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271B1 - 두족류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두족류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271B1
KR102657271B1 KR1020230028022A KR20230028022A KR102657271B1 KR 102657271 B1 KR102657271 B1 KR 102657271B1 KR 1020230028022 A KR1020230028022 A KR 1020230028022A KR 20230028022 A KR20230028022 A KR 20230028022A KR 102657271 B1 KR102657271 B1 KR 10265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phalopod
hook
loading
locking means
capt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아영
박종영
박일규
Original Assignee
신아영
박종영
박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아영, 박종영, 박일규 filed Critical 신아영
Priority to KR102023002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11Artificial bait for fishing flexible or with flexible appendages, e.g., w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6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trap 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족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에서 두족류가 접촉할 경우, 후크를 발사하여 두족류가 도망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낚시 경험이 많은 사용자 뿐만 아니라 감이 없는 초보 사용자도 두족류를 쉽게 잡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는, 낚시줄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움직이면서 두족류를 유인하고,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영역이 노출되게 형성된 유인 몸체부; 상기 포획영역 상에서 두족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되는 후크부;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후크부를 상기 포획영역 또는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축 결합되며, 상기 축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포획영역 상에 노출되어 두족류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로딩부가 상기 후크부를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로딩부를 고정하여 후크부의 은닉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가 각각 형성된 트리거; 및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로딩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두족류가 상기 접촉부재를 가압할 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로딩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해 상기 포획영역에 위치한 두족류에게 발사된다.

Description

두족류 포획 장치{DIVECE FOR TRAPPING CEPHALOPODA}
본 발명은 두족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두족류가 접촉할 경우, 후크를 발사하여 두족류의 신체 일부를 구속하여 도망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낚시 경험이 많은 사용자 뿐만 아니라 감이 부족한 초보 사용자도 두족류를 쉽게 잡게 할 수 있는 두족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갑오징어 낚시는 보통 배를 타고 수심이 깊은 먼 바다로 나가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두족류 포획 장치를 수중의 바닥면까지 내려서 낚시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낚시를 하는 사람은 깊은 수심, 조수의 흐름, 파도에 의한 배가 흔들리는 등 낚시 감각을 방해하는 많은 요소를 접하게 된다.
또한, 갑오징어는 수중에서 무게감이 가볍기 때문에 감이 부족한 초보 사용자는 두족류 포획 장치에 갑오징어가 접촉해도 바로 알아채지 못해 적절한 타이밍에 후킹을 하지 못하여 갑오징어가 도망가 포획을 실패하게 된다.
그리고, 예민한 습성인 갑오징어의 경우, 에기를 감싸더라도 1~2초 내에 빠르게 도망가기 때문에 낚시 경험이 많은 사용자 역시 낚시에 실패하기도 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감이 부족한 초보 사용자의 경우 적절한 타이밍에 후킹하지 못하는 문제, 에기를 감싼 갑오징어가 빠르게 도망가는 문제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 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포획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222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중에서 두족류가 접촉할 경우, 후크를 발사하여 두족류가 도망가지 못하게 신체 일부를 구속 함으로써, 낚시 경험이 많은 사용자 뿐만 아니라 감이 부족한 초보 사용자도 두족류를 쉽게 잡게 할 수 있는 두족류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는, 낚시줄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움직이면서 두족류를 유인하고,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영역이 노출되게 형성된 유인 몸체부; 상기 포획영역 상에서 두족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되는 후크부;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후크부를 상기 포획영역 또는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축 결합되며, 상기 축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포획영역 상에 노출되어 두족류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로딩부가 상기 후크부를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로딩부를 고정하여 후크부의 은닉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가 각각 형성된 트리거; 및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로딩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두족류가 상기 접촉부재를 가압할 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로딩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해 상기 포획영역에 위치한 두족류의 몸체 일정 부위에 발사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에는 홈 또는 홀로 형성되는 락킹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로딩부가 상기 후크부를 은닉시키면 상기 락킹수단에 수용되어 상기 로딩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수단 및 고정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락킹수단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로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락킹수단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로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딩부에는 