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567Y1 - 낚시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567Y1
KR200437567Y1 KR2020070011440U KR20070011440U KR200437567Y1 KR 200437567 Y1 KR200437567 Y1 KR 200437567Y1 KR 2020070011440 U KR2020070011440 U KR 2020070011440U KR 20070011440 U KR20070011440 U KR 20070011440U KR 200437567 Y1 KR200437567 Y1 KR 200437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ish
housing
fish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 상 정
Original Assignee
인 상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 상 정 filed Critical 인 상 정
Priority to KR2020070011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5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6Equipment for hunting fish under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이 있을 때 낚시바늘이 물고기를 향해 발사되면서 물고기에 낚시바늘이 박혀지도록 한 낚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에 떠 있는 상태에서 수면 위로 돌출되고, 물고기의 잡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하는 부력재와; 상기 부력재의 하부측으로 중심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부력재와 균형을 이루며 수중에 배치되는 중량추와; 상기 중량추와 결합되고, 미끼가 결합되는 바늘이 구비되어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물고기를 향해 상기 바늘이 탄성 돌출되면서 물고기가 걸려지도록 하는 포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물고기의 포획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져 낚시 초보자들도 더욱 쉽고 간편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포획 확률을 대폭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낚시, 바늘, 돌출, 발사

Description

낚시장치{a fishing apparatus}
본 고안은 낚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이 있을 때 낚시바늘이 물고기를 향해 발사되면서 물고기에 낚시바늘이 박혀지도록 한 낚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물고기를 잡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바늘에 미끼를 결합시켜 물 속에 던진 후, 물고기가 미끼와 바늘을 동시에 삼키면 바늘이 물고기의 입 속에 걸려지도록 하여 물고기를 포획하는 것으로서, 낚시에 사용되는 미끼 및 낚시방법에 따라 찌낚시, 릴낚시, 루어낚시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낚시 방법은 물고기가 미끼를 건드리는 등의 입질이 발생될 때 바늘이 물고기의 입 속에 정확히 걸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낚싯대를 강하게 세우는 챔질이 이루어져야만 하는데, 이러한 챔질은 정확한 입 걸림 시기를 맞추기가 매우 힘들어 초보자의 경우에는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연결된 미끼를 먹거나 건드릴 때 낚시 바늘이 물고기 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하여 물고기에 박혀지도록 한 낚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바늘이 강한 힘으로 탄성 돌출되어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바늘이 원활하게 돌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늘의 돌출 작동 감도가 조절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늘이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포획부를 중량추에서 간편하게 분리하고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부력재의 부력이 극대화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면에 떠 있는 상태에서 수면 위로 돌출되고 물고기의 잡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하는 부력재와, 상기 부력재의 하부측으로 중심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부력재와 균형을 이루며 수중에 배치되는 중량추와, 상기 중량추와 결합되고 미끼가 결합되는 바늘이 구비되어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물고기를 향해 상기 바늘이 탄성 돌출되면서 물고기가 걸려지도록 하는 포획부를 포함하는 낚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상기 중량추와 일체로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개방되고 바늘이 삽입되는 바늘삽입공과, 상기 바늘삽입공의 내측에서 상기 바늘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지지체와,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상기 바늘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바늘삽입공의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바늘의 후방측으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고정되는 상대걸림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체결되며, 내측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전,후진하면서 상기 걸림돌기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늘과 하우징을 연결하는 이탈방지라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획부는 상기 중량추의 일측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재의 하부측으로 상기 중심선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보조부력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부력재의 하부측으로 중량추를 연결하고, 중량추에 물고기를 향해 바늘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포획부를 구비하여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연결된 미끼를 먹거나 건드릴 때 낚시 바늘이 물고기 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하여 물고기에 박혀지도록 한 낚시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물고기의 포획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져 낚시 초보자들도 더욱 쉽고 간편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포획 확률을 대폭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포획부가 하우징과 바늘삽입공, 탄성지지체 및 걸림수단의 간단한 구성으로 바늘이 강한 힘으로 탄성 돌출되어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포획부의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물고기를 잡은 후 포획부를 재정렬 시키는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림수단이 걸림돌기 및 상대걸림돌기로 형성되어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바늘이 원활하게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정확히 바늘이 돌출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조절나사를 구비하여 바늘의 돌출 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류나 파도 등의 낚시 환경 및 대상 어종에 따라 바늘의 돌출 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오작동을 줄임과 동시에 물고기의 포획 확률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이탈방지라인을 구비하여 바늘이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바늘이 물고기에 박힌 상태에서 물고기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포획부를 중량추에서 간편하게 분리하고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낚시장치를 이용하여 낚시를 반복적으로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부력재를 구비하여 부력재의 부력이 극대화되도록 함으로서, 파도가 심하게 치거나 조류가 강한 곳에서도 낚시장치가 원활하게 균형을 유지하여 최적의 낚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물고기의 포획 전 상태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물고기의 포획 중 상태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낚싯대 등에 연결하여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도록 수면에 떠 있는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 및 포획 상태를 확인하고 낚시장치의 전체적인 부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부력재(10)와, 상기 부력재(10)의 하부측으로 중심선(20)에 의해 연결되는 중량추(30)와, 상기 중량추(30)에 결합되고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물고기를 향해 바늘(41)이 돌출 및 발사되도록 하는 포획부(40)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부력재(10)는 후술되는 중량추(30) 및 포획부(40)가 수중의 특정 위치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물고기의 입질이나 포획 상태를 육안 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 발포재나, 공기가 충진되는 튜브 등으로 형성되어 강한 부력을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수면 위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물고기가 