의하여 오작동하지 않고, 오직 물고기 입질(어신)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챔질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The fishing float auto-jerking by the fish's bite}
본 고안은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본줄(11)과 낚시목줄(23)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기존의 부력조정추 대신에 자동챔질 수단을 구성하고, 낚싯바늘(25)에 물고기가 입질을 하면 낚시목줄(23)과 어신전달줄(31)을 통해 전달되는 물고기 입질에 의하여 챔질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의 전체구성은 장치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에서 크게 낚시본줄 고정부(10); 낚시목줄 고정부(20); 자동챔질 작동부(30);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이나 파동(波動)이 심한 민물낚시 현장과 파도가 심한 바다낚시 현장에서 야간낚시, 주간낚시, 일기(日氣), 그리고 취미생활로 하는 낚시 초보자나 숙련가, 생업으로 낚시에 종사하는 사람의 숙련도 등 외부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작동하지 않으면서 오직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챔질작용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찌낚시에 있어서 낚싯바늘에 물고기가 입질을 하면, 물고기 입질이 낚시본줄을 통해 수면위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하여 있는 낚시찌에 전달되어 물고기 입질의 세기에 따라 낚시찌 톱이 상(上) 또는 하(下) 방향으로 움직임을 하게 된다. 낚시를 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낚시찌 톱의 움직임(어신)을 육안으로 감지하고,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렸는지 여부를 모르는 상태에서 추상적으로 인위적인 챔질을 하게 된다.
물고기가 미끼에 입질을 하여 어신이 낚시찌에 전달되는 순간에 챔질을 하지 못하여 챔질 시기를 놓치게 되면 미끼만 떼이고 물고기를 낚아 잡을 수 없게 된다. 실질적으로 이와 같은 순간에 챔질을 한다는 것은 매우 숙련된 노련한 경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찌낚시에 있어서 낚시를 하는 사람들은 낚시찌의 어신을 육안으로 감지하고, 챔질 순간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낚시를 하는 동안은 불가피하게 낚시찌 톱에 눈을 떼지 않고, 지속적으로 주시하여야만 하므로 눈에 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무엇보다도 잠시도 자리를 비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야간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낚시찌 톱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감지하기가 더욱 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실질적으로 초보자들의 경우 챔질 순간을 놓쳐 거의 고기를 낚아 잡을 수 없어 낚시의 손맛과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특히 낚시를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주낚의 경우, 낚시 특성상 인위적인 챔질을 할 수 없으므로 물고기가 미끼를 한입에 물고 늘어져 낚싯바늘이 입에 박히지 않는 이상은 미끼만 떼이고, 물고기를 잡아낚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실질적으로 수백여 개의 낚싯바늘을 매달은 주낚에서 소수의 물고기 몇 마리만 잡혀 올라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외줄낚시나 대낚시의 경우, 뱃전에서 손으로 하나의 낚싯줄이나 낚싯대를 잡은 상태에서 물고기를 유인함과 동시에 물고기가 미끼에 입질을 하는 순간에 챔질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하로 저킹(Jerking)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사람이 하나의 낚시에만 얽매이는 것은 생업으로 낚시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경우에 있어서 다량의 어획을 득(得)해야 하는 현실에 반해 매우 비생산적이고, 비효율적인 일임이 분명하다.
상기와 같은 주낚이나 외줄낚시, 대낚시, 찌낚시에 있어서 물고기가 미끼에 입질하는 순간, 챔질동작을 자동으로 제공하여 물고기를 낚아 잡을 수 있는 수단이 있다면 그것은 매우 생산적이고, 바람직한 일 일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자동챔질 수단" 분야의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17473(어신감지용 낚시기구),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92567(자동채낚장치),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60412(자동챔질용 낚시기구), 실용신안 등록번호 20- 0282201(자동챔질 낚시찌),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04981(자동챔질 낚시)등이 게재되어 있으며, 이들 종래기술들의 장치 구조적, 기능적 측면에서 작동 메커니즘과 작용특성,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17473(어신감지용 낚시기구)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장치의 구조적 특성상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입질을 하는 순간, 챔질동작을 자동으로 제공하여 낚싯바늘이 물고기 입에 박히도록 하는 자동챔질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단순히 낚싯바늘이 입에 완전히 걸린 상태에서 물고기가 낚싯줄이 팽팽해지는 방향으로 도망가면 스파이럴 스프링(태엽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저항력으로 작용하면서 낚싯줄이 풀리도록 하였고, 낚싯줄이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도망가면 스파이럴 스프링(태엽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낚싯줄을 감기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고무줄이 늘어났다 줄었다" 하는 것과 같은 작용과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고안,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92567(자동채낚장치)은 상기한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17473(어신감지용 낚시기구) 종래기술과는 달리 물고기 입질에 의하여 챔질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구성에 있어서 외부커버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부품들의 재질이 장치의 구조적 측면에서 철(Fe)이나 스테인리스 스틸(STS) 등과 같은 비중(比重)이 큰 재질의 사용이 불가피한 특성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실용신안에 등록, 게재되어 있는 도면의 실시 예와 같이 찌보기 대낚시에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 자동챔질 수단의 자체 하중 때문에 낚시찌와 상기 종래기술의 자동챔질 수단과 부력을 맞추어 찌보기 낚시를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수백여 개의 낚싯바늘을 다는 주낚시의 경우, 상기 종래기술의 자동챔질 수단을 사용한다면 수백여 개의 자동챔질 수단의 전체 무게를 낚싯줄이 감당하기 어려워 실질적으로 밧줄같이 굵은 낚싯줄을 사용하여 윈치(Winch)같은 별도의 끌어올리는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 현실에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60412(자동챔질용 낚시기구),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82201(자동챔질 낚시찌),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04981(자동챔질 낚시)등 각각의 종래기술들은 전체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단위장치나 수단을 개선하거나, 추가한 차이점은 있으나, 실질적으로 장치의 구조적, 기술적 측면에 있어서 작동 메커니즘, 작용특성, 효과는 동일한 것으로서 물고기 입질에 의해 챔질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의 종래기술은 기존의 찌낚시 방법과 동일하게 부력통을 수면위에 위치시키고, 부력조정추를 낚시본줄과 낚시목줄의 연결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자동챔질 수단이 일정한 세기 이상의 물고기 입질에 반응하여 챔질작용을 하게 되며, 챔질작동의 민감도는 부력추의 무게 즉, 부력통과 부력조정추의 부력조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거운 부력조정추를 사용하면 자동챔질수단은 물고기의 입질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작동하게 되고, 가벼운 부력조정추를 사용하면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세게 잡아 당겨야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된 종래기술의 자동챔질 수단은 바람이 불지 않고, 파도가 일지 않는, 수면에 파동이 없는 명경지수(明鏡止水)같은 수면에서는 챔질장치의 작동상 별반의 문제점을 보이지 않으나, 바람이 불고, 파랑과 파도가 일어나는 낚시 현장, 특히 바다낚시 현장에서는 오작동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상기 종래기술을 적용하여 상품화된 제품에서 실제로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의 구조적, 기술적 측면에서 역학(力學)상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오작동의 원인과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람이 불거나, 수면에 파랑이나 파도가 일면 부력통은 수면파동에 따라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력통이 수면 파동과 함께 상승하게 되면, ①갑작스런 수면상승으로 인하여 부력통이 추가적으로 물속으로 잠기게 되는 부분만큼의 부력에 상당하는 반작용 힘(Fs)이 하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②수면아래에서 구성하고 있는 부력조정추 , 낚시본줄 및 목줄, 낚싯바늘, 미끼 등의 총질량(mt)에 상당하는 하중 힘(Fg=mtg)이 갑작스런 수면상승으로 인하여 반작용의 힘(Fg)으로 하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③수면파동의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하강하는 부력통의 하강 가속도(a)와 상기의 전체 질량(mt)과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가속도 힘(Fa1=mta1)이 수면파동이 하강하다 상승하는 순간에 반작용의 힘으로 하부방향으로 작용하고; ④수면 파동의 최저점에서 최고점으로 상승하는 부력통의 상승 가속도(a2)와 상기의 전체 질량(mt)과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가속도 힘(Fa2=mta2)이 수면파동이 상승하는 순간에 자동 챔질수단의 챔질장치에 하부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다시 말하면 수면의 상승, 하강과 더불어 부력통이 상승하는 순간에 상기한 각각의 힘들이 부력통이 상승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하부방향으로 복합된 합력(F=Fs+Fg+Fa1+Fa2)이 되어 챔질수단의 방아쇠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종래기술의 자동챔질 수단은 수면에 파동현상이 발생하면 낚시를 하기 전에 부력조정을 하여 챔질수단의 챔질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이미 설정해 놓은 작용 힘(Fg)보다 몇 배가 큰 복합된 합력(F=Fs+Fg+Fa1+Fa2)이 챔질장치에 작용하게 되므로 챔질수단은 물고기 입질과는 상관없이 오작동을 할 수 밖에 없으며,
