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321B1 -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321B1
KR102056321B1 KR1020190034128A KR20190034128A KR102056321B1 KR 102056321 B1 KR102056321 B1 KR 102056321B1 KR 1020190034128 A KR1020190034128 A KR 1020190034128A KR 20190034128 A KR20190034128 A KR 20190034128A KR 102056321 B1 KR102056321 B1 KR 10205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apture
membrane
induction membra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 남궁
강미현
김태환
이가람
Original Assignee
한국생태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태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생태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2Box traps with dropping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서류를 함정공간으로 유도하여 포획하는 포획부; 및 상기 포획부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 설치되며 양서류를 상기 포획부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획부는, 지표면에 매립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포획용기 및 상기 포획용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포획된 양서류의 탈출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일단이 상기 포획부에 인접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포획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연성의 유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서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포획 장치는 유도막의 설치 경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 등 양서류 서식지의 주변환경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유도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서식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유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AMPHIBIANS AND REPTILE TRAPPING DEVICE}
본 발명은 양서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서류를 함정공간으로 유도하여 효과적으로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적,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는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양서류의 일종인 맹꽁이나 두꺼비 등은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위해 포획, 이주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넓은 면적에서 서식하는 양서류는 사람이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있어서, 수많은 작업자를 동원하여 수동으로 상기 멸종위기종을 찾아서 포획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대다수의 멸종위기종을 포획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이를 위해 양서류 포획 장치 종래의 기술로서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09632에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 및 파충류를 유도하여 포획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양서류 및 파충류 등을 함정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 상기 유도부의 함정공간에 마련된 트랩을 포함하여 멸종위기종을 유도하여 포획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성은 1)함정공간까지 맹꽁이 등의 양서류가 진입해야 하고, 2)함정장치를 깊고 넓게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 등의 문제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간단하고 포획률을 높일 수 있는 양서류의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양서류를 함정공간으로 유도하여 포획하는 포획부; 및 상기 포획부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 설치되며 양서류를 상기 포획부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획부는, 지표면에 매립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포획용기 및 상기 포획용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포획된 양서류의 탈출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일단이 상기 포획부에 인접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포획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연성의 유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서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양서·파충류 포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포획부 주위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포획부 주위를 따라 직립 설치되며 내부에 유도막이 수용되는 유도막 수용봉 및 상기 유도막 수용봉 내에 권취되어 상기 유도막 수용봉 외측으로 인출 가능한 유도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막 수용봉은, 유도막을 수용하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유도막과, 상기 유도막에 장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보빈에 장착되는 태엽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와, 상기 하우징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고정핀 및 상기 손잡이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손잡이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엽 스프링은, 상기 유도막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권취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막은,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상기 손잡이 고정핀에 의해 상기 포획부로부터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막의 일 지점을 고정시켜 상기 유도막의 설치 경로를 변경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U 자형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2 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 개의 다리 사이에 상기 유도막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2 개의 다리를 지표면에 삽입 고정하여 상기 유도막의 일 지점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 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각각 소정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유도막이 유도 경로가 확보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막은 차광막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손잡이 외측면에는, 체결 돌기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손잡이 외측면이 서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 용기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 또는 포트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바닥에 배수를 위한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양서류의 유입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포획용기에 연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을 지표면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복수개의 유도막 수용봉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 포획 장치는, 함정공간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유도막에 의해 양서·파충류가 함정공간으로 쉽게 유도됨으로써 포획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도막은 양서류 서식지의 지리적, 입체적 조건에 맞추어 설치 길이 및 설치 경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장애물에 관계 없이 효과적으로 포획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획 종에 따라서 기존에 버려지는 일회용 컵 등을 함정공간으로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전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양서류 포획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포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포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막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획 장치에 사용되는 유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 