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460B1 - 두족류 포획용 애자 - Google Patents

두족류 포획용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460B1
KR102484460B1 KR1020210146609A KR20210146609A KR102484460B1 KR 102484460 B1 KR102484460 B1 KR 102484460B1 KR 1020210146609 A KR1020210146609 A KR 1020210146609A KR 20210146609 A KR20210146609 A KR 20210146609A KR 102484460 B1 KR102484460 B1 KR 102484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sulator
cephalopods
needles
h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채
Original Assignee
강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채 filed Critical 강병채
Priority to KR102021014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족류 포획용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방에는 낚시줄과 연결할 수 있는 장착고리와 상기 장착고리 아래로 길게 철심이 연장되어 있고, 철심 둘레를 따라 다수의 바늘이 배열되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늘 각각이 가장 자리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진 형태를 가지되, 상기 다수의 바늘이 배열되어 부착된 중앙부에 마그넷이 장착된 바늘뭉치; 상기 마그넷으로 하여금 인력이 발생케 하는 원통형의 금속 재질의 메인중량체; 중앙부 몸통은 상기 마그넷이 상기 메인중량체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상기 바늘뭉치가 숨겨질 수 있을 정도로 직경이 크고, 개별 바늘마다 상하로 동작할 수 있는 컷팅된 기다란 홀을 중앙 몸통 주변에 배열되되, 바늘뭉치가 상부로 이동시 위로 휘어진 바바늘부위가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중앙부 몸통에 연결된 하부에는 상기 메인중량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공간을 가지되, 중앙부 몸통과 연결된 상부에는 홀쭉하게 쭈꾸미 머리 모양을 갖춰 중앙의 공동홀을 따라 상기 바늘뭉치가 일정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하이더 바디; 및 상기 메인중량부를 떠받들되, 상기 하이더 바디의 하부를 닫아 고정하는 캡;으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고패질을 하는 동안에는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는 인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둘레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두족류가 올라탄 것을 인지한 사용자가 챔질을 할 경우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의 인력을 이겨내어 상기 바늘뭉치가 상기 하이더 바디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상부와 중앙부 몸통의 연결부위 위쪽으로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애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족류 포획용 애자{Fishing Apparatus For Capturing Cephalopod}
본 발명은 두족류 포획용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방에는 낚시줄과 연결할 수 있는 장착고리와 상기 장착고리 아래로 길게 철심이 연장되어 있고, 철심 둘레를 따라 다수의 바늘이 배열되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늘 각각이 가장 자리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진 형태를 가지되, 상기 다수의 바늘이 배열되어 부착된 중앙부에 마그넷이 장착된 바늘뭉치; 상기 마그넷으로 하여금 인력이 발생케 하는 원통형의 금속 재질의 메인중량체; 중앙부 몸통은 상기 마그넷이 상기 메인중량체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상기 바늘뭉치가 숨겨질 수 있을 정도로 직경이 크고, 개별 바늘마다 상하로 동작할 수 있는 컷팅된 기다란 홀을 중앙 몸통 주변에 배열되되, 바늘뭉치가 상부로 이동시 위로 휘어진 바바늘부위가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중앙부 몸통에 연결된 하부에는 상기 메인중량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공간을 가지되, 중앙부 몸통과 연결된 상부에는 홀쭉하게 쭈꾸미 머리 모양을 갖춰 중앙의 공동홀을 따라 상기 바늘뭉치가 일정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하이더 바디; 및 상기 메인중량부를 떠받들되, 상기 하이더 바디의 하부를 닫아 고정하는 캡;으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고패질을 하는 동안에는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는 인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둘레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두족류가 올라탄 것을 인지한 사용자가 챔질을 할 경우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의 인력을 이겨내어 상기 바늘뭉치가 상기 하이더 바디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상부와 중앙부 몸통의 연결부위 위쪽으로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족류는 생존 특성상 바위틈 또는 어패류의 껍질 내에서 서식하거나 올라타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채집시에 조개류의 패각을 이용하거나, 주낙, 통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포획하고 있다.
그러나, 조개류의 경우는 바다에 투입시 이물질에 의해 입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주낙의 경우는 여러 개의 낚시바늘을 연결하여 포획하지만 포획량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 두족류 포획을 위해 복수의 바늘이 둘레방향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애자를 사용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는 상시 바늘이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에 있어서, 해저 바닥을 접하면서 낚시줄을 감아(낚시용어로 '고패질' 이라 함), 두족류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올라타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바,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애자가 해저바닥을 스치면서 주변의 편재되어 있는 여러 물질에 의해 바늘이 걸려 애자가 소실되기 쉽다는 것인데, 심하게는 사용자 1인 기준으로 하루에 수십개가 넘는 애자가 소실되기도 한다.
