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313B1 -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313B1
KR101926313B1 KR1020180088407A KR20180088407A KR101926313B1 KR 101926313 B1 KR101926313 B1 KR 101926313B1 KR 1020180088407 A KR1020180088407 A KR 1020180088407A KR 20180088407 A KR20180088407 A KR 20180088407A KR 101926313 B1 KR101926313 B1 KR 10192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trigger
frame
fish
har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다훈
Original Assignee
권다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다훈 filed Critical 권다훈
Priority to KR102018008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4Fish-sp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6Equipment for hunting fish unde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줄(S)이 연결되어 원줄의 권사와 권출이 가능한 낚싯대(100)와 물고기의 유인 및 입질이 이루어지는 유인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낚시 보조장치에 있어서,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한 사용자의 챔질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작살을 발사하는 트리거(220); 상기 트리거와 작살(240)이 수용 고정되고, 원줄이 관통 고정되는 낚시 보조장치 본체(210); 및 상기 낚시 보조장치 본체 후면에 장착되는 일정 부력을 공급하는 부력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20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낚시와 동일한 챔질의 묘미와 릴링시 손맛을 느낄 수 있으며,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정확하게 후킹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살의 발사로 인하여 물고기를 놓치지 않고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Fishing device with automatic firing harpoon}
본 발명은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물고기의 입질을 느끼고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가 설치된 낚싯대를 챔질할 때 자동으로 작살이 발사되게 하여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꿰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사된 작살에 의해 물고기를 잡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낚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fishing)는 그물의 사용 없이 물고기 잡는 일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래는 인류가 선사시대부터 해왔던 생계활동이었으나 현대에는 레저나 취미활동 혹은 자연 속에서 휴식을 즐기기 위한 목적으로 남녀노소 관계없이 대중적인 활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물고기들이 투하된 미끼에 입질을 하는 과정에서 낚싯바늘이 물고기의 아가미 주변에 꿰이게 되는 것과, 입질 중 낚시인이 낚싯대를 들어 올리거나 잡아당기는 챔질 동작을 함으로써 낚싯바늘이 물고기를 꿰는 것으로, 챔질의 시기를 놓치면 미끼만 떼이고 물고기를 낚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낚시인에게는 챔질의 순간을 맞추기 위해 매우 노련한 경험이 필요하며, 고도의 집중력과 전문성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이 불거나 밤낚시를 행할 경우에는 물결에 의해 낚시찌가 흔들리게 되므로 낚시찌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우며, 특히 초보자들의 경우에는 챔질 순간을 놓치기 쉬워 물고기를 낚싯바늘에 꿰기 어렵기 때문에 낚시의 손맛과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본적인 낚시 도구로는 낚싯대, 릴, 낚싯줄, 찌, 낚싯바늘, 미끼 등이 필요하며, 최근에는 사용이 편리하고 우수한 기능을 가진 다양한 낚시 도구 및 낚시 보조장치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낚시와 같이 낚싯바늘에 미끼를 꼽고 물속에 담근 채 무작정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물 바깥에서 모니터장치를 통해 물속의 상황을 직접 보면서 마치 슈팅게임을 즐기듯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고안된 소형 카메라, 조명용 플레시 및 작살 발사장치가 설치된 낚싯대가 개발되어 있으며(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345호), 수륙양용으로 수렵이나 어렵을 즐길 수 있는 일정한 완충장치를 설치한 완충화살에 일정한 길이의 낚싯줄을 연결하여 발사가능하게 하는 수상사격장치도 개발되어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6949호).
