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605A - 자동 포획 낚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포획 낚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605A
KR20200108605A KR1020190027460A KR20190027460A KR20200108605A KR 20200108605 A KR20200108605 A KR 20200108605A KR 1020190027460 A KR1020190027460 A KR 1020190027460A KR 20190027460 A KR20190027460 A KR 20190027460A KR 20200108605 A KR20200108605 A KR 20200108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olt
trigger
hous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532B1 (ko
Inventor
배원직
Original Assignee
배원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원직 filed Critical 배원직
Priority to KR102019002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5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4Fish-sp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어낚시나 찌 낚시에 있어서, 물고기가 미끼를 입질하였을 때 찌나 낚싯대에 전달되는 움직임 없이도 방아쇠(400)와 낚싯바늘(500)을 무는 물고기 주둥이의 악력으로 작동되며, 방아쇠의 동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발사되는 노리쇠(300); 상기 노리쇠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방아쇠(400); 상기 노리쇠와 방아쇠가 수용 고정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 후방에 낚싯바늘의 끝 부분이 노리쇠 쪽을 향하도록 고정 장착되는 낚싯바늘(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장치로, 본 발명의 자동포획 낚시장치(100)를 사용함으로써 찌를 장시간 주시하는 데서 오는 피로감이 없으며, 물고기가 낚시바늘과 방아쇠를 무는 동시에 자동 작동하므로 헛챔질의 염려없이 물고기가 포획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포획 낚시장치{Automatic catch fishing device}
본 발명은 물고기의 주둥이가 낚싯바늘과 인접한 방아쇠와 접촉되면 자동 포획되는낚시장치로서, 루어낚시 및 일반미끼를 사용하는 낚시를 할 수 있는 복합적인 자동 포획 낚시장치이다. 물고기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 시 힘이 적게 드는 방아쇠와 낚싯바늘을 함께 물게 된다. 물고기가 이물감을 느끼기 전에 순간적으로 탄성체가 복원되어, 노리쇠와 낚싯바늘 사이에 물고기 주둥이를 꿰임으로써 자동 포획하는 낚시장치이다.
낚시는 오래 전부터 인류가 해왔던 포획활동으로 생계의 수단이었다. 현대에는 다양한 낚시 방법이 존재하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레저활동이 되었다.
바다와 민물을 막론하고, 일반적으로 찌를 이용한 찌 낚시의 경우, 물고기가 미끼와 함께 바늘을 흡입하면, 수면에 위치한 찌가 어신을 알려주는 낚시 방법이다. 때문에 바람이 불거나 물결이 일렁일 경우 혹은 찌를 멀리 투척하였을 경우,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기 어렵고 설사 이를 감지하고 챔질을 하여도 헛챔질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낚시는 고도의 숙련을 요하는 활동이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 낚시의 흥미를 잃기 쉽다.
루어 낚시는 주로 육식성 물고기를 포획하는 방법으로, 작은 물고기 형태의 가짜 미끼에 바늘이 달려있다. 물고기가 바늘을 흡입하게 되면 낚싯줄을 통해 전해지는 무게로 어신을 감지하여 챔질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바늘을 흡입한 물고기는 이물감을 느끼고 바늘을 뱉어내게 되는데 이 순간을 놓치게 되면 헛챔질이 되어 물고기를 포획할 수 없게 된다. 이 또한 초보자로서는 쉽지 않은 방법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낚시 방법에 추가되어 도움을 주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찌에 추가로 부력통을 장착하여 부력을 높여주고, 찌와 연결된 낚싯바늘을 물고기가 흡입하고 이동하면, 찌와 낚시바늘 사이에 인장력이 발생되어 방아쇠가 풀리게 되며, 스프링에 의해 바늘을 찌 방향으로 끌어올려 포획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실용신안 제20-0433-974000).
