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424B1 -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 Google Patents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424B1
KR101819424B1 KR1020170088913A KR20170088913A KR101819424B1 KR 101819424 B1 KR101819424 B1 KR 101819424B1 KR 1020170088913 A KR1020170088913 A KR 1020170088913A KR 20170088913 A KR20170088913 A KR 20170088913A KR 101819424 B1 KR101819424 B1 KR 10181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k
fish
hook
b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권
Original Assignee
황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권 filed Critical 황성권
Priority to KR102017008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나 취미활동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는 낚시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줄에 간단하게 연결하여 물고기의 챔질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챔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싯대의 선단에 낚싯줄이 결속됨과 동시에 발광찌 및 낚시바늘을 구비한 통상의 낚시기구로서, 상기 발광찌 및 낚시바늘 사이에 물고기를 자동으로 낚아챌 수 있는 챔질기를 구비하며, 이 챔질기는 지지링크와, 이 지지링크의 상단부에 형성된 텐션부를 통해 연이어지는 작동링크와, 이 작동링크를 걸어 탄력있게 유지하기 위한 연결고리부 및 돌기를 갖는 규제링크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물고기가 입질을 할 때 직접 손으로 낚싯대를 챔질하지 않고도 순간적으로 챔질이 행해짐에 따라 물고기를 낚는 확률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낚시터의 수면 파동 등과 같은 외부 조건이나 주,야간 혹은 낚싯꾼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Fishing device for auto snatch}
본 발명은 레저나 취미활동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는 낚시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줄에 간단하게 연결하여 물고기의 챔질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챔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레저나 취미활동 혹은 자연속에서의 휴식을 즐기기 위한 목적으로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대중적으로 쉽게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낚시 동호인은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 낚싯바늘에 물고기가 입질을 하면 물고기의 입질이 경심을 통해 수면위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하여 있는 낚시찌에 전달되어 물고기의 입질 세기에 따라 낚시찌가 상,하로 움직인다. 낚싯꾼들은 이러한 낚시찌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감지하고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렸는지의 여부를 모르는 상태에서 추상적으로 챔질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물고기가 입질을 하여 어신이 낚시찌에 전달되는 바로 그 순간에 챔질을 하지 못하여 챔질의 시기를 놓치면 미끼만 떼이고 물고기를 낚을 수 없게 되 나, 이와 같이 챔질의 순간에 맞추어 정확하게 챔질을 한다는 것을 매우 숙련된 노련한 경험을 필요로 한다.
더구나, 낚시찌를 계속 주시하다 보면 눈의 피로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소변 등의 이유로 자리를 잠시라도 비울 경우에는 챔질시기를 놓치거나 챔질시기를 정확하게 보더라도 미끼만 없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미끼만 없어지게 되면 이를 자주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또한 바람이 불거나 밤낚시를 행할 경우에는 낚시찌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며, 특히 야간 낚시에는 케미 라이트(Chemi Light)를 달아도 물결에 의해 낚시찌가 흔들리게 되므로 낚시찌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없음은 물론 초보자들의 경우, 챔질 순간을 놓쳐 거의 고기를 낚아 잡을 수 없기 때문에 낚시의 손맛과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물고기의 입질시에 자동으로 챔질을 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낚시용품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들 모두 구조가 매우 복잡함은 물론 가격이 비싸고 챔질의 정확도가 떨어져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들 들어, 국내 공개특허 제2001-0112060호에 공개된 기술을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즉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당기게 되면 막대형 내부찌(30)가 하강을 개시함과 동시에 찌의 중앙부에 형성된 확장 돌출부(31)가 탄력폰(40)을 벌리게 된다.