이러한 애자의 소실은 사용자의 경제적 손실은 기존 봉돌 개념으로 납을 무게추로 사용하는 것은 바다의 환경을 위협하는 주요요소이기도 하며, 나아가 해안가로 떠밀려오는 애자의 바늘에 의해 사람이 다치기도 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형편이다.
이에 대해 기존의 선행기술인 한국 특허 등록 제10-2293949호(발명의 명칭: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 2021년 08월 25일 공고)에 따르면, 상방으로 장착포스트가 마련되고, 싱커로서의 메인 중량을 담당하는 메인중량부; 상기 장착포스트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바늘 일단이 배열되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늘 각각이 가장자리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진 형태를 가지는 바늘어셈블리; 및 상기 장착포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늘어셈블리를 상기 장착포스트에 고정시키고, 상기 메인중량부로부터 상이한 중량을 가진 것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중량을 가변시킬수 있도록 하며, 낚시줄의 연결을 위한 연결링이 마련되는 가변중량헤드;를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에 의해 낚시바늘의 견고한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여,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싱커로서의 역할시 최소 부분의 교체를 통한 중량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 및 기능성도 뛰어나다고 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발명을 포함하여 어떠한 선행기술도 두족류 낚시에 있어서의 특징, 즉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 애자가 해저바닥을 훑으면서 고패질을 하는 동안 바늘이 걸려 애자가 소실되는 문제와 이로부터 야기되는 바다의 환경문제에 대해서 어떠한 해결책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1) 본 발명의 목적은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 고패질을 하기 위해 해저바닥을 훑는 동안에도 바늘이 애자 둘레로 노출되지 않아 애자의 소실 위험이 없어 사용자로 하여금 반영구적인 애자의 사용을 도모하도록 함에 있다.
(2)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애자의 소실을 방지하여 해저에 날카로운 바늘을 가진 애자가 편재하지 못하도록 하여 환경 보호에 일조함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성을 도모케 하면서 애자로 인한 여러 인축사고를 방지함에 있다.
(3)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두족류가 애자에 올라타 있는 동안에 사용자로 하여금 일순간에 잡아당기는 힘(사용자에 의한 챔질)에 의해 바늘이 노출되어 두족류의 포획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는 상방에는 낚시줄과 연결할 수 있는 장착고리(부호 미부여)와 상기 장착고리 아래로 길게 철심(부호 미부여)이 연장되어 있고, 철심 둘레를 따라 다수의 바늘(부호 미부여)이 배열되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늘 각각이 가장 자리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진 형태를 가지되, 상기 다수의 바늘이 배열되어 부착된 중앙부에 마그넷(210)이 장착된 바늘뭉치(200); 상기 마그넷(210)으로 하여금 인력이 발생케 하는 원통형의 금속 재질의 메인중량체(300); 중앙부 몸통은 상기 마그넷이 상기 메인중량체(300)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상기 바늘뭉치가 숨겨질 수 있을 정도로 직경이 크고, 개별 바늘마다 상하로 동작할 수 있는 컷팅된 기다란 홀을 중앙 몸통 주변에 배열되되, 바늘뭉치(200)가 상부로 이동시 위로 휘어진 바늘부위가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중앙부 몸통에 연결된 하부에는 상기 메인중량체(3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공간을 가지되, 중앙부 몸통과 연결된 상부에는 홀쭉하게 쭈꾸미 머리 모양을 갖춰 중앙의 공동홀을 따라 상기 바늘뭉치가 일정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하이더 바디(100); 및 상기 메인중량부(300)를 떠받들되, 상기 하이더 바디(100)의 하부를 닫아 고정하는 캡(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두족류 포획용 애자는 사용자가 고패질을 하는 동안에는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는 인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둘레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두족류가 올라탄 것을 인지한 사용자가 챔질을 할 경우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의 인력을 이겨내어 상기 바늘뭉치가 상기 하이더 바디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상부와 중앙부 몸통의 연결부위 위쪽으로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뭉치(200)에 포함되어 배열되는 바늘은 6 ~ 1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뭉치(200)는 마그넷(210)과 메인중량부(300) 사이의 인력에 의해 바늘은 하이더 바디(100) 외부로 노출이 안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장착고리에 연결된 낚시줄이 일정 힘으로 일순간 당겨질때 개별의 바늘은 일체로 하이더 바디 (100)상부로 노출이 되어 두족류를 포획하고, 메인중량부(300)의 무게에 의해 바늘의 노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더 바디(100)와 상기 캡(400)은 재질이 플라스틱이며, 야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본 발명은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 고패질을 하기 위해 해저바닥을 훑는 동안에도 바늘이 애자 둘레로 노출되지 않아 애자의 소실 위험이 없어 사용자로 하여금 반영구적인 애자의 사용을 도모케 한다.