또한,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당기면 연결된 작살이 작동되어 물고기를 관통하는 방법(특허 제10-1581644), 사용자가 어신을 감지하고 낚싯대를 작동하여 챔질하면, 작살이 작동되어 물고기를 포획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특허 제10-1926313).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야만 작동하거나, 사용자가 어신을 감지하여 챔질을 해주어야만 포획 가능하며, 물고기가 이물감을 느끼고 바늘을 뱉어내면 포획이 불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물고기 주둥이가 바늘과 함께 위치한 방아쇠를 물게 되면, 이물감을 느끼기 전에 순간챔질을 해주므로 쉽게 포획이 가능해진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433-974000호(등록일 : 2006. 12 .08. 발명의명칭 : 자동낚시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1644호(등록일 : 2015. 12. 23. 발명의 명칭 : 자동 작살낚시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6313호(등록일 : 2018. 11. 30. 발명의 명칭 :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본 발명은 루어낚시나 찌 낚시에 있어서, 물고기가 입질하였을 때 찌나 낚싯대에 전달되는 움직임 없이도,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물었을 경우, 낚싯바늘의 좌측 면 또는 우측 면에 위치한 방아쇠와 낚싯바늘 사이의 물고기 주둥이에서 전달되는 악력에 의하여, 방아쇠가 풀림과 동시에 탄성체가 복원되며 연결된 노리쇠가 낚싯바늘 쪽으로 발사되어, 물고기 주둥이가 노리쇠와 낚싯바늘 사이에 꿰임으로써 포획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자동 포획 낚시장치를 사용하는 낚시인의 낚싯줄에 낚싯바늘 대용으로 탈 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낚싯줄에 자동포획 낚시장치본체(100) 전방의 통공A(240)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포획 낚시장치는 방아쇠의 동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발사되는 노리쇠(300); 상기 노리쇠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방아쇠(400); 상기 노리쇠와 방아쇠가 수용 고정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 후방에 낚싯바늘의 끝 부분이 노리쇠 쪽을 향하도록 고정 장착되는 낚싯바늘(50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아쇠(400)의 일단은 노리쇠(300)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고 타단은 낚싯바늘(500)을 수직으로 세워 낚싯바늘 몸통과 낚싯바늘의 바늘 끝 부분이 'ㅣ'자가 되게 바라 보았을 경우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일면은 노리쇠(300)가 낚싯바늘(500) 끝 부분 쪽으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한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노리쇠안내유로(210)가 설치되고, 타면은 방아쇠(400)가 고정되며 노리쇠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방아쇠고정홈(220)과 개구부(230)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노리쇠(300)는 탄성체(600)를 매개로 하우징(200)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방아쇠(400)의 상부에는 탄성체연결홈(440)이 형성되어, 방아쇠가 노리쇠와 탄성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노리쇠(300)의 후방에는 격발 시 노리쇠가 낚싯바늘(500) 끝 부분을 초과하여 타격 할 수 있도록, 낚싯바늘 끝 부분을 통과하는 형상의 타격홈(31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타격홈(310)은 낚싯바늘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속이 빈 원통 형상, 속이 빈 사각 형상, 하우징(200)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ㄴ'자 형상, 'ㄷ'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낚싯바늘의 좌측 면 또는 우측 면에 위치한 방아쇠와 낚싯바늘 사이에서 작용하는 물고기 주둥이의 악력으로 순간적으로 노리쇠가 발사되어 자동 포획되므로,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물고 이물감을 느껴 뱉어낼 수 없다. 따라서 헛챔질의 염려가 없고 찌를 장시간 주시하는 데서 오는 피로감이 없으며, 물고기의 주둥이가 낚싯바늘과 노리쇠 사이에 꿰임으로써 바늘 털이가 어려워 진다. 때문에 물고기가 포획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와 루어형케이스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획 낚시장치의 노리쇠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획 낚시장치의 방아쇠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획 낚시장치의 탄성체 결합모습을 TYPE별로 나타낸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의 장전 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지만 도면과 실시예를 설명할 뿐, 본 발명은 도면 또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동 포획 낚시장치를 사용하는 낚시인의 낚싯줄에 낚싯바늘 대용으로 탈 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낚싯줄은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A(240)를 매개로 연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의 모습을 나타내다.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100)는 하우징(200), 노리쇠(300), 방아쇠(400), 낚싯바늘(500)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1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 적당하며, 물고기가 좋아하는 색상 또는 잘 인식하지 못하는 색상으로 도색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100)의 외형을 루어모양으로 제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별도의 루어형케이스(700)는 필요하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100)가 루어형케이스(700)와 결합되는 모습이다. 낚싯줄(800)은 루어형케이스를 달았을 경우는 루어형케이스의 통공B(710)에 장착되며,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100)를 단독으로 사용시 통공A(240)에 낚싯줄을 장착한다.