이에 따라, 탄력폰(40)이 스프링(50)을 압착한 상태로 걸려있던 힘이 제거되므로 탄력폰(40)과 막대형 내부찌(30)가 스프링(50)의 탄력으로 튀어 오르게 되고, 이어서 막대형 내부찌(30)의 하단에 걸려있는 낚싯줄이 당겨지게 되므로 낚시바늘이 물고기의 입을 관통하게 되어 낚싯대를 잡아채지 않더라도 물고기를 놓칠 우려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낚싯줄에 연결된 자동 챔질 낚시찌와 바늘을 물속으로 던져 넣는 과정에서 챔질 작용이 일어나는 오작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 등록특허 제1351912호나 제1526237호의 경우에는 고정핀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권취롤의 제1기어 및 제2기어에 안내되어 걸림홈에 걸려진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고정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권취롤의 회전으로 챔줄을 당겨 권취시켜 자동 챔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챔줄의 권취 및 권출시 고정핀의 고정돌기가 제1기어 및 제2기어에 계속해서 부딪힘에 따라 쉽게 파손되거나 마모되는 현상 및 오동작이 자주 발생되어 챔질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고, 수중찌의 침강과정에서 태엽스프링이 삽입되는 권취롤의 내부공간에 태엽스프링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되는 원형판에 의해 물이 제대로 인입되지 않아 수중찌의 침강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공개특허 제2001-0112060호(2001.12.20) - 자동 챔질 낚시찌. 공개특허 제2006-0072110호(2006.06.27) - 자동 챔질 판형 낚시추. 등록특허 제1351912호(2014,01,09) - 자동 챔질 기능이 구비된 수중찌. 등록특허 제1526237호(2015.06.01) - 자동 챔질 및 어신 감지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 손으로 낚싯대를 챔질하지 않고도 순간적인 챔질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물고기를 낚는 확률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수면 파동 등의 외부 조건. 주,야간 혹은 낚싯꾼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낚싯대의 선단에 낚싯줄이 결속됨과 동시에 발광찌 및 낚시바늘을 구비한 통상의 낚시기구로서, 상기 발광찌 및 낚시바늘 사이에 물고기를 자동으로 낚아챌 수 있는 챔질기를 구비하며, 이 챔질기는 지지링크와, 이 지지링크의 상단부에 형성된 텐션부를 통해 연이어지는 작동링크와, 이 작동링크를 걸어 탄력있게 유지하기 위한 연결고리부 및 돌기를 갖는 규제링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규제링크의 일측 끝단부는 지지링크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고리부에 의해 결속되며, 상기 작동링크는 텐션부를 기준으로 탄력있게 회동하면서 규제링크의 돌기에 걸어맞춤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링크의 텐션부 측에는 결속끈으로부터 연이어지는 낚싯줄이 감겨 고정됨과 동시에 이 낚싯줄은 작동링크 및 규제링크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통공을 각각 통과한 상태에서 낚시바늘을 매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에 의해, 물고기가 입질을 할 때 직접 손으로 낚싯대를 챔질하지 않고도 순간적으로 챔질이 행해짐에 따라 물고기를 낚는 확률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항상 낚시찌를 응시하여야 하는 종전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눈의 피로를 예방하고, 모래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낚시터의 수면 파동 등과 같은 외부 조건이나 주,야간 혹은 낚싯꾼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챔질 낚시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챔질기가 낚싯대에 장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4a, 도 4b는 챔질기의 작동 전,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측면에서 본 작동 전,후의 변화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챔질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100)의 선단에는 낚싯줄(110)이 결속됨과 동시에 발광찌(120)를 포함하여 챔질기(130) 및 낚시바늘(140)이 연이어져 구성된다.
상기 발광찌(120) 및 낚시바늘(140) 사이에 배치된 챔질기(130)는, 지지링크(131)와, 이 지지링크(131)의 상단부에 형성된 텐션부(p)를 통해 연이어지는 작동링크(132)와, 이 작동링크(132)를 걸어 탄력있게 유지하기 위한 규제링크(13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지지링크(131)의 텐션부(p) 측에는 결속끈(134)으로부터 연이어지는 낚싯줄(t)이 감겨져 고정되어 있으며, 이 낚싯줄(t)은 작동링크(132) 및 규제링크(133)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통공(135a,135b)을 각각 통과한 상태에서 그 끝단부에 낚시바늘(140)을 각각 매달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규제링크(133)의 반대쪽 끝단부는 지지링크(131)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고리부(136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작동링크(132)는 텐션부(p)를 기준으로 탄력있게 회동하면서 규제링크(133)에 형성된 돌기(136b)에 걸어맞춰지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132)의 선단부는 텐션부(p)를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면서 규제링크(133)에 형성된 돌기(136b)에 의해 걸림 유지될 수 있으며, 물고기가 낚시바늘(140)의 미끼를 무는 과정에서 작동링크(132)가 규제링크(133)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챔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링크들은 수지류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챔질시에 강한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는 피아노선(Piano wire)을 꼬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속끈(134)을 이용하여 손쉽게 낚싯줄(110)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변형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챔질기(130)를 구성하는 지지링크(131)의 텐션부(p) 측에서 연이어지는 연장링크(137)를 통해 그 끝단부에 무게추(138)를 매달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챔질기(130)를 물속 바닥까지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우선 낚싯바늘(140)의 미끼에 물고기가 입질을 하면 낚시줄(110)을 통해 수면 위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하여 있는 발광찌(120)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물고기 입질의 세기에 따라 발광찌(12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통상 낚싯꾼들은 이러한 발광찌(120)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감지하고, 물고기가 낚싯바늘(140)에 걸렸는지 여부를 모르는 상태에서 추상적으로 인위적인 챔질을 하게 된다. 