또한, 최근에는 미끼를 물은 물고기가 저항할 때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마그네틱부에 부착되었던 이동부재가 인장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복원 되면서 작살이 발사되어 물고기를 작살로 꿸 수 있게 하여 자동으로 작살낚시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 작살낚시장치가 개발되어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1644호).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낚시인이 즐길 수 있는 낚시 자체의 묘미보다는 일반적인 낚시와는 다른 형태의 레저스포츠에 해당하거나 대량의 물고기를 포획하는 어업행위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기존의 낚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낚싯대의 원줄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의 낚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낚시인이 일반적인 낚시에서와 같은 챔질의 묘미와 릴링시 손맛을 그대로 느끼면서도 큰 실수 없이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345호 (2009.12.0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6949호 (2005.01.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1644호 (2016.12.31. 공고)
본 발명은 정확한 챔질의 노하우가 없는 초보 낚시인도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한 후 단 한 번의 챔질을 통하여 후킹과 작살 발사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후킹 없이 작살 발사만으로도 물고기를 놓치거나 미끼만 손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고기의 입질을 느낀 사용자의 챔질 동작에 의해 미끼가 설치된 낚싯바늘을 향하여 자동으로 작살이 발사될 수 있도록 개발된, 기존의 낚싯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의 낚시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는 낚시인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낚싯대의 원줄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원줄의 일단은 낚시 보조장치와 관통 연결되고 상기 원줄의 말단은 물고기의 유인 및 입질이 이루어지도록 미끼가 부착된 낚싯바늘을 포함하는 유인부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인부는 원줄의 말단과 도래(swivel)를 매개로 연결되고, 봉돌에는 목줄을 통해 낚싯바늘이 설치되고 말단에는 무게추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는 유인부의 입질을 감지한 사용자의 챔질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작살을 발사하는 트리거; 상기 트리거와 작살이 수용 고정되고, 원줄이 관통 고정되는 낚시 보조장치 본체; 및 상기 낚시 보조장치 본체 후면에 장착되어 일정 부력을 공급하는 부력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낚시 보조장치 본체는 트리거(220)가 수용 고정되는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트리거 수용프레임(211)과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 후방 상측에는 낚싯대로부터 연장된 원줄이 관통되는 가이드 프레임(212)이 설치되고,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 하부에는 작살이 수용되는 작살 수용프레임(213)이 설치되며,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과 작살 수용프레임 사이에는 노리쇠(213a)가 끼움 고정되어 수평하게 이동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노리쇠(213a)는 고무밴드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13b)를 매개로 트리거 수용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트리거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말단부가 일체화된 "ㄴ"자 구조를 형성하고, 유인부와 원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챔질을 감지하는 감지프레임(221)과, 수평형상으로 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감지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작살의 발사를 추진하는 격발프레임(2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감지프레임의 수직프레임 상부에는 원줄이 관통되어 유인부와 도래(swivel)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는 통공(225)이 형성되고, 수평프레임 후단부는 하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격발프레임의 전단부는 감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 후단부와 맞물려 전체적으로 트리거가 수평을 형성할 수 있는 경사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력제(230)는 제로씨(0c) 또는 투제로(00) 등의 통상적인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낚시 보조장치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후단부에 양성부력을 제공하고, 본체 무게로 인해 음성부력이 발생한 전단부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작살이 낚싯바늘에 걸린 미끼에 입질하는 물고기를 관통할 수 있도록 작살의 발사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는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챔질 동작을 함으로써 작살이 자동적으로 발사되게 하여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정확히 후킹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살의 발사로 인하여 물고기를 놓치지 않고 포획할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낚시와 동일한 챔질의 묘미와 릴링시 손맛을 느끼면서도 큰 실수 없이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낚싯대와 유인부의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가 작동 전에 설치되는 유인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의 본체를 나타낸다.
도 5는 수중에 위치한 낚시 보조장치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에 사용되는 작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의 트리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에서 작살이 발사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에서 노리쇠의 이동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거나 예시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낚싯대와 유인부의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는 낚시인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낚싯대(100)의 원줄(S)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원줄(S)의 일단은 낚시 보조장치(200)와 관통 연결되고 상기 원줄의 말단은 물고기의 유인 및 입질이 이루어지도록 미끼가 부착된 낚싯바늘을 포함하는 유인부(30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낚시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낚싯대(100)는 통상적인 낚싯대 구조로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하는 블랭크와 상기 블랭크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원줄이 관통되어 지나가는 가이드, 블랭크 말단에는 사용자 또는 배면에 고정토록 형성된 그립이 설치되며, 상기 원줄은 릴에 의해 권사 및 권출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원줄(S)은 낚기 위한 물고기 종에 따라 다양한 규격 및 구조로 형성되고 통상적인 낚싯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단일 섬유 한 가닥의 힘줄(gut), 또는 가는 철사줄, 그물실 또는 노끈줄(cord) 굵기의 꼰 섬유줄을 포함할 수 있다. 