상기 루어형케이스(70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이 적당하고, 균형을 맞추기 위해 내부에 무게추(72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물고기가 선호하는 모양과 색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100)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다. 방아쇠의 동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발사되는 노리쇠(300); 상기 노리쇠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방아쇠(400); 상기 노리쇠와 방아쇠가 수용 고정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 후방에 낚싯바늘의 끝 부분이 노리쇠 쪽을 향하도록 고정 장착되는 낚싯바늘(5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0)의 일면 상부 후방에는 노리쇠(300)와 탄성체(600)를 연결할 수 있는 탄성체연결홈A(250)와 탄성체연결홈B(260)가 형성되어있고, 또한 일면은 노리쇠(300)가 낚싯바늘(500) 끝 부분 쪽으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한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노리쇠안내유로(210)가 설치되며, 타면은 방아쇠(400)가 고정되며 노리쇠(300)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방아쇠고정홈(220)과 개구부(230)가 형성되며, 노리쇠안내유로(210)에 노리쇠(300)가 수용되고, 하우징 결합시 노리쇠 상부에 방아쇠(400)가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의 일면 과 타면의 하부는 수평 방향으로 막대모양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 전방에는 낚싯줄(800)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A(240)가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고, 하부 후방에는 낚싯바늘(500)이 고정되는 낚싯바늘고정홈(270)이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리쇠(300) 모습을 나타낸다. 수평 방향으로 기다란 막대 모양의 노리쇠 전방은 탄성체를 연결할 수 있는, 탄성체연결홈C(330)가 전방 하부에 형성되고, 전방 상부에는 탄성체연결홈D(340)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연결홈C와 탄성체연결홈D의 후방에는 격발 시 노리쇠가 노리쇠안내유로를 초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노리쇠이탈방지돌기(350)가 형성되며, 노리쇠이탈방지돌기 후방에는 방아쇠걸림돌기(430)와 맞물려 노리쇠가 발사준비 상태가 되도록 하는 노리쇠걸림돌기(320)가 형성되며, 노리쇠이탈방지돌기와 노리쇠걸림돌기 사이의 거리만큼 탄성체(600)가 늘어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노리쇠 후방에는 격발 시 노리쇠가 낚싯바늘(500) 끝 부분을 초과하여 타격 할 수 있도록, 낚싯바늘 끝부분을 통과하는 형상의 타격홈(3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타격홈(310)은 하우징(200)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타격 시 낚싯바늘(500)의 끝 부분이 'ㄷ'자 형상 속으로 통과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타격홈은 낚싯바늘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속이 빈 원통 형상, 속이 빈 사각 형상, 하우징(200)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ㄴ'자 형상, 'ㄷ'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바늘 끝부분을 통과하는 형태이면 가능하다며, 물기기의 주둥이가 타격홈과 낚싯바늘 사이에 단단히 꿰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아쇠 모습을 나타낸다. 방아쇠(400)는 '지레의 원리'로 동작하며, '받침점'역할을하는 방아쇠고정부(420), '힘점'역할을하는 입질감지부(410), '작용점'역할을하는 방아쇠걸림돌기(430), 탄성체(600)와 연결할 수 있는 탄성체연결홈(4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아쇠의 방아쇠고정부는 하우징(200)의 방아쇠고정홈(220)과 연결하여 장착하고, 방아쇠걸림돌기는 하우징의 개구부(230)를 통과하여 노리쇠걸림돌기(320)와 맞물려 노리쇠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고, 입질감지부는 낚싯바늘을 수직으로 세워 낚싯바늘의 몸통과 낚싯바늘의 바늘 끝 부분이 'ㅣ'자가 되게 바라 보았을 경우 좌측 방향 1mm~10mm 이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방아쇠 끝 단의 입질감지부를 물고기가 물지 않고서는 낚싯바늘을 물 수 없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방아쇠는 물고기가 적은 힘으로 방아쇠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방아쇠(400)의 입질감지부(410)는 낚싯바늘을 수직으로 세워 낚싯바늘의 몸통과 낚싯바늘의 바늘 끝 부분이 'ㅣ'자가 되게 바라 보았을 경우 우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탄성체(600)는 고탄성 재질의 고무밴드로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노리쇠(300)와 하우징(200)사이 또는 노리쇠와 방아쇠(400)사이에 연결할 수 있고, 장전 상태가 아닐 경우에도 탄성력에 의해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장전 상태가 될 경우 노리쇠이탈방지돌기(350)와 노리쇠걸림돌기(320)의 길이만큼 탄성체가 늘어나며, 격발 시 탄성체가 늘어난 길이만큼 노리쇠가 이동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체(600)의 연결타입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며, 도7은 장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TYPE A는 노리쇠(300)의 탄성체연결홈D(340)가 하우징(200)의 탄성체연결홈B(260)에 연결된 형태이고, TYPE B는 노리쇠의 탄성체연결홈D(340)가 하우징의 탄성체연결홈A(250)에 연결된 형태이다. TYPE A는 TYPE B에 비해 노리쇠(300)가 발사되는 힘은 좋으나, 방아쇠(400)의 조작이 상대적으로 둔감하다. TYPE B는 반대의 경우로 TYPE A에 비해 발사되는 힘은 떨어지나 방아쇠의 조작이 예민하다. TYPE C는 노리쇠의 탄성체연결홈C(330)와 탄성체연결홈D(340)를 함께 연결한 후 방아쇠의 탄성체연결홈(440)과 연결한 상태이다. TYPE C는 탄성체(600)가 방아쇠를(400)를 노리쇠걸림돌기(320)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므로, 방아쇠(400)의 결속을 강력하게 한다. 따라서 자동 포획 낚시장치본체(100)를 TYPE A 또는 TYPE B 보다 강한 힘으로 멀리 던질 수 있고, 수면에 안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방아쇠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TYPE이다.