수직면 및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락킹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며, 상기 로딩부가 상기 후크부를 은닉시키면 상기 수직면에 맞물려 상기 로딩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수단 및 고정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획영역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인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고정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는, 수중에서 두족류가 접촉할 경우, 후크를 발사하여 두족류가 도망가지 못하게 신체 일부를 구속 함으로써, 낚시 경험이 많은 사용자 뿐만 아니라 감이 부족한 초보 사용자도 두족류를 쉽게 잡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후크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후크부가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후크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후크부가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포획영역 및 후크부가 유인 몸체부의 배 부분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포획영역 및 후크부가 유인 몸체부의 등 부분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락킹수단 및 고정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후크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후크부가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후크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후크부가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포획영역 및 후크부가 유인 몸체부의 배 부분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포획영역 및 후크부가 유인 몸체부의 등 부분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에 적용된 락킹수단 및 고정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1)는, 유인 몸체부(10)와, 후크부(20)와, 로딩부(30)와, 트리거(40)와, 탄성가압부(60)와, 탄성지지부(50) 및 보호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1)는, 갑오징어, 문어, 쭈꾸미 등 두족류를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포획 대상이 갑오징어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유인 몸체부(10)는 두족류 포획 장치(1)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유인 몸체부(10)는 결속링(16)에 낚시줄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투입되며, 낚시를 수행하는 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제어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두족류를 유인한다.
이때, 유인 몸체부(10)는 두족류가 먹이로써 좋아하는 형상과 색상으로 제작된다.
일 예로, 유인 몸체부(10)는 도 3에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어나 애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유인 몸체부(10)의 끝단 꼬리쪽에는 쭈꾸미나 기타 어종이 올라타면 걸리게 되는 복수개의 걸림바늘(15)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바늘(15)들은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걸림바늘(15)들은 1단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1)는 걸림바늘(15)들을 통해 갑오징어, 쭈꾸미 등 각종 포획 대상물을 포획할 수 있고, 또한, 후술되는 후크부(20)를 통해서도 갑오징어, 쭈꾸미 등 각종 포획 대상물을 포획할 수 있다.
유인 몸체부(10)는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을 포함하여 2등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은 대략 반원형 단면형상 또는 곡선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의 내부공간도 반원형 단면형상 또는 곡선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몸체유닛(10a)과 제2 몸체유닛(10b)의 형상,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의 내부공간 형상은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작자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돌기와 홈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제1 몸체유닛(10a)과 제2 몸체유닛(10b)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1 몸체유닛(10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및 홈이 형성되고, 제2 몸체유닛(10b)에는 제1 몸체유닛(10a)의 돌기가 각각 수용되는 홈 및 제1 몸체유닛(10a)의 홈에 각각 수용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홈에 수용되는 립이나 틀 단면 형상의 수용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유인 몸체부(10)를 2등분 구조로 형성하고, 돌기와 홈을 통해 쉽게 결합하는 특징을 통해 유인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 후술되는 후크부(20)와, 로딩부(30)와, 트리거(40) 및 탄성지지부(50) 등 본원발명의 구성들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몸체유닛(10a)과 제2 몸체유닛(10b)을 돌기와 홈을 통해 결합함으로 인해, 루어나 애기 형상을 갖는 통 구조의 인조미끼를 완성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유인 몸체부(10)의 일측면에는 홀이 형성된다.
홀을 통해 후술되는 로딩부(30)가 유인 몸체부(1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유인 몸체부(10)에는 갑오징어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영역(14)이 노출되게 형성된다.
포획영역(14)은 빈 공간 형태이며,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유인 몸체부(10)에 대한 포획영역(14)의 형성위치는 제작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부가적으로,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레일(11)이 형성된다.
레일(11)은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에 각각 2개 한 쌍으로 적용된다.
아울러, 레일(11)은 포획영역(14)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의 내부공간에는 서로 대응되는 지지턱(12)이 형성된다.
지지턱(12)은 후술되는 탄성지지부(50)를 지지한다. 지지턱(12)으로 인해 탄성지지부(50)가 제자리에서 압축 및 팽창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에는 후술되는 트리거(40)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회동가이드홀(13)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후크부(20)는 포획영역(14) 상에 두족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구성이다.
