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741B1 - 낚시용 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741B1
KR101407741B1 KR1020130029841A KR20130029841A KR101407741B1 KR 101407741 B1 KR101407741 B1 KR 101407741B1 KR 1020130029841 A KR1020130029841 A KR 1020130029841A KR 20130029841 A KR20130029841 A KR 20130029841A KR 101407741 B1 KR101407741 B1 KR 101407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fishing
line
fish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김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섭 filed Critical 김광섭
Priority to KR102013002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741B1/ko
Priority to PCT/KR2014/002152 priority patent/WO201414877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채비의 운용은 쉬우면서 바다의 다양한 여건에 제약을 덜 받고, 낚시 대상어가 예민한 입질을 할 때 이물감이 없게 하여 탁월한 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과 더불어 입질 순간부터 낚시 대상어의 힘이 고스란히 전달되어 손맛이 우수하게 되는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타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바디와, 상기 찌바디의 축 중심 방향으로는 원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라인홀과, 상기 찌바디의 내부에 어신을 받기까지는 반유동 상태를 유지하고, 어신을 받은 후부터는 전유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수단을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낚시용 찌{A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 과정에서는 반유동 상태를 유지하고 낚시 대상어의 입질이 있을 경우에는 전유동 상태로 전환하여 대상어의 예민한 입질에 대응하여 탁월한 조과를 올릴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낚시 대상어의 힘을 그대로 전달받아 손맛을 우수하게 느낄 수 있도록 개선한 낚시용 찌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흘림 찌낚시를 수행함에 있어서 대표적인 낚시 기법으로는 “전유동”과 “반유동”으로 구분되어 지며, 전통적인 전유동 채비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전유동 채비(1)의 구성을 차례로 설명하면 낚싯대에 장착된 릴로부터 인출되는 원줄(2)에 어신찌(3)를 결합하고 어신찌(3)의 하단에는 어신찌(3)가 도래(4)와 연접되지 않게 스토퍼(8)를 결합한 다음 상기 원줄(2)의 하단에는 도래(4)를 이용하거나 또는 직결로 목줄(5)을 연결한다.
상기 목줄(5)의 하단에는 바늘(6)이 결합 되고, 목줄(5)의 중도에는 바다의 여건에 따라 낚싯바늘(6)의 침강 속도와 조류를 따라 흐르는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작은 봉돌(7)을 결합하여 구성하며, 무한 흘림을 통하여 다양한 수심층을 공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반유동 채비를 도 9를 통하여 구성되는 순서대로 살펴보면, 낚싯대에 장착된 릴로부터 인출되는 원줄(20)에 아래 또는 위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면사매듭(21)을 묶은 상태에서 원줄(20)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구멍이 있는 소형구슬(22)을 결합한 다음 어신찌(23)를 결합하며, 어신찌(23)의 아래 측에는 서로 연접 시에 충격을 방지하는 O형태의 완충고무(24)와 어신찌(23)의 부력에 적합한 침력을 가진 수중찌(25)를 결합하고, 수중찌(25)의 아래에 도래(27)와 충격을 방지하는 V형태의 완충고무(26)를 결합한 다음, 상기 원줄(20)의 하단에는 도래(27)를 이용해서 목줄(30)을 연결한다.
상기 목줄(30)의 하단에는 낚싯바늘(29)이 결합 되고, 목줄(30)의 중도에는 낚시여건에 따라 낚싯바늘(29)이 조류를 따라 흐르는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작은 봉돌(28)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면사매듭(21)에서부터 낚싯바늘(29)까지의 길이가 공략 수심이 되며 면사매듭(21)을 아래 또는 위로 이동시켜서 공략 수심을 조정한다.
상기의 완성된 채비를 투척하면 침력이 있는 수중찌(25)와 그 이하 밑의 채비가 수중에 가라앉으면서 원줄(20)이 수중으로 끌려 들어갈 때 묶어놓은 면사매듭(21)이 소형구슬(22)에 걸리고, 소형구슬(22)은 수면에 떠 있는 어신찌(23)의 상부에 걸리므로 낚싯바늘(29)의 침강 깊이를 제한하여 목표한 수심층만 공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허출원 제 10 - 2012 - 0011895 호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전유동 낚시는 가벼운 밑채비(저부력채비)로 복잡하고 불규칙한 수중의 바닥층과 여 사이의 공략에 용이하고 어신찌의 부력에 경계심을 가진 낚시 대상어의 약은 입질에 대응하여 보다쉽게 대상어를 낚을 수 있는 장점과 특히 입질 순간부터 어신찌에 관여되지 않고 원줄을 통하여 전달되는 강력한 손맛의 매력에 쉽지 않은 기법임에도 불구하고 많이 애용된다.