물고기가 입질을 하여 발광찌(120)에 전달되는 순간에 챔질을 하지 못하게 되면 미끼만 떼이고 물고기를 낚을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순간에 챔질을 한다는 것은 매우 숙련된 노련한 경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찌낚시를 행함에 있어 낚싯꾼들은 발광찌(120)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감지하고, 챔질 순간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낚시하는 동안에는 불가피하게 발광찌(120)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주시해야만 하므로 눈에 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광찌(120)와 낚시바늘(140) 사이에 챔질기(130)가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물고기가 낚시바늘(140)의 미끼를 무는 순간,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링크(133)의 돌기(136b)에 걸려있던 작동링크(132)의 선단부가 해제되면서 탄력있게 상향 선회함에 따라 챔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링크(132)는 텐션부(p)에 의해 강한 탄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규제링크(133)의 돌기(136b)에 걸려 있게 되며, 도 5b에서와 같이 물고기가 낚시바늘(140)의 미끼를 물게 되면 일차 작동링크(132)가 규제링크(133)로부터 해제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챔질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규제링크(133)는 지지링크(131)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고리부(136a)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c에서와 같이 물고기가 낚시바늘(140)을 내뱉지 못하고 벗어나려는 힘이 작용하면서 낚싯줄(t)을 더욱 팽팽하게 잡아당기게 되므로 상기 작동링크(132)는 시계방향으로 더 선회하면서 물고기를 완전하게 낚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낚시터의 상황에 따라 챔질기(130)에 다양한 중량을 갖는 무게추(138)를 매달아 사용하는 경우 챔질기(130)를 물속 바닥까지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에 의하면, 물고기가 입질을 할 때 직접 손으로 낚싯대를 챔질하지 않고도 순간적으로 챔질이 행해짐에 따라 물고기를 낚는 확률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 항상 낚시찌를 응시하여야 하는 종전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눈의 피로를 예방하고, 모래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낚시터의 수면 파동 등과 같은 외부 조건이나 주,야간 혹은 낚싯꾼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낚싯대 110: 낚싯줄
120: 발광찌 130: 챔질기
131: 지지링크 132: 작동링크
133: 규제링크 134: 결속끈
135a,135b: 통공 136a: 연결고리부
136b: 돌기 137: 연장링크
138: 무게추 140: 낚시바늘

Claims (3)

  1. 낚싯대(100)의 선단에 낚싯줄(110)이 결속됨과 동시에 발광찌(120) 및 낚시바늘(140)을 구비한 통상의 낚시기구로서,
    상기 발광찌(120) 및 낚시바늘(140) 사이에 물고기를 자동으로 낚아챌 수 있는 챔질기(130)를 구비하며,
    이 챔질기(130)는 지지링크(131)와, 이 지지링크의 상단부에 형성된 텐션부(p)를 통해 연이어지는 작동링크(132)와, 이 작동링크를 걸어 탄력있게 유지하기 위한 연결고리부(136a) 및 돌기(136b)를 갖는 규제링크(13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규제링크(133)의 일측 끝단부는 지지링크(131)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고리부(136a)에 의해 결속되며, 상기 작동링크(132)는 텐션부(p)를 기준으로 탄력있게 회동하면서 규제링크(131)의 돌기(136a)에 걸어맞춤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131)의 텐션부(p) 측에는 결속끈(134)으로부터 연이어지는 낚싯줄(t)이 감겨 고정됨과 동시에 이 낚싯줄은 작동링크(132) 및 규제링크(133)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통공(135a,135b)을 각각 통과한 상태에서 낚시바늘(140)을 매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3. 삭제
KR1020170088913A 2017-07-13 2017-07-13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KR101819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13A KR101819424B1 (ko) 2017-07-13 2017-07-13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13A KR101819424B1 (ko) 2017-07-13 2017-07-13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424B1 true KR101819424B1 (ko) 2018-01-16

Family

ID=6106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913A KR101819424B1 (ko) 2017-07-13 2017-07-13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4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392A (ko) 2018-07-11 2018-07-31 최기석 자동 챔질 기능을 구비하는 낚시대용 받침대
CN110973085A (zh) * 2019-12-13 2020-04-10 吴明义 一种皮筋或压簧用于瓣状支撑面的杆状自动钓鱼器
KR20200053307A (ko) 2018-11-08 2020-05-18 권태화 자동 챔질 및 입질 알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392A (ko) 2018-07-11 2018-07-31 최기석 자동 챔질 기능을 구비하는 낚시대용 받침대
KR20200053307A (ko) 2018-11-08 2020-05-18 권태화 자동 챔질 및 입질 알림 장치
CN110973085A (zh) * 2019-12-13 2020-04-10 吴明义 一种皮筋或压簧用于瓣状支撑面的杆状自动钓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335B2 (en) Fishing lure
US9253966B2 (en) Fishing lure
KR101819424B1 (ko) 자동 챔질용 낚시기구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US8196335B2 (en) Spring-loaded fishing lure
US20070068062A1 (en) Strike indicator
WO2005089401A2 (en) Terminal tackle including bearing for fishing line
US3605317A (en) Weightless,weedless fishing fly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7124534B1 (en) Floating fish snaring device
US4924617A (en) Hook setting device
US4996789A (en) Mechanically assisted fishing apparatus and technique
US7503140B2 (en) Automatic fishing hook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274131A (en) Fishhook coupling
US6354036B1 (en) Fishing tip-up device
US2009298A (en) Automatic grab fishhook
KR101926313B1 (ko)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US20050120615A1 (en) Safety bobber
US20160242399A1 (en) Hybrid Spinner-blade and Plug Fishing Lure
US3407528A (en) Ice fishing reel and suspension means therefor
US6722079B2 (en) Fishing lure with snag release
US2857703A (en) Fishing rig
US20180184632A1 (en) A device for use in sea fishing
CN108703117B (zh) 一种钓鱼竿
US20050198889A1 (en) Parachute assisted fi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