일 예로, 후크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가지며 끝부분이 갑오징어를 일정 깊이로 뚫고 들어가도록 뾰족한 송곳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후크부(20)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되되, 끝부분이 갑오징어를 일정 깊이로 뚫고 들어가도록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20)는 포획영역(14) 상에 갑오징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한 개 또는 복수개로 적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후크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 몸체부(10)의 배쪽으로 발사되도록 자리 배치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 몸체부(10)의 등쪽으로 발사되도록 자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20)가 배쪽으로 발사되도록 설계되면 포획영역(14)이 배쪽에 형성되고, 후크부(20)가 등쪽으로 발사되도록 설계되면 포획영역(14)이 등쪽에 형성된다.
한편, 로딩부(30)는 두족류 포획 장치(1)를 수중에 투척하기 전에 후크부(20)가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은닉되도록 로딩시키는 구성이다.
일 예로, 로딩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31) 및 수직부재(31)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며, 양측이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의 레일(11)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부(30)는 수직부재(31) 및 수평부재(32)의 조합으로 인해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재(31)에는 전술한 후크부(20)가 결합된다. 따라서, 로딩부(30)의 이동방향에 따라 후크부(20)가 포획영역(14) 상에 노출되거나 또는,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은닉된다.
수평부재(32)는 수직부재(31)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수평부재(32)의 일정영역은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나머지 영역은 전술한 유인 몸체부(10)의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수평부재(32)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인 몸체부(1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인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된 수평부재(32)를 통해 후크부(20)를 로딩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부재(32)는 양방향으로 이동됨으로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영역과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의 길이가 가변 된다.
부가적으로, 수평부재(32)의 대략 중앙부분 저면에는 후술되는 탄성지지부(50)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압축편(32b)이 형성된다.
압축편(32b)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다른 일 예로, 로딩부(30)는 수평부재 및 수평부재의 상면 오른쪽 영역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크부(20)는 수직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수직부재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접촉부재(41)에는 수직부재의 양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이드홀(미도시)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로딩부(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로딩부(30)는 전술한 수직부재는 생략되고 수평부재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후크부(20)에는 로딩부(3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접촉부재(41)에는 고정부(21)의 양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이드홀(미도시)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후크부(20)가 로딩 또는 발사될 때, 고정부(21)는 이동가이드홀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장치(1)는 낚시줄이 결속되는 결속링(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속링(1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32)의 끝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결속링(1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부(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유인 몸체부(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장치(1)에서 결속링(16)의 적용 위치는 제작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트리거(40)는 수중에서 갑오징어에 의해 가압될 시 유인 몸체부(10)에 은닉되도록 로딩된 후크부(20)가 포획영역에 위치한 갑오징어에 발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트리거(40)는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트리거(40)는 후크부(20)를 위치고정 시키거나 또는 발사시키기 위해 회동작동하는 것으로, 일측과 타측이 제1 몸체유닛(10a) 및 제2 몸체유닛(10b)의 회동가드홀(13)에 각각 설치되는 축(40a)을 포함한다.
아울러, 축(40a)의 일측에는 포획영역(14) 상에 노출되어 갑오징어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재(41)가 형성된다.
접촉부재(41)는 레일(11)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축(40a)의 타측에는 로딩부(30)가 후크부(20)를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은닉시키면 로딩부(3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2)가 형성된다.
이때, 트리거(40)는 고정부재(42)가 접촉부재(41)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계단과 같이 단차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축(40a)은 고정부재(42)의 끝부분에 형성되며, 트리거(40) 전체를 기준으로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고정부재(42)의 끝부분 저면에는 고정돌기(421)가 형성되고, 로딩부(30)의 끝부분에는 고정돌기(421)가 수용되는 락킹수단(32a)이 형성된다.
락킹수단(32a)은 고정돌기(421)를 수용하도록 홈 또는 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돌기(421)가 락킹수단(32a)에 수용되면 로딩부(30)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1)는, 로딩부(30)가 후크부(20)를 도 2와 같은 형태로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은닉시키면 고정돌기(421)가 락킹수단(32a)에 수용되도록 설계된다.