힘줄은 합성섬유 중 강한 소재의 나일론 단일 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철사줄, 그물실 또는 노끈 줄 굵기의 꼰 섬유줄은 이빨이 강한 물고기를 낚을 때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는 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캐스팅 전에 미리 상기 보조장치에 원줄을 수용하고 유인부 앞단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캐스팅 전에 미리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캐스팅 후에 상기 보조장치에 원줄을 수용하고 나서 수중으로 내려 보내 유인부 앞단에 위치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가 작동 전에 설치되는 유인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상기 유인부는 원줄(S)의 말단과 도래(304)를 매개로 연결되고, 봉돌(301)에는 목줄을 통해 낚싯바늘(302)이 설치되고 말단에는 무게추(303)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낚싯바늘(302)은 통상적인 갈고리 형상으로 물고기를 유인하여 입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미끼 또는 물고기가 선호하는 색깔 및 형상물로 이루어진 인조미끼의 부착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입질"은 물고기가 미끼를 건드리는 행동을 의미한다. 봉돌(301)은 도래 부근에 집중시켜 낚싯바늘의 잔존 부력을 상쇄시키고, 목줄의 여러 곳에 나누어 물려서 목줄을 직선에 가깝게 만들어주는 채비 정렬 역할과 입질을 유도할 수 있으며, 무게추(303)는 목줄과 연결되어 낚싯바늘이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 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낚싯바늘의 입질이 이루어지는 부위와 작살이 발사되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 비중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원줄의 말단에 도래로 연결되고 낚싯바늘과 봉돌 또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유인부를 사용하여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200)는 유인부의 입질을 감지한 사용자의 챔질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작살을 발사하는 트리거(220); 상기 트리거와 작살(240)이 수용 고정되고, 원줄이 관통 고정되는 낚시 보조장치 본체(210); 및 상기 낚시 보조장치 본체 후면에 장착되어 일정 부력을 공급하는 부력제(23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의 본체를 나타낸다. 상기 낚시 보조장치 본체는 트리거(220)가 수용 고정되는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트리거 수용프레임(211)과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 후방 상측에는 낚싯대로부터 연장된 원줄이 관통되는 가이드 프레임(212)이 설치되며,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 하부에는 작살이 수용되는 작살 수용프레임(213)이 설치된다.
낚싯대(100)로부터 연장된 원줄(S)이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 본체 전단부에 설치된 트리거(220)로 연결되는 경우 원줄이 수중에서 들뜨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12)은 전후 방향으로 원줄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부에는 원줄을 수용 또는 이탈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개폐장치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프레임이 절개되고 일측면에는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며 타측면에는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측면부를 개폐하여 원줄이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개폐장치는 고리모양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장치는 가이드 프레임 측면부로 원줄의 수용과 이탈이 가능하다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과 작살 수용프레임 사이에는 노리쇠(213a)가 끼움 고정되어 수평하게 이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노리쇠(213a)는 고무밴드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13b)를 매개로 트리거 수용프레임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탄성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탄성체(213b)는 고탄성 재질의 고무밴드 또는 스프링으로 일측은 트리거 수용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은 노리쇠와 연결되어 노리쇠가 작살 수용프레임(213)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여 발사 대기상태로 유지된 작살이 발사 시에 연장된 탄성체의 길이만큼 기동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로씨(0c) 또는 투제로(00) 등의 통상적인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부력제(230)는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 후단부에 양성부력을 제공하고, 본체 무게로 인해 음성부력이 발생한 전단부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도 5와 같은 모습으로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가 수중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부력제(230)는 작살이 낚싯바늘에 걸린 미끼에 입질하는 물고기를 관통할 수 있도록 발사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에 사용되는 작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작살(240)은 기다란 막대 모양으로 일단에는 날카로운 살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스피어(241)와 상기 스피어의 타단에는 연결선(242)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부(243)가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선의 일단은 스피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낚시 보조장치 본체 전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작살이 발사되어 입질하는 물고기를 관통한 후에도 수중에서 낚기 보조장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피어의 살은 창, 추살, 작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낚싯바늘에 걸린 미끼에 입질하는 물고기를 관통하여 어획하기 적절한 내구성과 날카로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적절하며, 물고기에 꽂힌 다음에 빠지지 않도록 미늘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발사 대기상태에 놓인 작살이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작살 수용프레임(213)의 후단부에는 자석이 부착된 자력부(214)를 설치하여 금속 재질의 작살 단부(243)가 자력에 의해 자력부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연결선은 원줄과 같은 재질의 낚싯줄이나 금속 재질의 가는줄 등 작살이 꽂인 다음에도 물고기를 끌어올릴 때까지 끊어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낚시 보조장치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선 타단의 일부는 그 길이 조절과 간편한 사용을 위해 코일 형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의 트리거를 나타낸다. 상기 트리거(220)는 유인부와 원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챔질을 감지하는 감지프레임(221)과 상기 감지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작살의 발사를 추진하는 격발프레임(2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프레임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말단부가 일체화된 "ㄴ"자 구조로 형성되고, 수직프레임 상부에는 원줄을 수용 또는 이탈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가 형성된 통공(225)이 형성된다.