포획 장치의 설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양서류 포획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양서류라 함은 척추동물에 속하며 어릴 때는 물속에서 살면서 아가미로 호흡하다가 다 자란 후에는 폐로 호흡하면서 땅 위에서 사는 비늘이나 털이 없는 개구리, 두꺼비, 도룡농, 맹꽁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획 장치는 이들 양서류에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양서류 포획 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포획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포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양서류 포획 장치(100)는 크게 포획부(10)와 유도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포획부(10)는 함정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함정공간에 양서류를 유입시켜 직접 포획하는 부분으로 지면에 매립된 포획 용기(11)와 상기 포획 용기(11)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함정공간은 지면에 매립된 포획 용기(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획 용기(11)의 하면에는 지면으로부터의 습기가 상기 포획 용기 내로 스며들게 하고 상기 포획 용기 내의 빗물이 배수되게 하기 위해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획 용기(11)는, 포획 종에 따라서 일회용 플라스틱 컵 또는 포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 환경 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재활용에 의하여 환경 오염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획 용기 주위(11)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서 지면에 하단이 박혀있고 상단이 지면 위로 뻗어 있는 복수 개의 받침대(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받침대(13) 상부에는 덮개판(12)이 구비된다. 상기 덮개판(12)은 상기 복수 개의 받침대(13) 상단에 얹어져서 지면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지면과 덮개판(12) 사이에는 포획 종이 상기 포획 용기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12)은 포획 종이 덮개판(12)을 밀어서 상기 받침대(1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할 정도의 중량물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판(12)이 중량물이 아니고 경량물인 경우에는 상기 덮개판(12) 위에 얹어지게 되는 돌과 같은 중량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20)는 양서류를 전술한 포획부(10)로 유도하는 부분이다. 상기 유도부(20)는 일단이 상기 포획부(10)에 인접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포획부(10)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유도막(22)과 상기 유도막(22)을 수용하는 유도막 수용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막(22)은, 상기 유도막 수용봉 내에 여러 겹 감겨서 수용될 수 있도록 연성의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도막(22)의 재질로는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나일론과 같은 섬유사 재질 또는 면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멍이 있는 차광막 또는 망사원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도막(22)에 의해 포획부(10) 주변에 그늘이 형성되기 때문에 음지를 좋아하는 양서류의 습성상, 양서류를 포획부(10)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막 수용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도막 수용봉은 유도막(22)을 수용하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빈(29)과, 상기 유도막(22)에 장착되는 손잡이(27)와, 상기 보빈(28)에 장착되는 태엽 스프링(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은 유도막 수용봉의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보빈(29)과 유도막(22)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1)의 일 측에는 배출구(3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0)는 상기 하우징(21)의 내외로 상기 유도막(22)이 통과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1)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 커버(24) 및 하부 커버(25)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 커버(24) 및 하부 커버(25)는 상기 하우징(21)의 상부와 하부를 밀폐시켜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25)의 하면에는 상기 유도막 수용봉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핀(26)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막 수용봉은 상기 포획부(10) 주위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도막 수용봉은 상기 덮개판(12)의 테두리를 따라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덮개판(12)에는 상기 유도막 수용봉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유도막 수용봉의 숫자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29)은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즉,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 커버(25)와 상기 상부 커버(24)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도막(22)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유도막(22)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권취하는 축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막(22)은 상기 보빈(29)에 감기며 상기 배출구(30)를 통해 입출 가능한 것으로, 그 일단이 상기 보빈(29)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손잡이(27)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보빈(29)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풀리면서 양서류를 포획부(10)로 유도하는 유도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27)는 상기 유도막(22)의 외측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잡고서 상기 유도막(22)을 상기 하우징(21)에서 인출하여 소정의 목표 지점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유도막 수용봉과 손잡이 사이를 유도막(22)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27)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2)의 하단에는 손잡이 고정핀(2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손잡이(27) 외측면에는, 체결 돌기 또는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손잡이 외측면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 중 일부에는 체결 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나머지에는 상기 체결 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사로 다른 수용봉에 포함된 손잡이들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도막(22)을 설치 길이가 연장되어 더욱 다양하게 양서류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서로 다른 수용봉에 포함된 손잡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연속된 유도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태엽 스프링(23)은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상기 보빈(29)의 상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단이 상기 상부 커버(2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빈(29)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보빈(29)이 회전된 후에 탄성 복원되면서 역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막(22)은 상기 하우징(21)의 내측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유입,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막(22)은 상부 커버(24)에 손잡이(미도시)를 설치하고 손잡이를 돌려 수동으로 유입, 유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 포획 장치의 설치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 포획 장치의 설치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 포획 장치의 설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함정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지면에 홈을 파고 그 홈에 지면과 같은 높이로 전술한 바와 같은 포획 용기(11)를 매설한다. 이어서 상기 포획 용기 주위에 받침대(13)를 고정 설치하고 그 위에 덮개판(12)을 거치시킨다. 물론 이때 상기 받침대(13)와 덮개판(12)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5a).