이때, 일 예로, 락킹수단(32a) 및 고정돌기(4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락킹수단(32a) 및 고정돌기(421)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락킹수단(32a)은 로딩부(3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고정돌기(421)는 고정부재(42)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물론, 락킹수단(32a) 및 고정돌기(421)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한편, 탄성가압부(60)는 로딩부(30)를 로딩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421)가 락킹수단(32a)에 자동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탄성가압부(60)는 도 2를 기준으로 유인 몸체부(10)의 천장면에 배치된다.
탄성가압부(60)는 고정부재(42)를 탄성적으로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돌기(421)를 락킹수단(32a)에 수용시킨다.
이러한 탄성가압부(60)는 일 예로,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또는 탄성이 있는 스폰지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탄성가압부(60)가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탄성가압부(60)는 수평부재(32)가 이동하는 홀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락킹수단(32a)이 수평부재(32)의 끝부분에 위치되고, 고정돌기(421)도 유인 몸체부(10)의 끝부분에 위치됨으로, 수평부재(32)가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된 이후에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20)가 포획영역을 완전히 통과한 후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은닉된다.
한편, 탄성지지부(50)는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서 로딩부(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탄성지지부(50)는 일 예로,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탄성지지부(50)가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50)는 일단이 지지턱(12)에 지지되고, 타단은 압축편(32b)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로딩부(30)를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탄성지지부(50)가 압축편(32b) 및 지지턱(12)의 사이에서 일정수준으로 압축된다.
다른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는 탄성지지부(50)가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 압축 또는 팽창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5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탄성지지부(50)는 가이드부(51)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일단이 지지턱(12)에 지지되고, 타단은 압축편(32b)에 접촉될 수 있다. 아울러, 압축편(32b)에는 가이드부(51)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편(32b)은 가이드부(51)를 감싼 상태로 양방향 이동된다.
탄성지지부(50)는 갑오징어가 포획영역 상에 위치한 접촉부재(41)에 접촉될 시, 후크부(20)를 포획영역으로 발사시키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보호부(70)는 후술되는 후크부(20)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적용되는 구성이다.
일 예로, 보호부(70)는 "C"자 단면 형상이나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70)는 일측이 제1 몸체유닛(10a)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몸체유닛(10b)에 고정되어 포획영역의 일정영역을 가린다.
다른 일 예로, 보호부(70)는 유인 몸체부(10)를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싸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부(70)를 통해 접촉면부를 가드함에 따라 사용자가 실수로 후술되는 접촉부재(41)를 눌러 후크부(20)를 발사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호부(70)는 1개 또는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보호부(70)는 복수개로 적용되는 경우에 갑오징어가 접촉부재(4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보호부(70)는 갑오징어의 다리는 통과시키고, 사용자의 손가락은 통과시키지 않는 간격으로 배치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1)의 다른 실시예로써, 락킹수단(32a)은 홀 또는 홈 대신 수직면 및 수직면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돌기(421)는 락킹수단(32a)의 경사면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가도록 락킹수단(32a)에 대해 상,하 반전된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락킹수단(32a)은 수평부재(32)의 끝부분에 1개만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적용되어 수평부재(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락킹수단(32a)의 경사면은 수평부재(32)를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인입시킬 때 고정돌기(421)의 경사면이 타고 넘어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락킹수단(32a)의 수직면은 락킹수단(32a)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간 고정돌기(421)의 수직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고정돌기(421)의 수직면과 락킹수단(32a)의 수직면이 맞물리는 작용에 의해 갑오징어가 접촉부재(41)를 누르기 전까지 후크부(20)가 발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갑오징어가 접촉부재(41)를 누르면 고정부재(42)가 상 방향으로 회동됨으로 인해 고정돌기(421)가 상승되어 락킹수단의 수직면에서 이탈되며, 이로 인해 후크부(20)가 탄성지지부(50)의 팽창작용에 의해 포획영역으로 발사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1)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락킹수단(32a)은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되고, 탄성가압부(60) 대신 가압부(321)가 적용된다.
가압부(321)는 고정부재(42)를 수평부재(32)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로딩부(30)를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21)가 고정부재(42)를 수평부재(32)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돌기(421)를 락킹수단(32a)에 수용시킨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1)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갑오징어 낚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후크부(20)를 로딩시켜야 한다.