상기와 같은 TYPE A 또는 TYPE B는 노리쇠(300)를 하우징(200)의 전방으로 밀면서, 방아쇠걸림돌기(430)를 노리쇠걸림돌기(320)방향으로 밀면, 걸림돌기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장전된다. TYPE C는 노리쇠(300)를 하우징(200)의 전방으로 밀면, 방아쇠(400)와 연결된 탄성체(600)의 탄성력으로 노리쇠걸림돌기와 방아쇠걸림돌기가 자동으로 맞물리게 되어 장전된다.
장전된 후 낚시를 시작하여, 물고기가 낚싯바늘(500)을 물게 되면, 낚싯바늘 좌측 방향 1mm~10mm 이내에 위치한 방아쇠(400)의 입질감지부(410)를 동시에 물게 되어 방아쇠가 풀림과 동시에 탄성체(600)가 낚싯바늘(500) 방향으로 수축하여, 탄성체와 연결된 노리쇠(300)가 발사되며 노리쇠의 타격홈(310)이 물고기를 주둥이를 강타하면, 주둥이가 타격홈과 낚싯바늘 사이에 꿰어지게 되어 자동 포획되게 된다.
본 발명은 루어형케이스가 장착 가능하므로 루어의 역할과 일반 낚싯바늘 역할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기존 방법과 달리 물고기 주둥이가 낚싯바늘과 방아쇠를 함께 물때 발생하는 주둥이의 악력으로 작동하여 자동 포획되므로 낚시의 성공확률이 높다. 이에 따라 낚시의 숙련도를 요하지 않고, 장시간 찌를 주시하는 행동을 할 필요가 없어 피로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숙련자는 물론이고 초보자도 쉽고 편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다.
100 : 자동포획 낚시장치본체
200 : 하우징
210 : 노리쇠안내유로
220 : 방아쇠고정홈
230 : 개구부
240 : 통공A
250 : 탄성체연결홈A
260 : 탄성체연결홈B
270 : 낚싯바늘고정홈
300 : 노리쇠
310 : 타격홈
320 : 노리쇠걸림돌기
330 : 탄성체연결홈C
340 : 탄성체연결홈D
350 : 노리쇠이탈방지돌기
400 : 방아쇠
410 : 입질감지부
420 : 방아쇠고정부
430 : 방아쇠걸림돌기
440 : 탄성체연결홈
500 : 낚싯바늘
600 : 탄성체
700 : 루어형케이스
710 : 통공B
720 : 무게추
800 : 낚싯줄

Claims (7)

  1. 방아쇠의 동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발사되는 노리쇠(300); 상기 노리쇠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방아쇠(400); 상기 노리쇠와 방아쇠가 수용 고정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 후방에 낚싯바늘의 끝 부분이 노리쇠 쪽을 향하도록 고정 장착되는 낚싯바늘(500);을 포함하며,

    상기 방아쇠(400)의 일단은 노리쇠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고 타단은 낚싯바늘을 수직으로 세워 낚싯바늘 몸통과 낚싯바늘의 바늘 끝 부분이 'ㅣ'자가 되게 바라 보았을 경우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200)의 일면은 노리쇠(300)가 낚싯바늘(500)의 끝 부분 쪽으로 수평 하게 이동 가능한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노리쇠안내유로(210)가 설치되고, 타면은 방아쇠(400)가 고정되며 노리쇠(300)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방아쇠고정홈(220)과 개구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획 낚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300)는 탄성체(600)를 매개로 하우징(20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획 낚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400)의 상부에는 탄성체연결홈(440)이 형성되어, 방아쇠가 노리쇠(300)와 탄성체(600)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획 낚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300)의 후방에는 격발 시 노리쇠가 낚싯바늘(500)의 끝 부분을 초과하여 타격 할 수 있도록, 낚싯바늘 끝부분을 통과하는 형상의 타격홈(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획 낚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홈(310)은 낚싯바늘(500)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속이 빈 원통 형상, 속이 빈 사각 형상, 하우징(200)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ㄴ'자 형상, 'ㄷ'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획 낚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200)의 외부에 루어형케이스(7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획 낚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200)의 외형이 루어모양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획 낚시장치.