통공에 수용된 원줄 말단에는 도래(304)가 설치되고, 상기 도래는 감지프레임에 관통된 원줄을 유인부와 연결시키고 유인부에서 이루어지는 물고기의 입질에 반응하여 사용자가 챔질 동작을 하면 도래가 통공에 걸려 챔질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생기게 된다. 챔질로 발생한 힘에 따라 감지프레임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감지프레임의 통공 부위 상측면에는 추가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덮개를 갖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덮개를 통과하여 안착된 원줄이 수용되어 통공 부근의 원줄이 감지프레임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감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 후단부는 하향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격발프레임의 전단부는 감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 후단부와 맞물려 전체적으로 트리거가 수평을 형성할 수 있는 경사가 형성된다.
감지스프링(224)은 사용자의 챔질 동작에 의해 감지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챔질 동작이 아닌 경우에는 감지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보조장치 본체와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트리거가 본체에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격발프레임(222)은 수평형상으로 전단부에는 상기 감지프레임의 후단 경사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 상측면에는 격발스프링(223)이 설치된다. 격발스프링(223)은 격발프레임이 감지프레임의 후방 이동으로부터 힘을 받아 상방으로 움직이기 전까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발프레임(222) 후단부를 당겨서 전단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보조장치에 원줄을 수용하여 상기 보조장치를 수중으로 내려 보내기 전까지는 트리거가 작동하지 않도록 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캐스팅 전에 상기 보조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캐스팅 동작에 따라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는 트리거가 작동하여 작살이 발사되지 않도록 이중 트리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215)는 "ㄱ"자 구조로 회전이 가능한 고정축을 매개로 수용프레임 측면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안전장치 일단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안전장치는 사용자 및 주변의 안전을 위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작살이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장치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발사 대기상태에 있는 노리쇠를 블로킹함으로써 노리쇠가 전면으로 이동하여 작살을 발사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에서 작살이 발사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원리도이다. TYPE A는 유인부의 입질 반응이 없어 챔질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대로 작살의 발사 대기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감지프레임과 격발프레임이 접촉하는 경사면은 맞물려 전체적으로 수평형태를 이루게 된다. 격발프레임의 전단 하측면이 감지프레임의 후단 상측면을 눌러 감지프레임을 지지하고, 이때 격발프레임 후단 상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와 연결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격발프레임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YPE B는 유인부에서 물고기의 입질에 반응하여 사용자가 챔질을 하는 경우의 매커니즘를 나타낸다. 챔질로 발생한 힘에 의해 원줄과 도래, 감지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맞물려 설치된 격발프레임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격발프레임의 걸림턱에 의해 고정된 노리쇠가 풀리면서 작살이 발사된다. 결국 사용자의 챔질 동작에 따라 발생한 일정한 힘에 의해 도래(304)가 힘을 받아 트리거(220)의 감지프레임(221)을 자극하고 이때 감지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격발프레임(222)을 자극하여 최종적으로 작살(240)이 발사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에서 노리쇠의 이동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TYPE C는 발사 대기상태의 트리거와 노리쇠의 위치를 보여준다. 이때 노리쇠는 탄성체를 매개로 본 발명의 낚시 보조장치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노리쇠는 걸림턱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어 탄성체에는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유인부에서 입질에 반응하여 챔질이 이루어지게 되면 전방으로 회귀하는 힘이 커져 발사 기동력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TYPE D는 도 8에 도시된 TYPE B와 같이 발사되기 전 챔질에 의한 힘과 트리거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챔질로 통공에 도래가 걸려 감지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격발프레임이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턱에 걸려있던 노리쇠가 풀리면서 전방으로 힘이 작용하여 작살이 발사되게 된다.