낚시현장에서 현장의 조건에 부합하도록 부력조정추의 무게를 가볍게 조정한다면 물고기 입질에 대한 자동챔질 수단의 반응 민감도가 저하되고, 조류에 의해 낚싯줄이 수면의 표층(表層)에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수중의 임의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등 실질적으로 낚시가 불가능해지는 장치의 구조적, 기술적 측면에 있어서 역학(力學)상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후술(後述)하는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의 자동챔질 수단은 종래 낚시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상기에 고찰(考察)한 종래기술들이 수반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전혀 다른 역학적 원리를 채택, 적용하여 장치 및 작동 메커니즘을 설계, 구성하였으며, 실질적으로 전체구성과 작용 특성, 효과는 상기의 종래기술들과 근본적으로 전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초보자, 전문가, 생업으로 낚시에 종사하는 사람 구분 없이 그리고 수면의 파동이 심한 민물낚시 현장이나 파도가 심한 바다낚시 현장에서 야간낚시, 주간낚시, 일기(日氣), 조사(釣士) 숙련도 등의 외부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작동을 하지 않으면서 오직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챔질작용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낚시를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 있어서 선상(船上) 또는 낚시 현장에서 하나의 낚싯대 또는 하나의 낚싯줄을 잡고 손으로 수면에서 상하로 저킹(Jerking)할 필요 없이 한꺼번에 여러 개의 많은 낚싯줄을 수중에 드리워 놓은 상태에서 일정시간 뒤에 자동챔질 수단의 자동챔질 동작에 의해 낚아 잡힌 물고기를 수거하고, 단순히 미끼를 갈아 끼워주는 동작으로 다량의 어획량을 득(得)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취미로 낚시를 하는 사람의 경우에게는 낚시찌 톱을 항상 주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눈의 피로를 예방하며, 부력조정추 대신 수중에 구성된 자동챔질 수단의 자동챔질 작용에 의하여 낚싯바늘이 입에 완전히 걸린 물고기가 제공하는 낚시찌 톱의 확실한 움직임(어신)을 보고 챔질을 함으로써 낚시의 손맛과 즐거움을 배가(倍加)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낚시본줄과 낚시목줄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종래의 부력조정추 대신에 구성하여 부력조정추의 기능을 수행하고,
동시에 자동챔질 수단을 수중(水中)에 위치시킴으로써 민물낚시 현장이나 바다낚시 현장에서 바람이나 수면 파동, 파도에 의한 낚시찌의 상승 또는 하강 움직임 등의 외부조건에 의하여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낚시본줄(11)을 자동 챔질수단의 상부뚜껑(13)에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물고기 입질을 전달하는 낚시목줄(23)과 어신전달줄(31)을 낚시본줄(11)과 완전히 분리시켜 민물낚시나 바다낚시 현장에서 바람이나 수면 파동, 파도에 의한 낚시찌의 상승 또는 하강 움직임 등의 외부조건에 의하여 오작동하지 않고, 오직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챔질작용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낚시를 투척할 때 발생하는 잡아채는 듯한 반작용의 힘이 자동 챔질수단의 자동챔질 작동부(30)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 구성함으로써 낚시 투척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챔질 수단의 각각의 모든 단위장치들을 비중(比重)이 적은 고강도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하고; 자동챔질 수단의 자체 하중에 상당하는 부력을 제공하며, 사용자 필요에 따라 부력을 조정한 후, 낚시 투척시 수중에서 침강시 물의 저항을 받으면서 적정한 속도로 하강할 수 있도록 적정한 형상과 크기의 부력통(13b)을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 내부에 설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동챔질 수단의 자체 하중과 동일한 부력을 나타내는 부력통(13b)을 본체 내부에 형성하고, 낚시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21b)을 설계, 구성한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된 상태에서는 물고기 입질을 자동챔질 작동부(30)에 전달하여 자동챔질 작동부(30)로 하여금 격발을 민감하게 촉발하고; 동시에 격발시에는 자동챔질 작동부(30)의 격발에 따른 순간적인 빠른 챔질 움직임을 낚시목줄(23)과 낚싯바늘(25)에 전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안출하여 하나의 장치 수단이 상기의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 구성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과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자동챔질 작동부(30)의 구성과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전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절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장전상태를 나타낸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격발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절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격발상태를 나타낸 도 7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시도와 종래 낚시의 실시 예.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와 종래 주낚시의 실시 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100)
10 낚시본줄 고정부
11 낚시본줄 12 상부도래
13 상부뚜껑 13a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13a-① 상부뚜껑 고정돌기 13b 부력통
20 낚시목줄 고정부
21 하부뚜껑
21a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 21a-① 하부뚜껑 고정돌기
21a-②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 고정돌기 수용홈
21b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 21c 어신전달줄 구멍
21b-①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 고정돌기
22 하부도래 23 낚시목줄
24 조개봉돌 25 낚싯바늘
26 부력조정 편납(추)
30 자동챔질 작동부
31 어신전달줄
32 방아쇠 32a 어신전달줄 고정구멍
33 노리쇠 33a 노리쇠 전단부
33b 노리쇠 장전돌기 33c 노리쇠 스톱퍼
33d 장전손잡이 고정핀 구멍 33e 압축코일 스프링 걸림턱
33f 어신전달줄 구멍 33g 어신전달줄 홀더 고정구멍
34 장전손잡이 34a 장전손잡이 고정핀 구멍
35 장전손잡이 고정핀 36 압축코일 스프링
37 완충쿠션 고무오링(O-Ring)
38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
38a 어신전달줄 홀더
38a-①,②,③,④ 어신전달줄 홀더 발
38a-㉠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걸림턱
38b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38b-① 어신전달줄 홀더 발 걸림턱
38c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
38c-①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
38c-②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하부 걸림턱
38d 어신전달줄 구멍
39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
40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
41 노리쇠 슬라이딩 가이드 홈
42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 42a 노리쇠 스톱퍼 걸림턱
43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 43a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
44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 44a,b 상부뚜껑 고정돌기 수용홈
45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 홈 45a,b 하부뚜껑 고정돌기 수용홈
46 상부 배수구
상기한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하여 설계, 구성한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의 전체구성과 작동메커니즘, 작용 특성, 효과 등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함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절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과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자동챔질 작동부(30)의 구성과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장전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절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장전상태를 나타낸 도 5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격발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절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격발상태를 나타낸 도 7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시도와 종래 낚시의 실시 예이고,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와 종래 주낚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는 수면파동이 심한 민물낚시 현장이나 파도가 심한 바다낚시 현장에서 야간낚시, 주간낚시, 일기(日氣), 그리고 낚시 초보자나 전문가, 생업으로 낚시에 종사하는 사람의 숙련도 등 외부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작동을 하지 않으면서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챔질동작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함에 있어서;
전체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분해 전개도와 같이 장치의 구조적 기능 측면에서 크게 낚시본줄 고정부(10); 낚시목줄 고정부(20); 자동챔질 작동부(30);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는 바람이나 수면 파동, 파도 등의 외부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도 7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수면의 낚시찌와 수중의 낚싯바늘(25) 사이의 낚시본줄(11)과 낚시목줄(23)의 상호 연결부에 위치하는 종래의 부력조정추 대신에 구성함으로써 바람이나 수면 파동, 파도 등 외부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중에 위치시키고;