침강 깊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 무한 흘림이므로 미끼가 끼워진 낚싯바늘이 대상어가 회유하는 수중의 바닥층에 근접하게 흐르고 있는지 또는 수중 여에 걸림 된 상태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채비를 투척한 후 원줄을 당기거나 낚싯대를 들어보아 낚싯대 초리대의 휨세 및 원줄을 통하여 손가락으로 전해지는 미세한 감각으로 밑채비(목줄,봉돌,바늘)의 상태를 추정해가며 조류를 따라 흘리는 낚시의 형태로서, 많은 경험과 숙달을 요하는 낚시기법이다.
상기의 원줄을 당기는 등의 견제 동작을 취할 때 어신찌는 기본적으로 수면 아래로 조금 잠기게 되며 어신찌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잠기면 밑걸림(밑채비걸림)으로 판단하여 채비를 회수하므로, 상기의 상태를 보고 밑걸림을 판단할 때에는 대부분 이미 밑걸림이 단단히 된 상태이기 때문에 현실과 실전에서 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선행하여 밑채비가 바닥에 닿았는지 또는 공략 수심층에 흐르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전유동 채비용 어신찌(10)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를 도 8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높은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몸체(11)와, 상기 찌몸체(11)의 중심 상부로 돌출되는 찌톱(12)과, 상기 찌몸체(11)의 중심 하부로 돌출되고 하단에 원줄을 연결할 수 있는 라인홀(13)을 형성한 라인홀더(14)를 구비한다.
상기 찌몸체(11)에는 어신찌의 부력과 침력이 맞는 채비 침강 상태에는 찌몸체(11)가 직립 된 상태를 유지하고, 채비가 바닥에 닿아 침력보다 어신찌의 부력이 커진 상태에서는 찌몸체(11)를 옆으로 눕게 하는 가변자(15)를 더 구비하여 구성해서 채비가 침강 상태 또는 바닥에 닿은 상태인지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전유동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선출원의 경우에도 주로 저 부력으로 행하는 전유동 낚시의 특성상 바람과 너울 등 기상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으며, 밑채비의 가라앉는 속도가 느려서 수심이 깊거나 조류가 빠른 경우, 그리고 원거리 공략에 제약이 많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존의 전유동 어신찌보다 획기적인 보완을 하였지만 전유동이란 낚시기법 자체가 많은 경험과 숙달된 감각에 의존해 이루어지는 낚시이다 보니 숙달되지 않은 사람이 구사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비해 전통적인 반유동 낚시 기법은 일정한 수심을 정하여 행하므로 조금만 숙달하면 비교적 쉽게 구사할 수 있으며 또한 저부력, 고부력(무거운 밑채비) 모두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서 수심과 조류의 세기, 바람 등 바다의 여건에 제약을 덜 받는 장점으로 인하여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밑채비와 연결되어 수면에 떠 있는 어신찌의 부력 때문에 낚시 대상어가 입질할 때 이물감을 느껴서 미끼를 흡입하다가 뱉어 버리는 경우와 경계심을 품은 약은 입질 때문에 대상어가 어설프게 걸려서 낚아 올리는 중도에 낚싯바늘에서 빠져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또한, 대상어가 걸림 된 순간 어신찌가 물의 저항을 먼저 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맛이 덜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타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바디와, 상기 찌바디의 축 중심 방향으로는 원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라인홀과, 상기 찌바디의 내부에 어신을 받기까지는 반유동 상태를 유지하고, 어신을 받은 후부터는 전유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수단을 내장하여서 구성하여;
대상어의 어신을 받기 전까지는 바다의 다양한 여건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쉬운 기법으로 낚시를 보다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어신을 받는 순간부터는 낚시용 찌의 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대상어가 입질할 때 이물감을 느끼지 않아 탁월한 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손맛이 우수하게 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채비를 운영할 때에는 반유동 상태를 유지하여 바다의 다양한 여건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며, 어신이 있을 경우에는 전유동 상태로 전환하여 대상어가 경계심을 갖지 않도록 하여 탁월한 조과와 더불어 우수한 손맛을 얻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반유동과 전유동을 겸하는 새로운 형태의 찌를 제공하고, 낚시인들의 이용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도시한 종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구성하는 가변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의 사용시 변화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적용한 반유동 채비 상태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전유동 채비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전유동 낚시용 찌를 도시한 다른 구성도.
도 9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반유동 채비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도시한 종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구성하는 가변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의 사용시 변화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적용한 반유동 채비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낚시용 찌(100)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달걀과 같은 타원형상의 찌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찌바디(101)의 축 중심 방향으로는 원줄(102)이 통과할 수 있도록 라인홀(103)을 형성한다.