따라서, 유인 몸체부(10)의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수평부재(32)를 밀어서 로딩부(30)의 수평부재(32)를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획영역에 위치해 있던 후크부(20)도 수직부재(31)와 함께 이동되어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은닉된다.(도 2 참고)
이때, 로딩부(3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압축편(32b)이 탄성지지부(50)를 가압하여 압축시키게 된다. 아울러, 수평부재(32)를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고정부재(42)에는 탄성가압부(60)의 가압력이 상시 적용된다. 따라서, 수평부재(32)는 고정돌기(421)와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부재(32)가 이동하다가 락킹수단(32a)과 고정돌기(421)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가압부(60)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돌기(421)가 락킹수단(32a)에 수용된다. 따라서, 로딩부(30)의 이동이 정지되고, 후크부(20)가 유인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완벽히 은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후크부(20)를 로딩시킨 다음에는 결속링(16)에 낚시줄을 결속한 후, 두족류 포획 장치(1)를 수중에 투척한다.
물론, 결속링(16)에 낚시줄을 결속한 다음, 후크부(20)를 전술한 방식으로 로딩시킨 후, 두족류 포획 장치(1)를 수중에 투척해도 된다.
수중에 투척된 두족류 포획 장치(1)는 낚시 채비의 무게추(봉돌)나 에자에 의해 수중에서 가라 앉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시간 간격과 패턴으로 낚시대를 소정높이 올렸다 내리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두족류 포획 장치(1)가 수중에서 살아있는 미끼처럼 생동감 있게 움직이게 하여 두족류를 유인하면 된다.
갑오징어는 먹이 활동을 할 때, 여러 개의 다리로 먹이를 감싸서 잡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갑오징어가 다리로 두족류 포획 장치(1)를 감싸면, 다리들 중 일부가 포획영역 상에서 접촉부재(41)를 누르게 된다. 이로 인해 접촉부재(41)와 고정부재(42)가 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게 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접촉부재(41)는 갑오징어의 가압방향인 하측으로 회동되고, 고정부재(42)는 접촉부재(41)와 반대방향인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며, 이로 인해 고정돌기(421)가 락킹수단(32a)에서 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돌기(421)가 락킹수단(32a)에서 인출됨으로 인해 수평부재(32)에 작용하고 있던 고정력이 해제되어 탄성지지부(50)가 팽창된다.
탄성지지부(50)가 팽창됨으로 인해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0)가 포획영역으로 발사되어 갑오징어의 다리를 뚫고 들어가게 되며, 결국, 갑오징어가 두족류 포획 장치(1) 상에 구속된다.
따라서, 한 번 잡은 갑오징어가 두족류 포획 장치(1)로부터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갑오징어 낚시는 보통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두족류 포획 장치(1)를 수중의 바닥면까지 내려서 낚시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깊은 수심, 조수의 흐름, 파도에 의한 배의 흔들림 등 낚시 감각을 방해하는 많은 요소를 접하게 된다.