2차적으로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낚시본줄(11)을 본 고안의 자동 챔질수단의 상부뚜껑(13)에 고정하여 구성한 상부도래(12)에 연결하여 고정하고, 물고기 입질이 전달되는 낚시목줄(23)을 자동챔질 작동부(30)의 방아쇠(32)에 고정, 구성한 어신전달줄(31)에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자동챔질 작동부(30)를 바람이나 파동, 파도 등 외부조건의 영향을 받는 낚시본줄(11)과 완전히 분리시켜 이원화하여 설계,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에 있어서 오작동을 유발하는 외부조건과 요인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2단계(1차, 2차)로 차단시킴으로써 민물낚시 현장이나 바다낚시 현장에서 바람이나 수면 파동, 파도 등 외부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직 물고기 입질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챔질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챔질수단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낚시본줄 고정부(10)는 낚시본줄(11); 상부 도래(12); 상부 뚜껑(1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의 상부도래(12)는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일측의 상단부를 낚시본줄(11)을 연결, 고정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하단부는 상부뚜껑(13)의 상부면 중앙에 부착하여 고정, 구성함으로써
낚시본줄(11)의 꼬임(트위스팅: Twisting)을 방지하고; 낚시본줄(11)에 챔질 수단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낚시본줄(11)과 자동챔질 작동부(30)를 완전히 분리, 구성하여 낚시본줄(11)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수면상(水面上)의 바람이나 파동, 파도 등의 영향에 의하여 챔질수단이 오작동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상기와 같이 낚시본줄(11)과 자동챔질 작동부(30)를 완전히 분리하여 이원화시킴으로써 낚시 투척시 챔질수단이 오작동을 하지 않도록 설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상부뚜껑(13)은 도 3과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일측의 상단부에 상부도래(12)의 하단부를 부착, 고정하여 구성하고; 상부뚜껑(13)을 슬라이드 가이드 원통(40)의 상부뚜껑 고정홈(44)에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요철(凸)형상의 상부뚜껑 고정돌기(13a-ⓛ)를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챔질수단의 자체 하중에 상당하는 부력을 제공하고, 수중에서 침강하는 속도를 적정하게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둥근 돔(dome) 형상으로 부력통(13b)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낚시목줄 고정부(20)는 하부뚜껑(21); 하부도래(22); 낚시목줄(23); 조개봉돌(24); 낚싯바늘(25); 부력조정 편납(추)(26)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도래(22)는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일측의 상단부에는 어신전달줄(31)을 연결, 고정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하단부에는 낚시목줄(23)을 연결, 고정하여 구성함으로써 낚시목줄(23)의 꼬임(트위스팅:Twisting)을 방지하고, 챔질수단에 낚시목줄(22)을 연결,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뚜껑(21)은 도 3과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21a); 하부뚜껑 고정돌기(21a-①);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 고정돌기 수용홈(21a-②);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21b);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 고정돌기(21b-①); 어신전달줄 구멍(21c)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21a)를 형성하고;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21a)의 원통 외주면상에 요철(凸)형상의 하부뚜껑 고정돌기(21a-①)를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하부뚜껑(21) 하부의 내측면상에는 요철(凹)형상의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 고정돌기 수용홈(21a-②)을 소정의 깊이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하부뚜껑(21) 하부의 내부공간에는 낚시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21b)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21b) 상부의 외주면상에는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 고정돌기(21b-①)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하부뚜껑(2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어신전달줄(31)이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어신전달줄 구멍(21c)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낚시목줄(23)은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일측의 상단부를 하부도래(22)에 연결, 고정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하부에는 조개봉돌(24), 하단부에는 낚싯바늘(25)을 고정, 구성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물고기 입질(어신)을 어신전달줄(3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격발시는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상승 팽창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어신전달줄(31)의 직선 움직임을 낚싯바늘(25)에 전달하여 낚싯바늘(24)로 하여금 순간적으로 잡아채는 듯한 챔질동작을 유발함으로써 낚싯바늘이 물고기의 입에 박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의 조개봉돌(24)은 수중에서 조류에 따라 움직이는 낚시목줄(22)이 느슨하게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낚시목줄(23)을 통한 어신전달을 보다 더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도 3과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낚시현장의 조건에 따라 적합한 크기와 무게의 선택하여 낚시 목줄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챔질 작동부(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31); 방아쇠(32); 노리쇠(33); 장전손잡이(34); 장전손잡이 고정핀(35); 압축코일 스프링(36); 완충쿠션 오링(37);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부(38);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O-Ring)(39)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는 장전상태를 유지하고, 격발시에는 물고기 입질(어신)에 반응하여 격발을 촉발 개시하여 순간적으로 빠른 챔질동작을 창출(創出)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어신전달줄(31)은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일반 낚싯줄과 같은 형상으로 표면은 마찰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거칠기로 구성하고; 일측의 상단부를 방아쇠(32)의 상부 단면상에 형성한 어신전달줄 고정구멍(32a)에 삽입하여 고정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하단부를 하부도래(22)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고정하여 구성하고;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낚시목줄(23)을 통해 전달되는 물고기 입질을 자동챔질 작동부(30)의 방아쇠(3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격발시에는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상승 팽창과 더불어 빠르게 상승 이동하는 노리쇠(33)의 움직임을 낚시목줄(23)을 통해 낚싯바늘(25)에 챔질동작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아쇠(32)는 일측의 상단부가 막힌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관통하여 어신전달줄 고정구멍(32a)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어신전달줄(31)을 통해 전달되는 물고기 입질(어신)에 반응하여 장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자동챔질 작동부(30)로 하여금 격발을 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어신전달줄(31)을 통해 전달된 물고기 입질(어신)에 반응하여 방아쇠(32)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뿔형상으로 테이퍼를 형성한 노리쇠 전단부(33a)가 방아쇠(32) 하부의 내측면에 형성한 구멍으로 삽입되면서 오그라들어 축소됨으로써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3a)에 걸려 있는 노리쇠 장전돌기(33b)를 탈리시켜 격발을 촉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노리쇠(33)는 직경이 다른 2단의 원통형 기둥형상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일측의 상단부에는 방아쇠(32)의 작용에 반응하여 방아쇠(3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원뿔형상으로 테이퍼를 형성한 노리쇠 전단부(33a)를 구성하고; 일측의 상단면상에서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구멍을 형성한 다음, 십자(+) 슬리트(Slit)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여 자체의 재질 탄성에 의하여 원주의 외측 방향으로 확대되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노리쇠 전단부(33a)의 하단부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원통 외주면상에 하부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돌기형상(凸)으로 노리쇠 장전돌기(33b)를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여 자동챔질 작동부(30)로 하여금 장전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격발시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상승팽창과 더불어 빠르게 상승 이동하는 노리쇠(33)의 움직임을 제동할 수 있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 장전돌기(33b)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 횡단면상 90도와 270도 방향으로 원통 외주면상에 하부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돌기형상(凸)으로 노리쇠 스톱퍼 (33c)를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33)의 상하 중간위치에서, 횡단면상 90도와 270도 방향으로 장전손잡이 고정핀 고정구멍(33d)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하고; 