KR1020190027460A 2019-03-11 2019-03-11 자동 포획 낚시장치 KR102275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460A KR102275532B1 (ko) 2019-03-11 2019-03-11 자동 포획 낚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460A KR102275532B1 (ko) 2019-03-11 2019-03-11 자동 포획 낚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05A true KR20200108605A (ko) 2020-09-21
KR102275532B1 KR102275532B1 (ko) 2021-07-09

Family

ID=7270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460A KR102275532B1 (ko) 2019-03-11 2019-03-11 자동 포획 낚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399B1 (ko) * 2020-11-19 2021-06-18 (주)파비스 두족류 자동 챔질기
KR102657271B1 (ko) * 2023-03-02 2024-04-16 신아영 두족류 포획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974Y1 (ko) 2006-07-21 2006-12-15 성재홍 자동 낚시찌
KR20150130512A (ko) * 2013-03-14 2015-11-23 리퀴드 로보틱스, 아이엔씨. 수상 운송수단
KR101581644B1 (ko)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1779376B1 (ko) * 2016-01-27 2017-09-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드론을 이용한 다중 해양 관측 시스템
KR101835107B1 (ko) * 2016-10-13 2018-04-19 (주)지이에스 어군 탐지용 드론
KR101926313B1 (ko) 2018-07-30 2018-12-06 권다훈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JP2020059472A (ja) * 2018-10-12 2020-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飛行体及び飛行体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974Y1 (ko) 2006-07-21 2006-12-15 성재홍 자동 낚시찌
KR20150130512A (ko) * 2013-03-14 2015-11-23 리퀴드 로보틱스, 아이엔씨. 수상 운송수단
KR101581644B1 (ko)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1779376B1 (ko) * 2016-01-27 2017-09-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드론을 이용한 다중 해양 관측 시스템
KR101835107B1 (ko) * 2016-10-13 2018-04-19 (주)지이에스 어군 탐지용 드론
KR101926313B1 (ko) 2018-07-30 2018-12-06 권다훈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JP2020059472A (ja) * 2018-10-12 2020-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飛行体及び飛行体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399B1 (ko) * 2020-11-19 2021-06-18 (주)파비스 두족류 자동 챔질기
KR102657271B1 (ko) * 2023-03-02 2024-04-16 신아영 두족류 포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532B1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8605A (ko) 자동 포획 낚시장치
US7849629B1 (en) Automatic fish hook setter apparatus and method
US4932154A (en) Fishing rig method and apparatus
US2801487A (en) Fishhook spring set
US4562661A (en) Fish lure with concealed hooks
US8567108B1 (en) Fishing rod holder with hook setting capability
US20090119972A1 (en) Design fishing hook for bait and lure
KR20190066822A (ko) 주꾸미 낚시용 어구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6865842B2 (en) Fish catching system
US9101122B2 (en) Concealed hook fish lure
US20140013648A1 (en) Fishing Lure With Retractable Hook
US20050172538A1 (en) Fish catching system
KR101926313B1 (ko)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US20130298441A1 (en) Fishing lure
KR102286826B1 (ko) 루어낚시용 베이트
US20050120615A1 (en) Safety bobber
US6647658B1 (en) Fishing rod support for semi-auto hooking
US2799115A (en) Casting-off device for fishing line
WO2008013865A2 (en) Weight-forward fishing sinker for use in a bait projectil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uch projectile
KR100849588B1 (ko) 낚시용 자동 채임 장치
JP2019103430A (ja) ルアー
US2605571A (en) Fishing appliance
KR200437567Y1 (ko) 낚시장치
US3514890A (en) Fishing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