상기 라인홀(103)의 상단과 하단에는 원줄(102)이 찌바디(101)와 연접됨으로서 인하여 쓸리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세라믹이나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가이드링(104)을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찌바디(101)는 일반적인 낚시용 찌와 같은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등과 같이 부력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외부에는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채색을 수행하거나 야광 또는 형광체를 도포 또는 피복 하여도 되며, 소형배터리에 의하여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여 야간에도 충분한 식별성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찌바디(101)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하는 형상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찌바디(101)의 내부에는 채비를 투척 후 어신을 받기까지는 반유동 상태를 유지하고, 어신을 받은 후부터는 전유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수단(105)을 내장하도록 한다.
상기 찌바디(101) 내부에 변환수단(105)을 내장하는 것은 찌바디(101)를 상, 하로 분리하여 기밀재를 내장하여 나사 결합하는 형태 또는, 찌바디(101)를 종방향으로 양분한 상태에서 변환수단(105)을 내장한 후 밀봉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내용은 일반적으로 낚시용 찌를 구성하는 보편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변환수단(105)은, 찌바디(101)의 내부 중앙에 라인홀(103)과 연통되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의 부력공간(106)을 형성하고, 상기 부력공간(106)에는 부력공간(106)보다 작은 크기의 부력재(107)를 내장하여 부력에 의하여 부력공간(106)의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부력재(107)의 중앙에는 원줄(102)이 통과할 수 있는 라인홀(108)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며, 부력재(107)에는 부력조절용 웨이트(109)를 구비하여 원줄(102)에 결합된 수중찌(115)의 침력과 목줄(118)에 부착된 봉돌(119)의 침력에 맞게 부력을 조절하고, 찌바디(101)의 하단에 내장되는 부력추(110)와 함께 찌바디(101) 전체의 부력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력공간(106)의 상측에는 절두원추형상의 가변공간(111)을 형성하여 가변공간(111)보다 작은 크기의 가변체(112)를 내장하고, 상기 가변체(112)는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하여 부력재(107)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결합되고, 어신에 의하여 원줄(102)이 당겨지면 하강 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변체(112)의 중심 종방향으로도 원줄(102)이 통과할 수 있도록 라인홀(113)을 형성하는데, 상기 라인홀(113)의 상측은 가변체(1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원줄(102)에 묶음 되는 면사매듭(114)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10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낚시용 찌(100)를 구성하는 찌바디(101)에 형성되는 라인홀(103)과 찌바디(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변환수단(105)을 구성하는 가변체(112)와 부력재(107)에 형성되는 라인홀(108,113)을 통하여 원줄(102)을 연결하고, 상기 원줄(102)의 하단에는 낚시 여건 즉 수심과 조류의 세기에 따라 채비의 침강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중찌(115)를 결합하고 그 아래에 도래(116)를 결합한 다음 미끼를 결합한 낚싯바늘(117)을 가지는 목줄(118)을 연결하고, 원줄(102)에는 공략하고자 하는 수심에 맞게 면사매듭(114)을 결속하여 채비를 완성한다.
물론 목줄(118)에는 조류를 따라 흐르는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작은 봉돌(119)을 결합하고, 원줄(102)의 하단에는 낚시용 찌(100)와 수중찌의 사이에, 그리고 목줄(118)과 연결하는 도래(116)와 수중찌(115)의 사이에 서로 연 접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고무(120)를 결합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채비를 완료한 상태에서 바닷물에 투척하여 조류를 따라 채비를 원하는 포인트로 흘려보내면서 공략하고자 하는 수심층에 미끼를 끼운 바늘을 위치시켜 대상어를 낚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낚시용 찌(100) 내부에 구비되는 변환수단(105)의 부력재(107)가 찌바디(101)의 하측에 형성된 라인홀(103)을 통하여 유입되는 바닷물에 의하여 부력공간(106)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결국에는 부력재(107)가 가변공간(111)에 위치한 가변체(112)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분리되어 있던 가변체(112)를 결합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가변체(112)에 형성된 라인홀(113)의 직경이 좁아지게 되므로 원줄(102)에 형성된 면사매듭(114)은 라인홀(113)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반유동 상태의 채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신을 전달받을 경우에는 대상어가 흡입 또는 당기는 힘에 의하여 원줄(102)도 함께 당겨지고, 상기 원줄(102)이 당기는 힘이 부력재(107)의 부력을 극복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가변체(112)와 부력재(107)를 가변공간(111)과 부력공간(106)의 아래 방향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부력재(107)와 가변체(112)가 하강하게 되면 분할 구성된 가변체(112)가 결합상태에서 벌어지게 되므로 가변체(112)에 형성되는 라인홀(113)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고 이를 통하여 면사매듭(114)은 자연스럽게 낚시용 찌(100)를 관통할 수 있게 되므로 전유동 채비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낚시 대상어가 낚싯바늘에 걸림 된 상태에서 저항할 때 낚시용 찌(100)가 수중에서 물의 저항을 받지 않게 되므로 대상어의 순간적인 힘이 원줄을 통해서 낚시인에게 고스란히 전해지므로 손맛이 우수하게 되는 장점과 더불어 대상어가 입질을 할 때 이물감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탁월한 조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100; 낚시용 찌