또한 갑오징어는 수중에서 무게감이 가볍기 때문에 감이 없는 초보 사용자는 두족류 포획 장치(1)에 갑오징어가 접촉해도 바로 알아채지 못해 적절한 타이밍에 후킹을 하지 못하여 갑오징어가 도망가 포획에 실패하게 된다. 예민한 갑오징어의 경우, 에기를 감싸쥐더라도 1~2초 내에 도망가기 때문에 낚시 경험이 많은 사용자 역시 낚시에 실패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 장치(1)는, 갑오징어가 유인 몸체부(10)를 먹이로 인식하여 다리로 감쌀 경우, 갑오징어의 다리들 중 일부가 높은 확률로 접촉부재(41)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후크부(20)가 즉시 발사되어 갑오징어의 다리나 다른 신체부위 일부를 뚫고 들어가 도망가지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감이 없는 초보 사용자나, 갑오징어가 예민한 시기에 낚시를 하는 숙련된 사용자도 갑오징어를 쉽게 잡도록 할 수 있어,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두족류 포획 장치 10 : 유인 몸체부
10a : 제1 몸체유닛 10b : 제2 몸체유닛
11 : 레일 12 : 지지턱
13 : 회동가이드홀 14 : 포획영역
15 : 걸림바늘 16 : 결속링
20 : 후크부 30 : 로딩부
31 : 수직부재 32 : 수평부재
32a : 락킹수단 32b : 압축편
40 : 트리거 41 : 접촉부재
42 : 고정부재 421 : 고정돌기
50 : 탄성지지부 60 : 탄성가압부
70 : 보호부

Claims (6)

  1. 낚시줄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움직이면서 두족류를 유인하고,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영역이 노출되게 형성된 유인 몸체부;
    상기 포획영역 상에서 두족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되는 후크부;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후크부를 상기 포획영역 또는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축 결합되며, 상기 축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포획영역 상에 노출되어 두족류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로딩부가 상기 후크부를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로딩부를 고정하여 후크부의 은닉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가 각각 형성된 트리거; 및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로딩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두족류가 상기 접촉부재를 가압할 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로딩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해 상기 포획영역에 위치한 두족류에게 발사되는 두족류 포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에는 홈 또는 홀로 형성되는 락킹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로딩부가 상기 후크부를 은닉시키면 상기 락킹수단에 수용되어 상기 로딩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수단 및 고정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두족류 포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몸체부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락킹수단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로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락킹수단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로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두족류 포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에는 수직면 및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락킹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며, 상기 로딩부가 상기 후크부를 은닉시키면 상기 수직면에 맞물려 상기 로딩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수단 및 고정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두족류 포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영역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인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고정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 장치.
KR1020230028022A 2023-03-02 2023-03-02 두족류 포획 장치 KR10265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022A KR102657271B1 (ko) 2023-03-02 2023-03-02 두족류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022A KR102657271B1 (ko) 2023-03-02 2023-03-02 두족류 포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271B1 true KR102657271B1 (ko) 2024-04-16

Family

ID=9088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022A KR102657271B1 (ko) 2023-03-02 2023-03-02 두족류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2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1589893B1 (ko) * 2014-06-05 2016-01-28 한신철 어식성 물고기 포획용 작살의 유인용 음향발생장치
KR101926313B1 (ko) * 2018-07-30 2018-12-06 권다훈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KR20200108605A (ko) * 2019-03-11 2020-09-21 배원직 자동 포획 낚시장치
KR102222213B1 (ko) 2020-08-12 2021-03-02 김기필 밑걸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두족류 낚시용 에기
KR20210122604A (ko) * 2020-04-01 2021-10-12 조옥태 낚시용 인조미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893B1 (ko) * 2014-06-05 2016-01-28 한신철 어식성 물고기 포획용 작살의 유인용 음향발생장치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1926313B1 (ko) * 2018-07-30 2018-12-06 권다훈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KR20200108605A (ko) * 2019-03-11 2020-09-21 배원직 자동 포획 낚시장치
KR20210122604A (ko) * 2020-04-01 2021-10-12 조옥태 낚시용 인조미끼
KR102222213B1 (ko) 2020-08-12 2021-03-02 김기필 밑걸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두족류 낚시용 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dell Island of the blue dolphins
JP2023516619A (ja) 可動釣り針を有する人造えさ
KR20030091295A (ko) 낚시바늘 집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CA3017535A1 (en) Bait sleeve
KR102657271B1 (ko) 두족류 포획 장치
KR102484460B1 (ko) 두족류 포획용 애자
US10285389B2 (en) Shielded point motion tackle
KR102222213B1 (ko) 밑걸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두족류 낚시용 에기
US20180125046A1 (en)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US2799115A (en) Casting-off device for fishing line
US20170164604A1 (en) Hunting Decoy Apparatus for Luring Wild Game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KR102584278B1 (ko) 두족류 낚시용 에기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US2814151A (en) Fishing apparatus
KR200496858Y1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US3396485A (en) Fishing fly
US5640800A (en) Crab trap
KR20240032375A (ko) 자석을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용 애자
US2536585A (en) Animal trap
US2513130A (en) Trap anchoring and animal drowning stake
KR200484568Y1 (ko) 갓형 접이식 두족류 낚시 채비
JP3756306B2 (ja) 擬餌針
US3045385A (en) Gopher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