(2) 본 발명은 애자의 소실을 방지하여 해저에 날카로운 바늘을 가진 애자가 편재하지 못하도록 하여 환경 보호에 일조함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성을 도모케 하면서 애자로 인한 여러 인축사고를 방지케 한다.
(3) 본 발명은 두족류가 애자에 올라타 있는 동안에 사용자로 하여금 일순간에 잡아당기는 힘(사용자에 의한 챔질)에 의해 바늘이 노출되어 두족류의 포획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4) 본 발명은 발명의 구성에 기존의 무게추로서 납을 사용하지 않아 바다환경상의 해악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구성요소인 바늘 뭉치가 마그넷의 자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져 위로 상승한 것을 표현한 전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분해도와 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를 사용하여 두족류를 포획하는 것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포획된 두족류를 애자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애자"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사시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구성요소인 바늘 뭉치가 마그넷의 자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져 위로 상승한 것을 표현한 전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분해도와 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전면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를 사용하여 두족류를 포획하는 것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포획된 두족류를 애자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애자는 상방에는 낚시줄과 연결할 수 있는 장착고리(부호 미부여)와 상기 장착고리 아래로 길게 철심(부호 미부여)이 연장되어 있고, 철심 둘레를 따라 다수의 바늘(부호 미부여)이 배열되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늘 각각이 가장 자리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진 형태를 가지되, 상기 다수의 바늘이 배열되어 부착된 중앙부에 마그넷(210)이 장착된 바늘뭉치(200); 상기 마그넷(210)으로 하여금 인력이 발생케 하는 원통형의 금속 재질의 메인중량체(300); 중앙부 몸통은 상기 마그넷이 상기 메인중량체(300)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상기 바늘뭉치가 숨겨질 수 있을 정도로 직경이 크고, 개별 바늘마다 상하로 동작할 수 있는 컷팅된 기다란 홀을 중앙 몸통 주변에 배열되되, 바늘뭉치(200)가 상부로 이동시 위로 휘어진 바늘부위가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중앙부 몸통에 연결된 하부에는 상기 메인중량체(3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공간을 가지되, 중앙부 몸통과 연결된 상부에는 홀쭉하게 쭈꾸미 머리 모양을 갖춰 중앙의 공동홀을 따라 상기 바늘뭉치가 일정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하이더 바디(100); 및 상기 메인중량부(300)를 떠받들되, 상기 하이더 바디(100)의 하부를 닫아 고정하는 캡(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두족류 포획용 애자는 사용자가 고패질을 하는 동안에는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는 인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둘레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두족류가 올라탄 것을 인지한 사용자가 챔질을 할 경우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의 인력을 이겨내어 상기 바늘뭉치가 상기 하이더 바디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상부와 중앙부 몸통의 연결부위 위쪽으로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패질은 낚시 용어로서 낚싯줄이 걸치는 작은 바퀴나 고리를 반복적으로 감거나 푸는 행위. 포획대상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입질을 유도하기 위한 것을 의미하며, 챔질은 낚시에서, 포획대상이 미끼를 건드려서 찌가 움직일 때 낚싯대를 살짝 들어 올리는 것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 포획대상은 두족류로 한정되므로 애자에 두족류가 올라타 사용자가 그 무게감을 인지할 때 낚시대를 낚아채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도 2, 6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바늘뭉치(200)에 포함되어 배열되는 바늘은 6 ~ 1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6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바늘뭉치(200)는 마그넷(210)과 메인중량부(300) 사이의 인력에 의해 바늘은 하이더 바디(100) 외부로 노출이 안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장착고리에 연결된 낚시줄이 일정 힘으로 일순간 당겨질때 개별의 바늘은 일체로 하이더 바디 상부와 중앙부 몸통의 연결부위 위쪽으로 노출이 되어 두족류를 포획하되, 메인중량부(300)의 무게에 의해 바늘의 