장전손잡이 고정핀 고정구멍(33d) 하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압축코일 스프링 걸림턱(33e)을 형성, 구성하고;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노리쇠(33) 일측의 하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38)를 삽입하여 고정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자동챔질 작동부(30)로 하여금 장전상태를 유지하고, 격발하는 개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장전 손잡이(34)는 도 1,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33)의 상하 중간위치에서, 횡단면상 90도와 270도 방향으로 장전손잡이 고정핀 고정구멍(33d)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하고;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장전 손잡이(34)를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에 삽입하여 장전 손잡이 고정핀 구멍(34a)이 노리쇠(33)의 장전손잡이 고정핀 구멍(33d)과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장전손잡이 고정핀(35)을 삽입하여 고정,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자동챔질 작동부(30)를 하부로 잡아당겨 장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압축 코일 스프링(36)은 재질은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형성하여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노리쇠(33)의 일측의 하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는 노리쇠(33)의 압축코일 스프링 걸림턱(33e)에 걸려 압축상태를 유지하고; 격발시에는 순간적으로 빠르게 상승 팽창함으로써 챔질동작을 창출(創出)하는 힘의 근원(Power Source)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완충쿠션 오링(O-Ring)(37)은 O 형상의 고무 링(Ring)으로 마모가 적고, 충격 완충용으로 적합한 경도가 작은 부드러운 탄성의 고무 재질로 형성하여도 3,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부(40)의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4)에 삽입하여 하단부에 접촉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자동챔질 작동부(30)의 격발시,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상승 팽창과 더불어 빠르게 상승 이동하는 방아쇠(32)의 충격을 완화하고, 상승 움직임을 멈추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38)는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더(38a);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 어신전달줄 구멍(38d)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도 6,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를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의 외측면에 삽입한 상태로 조립 체결한 다음, 상기의 조립체를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 하부의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구성하여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로 하여금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내측면 공간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어신전달줄(31)을 꽉 잡고 있는(홀딩:Holding) 상태를 해제하여 어신전달줄이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물고기 입질(어신)이 방아쇠(32)에 민감하게 전달되게 하고, 격발시에는 어신전달줄(31)을 꽉 잡고 있는(홀딩:Holding) 상태를 유지하여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상승 팽창에 따른 노리쇠(33)의 빠른 상승 움직임을 낚시목줄(23)에 챔질작용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어신전달줄 홀더(38a)는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일측의 상단부를 어신전달줄 홀더 고정구멍(33g)에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하여 고정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하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의 움직임을 제동할 수 있도록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걸림턱(38a-㉠)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일측 하부단면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십자(+) 형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 자체의 재질탄성에 의해 원주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도 8과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더(38a)가 노리쇠(33)와 더불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격발이 완료된 상태)로 있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가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하부 걸림턱(38c-②)에 걸려 하부로의 이동이 멈추게 됨과 동시에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빠지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 자체의 재질탄성으로 원주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어신전달줄(31)이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물고기 입질(어신)이 방아쇠(3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격발시에는 장전상태의 노리쇠(33)가 격발에 따른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빠른 상승팽창으로 인하여 상부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고, 노리쇠(33) 하단부에 고정하여 일체로 구성한 어신전달줄 홀더(38a) 역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탈리되어(빠져) 자체 재질의 탄성으로 원주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에 걸려 상부로의 이동이 멈추게 됨과 동시에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외주면상에 작용하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의 마찰력에 상당하는 힘에 의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가 되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로 하여금 오그라들면서 축소되게 하여 어신전달줄(31)을 꽉 잡는(홀딩:Holding) 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상승 팽창에 따른 어신전달줄(31)을 꽉 잡은 상태로 있는 어신전달줄 홀더(38a)의 빠른 상승 움직임을 어신전달줄(31)을 통해 낚시목줄(23)과 낚싯바늘(25)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원통의 기둥형상으로 도 6,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의 외측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에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내측면 공간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격발상태의 노리쇠(33)와 어신전달줄 홀더(38a)를 하부로 이동시켜 장전을 하면,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 (39)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리쇠(33)와 어신전달줄 홀더(38a)가 하부로 조금 더 이동하면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있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가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과 더불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하부 걸림턱(38c-②)에 걸려 하부로의 이동이 멈추게 됨과 동시에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빠져 탈리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에 빠져 나온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은 자체 재질의 탄성으로 원주의 외측방향으로 확대되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어신전달줄(31)이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물고기 입질(어신)이 방아쇠(32)에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격발시에는 장전상태의 노리쇠(33)가 격발에 따른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빠른 상승 팽창으로 인하여 상부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고, 노리쇠(33)의 하단부에 고정하여 일체로 구성한 어신전달줄 홀더(38a) 역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탈리되어(빠져) 자체 재질의 탄성에 의해 원주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장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속으로 삽입되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로 이동하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에 삽입된 상태로 마찰작용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에 걸려 상부로의 이동이 멈추게 됨과 동시에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외주면상에 작용하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의 마찰력에 상당하는 힘에 의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가 되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로 하여금 오그라들면서 축소되게 하여 어신전달줄(31)을 꽉 잡는(홀딩:Holding) 상태가 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는 원통형의 기둥 형상으로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중간부위의 내측면에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의 상부 단면부를 하부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일측(一側) 하부 단면부의 내측면에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의 하부 단면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하부 걸림턱(38c-②)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상부 단면부가 노리쇠 하단부까지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게 되며; 노리쇠(33)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노리쇠(33)의 하단부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밀리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에 접촉 마찰을 하면서 강제로 삽입된 상태가 되며,