이어서 상기 덮개판(12)에 형성된 체결공에 유도막 수용봉을 삽입한 후 유도막 수용봉 하단의 고정핀(26)을 지면에 단단히 박아 상기 유도막 수용봉을 덮개판(13) 주위에 설치한다(5b)
상기와 같이 유도막 수용봉을 설치한 후, 손잡이(27)를 서서히 잡아당겨 유도막 수용봉 외측으로 유도막(22)을 인출시킨다(5c). 이어서, 손잡이(27)를 최종 설치 목적지까지 계속 잡아 당긴 후 최종 목적 지점에서 손잡이 하단의 고정핀(26)을 지면에 고정하여 손잡이(27)를 고정시킨다(6b). 이때 유도막(22)은 포획부(10)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직선상으로 설치된 유도막(22)은 유도막 고정부재(28)에 의해 추가로 설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 및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28)는, U 자형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2 개의 다리(28a)를 포함하며,다리(28a)의 아래쪽에는 상기 고정부재(28)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끝이 뾰쪽하게 형성된 삽입부(28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2 개의 다리(28a) 사이에 상기 유도막(22)을 상기 유도막(2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운 후, 상기 2 개의 다리의 삽입부(28c)를 지표면에 삽입 고정하여 상기 유도막(22)의 설치 경로를 변경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8)의 상부에는 고리(2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280)에 유도막(22)을 끼워 유도막(22)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28)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다리는 상기 유도막(22)이 이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면 족하므로 둘 이상의 다수 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유도막(22)도 상기 다리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28) 일측에 집게 등의 형태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포획부(10)와 최종 목표 지점 사이에 나무 또는 공작물 등의 장애물이 있거나 양서류에게 유해한 환경이 있는 경우 유도막(22)의 설치 경로를 변경한 후 상기 고정부재(28)를 이용하여 유도막(22)을 고정시키게 된다(6c).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8)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22)가 각각 소정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유도막(22)이 소정의 설치 경로를 확보하게 될 수 있다(6d).
상기와 같이 설치된 포획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될 수 있다. 즉, 서식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양서류가 이동 중 상기 유도부(20)의 방사상으로 배열된 유도막(22)을 만나게 되고, 상기 유도막(22)을 마주하게 되는 양서류는 전방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유도막(22)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하게 되며, 유도막(22)을 따라 이동하는 양서·파충류는 자연스럽게 포획부(10)와 마주하게 된다.
포획부(10)와 마주하게 되는 양서류는 그늘지고 어두운 곳을 선호하는 습성 상 포획 용기(11)와 덮개판(12) 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상기 포획 용기(11) 내로 들어오게 되고, 한번 상기 포획 용기(11) 내로 들어온 양서류는 상기 포획 용기(11)를 빠져나오려 하여도 상기 덮개판(12)이 가로막고 있어 상기 포획 용기 내에 포획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획부(10)를 중심으로 유도막(22)이 방사상으로 펼쳐져 전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포획부(10) 당 양서·파충류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 면적이 넓어져 포획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도막(22)은 설치 경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 등 양서류 서식지의 주변환경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유도 경로를 형성할 수 있어 서식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유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도막(22)이 차광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포획부(10) 주변으로 넓게 그늘이 형성되어 음지를 좋아하는 양서류를 더욱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획부 11 : 포획 용기
12 : 덮개판 13 : 받침대
20 : 유도부 21 : 하우징
22 : 유도막 23 : 태엽 스프링
24 : 상부 커버 25 : 하부 커버
26 : 고정핀 27 : 손잡이
28 : 유도막 고정부재 29 : 보빈
30 : 배출구
100 : 양서류 포획 장치

Claims (10)

  1. 양서류를 함정공간으로 유도하여 포획하는 포획부; 및
    상기 포획부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 설치되며 양서류를 상기 포획부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획부는,
    지표면에 매립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포획용기 및 상기 포획용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포획된 양서류의 탈출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일단이 상기 포획부에 인접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포획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연성의 유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포획부 주위에 복수 개가 구비되되;
    상기 포획부 주위를 따라 직립 설치되며 내부에 유도막이 수용되는 유도막 수용봉 및 상기 유도막 수용봉 내에 권취되어 상기 유도막 수용봉 외측으로 인출 가능한 유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도막 수용봉은,
    유도막을 수용하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유도막과, 상기 유도막에 장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보빈에 장착되어 상기 유도막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권취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태엽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와, 상기 하우징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고정핀 및 상기 손잡이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손잡이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도막은,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상기 손잡이 고정핀에 의해 상기 포획부로부터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고: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막의 일 지점을 고정시켜 상기 유도막의 설치 경로를 변경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U 자형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2 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2 개의 다리 사이에 상기 유도막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2 개의 다리를 지표면에 삽입 고정하여 상기 유도막의 일 지점을 고정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상기 유도막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유도막의 유도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손잡이 외측면에는, 체결 돌기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손잡이 외측면이 상기 체결돌기 및 체결홈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 포획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막은 차광막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 포획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용기는,
    종이 컵 또는 플라스틱 컵으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배수를 위한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 포획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양서류의 유입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포획용기에 연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을 지표면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 포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복수개의 유도막 수용봉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서류 포획 장치.