노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이더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바늘뭉치가 하부에는 메인중량체와 접하는 지점부터 상부에는 하이더 바디의 상부와 몸체의 연결부위 둘레로 위로 향한 바늘이 두족류를 포획하기 충분할 정도의 길이만큼 노출될 수 있는 지점까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바늘뭉치를 이루는 바늘은 상기 내부에서 횡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 상기 하이더 바디에는 개별 바늘마다 상하로 동작할 수 있는 컷팅된 기다란 홀을 중앙 몸통 주변에 배열되어 있고, 홀 한개당 바늘 한개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하이더 바디(100)와 상기 캡(400)은 재질이 합성수지이며, 야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두족류 포획을 애자를 사용한 낚시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족류 포획을 애자에 낚시줄을 걸어 낚시릴을 돌리면서 해저 바닥을 훑고 있는데(사용자에 의해 고패질을 하고 있음), 인근에 위치한 쭈꾸미가 이를 보고 있고, 바늘이 애자 둘레로 노출되지 않아 어떤 장애물에도 걸리지 않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쭈꾸미가 본 발명의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의 상부와 몸통 중간부를 감고 올라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애자에 쭈꾸미가 올라탄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여 순간적으로 낚시줄을 잡아당겨(사용자가 챔질을 함) 그 힘으로 마그넷의 인력을 이겨내 바늘이 윗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노출되어 쭈꾸미를 관통케하고, 그 메인중량부의 무게에 의해 바늘이 노출된 채 유지되고 있어, 여전히 쭈꾸미를 포획하고 있는 상태가 지속된다.
도 13은 물 밖으로 애자를 꺼내 바늘을 아래로 움직여 마그넷이 메인중량부와의 인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여 쭈꾸미를 쉽게 애자로부터 분리하고, 다음 낚시 준비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 고패질을 하기 위해 해저바닥을 훑는 동안에도 바늘이 애자 둘레로 노출되지 않아 애자의 소실 위험이 없어 사용자로 하여금 반영구적인 애자의 사용을 도모케 한다.
(2) 본 발명은 애자의 소실을 방지하여 해저에 날카로운 바늘을 가진 애자가 편재하지 못하도록 하여 환경 보호에 일조함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성을 도모케 하면서 애자로 인한 여러 인축사고를 방지케 한다.
(3) 본 발명은 두족류가 애자에 올라타 있는 동안에 사용자로 하여금 일순간에 잡아당기는 힘(사용자에 의한 챔질)에 의해 바늘이 노출되어 두족류의 포획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4) 본 발명은 발명의 구성에 기존의 무게추로서 납을 사용하지 않아 바다환경상의 해악을 방지한다.
100 : 하이더 바디 200 : 바늘 뭉치
210 : 마그넷 300 : 메인중량체
400 : 캡 WO : 쭈꾸미

Claims (4)

  1. 두족류 포획용 애자에 있어서,
    상기 애자는,
    상방에는 낚시줄과 연결할 수 있는 장착고리와 상기 장착고리 아래로 길게 철심이 연장되어 있고, 철심 둘레를 따라 다수의 바늘이 배열되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늘 각각이 가장 자리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진 형태를 가지되, 상기 다수의 바늘이 배열되어 부착된 중앙부에 마그넷이 장착된 바늘뭉치;
    상기 마그넷으로 하여금 인력이 발생케 하는 원통형의 금속 재질의 메인중량체;
    중앙부 몸통은 상기 마그넷이 상기 메인중량체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상기 바늘뭉치가 숨겨질 수 있을 정도로 직경이 크고, 개별 바늘마다 상하로 동작할 수 있는 컷팅된 기다란 홀을 중앙 몸통 주변에 배열되되, 바늘뭉치가 상부로 이동시 위로 휘어진 바늘 부위가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중앙부 몸통에 연결된 하부에는 상기 메인중량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공간을 가지되, 중앙부 몸통과 연결된 상부에는 홀쭉하게 쭈꾸미 머리 모양을 갖춰 중앙의 공동홀을 따라 상기 바늘뭉치가 일정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하이더 바디; 및
    상기 메인중량체를 떠받들되, 상기 하이더 바디의 하부를 닫아 고정하는 캡;으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고패질을 하는 동안에는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는 인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둘레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두족류가 올라탄 것을 인지한 사용자가 챔질을 할 경우 상기 마그넷과 메인중량체의 인력을 이겨내어 상기 바늘뭉치가 상기 하이더 바디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바늘이 하이더 바디의 상부와 중앙부 몸통의 연결부위 위쪽으로 노출되어 두족류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애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늘뭉치에 포함되어 배열되는 바늘은 6 ~ 1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애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늘뭉치가 사용자에 의한 챔질에 의해 상기 장착고리에 연결된 낚시줄이 일정 힘으로 일순간 당겨질때 바늘이 하이더 바디 상부와 중앙부 몸통의 연결부위 위쪽으로 노출이 되어 두족류를 포획하되, 메인중량부의 무게에 의해 바늘의 노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애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더 바디와 상기 캡은 재질이 합성수지이며,