격발시에는 노리쇠(33)와 더불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어신전달줄 홀더(38a)의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속으로 삽입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로 이동하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에 삽입된 상태로 마찰작용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에 걸려 상부로의 이동이 멈추게 됨과 동시에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외주면상에 작용하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의 마찰력에 상당하는 힘에 의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가 되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로 하여금 오그라들면서 축소되게 하여 어신전달줄(31)을 꽉 잡는(홀딩:Holding) 상태가 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은 O 형상의 링(Ring)으로 도 3,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부(40)의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5)에 삽입하여 상단면에 접촉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격발상태의 노리쇠(33)와 어신전달줄 홀더(38a)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 상단부가 노리쇠(33) 하단면에 걸려 밀리면서 하부로 강제로 이동하게 되어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격발시에는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상승 팽창에 따라 노리쇠(33)와 어신전달줄 홀더(38a)와 더불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 속으로 삽입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로 이동하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에 삽입된 상태로 마찰작용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에 걸려 상부로의 이동이 제동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외주면상에 작용하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의 마찰력에 상당하는 힘에 의하여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가 되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로 하여금 오그라들어 수축돼 어신전달줄(31)을 꽉 잡는(홀딩:Holding) 상태가 되도록 한다.
격발이 계속 진행되면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상승 팽창힘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이룬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에 작용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상단면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에 걸린 상태로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를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으로부터 완전히 탈리(脫離)시킨다.
상기의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방아쇠/노리쇠 슬라이딩 가이드 홈(41);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42); 노리쇠 스톱퍼 걸림턱(42a);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3a); 상부뚜껑 고정 홈(44); 상부 뚜껑 고정돌기 수용홈(44a,44b); 하부뚜껑 고정 홈(45); 배수구(46)로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내부 장치들을 지지하거나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노리쇠(33) 작용과 작동 메커니즘이 기 설정된 방향과 위치에서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노리쇠 슬라이딩 가이드 홈(41)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3a)과 동일한 높이에서 횡단면상 90도, 270도 방향[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내측면상 지점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요철(凹) 형상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노리쇠(33)의 하강 움직임과, 격발시 노리쇠(33)의 상승 움직임이 기설정된 방향과 위치에서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노리쇠 장전돌기(33b)를 수용하여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42)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횡단면상 0도, 180도 방향에 위치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외주면상의 지점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슬릿(slit)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노리쇠 스톱퍼(33c)의 하강 움직임과, 격발시 노리쇠 스톱퍼(33c)의 상승 움직임이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노리쇠 스톱퍼(33c)를 수용하여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며, 격발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자동챔질 작동부(30)의 순간적인 챔질움직임에 대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리쇠 스톱퍼 걸림턱(42a)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42)의 상단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격발시, 노리쇠 스톱퍼(33c)가 노리쇠 스톱퍼 걸림턱(42a)에 부딪힘으로써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상승 팽창에 따라 빠르게 상승 이동하는 노리쇠(33)의 움직임을 제동하여 멈추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횡단면상 90도, 270도 방향에 위치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외주면상의 지점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슬릿(slit)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오므라들어 압축된 상태로 노리쇠 슬라이딩 가이드 홈(41)에 수용되어 있는 노리쇠 장전돌기(33b)가 노리쇠 슬라이딩 가이드 홈(4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에 도달하면 노리쇠 장전돌기(33b)로 하여금 노리쇠 전단부(33a)의 자체 재질탄성에 의해 원주상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확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동시에 장전시와 격발시에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자동챔질 작동부(30)의 순간적인 빠른 챔질 움직임에 대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3a)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의 상단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오므라들어 압축된 상태로 노리쇠 슬라이딩 가이드 홈(41)에 수용되어 있는 하부로 이동하던 노리쇠 장전돌기(33b)가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에 도달하면 노리쇠(33) 상단부가 자체의 재질탄성에 의해 원주상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확장되어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3a)에 걸려 장전상태를 이루고,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뚜껑 고정돌기 수용홈(44a,44b)과 하부뚜껑 고정돌기 수용홈(45a,45b)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4)과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5)의 내측면상에 요철(凹)형상으로 각각 2개씩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상부뚜껑(13)과 하부뚜껑(21)을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상부와 하부에 삽입하여 고정할 때, 견고하게 부착,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각각의 단위 부품과 단위 기능이 결합하여 구성한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의 작동 메커니즘과 작용 특성, 효과를 작동절차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⑴ 도 7,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격발완료 상태로 있는 장전손잡이(34)를 잡고 하부방향으로 당기면 방아쇠(32)와 노리쇠(33),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38)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⑵ 이에 따라 팽창상태의 압축코일 스프링(36)은 노리쇠(33) 하단부에 형성한 압축코일 스프링 걸림턱(33e)에 걸려 하부방향으로 압축되며,
⑶ 노리쇠(33)가 하부로 이동하여 노리쇠 장전돌기(33b)가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4b)에 도달하면 슬라이딩 가이드 홈(42) 내부에서 오므라들어 압축상태로 있던 노리쇠 전단부(33a)가 자체의 재질 탄성에 의하여 원주상 외측방향으로 확장되어 벌어지면서 노리쇠 장전돌기(33b)가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4b)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어 도 5,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장전상태를 이루게 되고,
⑷ 격발 완료상태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는 상기와 같은 장전동작에 의하여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상단면이 노리쇠(33) 하단면에 걸려 밀리면서 강제적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에 강제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⑸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격발 완료상태)로 있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과 더불어 하부로 이동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하부 걸림턱(38c-②)에 걸려 하부로의 이동이 멈추게 됨과 동시에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빠져 탈리되는 상태가 된다.