KR1020190034128A 2019-03-26 2019-03-26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 KR10205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28A KR102056321B1 (ko) 2019-03-26 2019-03-26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28A KR102056321B1 (ko) 2019-03-26 2019-03-26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321B1 true KR102056321B1 (ko) 2020-01-14

Family

ID=6915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128A KR102056321B1 (ko) 2019-03-26 2019-03-26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3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79B1 (ko) * 2020-05-21 2020-11-24 (주)우신이엔씨 멸종위기종 양서·파충류 포획장치
KR102421527B1 (ko)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
KR20220111831A (ko)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녹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583Y1 (ko) * 2003-04-22 2003-07-25 김인수 다목적 차단봉
KR20090001275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세스코 방사형 유도가이드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KR101309632B1 (ko) * 2013-03-04 2013-09-17 심재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 및 파충류를 유도하여 포획하는 장치
KR101309633B1 (ko) * 2013-03-04 2013-09-17 심재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 및 파충류를 포획하는 방법
KR101589602B1 (ko) * 2014-03-21 2016-01-28 주식회사 녹인 계절별 조건을 고려한 양서류 및 파충류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583Y1 (ko) * 2003-04-22 2003-07-25 김인수 다목적 차단봉
KR20090001275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세스코 방사형 유도가이드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KR101309632B1 (ko) * 2013-03-04 2013-09-17 심재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 및 파충류를 유도하여 포획하는 장치
KR101309633B1 (ko) * 2013-03-04 2013-09-17 심재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 및 파충류를 포획하는 방법
KR101589602B1 (ko) * 2014-03-21 2016-01-28 주식회사 녹인 계절별 조건을 고려한 양서류 및 파충류 포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79B1 (ko) * 2020-05-21 2020-11-24 (주)우신이엔씨 멸종위기종 양서·파충류 포획장치
KR20220111831A (ko)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녹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KR102421527B1 (ko)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321B1 (ko)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
Kurta et al. Capture methods and holding devices
CN109068617B (zh) 具有死物捕捉装置的水产养殖鱼围栏
US6626391B2 (en) Retractable fence having a line dispenser
US5043060A (en) Swimming pool skimmer
KR101723768B1 (ko) 낚시바늘의 밑걸림 방지장치
CA2951946C (en) Crab pot
US6622436B1 (en) Goose barrier
JP2007014232A (ja) 昆虫の羽化交尾促進方法及び装置
KR101142075B1 (ko) 민물거북 생포용 덫
US20180179771A1 (en) Swimming Pool Filtrations System Debris Guard
CA233208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quacultured mussels
KR102484460B1 (ko) 두족류 포획용 애자
US4980988A (en) Combination fish landing net holster and creel
CA3140872A1 (en) Aquaculture fish pen with mortality trap
Lincoln et al. Manual for bird banders
KR20190131979A (ko) 분봉군 유인 포획기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US4050182A (en) Book net for crabs, lobsters, and the like
KR101502289B1 (ko) 유인구 자동 차단 통발
KR20070017215A (ko) 어패류(魚貝類)와 불가사리 채취용 포획구
KR102199717B1 (ko) 곤충 관찰 용기 조립체
KR101371967B1 (ko) 레저용 파라솔 모기장
KR101723083B1 (ko) 방조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