    야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1020210146609A 2021-10-29 2021-10-29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102484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609A KR102484460B1 (ko) 2021-10-29 2021-10-29 두족류 포획용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609A KR102484460B1 (ko) 2021-10-29 2021-10-29 두족류 포획용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460B1 true KR102484460B1 (ko) 2023-01-02

Family

ID=8492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609A KR102484460B1 (ko) 2021-10-29 2021-10-29 두족류 포획용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4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004B1 (ko) * 2022-12-20 2023-07-31 한정오 챔질과 연동하여 숨겨진 낚시 바늘이 미끼 밖으로 돌출되는 낚시용 모조 미끼
KR102562005B1 (ko) * 2022-12-20 2023-07-31 한정오 미끼에 낚시 바늘을 숨길 수 있는 낚시용 모조 미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634Y1 (ko) * 2004-06-08 2004-09-14 유한근 낚시찌의 중량부재 및 이를 포함한 낚시찌
JP2006061001A (ja) * 2003-09-01 2006-03-09 Tetsuo Nakajima 釣具
US20070101634A1 (en) * 2005-11-07 2007-05-10 Clapp Thomas W Fishing lure assembly
KR100923096B1 (ko) *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JP2010233511A (ja) * 2009-03-31 2010-10-21 Toshio Fukuma イカ釣り仕掛け
KR20150004006U (ko) * 2014-04-23 2015-11-02 박한도 꼴뚜기 낚시 채비
KR20200130551A (ko) * 2019-05-09 2020-11-19 김용희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001A (ja) * 2003-09-01 2006-03-09 Tetsuo Nakajima 釣具
KR200361634Y1 (ko) * 2004-06-08 2004-09-14 유한근 낚시찌의 중량부재 및 이를 포함한 낚시찌
US20070101634A1 (en) * 2005-11-07 2007-05-10 Clapp Thomas W Fishing lure assembly
KR100923096B1 (ko) *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JP2010233511A (ja) * 2009-03-31 2010-10-21 Toshio Fukuma イカ釣り仕掛け
KR20150004006U (ko) * 2014-04-23 2015-11-02 박한도 꼴뚜기 낚시 채비
KR20200130551A (ko) * 2019-05-09 2020-11-19 김용희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004B1 (ko) * 2022-12-20 2023-07-31 한정오 챔질과 연동하여 숨겨진 낚시 바늘이 미끼 밖으로 돌출되는 낚시용 모조 미끼
KR102562005B1 (ko) * 2022-12-20 2023-07-31 한정오 미끼에 낚시 바늘을 숨길 수 있는 낚시용 모조 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460B1 (ko)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US6786000B1 (en) Pocketed hoop net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US20100083560A1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KR200487601Y1 (ko) 갈치 낚시채비
CN105409894A (zh) 一种深海底栖生物防逃逸诱捕器
KR102056321B1 (ko)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JP5291242B1 (ja) 小蟹小魚捕獲具
US11452282B2 (en) Crawfish trap bait guard system and method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20180000103U (ko) 갈치 낚시용 낚시채비
US3407528A (en) Ice fishing reel and suspension means therefor
KR20240032374A (ko) 자석을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200497424Y1 (ko) 두족류 낚시용 루어
US3584408A (en) Fishing tackle
KR20240032375A (ko) 자석을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KR20070002109A (ko)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KR100310161B1 (ko) 게 잡이용 낚시바늘
US20180027791A1 (en) Live Well Buddy
CN218604672U (zh) 一种螃蟹用钓钩装置
CN213214974U (zh) 一种新型活扣式螃蟹自动垂钓工具
KR200484568Y1 (ko) 갓형 접이식 두족류 낚시 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