⑹ 이에 따라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에 빠져 나온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은 자체 재질의 탄성으로 원주의 외측방향으로 확대되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어신전달줄(31)이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물고기 입질(어신)이 방아쇠(32)에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⑺ 방아쇠(32)는 어신전달줄(31)과 낚시목줄(23), 조개봉돌(24), 낚싯바늘(25), 미끼 등에 상당하는 하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노리쇠 전단부(33a)의 상단면에 접촉한 상태를 이루어 물고기 입질(어신)을 자동챔질 작동부(30)에 민감하게 전달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룸으로써 일련의 장전상태를 완료하게 된다.
2.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격발시
⑴ 물고기 입질(어신)이 낚시목줄(23)과 어신전달줄(31)을 통해 장전 완료상태를 이루고 있는 자동챔질 작동부(30)에 전달되면,
⑵ 물고기 입질에 반응하여 방아쇠(32)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⑶ 이에 따라 원뿔형상으로 테이퍼로 형성한 노리쇠 전단부(33a)가 방아쇠(32) 하단면에 형성한 구멍으로 삽입되면서 오그라들면서 압축되고,
⑷ 노리쇠 전단부(33a)가 일정한 압축상태에 도달하면 노리쇠 장전돌기(33b)가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4b)으로부터 탈리(脫離)되면서 장전상태가 해제되어 격발이 촉발, 개시된다
⑸ 격발상태가 진행되면, 노리쇠(33)는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빠른 상승 팽창에 따라 상부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고,
⑹ 노리쇠(33)의 하단부에 고정하여 일체로 구성한 어신전달줄 홀더(38a) 역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⑺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빠져 자체 재질의 탄성으로 원주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속으로 삽입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⑻ 이때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과 더불어 상부로 이동하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 Ring)(39)에 강제로 삽입된 상태에서 마찰작용으로 움직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에 걸려 상부로의 이동이 멈추게 되며,
⑼ 동시에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②)에 걸린 상태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의 외주면상에 작용하는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의 마찰력에 상당하는 힘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가 되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로 하여금 오그라들면서 압축되게 하여 어신전달줄(31)을 꽉 잡은(홀딩:Holding) 상태가 되게 한다.
⑽ 격발이 진행되면서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상승팽창 힘이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이룬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에 작용하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가 상단면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에 걸린 상태로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를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으로부터 탈리시킨다.
⑾ 따라서 격발에 따라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와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에 2중으로 삽입되어 감싸인 상태로 어신전달줄(31)을 꽉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어신전달줄 홀더(38a)는 노리쇠와 더불어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순간적인 상승팽창에 의하여 상부방향으로 빠르게 상승 움직임을 하게 되며,
⑿ 이에 따라 어신전달줄(31)은 상부방향으로 빠르게 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은 낚시목줄(23)을 통해 낚싯바늘(25)에 전달되어
⒀ 낚싯바늘(24)로 하여금 순간적으로 잡아채는 듯한 챔질동작을 유도함으로써 낚싯바늘이 물고기의 입에 박히게 한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는 자동챔질 수단을 낚시본줄(11)과 낚시목줄(23)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기존의 부력조정추 대신에 구성하여 부력조정추의 부력조정 기능을 대행(代行)시킴과 동시에 낚시현장 여건에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수중(水中)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설계, 구성함으로써
민물낚시 현장이나 바다낚시 현장에서 바람이나 수면 파동, 파도에 의한 낚시찌의 상승 또는 하강 움직임 등의 외부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자동챔질 수단은 낚시본줄(11)을 자동 챔질수단의 상부뚜껑(13)에 고정하여 낚시본줄(11)과 물고기 입질(어신)을 자동챔질 작동부(30)에 전달하는 낚시목줄(23), 어신전달줄(31)을 완전히 분리시켜 설계, 구성함으로써
민물낚시 현장이나 바다낚시 현장에서 바람이나 수면 파동, 파도에 의한 낚시찌의 상승 또는 하강 움직임 등의 외부조건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은 외부조건에 의해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오직 물고기 입질(어신)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자동챔질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는 미끼를 낀 낚시를 투척할 때 발생하는 잡아채는 듯한 반작용의 힘이 자동 챔질수단의 자동챔질 작동부(30)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 구성함으로써 낚시 투척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는 자동 챔질수단의 각각의 모든 단위장치들을 비중(比重)이 낮은 고강도의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하고, 자동챔질 수단의 자체 하중에 상당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통(13b)을 자동챔질 수단의 상단부에 구성함으로써 낚시현장에서 사용자 필요에 따라 임의로 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동챔질 수단 투척시, 자동챔질 수단이 수중에서 침강할 때 자동챔질 수단의 상단부에 구성한 부력통(13b)이 물의 저항을 받을 수 있는 형상과 구조로 구성하여 수중에서 적정한 속도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동챔질 수단의 자체 하중과 동일한 부력을 나타내는 부력통(13b)을 형성하여 상단부에 부착, 구성한 자동챔질 수단은 낚시현장의 여건에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부뚜껑 내부에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21b)을 설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자동챔질 수단은 초보자, 전문가, 생업으로 낚시에 종사하는 사람 구분 없이 그리고 수면의 파동이 심한 민물낚시 현장이나 파도가 심한 바다낚시 현장에서 야간낚시, 주간낚시, 일기(日氣), 조사(釣士) 숙련도 등의 외부조건에 의하여 오작동(誤作動)이 발생하지 않고, 오직 물고기 입질(어신)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자동챔질을 수행할 수 있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낚시를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선상(船上) 또는 낚시 현장에서 하나의 낚싯대 또는 하나의 낚싯줄을 잡고 손으로 수면에서 상하로 저킹(Jerking)할 필요 없이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한꺼번에 여러 개의 많은 낚싯줄을 수중에 드리워 놓은 상태에서 일정시간 뒤에 자동챔질에 의해 낚아 잡힌 물고기를 수거하고, 단순히 미끼를 갈아 끼워주는 동작으로 다량의 어획량을 득(得)할 수 있으며,
취미생활로 낚시를 하는 사람에게는 항상 낚시찌 톱을 주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눈의 피로를 예방하며, 부력조정추 대신 수중에 구성된 자동챔질 수단의 자동 챔질작용에 의하여 낚싯바늘이 입에 완전히 걸린 물고기가 제공하는 낚시찌 톱의 확실한 움직임(어신)을 보고 인위적인 챔질을 함으로써 낚시의 손맛과 즐거움을 배가(倍加)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7)

  1. 수중의 낚시본줄과 낚시목줄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종래의 부력조정추 대신에 구성하여 부력조정추의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물고기 입질(어신)에 의하여 챔질작용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자동챔질 수단을 구현함에 있어서
    전체구성이
    낚시본줄 고정부(10); 낚시목줄 고정부(20); 자동챔질 작동부(30);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낚시본줄 고정부(10)는
    낚시본줄(11), 상부도래(12), 상부뚜껑(13)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상부도래(12)는 일측의 상단부는 낚시본줄(11)에 연결, 고정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하단부는 상부뚜껑(13)의 상부 중앙위치에 부착, 고정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상부뚜껑(13)은 일측의 상단부에 상부도래(12)를 부착하여 고정, 구성하고; 하부의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13a)의 원통 외주면(外周)상에 요철(凸)형상의 상부뚜껑 고정돌기(13a-①)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내부공간에는 유선형인 상부뚜껑(12)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챔질수단 자체의 하중에 상당하는 부력을 나타낼 수 있는 부력통(13b)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각각의 단위장치와 단위기능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낚시본줄 고정부(10)"를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낚시본줄(11)의 꼬임(트위스팅: Twisting)을 방지하면서 낚시본줄(11)과 자동챔질 수단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자동챔질수단 자체의 하중에 상당하는 부력을 제공하고, 낚시본줄과 자동챔질 작동부(30)와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낚시 투척시 챔질수단이 오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낚시목줄 고정부(20)는