입질을 하거나 바늘(41)에 걸렸을 때, 수면 아래로 잠기고 뜨는 것을 반복하여 간편하게 그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량추(30)는 상기 부력재(10)와 균형을 이루며 중심선(2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후술되는 포획부(40)가 수중에서 균형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중량을 갖는 통상의 금속재 또는 세라믹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획부(40)는 미끼가 결속되어 물고기를 유인하면서 실질적인 물고기의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중량추(30)와 일체로 결합되는 하우징(42)의 내측에 바늘(41)이 숨겨진 상태로 보관되다가 물고기의 입질이 있을 때 바늘(41)이 하우징(4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바늘(41)이 물고기에 박혀 포획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42)의 외측면으로 개방되어 바늘(41)이 삽입되는 바늘삽입공(43)과, 바늘삽입공(43)의 내측에서 바늘(41)이 하우징(42)의 외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지지체(44)와, 바늘(41)이 바늘삽입공(43)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하우징(4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걸림수단(4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늘(41)은 탄성 돌출 작동에 의해 물고기의 입이나 몸체 등에 원활하게 박힘과 동시에 바늘(41)이 박힌 물고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끝단이 날카로운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미늘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늘삽입공(43)은 하우징(42)의 외측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42)의 내측으로 바늘(41) 및 후술되는 탄성지지체(44)와 걸림수단(45)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지지체(44)는 후방 측 끝단이 상기 바늘삽입공(43)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하고, 전방 측 끝단이 상기 바늘(41)의 후측 끝단을 지지하도록 하며, 바늘(41)이 하우징(42)의 외측방을 향해 밀려나가도록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코일스프링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수단(45)은 물고기를 유인할 때 상기 바늘(41)이 바늘삽입공(43)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바늘(4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바늘삽입공(43)의 외측으로 바늘(41)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늘삽입공(43)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451)와, 상기 바늘(41)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451)에 걸림 고정되는 상대걸림돌기(411)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원활한 걸림 해제 작동을 위하여 걸림돌기(451)는 통상의 탄지스프링(452)에 의해 바늘삽입공(43)의 내측으로 돌출 및 삽입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낚시장치를 통상의 낚싯대 및 낚싯줄에 연결하여 수중에 투척한 상태에서 부력재(10)가 상시 수면 위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질이 있거나 물고기가 바늘(41)에 걸리면 부력재(10)가 수면 아래로 잠기는 작동 및 다시 수면 위로 솟구쳐오르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어 물고기의 걸림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포획부(40)는 바늘(41)의 끝단에 떡밥이나 지렁이, 새우 등의 통상의 낚시용 미끼를 연결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면, 물고기가 미끼를 뜯어먹는 과정에서 바늘(41)을 하우징(42)의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상태에서 걸림수단(45)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탄성지지체(44)에 의해 바늘(41)이 하우징(42)의 외측방으로 신속하게 돌출되어 물고기의 몸체에 바늘(41)이 박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중량추(30) 및 포획부(40)에는 각각 대응되는 나선(31)(421)을 형성하여 중량추(30)에 포획부(40)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물고기를 잡은 후 전체적인 낚시장치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새로운 포획부(40)만을 신속히 중량추(30)에 교환 체결함으로써, 반복적인 낚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하우징(42)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여러개의 조각으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42)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지지체(44) 및 걸림수단(45) 등의 부품의 교체와 재정렬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술한 바늘(41)의 외측으로는 의도하지 않은 바늘(41)의 급작스러운 돌출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상의 캡을 씌우는 것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걸림돌기(451)의 돌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나사(47)를 구비하여 걸림돌기(451)와 상대걸림돌기(411)가 걸림 고정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나사(47)는 하우징(42)에 체결되도록 하되, 외측 끝단이 하우징(4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하우징(42)의 외부에서 조절나사(47)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내측 끝단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이 상술한 걸림돌기(451)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류나 파도가 강하거나 큰 몸집의 대상어를 잡을 경우에는 조절나사(47)를 하우징(42)의 외측방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451)가 바늘(41)을 강하게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충격이나 힘에 의해 바늘(41)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류가 약하거나 작은 크기의 대상어를 잡을 경우에는 조절나사(47)를 하우징(42)의 내측방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451)가 바늘(41)을 약한 힘으로 고정하도록 하여 작은 입질에도 민감하게 바늘(41)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낚시장치의 작동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물고기의 포획 전 상태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물고기의 포획 중 상태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바늘(41)과 탄성지지체(44)는 각각 서로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제작되도록 하고, 상기 바늘(41)의 일측으로 바늘(41)이 하우징(42)과 연결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라인(46)을 구비하여 물고기의 입질이 있을 때 바늘(41)이 하우징(42)의 외측으로 탄성지지체(44)의 탄성에 의해 발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바늘(41)의 돌출 거리가 극대화되어 물고기의 포획 능력이 극대 화될 뿐만 아니라, 물고기가 바늘(41)에 걸린 상태에서도 바늘(41)이 하우징(42)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물고기의 포획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부력재(10)의 하부측으로는 중심선(2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링 형상의 보조부력재(50)를 더 구비하여 부력재(10)의 부력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낚시장치가 수중에서 중심을 더욱 원활히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보조부력재(50)와 중심선(20)은 일단이 상기 보조부력재(5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선(20)에 고정되면서 보조부력재(50)의 내측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가 연결되는 부력재연결선(5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부력재(10)와 보조부력재(50)가 안정적으로 중심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도가 심하게 치거나 강한 조류가 흐를 때에도 낚시장치가 원활히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중심선(20)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낚시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물고기의 포획 전 상태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
도 3b는 물고기의 포획 중 상태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물고기의 포획 전 상태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
도 5b는 물고기의 포획 중 상태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력재
20 : 중심선
30 : 중량추
31 : 나선
40 : 포획부
41 : 바늘 411 : 상대걸림돌기
42 : 하우징 421 : 나선
43 : 바늘삽입공 44 : 탄성지지체
45 : 걸림수단 451 : 걸림돌기
452 : 탄지스프링 46 : 이탈방지라인
47 : 조절나사
50 : 보조부력재
51 : 부력재연결선