101; 찌바디
104; 가이드링
105; 변환수단
106; 부력공간
107; 부력재
111; 가변공간
112; 가변체

Claims (3)

  1. 타원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바디와;
    상기 찌바디의 축 중심 방향으로는 원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라인홀과;
    상기 찌바디의 내부에 어신을 받기까지는 반유동 상태를 유지하고, 어신을 받은 후부터는 전유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수단을 내장하여 구성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찌바디 내부 중앙에 라인홀과 연통되면서 내부가 비어있게 형성하는 부력공간과;
    상기 부력공간에 내장되어 채비 투척시 부력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부력재와;
    상기 부력재의 중앙에 원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라인홀과;
    상기 부력공간의 상측에 형성하는 가변공간과;
    상기 가변공간에 내장되는 가변체와;
    상기 찌바디와 부력재에 내장하여 찌바디 전체의 부력을 유지하는 부력추와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분할 구성하여 부력재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결합되고, 어신에 의하여 원줄이 당겨지면서 하강 되면서 분리되게 구성하고;
    상기 가변체의 중심 종방향으로 원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라인홀을 형성하고;
    상기 라인홀의 상측은 가변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원줄에 묶음 되는 면사매듭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KR1020130029841A 2013-03-20 2013-03-20 낚시용 찌 KR10140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841A KR101407741B1 (ko) 2013-03-20 2013-03-20 낚시용 찌
PCT/KR2014/002152 WO2014148772A1 (ko) 2013-03-20 2014-03-14 낚시용 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841A KR101407741B1 (ko) 2013-03-20 2013-03-20 낚시용 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741B1 true KR101407741B1 (ko) 2014-06-16

Family

ID=5113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841A KR101407741B1 (ko) 2013-03-20 2013-03-20 낚시용 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7741B1 (ko)
WO (1) WO20141487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008U (ko) * 2021-02-08 2022-08-17 김재환 낚시용 구멍찌
KR20220124362A (ko) * 2021-03-03 2022-09-14 이정희 막대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6574A (zh) * 2018-12-14 2019-09-13 李金永 一种水下人工钓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26U (ko) * 1997-02-12 1998-10-15 김영태 회전식 마찰크러치를 삽입한 전유동 찌
KR200324455Y1 (ko) 2003-05-28 2003-08-25 주식회사 지로 유동 홀드가 구비된 낚시용 찌
KR200347617Y1 (ko) * 2004-01-29 2004-04-14 박재일 이중 구멍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46B1 (ko) * 2012-02-06 2014-01-23 김광섭 전유동 채비용 어신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26U (ko) * 1997-02-12 1998-10-15 김영태 회전식 마찰크러치를 삽입한 전유동 찌
KR200324455Y1 (ko) 2003-05-28 2003-08-25 주식회사 지로 유동 홀드가 구비된 낚시용 찌
KR200347617Y1 (ko) * 2004-01-29 2004-04-14 박재일 이중 구멍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008U (ko) * 2021-02-08 2022-08-17 김재환 낚시용 구멍찌
KR200497570Y1 (ko) * 2021-02-08 2023-12-19 김재환 낚시용 구멍찌
KR20220124362A (ko) * 2021-03-03 2022-09-14 이정희 막대찌
KR102570316B1 (ko) * 2021-03-03 2023-08-24 이정희 막대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8772A1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741B1 (ko) 낚시용 찌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CN103271008A (zh) 自动收钩器
CN108496908A (zh) 一种钓浮自动钓鱼器
CN208273927U (zh) 一种钓浮自动钓鱼器
KR20060018921A (ko) 막대 낚시봉돌
CN201640218U (zh) 弹网捕鱼器
CN103651274A (zh) 钓鱼笼
CN207940252U (zh) 一种笼具
CN207612985U (zh) 仿生鱼饵
CN106070104B (zh) 一种无饵自动提示爆炸钩
KR102609356B1 (ko) 낚시용 수중찌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CN108112521A (zh) 一种多层式人工鱼礁
CN107711741A (zh) 一种无鱼钩钓鱼器
CN2847850Y (zh) 吸入式碗钩
JP2012161299A (ja) 釣り具
JP2005348716A (ja) 一網打尽カニ取り君
CN201536568U (zh) 一种钓组
CN207083907U (zh) 一种阶梯式捕鱼渔网
KR100961839B1 (ko) 밑걸림 봉돌 분리장치
JP4501133B2 (ja) 釣り用サシエガードカプセルii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CN106560033A (zh) 鹰爪多功能全自动钓鱼永不脱钩鱼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