    하부 뚜껑(21); 하부 도래(22); 낚시목줄(23); 조개봉돌(24); 낚싯바늘(25); 부력조정 편납(추)(26)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하부뚜껑(21)은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21a); 하부뚜껑 고정돌기(21a-①);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 고정돌기 수용홈(21a-②);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21b);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 고정돌기(21b-①); 어신전달줄 구멍(21c) 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21a)는 하부뚜껑(21)의 상부에 원통형 기둥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하부뚜껑 고정돌기(21a-①)는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21a)의 원통 외주면상에 원주를 따라 요철(凸)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 고정돌기 수용홈(21a-②)은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21a) 하부의 원통 내측면에 나사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력조정시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21b)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21b)은 낚시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부뚜껑(21) 하부에 탈부착식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부력조정용 편납(추) 수용통 고정돌기(21b-①)는 부력조정용 편납 수용통(21b) 상부의 원통 외주면상에 원주를 따라 나사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어신전달줄 구멍(21c)은 하부뚜껑(2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하여 어신전달줄(31)이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부도래(22)는 일측의 상단부를 어신전달줄(31) 하단면에 연결, 고정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하단부는 낚시목줄(23) 상단부에 연결, 고정하여 구성하고,
    낚시목줄(23)은 일측의 상단부를 하부도래(22) 하단부에 연결, 고정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하단부는 낚싯바늘(25)을 고정하여 구성하고,
    조개봉돌(24)은 수중에서 조류에 따라 움직이는 낚시목줄(22)이 느슨하게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낚시목줄(23)을 통한 어신전달을 보다 더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낚시목줄(23) 하부에 고정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각각의 단위장치와 단위기능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낚시목줄 고정부(20)"를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부력을 조정하고, 물고기 입질을 자동챔질 작동부(30)의 방아쇠(32)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챔질 작동부(30)는
    어신전달줄(31); 방아쇠(32); 노리쇠(33); 장전 손잡이(34); 장전 손잡이 고정핀(35); 압축형 코일 스프링(36); 완충쿠션 오링(O-Ring)(37);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38);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 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어신전달줄(31)은 일반 낚싯줄과 같은 형상으로 표면은 마찰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거칠기로 구성하고; 일측의 하단부는 하부도래(22)에 연결하여 고정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상단부는 방아쇠(32)의 어신전달줄 고정구멍(32a)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방아쇠(32)는 일측 상단부가 막힌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일측의 상단면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어신전달줄 고정구멍(32a)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노리쇠 전단부(33a)로 하여금 방아쇠(32) 하단부의 구멍 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면 내측의 원주 모서리에 대해 둥근 모따기를 실시하여 구성하고; 조립시 방아쇠(32) 상단면을 상부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상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며,
    상기의 노리쇠(33)는 직경이 다른 2단의 원통형 기둥형상으로 어신전달줄 홀더 고정구멍(33g)에 어신전달줄 홀더(38a) 상단부를 삽입하여 구성하고; 노리쇠 전단부(33a)를 상부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노리쇠 스톱퍼(33c)를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42)과 일치시킨 다음,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상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며,
    상기의 장전 손잡이(34)는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중앙위치의 높이에서 횡단면상 0도, 180도 방향에 위치한 외측 원주면상에 장전손잡이 고정핀 구멍(34a)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장전손잡이(34)를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전손잡이 고정핀 구멍(34a)을 노리쇠(33)의 장전손잡이 고정핀 구멍(33d)과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장전손잡이 고정핀(35)을 삽입하여 고정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압축코일 스프링(36)은 노리쇠(33)의 일측 하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압축코일 스프링 걸림턱(33e)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하여 구성하고; 노리쇠(33)와 함께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내부에 삽입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완충쿠션 오링(O-Ring)(37)은 O 형상의 고무 링(Ring)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상부의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4)에 삽입하여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4)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38)는 일측 상단부를 어신전달줄 홀더 고정구멍(33g)에 삽입, 고정하여 노리쇠(33)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하고, 장전시 어신전달줄(31)을 꽉 잡은(홀딩) 상태를 해제하여 어신전달줄이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고기 입질이 방아쇠(32)에 전달되게 하고, 격발시는 어신전달줄(31)을 꽉 잡은(홀딩) 상태를 유지하여 압축코일 스프링(36)의 상승팽창에 따른 노리쇠(33)의 빠른 상승 움직임을 낚시목줄(23)에 챔질작용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은 O 형상의 고무링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부(40)의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5)에 삽입하여 상단면에 접촉하여 구성하여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오링(○-Ring)(39)의 마찰작용을 통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38)로 하여금 어신전달줄(31)을 꽉 잡은(홀딩) 상태를 유발하고, 꽉 잡은(홀딩)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각각의 단위장치와 단위기능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자동챔질 작동부(30)"를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과 격발을 수행하고, 물고기 입질에 의하여 자동으로 챔질동작을 창출(創出)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노리쇠(33)는
    노리쇠 전단부(33a); 노리쇠 장전돌기(33b); 노리쇠 스톱퍼(33c); 장전손잡이 고정핀 고정구멍(33d); 압축코일 스프링 걸림턱(33e); 어신전달줄 구멍(33f); 어신전달줄 홀더 삽입 고정구멍(33g)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노리쇠 전단부(33a)는 노리쇠(33)의 일측 상단부를 원뿔형상으로 테이퍼를 형성하여 물고기 입질에 반응하여 방아쇠(32)가 하부로 이동시, 방아쇠(32)내부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단면에서 하부방향으로 구멍을 형성한 다음, 십자(+)형 슬리트(Slit) 형상으로 절개하여 자체의 재질탄성에 의하여 원주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노리쇠 장전돌기(33b)는 노리쇠 전단부(33a) 하단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90도와 270도 방향의 외주면상의 위치에서 하부방향으로 돌기형상(凸)으로 형성하여 자동챔질 작동부(30)로 하여금 장전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방아쇠(32)의 작용으로 격발을 촉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노리쇠 스톱퍼(33c)는 노리쇠(3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 장전돌기(33b)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의 외주면상에 돌기형상(凸)으로 노리쇠 장전돌기(33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격발시 빠르게 상승 이동하는 노리쇠(33)의 움직임을 제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장전손잡이 고정핀 고정구멍(33d)은 노리쇠(3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33) 상하 중간위치에서 횡단면상 0도와 180도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압축코일 스프링 걸림턱(33e)은 장전손잡이 고정핀 고정구멍(33d)의 아래에 위치한 지점에 원주를 따라 계단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어신전달줄 구멍(33f)은 노리쇠(3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33)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하여 어신전달줄(31)이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어신전달줄 홀더 삽입 고정구멍(33g)은 어신전달줄 홀더(38a)를 노리쇠(33)에 고정하여 일체가 될 수 있도록 어신전달줄 홀더(38a)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단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각각의 단위장치와 단위기능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노리쇠(33)"를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장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격발을 촉발 개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6. 청구항 4에 있어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38) 는