Claims (7)

  1. 삭제
  2. 수면에 떠 있는 상태에서 수면 위로 돌출되고 물고기의 잡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하는 부력재(10)와, 상기 부력재(10)의 하부측으로 중심선(2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부력재(10)와 균형을 이루며 수중에 배치되는 중량추(30)와, 상기 중량추(30)와 결합되고 미끼가 결합되는 바늘(41)이 구비되어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물고기를 향해 상기 바늘(41)이 탄성 돌출되면서 물고기가 걸려지도록 하는 포획부(40)를 포함하는 낚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40);는
    상기 중량추(30)와 일체로 결합되는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외측으로 개방되고 바늘(41)이 삽입되는 바늘삽입공(43)과, 상기 바늘삽입공(43)의 내측에서 상기 바늘(41)이 하우징(42)의 외측으로 탄성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지지체(44)와,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될 때 상기 바늘(41)이 하우징(4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수단(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45)은,
    상기 바늘삽입공(43)의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51)와, 상기 바늘(41)의 후방측으로 상기 걸림돌기(451)에 걸림 고정되는 상대걸림돌기(4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외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체결되며, 내측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전,후진하면서 상기 걸림돌기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41)과 하우징(42)을 연결하는 이탈방지라인(4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40)는 상기 중량추(30)의 일측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장치.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10)의 하부측으로 상기 중심선(20)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보조부력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장치.
KR2020070011440U 2007-07-11 2007-07-11 낚시장치 KR200437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440U KR200437567Y1 (ko) 2007-07-11 2007-07-11 낚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440U KR200437567Y1 (ko) 2007-07-11 2007-07-11 낚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567Y1 true KR200437567Y1 (ko) 2007-12-11

Family

ID=4162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440U KR200437567Y1 (ko) 2007-07-11 2007-07-11 낚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29B1 (ko) * 2023-03-22 2023-08-29 주식회사 피디어 두족류 낚시용 미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29B1 (ko) * 2023-03-22 2023-08-29 주식회사 피디어 두족류 낚시용 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241B1 (en) Weedless fish lure
US9253966B2 (en) Fishing lure
US20190008128A1 (en) Fishing lure with interchangeable body and head segments
US20060143972A1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US8919033B2 (en) Snagless bladed fishing lure
US20160330946A1 (en) Crawfish lure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KR20190066822A (ko) 주꾸미 낚시용 어구
US20100229453A1 (en) Jig head with a rattle
AU2008286248A1 (en) Fishing Lure
US20070119090A1 (en) Fishing lure
US9101122B2 (en) Concealed hook fish lure
US9770015B2 (en) Fishing lure with blow-hole vented bait chamber and O-ring hatch locking mechanism
KR200437567Y1 (ko) 낚시장치
KR10242556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2275532B1 (ko) 자동 포획 낚시장치
US9456591B2 (en) Fishing lure resembling a shrimp
KR102286826B1 (ko) 루어낚시용 베이트
US20160345564A1 (en) Fishing Bobbers
JP2010022298A (ja) ルアー
US20170196209A1 (en) Blow Fish
KR102064846B1 (ko) 루어낚시용 낚시 채비
KR101776406B1 (ko) 다기능 낚시찌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