본 발명은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에서 발사된 작살로 후킹 없이도 물고기의 포획이 가능하고, 기존의 낚시에서 필요한 낚시인의 챔질 노하우가 요구되지 않아 낚시에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으며, 초보자도 상기 낚시 보조장치를 사용하여 쉽게 물고기를 포획하고 낚시를 즐길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낚싯대 S: 원줄
200: 낚시 보조장치 210: 낚시 보조장치 본체
211: 트리거 수용프레임 212: 가이드 프레임
213: 작살 수용프레임, 213a: 노리쇠
213b: 탄성체 214: 자력부
215: 안전장치 220: 트리거
221: 감지프레임, 222: 격발프레임
223: 격발스프링, 224: 감지스프링
225: 통공 230: 부력제
240: 작살 241: 스피어
242: 연결선 243: 단부
300: 유인부 301: 봉돌
302: 낚싯바늘 303: 무게추
304: 도래

Claims (6)

  1. 원줄(S)의 권사와 권출이 가능한 낚싯대(100)와 원줄(S)에 연결되어 물고기의 유인 및 입질이 이루어지는 유인부(300) 사이의 원줄(S)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낚시 보조장치에 있어서,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한 사용자의 챔질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작살을 발사하는 트리거(220); 상기 트리거와 작살(240)이 수용 고정되고, 원줄이 관통 고정되는 낚시 보조장치 본체(210); 및 상기 낚시 보조장치 본체 후면에 장착되어 일정 부력을 공급하는 부력제(230);를 포함하며,
    상기 낚시 보조장치 본체(210)는 트리거(220)가 수용 고정되는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트리거 수용프레임(211)과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 후방 상측에는 낚싯대로부터 연장된 원줄이 관통되는 개폐장치가 부착된 가이드 프레임(212)이 설치되고,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 하부에는 작살이 수용되는 작살 수용프레임(213)이 설치되며, 상기 트리거 수용프레임(211)과 작살 수용프레임(213) 사이에는 노리쇠(213a)가 끼움 고정되어 수평하게 이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213a)는 탄성체(213b)를 매개로 트리거 수용프레임(21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220)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말단부가 일체화된 "ㄴ"자 구조를 형성하고, 유인부의 도래(304)와 원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챔질을 감지하는 감지프레임(221)과, 수평형상으로 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격발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감지프레임의 후방 이동에 따라 작살의 발사를 추진하는 격발프레임(2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프레임의 수직프레임 상부에는 원줄이 관통되어 유인부와 도래(304)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는 개폐장치가 부착된 통공(225)이 형성되고, 수평프레임 후단부는 하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격발프레임의 전단부는 감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 후단부와 맞물려 전체적으로 트리거가 수평을 형성할 수 있는 경사가 형성되고, 챔질 동작에 따라 발생한 일정한 힘에 의해 도래(304)가 트리거(220)를 자극하여 작살(240)이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보조장치 본체(210)는 미사용시 트리거가 작동하지 않도록 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215) 또는 이중 트리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질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6. 삭제
KR1020180088407A 2018-07-30 2018-07-30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KR10192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07A KR101926313B1 (ko) 2018-07-30 2018-07-30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07A KR101926313B1 (ko) 2018-07-30 2018-07-30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313B1 true KR101926313B1 (ko) 2018-12-06

Family

ID=6467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07A KR101926313B1 (ko) 2018-07-30 2018-07-30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605A (ko) 2019-03-11 2020-09-21 배원직 자동 포획 낚시장치
KR102657271B1 (ko) * 2023-03-02 2024-04-16 신아영 두족류 포획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605A (ko) 2019-03-11 2020-09-21 배원직 자동 포획 낚시장치
KR102657271B1 (ko) * 2023-03-02 2024-04-16 신아영 두족류 포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335B2 (en) Fishing lure
US9253966B2 (en) Fishing lure
US5152094A (en) Fishing sinker apparatus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US20160037760A1 (en) Fishing lure containment device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KR101926313B1 (ko)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US6865842B2 (en) Fish catching system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5855089A (en) Pliable fishing lure and planar weedless fish hook
US20090119972A1 (en) Design fishing hook for bait and lure
US20050172538A1 (en) Fish catching system
KR101819424B1 (ko)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US4024668A (en) Artificial fishing lure or bait having retractable hook means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US6006467A (en) Weedless hook and lure having lure interchangeability
US3199242A (en) Line supply device for fishing pole
US20020073599A1 (en) Fish catching system
US6739085B1 (en) Fish hook
US4429481A (en) Spin-casting rod with lure jerking assembly
US4890410A (en) Automatic fishing hook setting device
US2932116A (en) Fishhooks
JPH04228018A (ja) 船引き釣り具
US3514890A (en) Fishing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