    어신전달줄 홀더(38a);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걸림턱(38a-㉠);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 어신전달줄 홀더 발 걸림턱(38b-①);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하부 걸림턱(38c-②); 어신전달줄 구멍(38d) 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어신전달줄 홀더(38a)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하단면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십자(+)형 슬리트(Slit) 형상으로 절개하여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을 형성하여 자체의 재질 탄성에 의하여 원주상 외측방향으로 확대되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의 하부 외측면에 테이퍼 형상으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걸림턱(38a-㉠)을 형성하여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의 하부로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상단부는 노리쇠(33)의 어신전달줄 홀더 고정구멍(33g)에 삽입, 고정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는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의 외측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에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 하부의 내측면 공간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는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중간위치의 내측면상에 계단형상으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상부 걸림턱(38c-①)을 형성하여 격발시, 어신전달줄 홀더 발(38a-①,②,③,④)이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속으로 삽입되면서 상부로 이동할 때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의 상부로의 움직임을 제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일측 하단부의 내측면 모서리에 요철(凸) 형상으로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하부 걸림턱(38c-②)을 형성하여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38b)가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슬라이더 스톱퍼(38c)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어신전달줄 구멍(38d)은 어신전달줄 홀더(38a)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하여 어신전달줄(31)이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각각의 단위장치와 단위기능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어신전달줄 홀딩/해제 장치(38)"를 본 고안의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장전시, 어신전달줄(31)을 꽉 잡은(홀딩) 상태를 해제하여 물고기 입질을 전달하고, 격발시는 어신전달줄(31)을 꽉 잡은(홀딩) 상태로 노리쇠(33)와 더불어 순간적으로 빠른 상승 움직임을 함으로써 낚싯바늘로 하여금 잡아채는 듯한 챔질동작을 유발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은
    노리쇠 슬라이딩 가이드 홈(41);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42);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4a,44b);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 홈(45); 상부 배수구(46) 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노리쇠 슬라이딩 가이드 홈(41)은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3a)과 동일한 높이에서 횡단면상 90도, 270도 방향에 위치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내측면상 지점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요철(凹)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42)은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하단부로부터 5∼20㎜ 높이의 횡단면상 0도, 180도 방향에 위치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외주면상의 지점에서 상부방향으로 50∼200㎜ 길이의 슬릿(slit) 형태로 절개하여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노리쇠 스톱퍼 걸림턱(42a)은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42)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단부에 형성된 계단형상의 턱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은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리쇠 스톱퍼 슬라이딩 구멍(42)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에서횡단면상 90도, 270도 방향에 위치한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 외주면상의 지점에서 상부방향으로 20∼120㎜ 길이의 슬릿(slit)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노리쇠 장전돌기 걸림턱(43a)은 노리쇠 장전돌기 슬라이딩 구멍(43)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단부에 형성된 계단형상의 턱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4)과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5)은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하여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13a)와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21a)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상부뚜껑 고정돌기 수용홈(44a,44b)과 하부뚜껑 고정돌기 수용홈(45a,45b)은 상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4)과 하부뚜껑 삽입 돌출부 수용홈(45)의 내측면상에 요철(凹)형상으로 각각 2개씩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각각의 단위장치와 단위기능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딩 가이드 원통(40)"을 자동챔질 수단에 있어서 내부 장치들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지지하고, 자동챔질 작동부(30)의 기능이나 작동 메커니즘이 기설정된 위치나 방향에서 정확하게 작동, 수행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100)"
KR20-2003-0013642U 2003-05-01 2003-05-01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KR200321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642U KR200321173Y1 (ko) 2003-05-01 2003-05-01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642U KR200321173Y1 (ko) 2003-05-01 2003-05-01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19A Division KR20030043848A (ko) 2003-05-01 2003-05-01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173Y1 true KR200321173Y1 (ko) 2003-07-22

Family

ID=4933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642U KR200321173Y1 (ko) 2003-05-01 2003-05-01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1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940B2 (en) Fish trap with buoy-activated net
US7322148B2 (en) Ice rigger apparatus
US3733734A (en) Quick-change slip-float
US20070033857A1 (en) Safeslide bobber apparatus
JP3813977B1 (ja) 底蓋及び引っ掛け金具を有する中通し撒き餌カゴを用いた釣り具及び釣り方
US4845884A (en) Fishing line float
US5027545A (en) Sinker for the sport of fishing
KR101581644B1 (ko) 자동 작살낚시장치
US7124534B1 (en) Floating fish snaring device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KR101907893B1 (ko) 낚시채비
US5548917A (en) Lobster prod with legal size gauge
KR200321173Y1 (ko)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US20060260180A1 (en) Deep-water squid jig
KR102191301B1 (ko) 낚시용 자동챔질기
US3464138A (en) Device for releasing a snagged fishing lure
US3026645A (en) Fishhook assembly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101926313B1 (ko)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KR20030043848A (ko)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US3375602A (en) Bait or lure retrieving device
KR101407741B1 (ko) 낚시용 찌
US3531887A (en) Fish lure retriever
US4908974A (en) Line retrieving apparatus
US4137664A (en) Fishing sin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