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11Y1 - 자동식 작살 - Google Patents

자동식 작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11Y1
KR200405811Y1 KR2020050028849U KR20050028849U KR200405811Y1 KR 200405811 Y1 KR200405811 Y1 KR 200405811Y1 KR 2020050028849 U KR2020050028849 U KR 2020050028849U KR 20050028849 U KR20050028849 U KR 20050028849U KR 200405811 Y1 KR200405811 Y1 KR 200405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poon
hammer
fixing
impac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김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래 filed Critical 김영래
Priority to KR2020050028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4Fish-spear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작살은, 탄성수단에 의해 밀어부쳐져 작살샤프트(30)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해머(10)와, 이 충격해머(10)의 충격력에 의해 격발되는 작살샤프트부(30)와, 이 작살샤프트부(30)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작살날부(40) 및 상기 충격해머(10)를 고정/해제하는 해머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자동식 작살로서, 상기 충격해머(10)에는 다수의 고정홈(11)이 충격해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배치되고, 상기 해머고정부재(50)에는 이 고정홈(11)과 상보적인 형상인 1개의 고정돌기(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따른 자동식 작살에 의하면, 격발되는 작살의 강도를 표적의 상태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잡힌 표적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작살의 전단부의 날이 뭉툭해진 경우에는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전단부의 작살날부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재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탈방지핀이 회동될 수 있어서 잡힌 표적을 쉽게 빼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적을 빼는 동안 표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작살, 자동, 격발, 강도 조절, 고정홈, 고정돌기, 나사부, 나사결합, 이탈방지핀, 회동. 충격해머.

Description

자동식 작살{Automatic Fish Spear}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일부 부재인 충격해머의 측면도이며, 도5는 해머고정부재의 측면도이다.
도6은, 작살샤프트와 작살날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충격해머 11... 고정홈
12... 고정개구 13... 파지부
14... 스프링수용홈 20,54... 압축스프링
21... 스프링지지부재 30... 작살샤프트
31... 수나사부 40... 작살날부
41... 암나사부 42... 날
43... 이탈방지핀 50... 해머고정부재
51... 고정돌기 52... 누름버튼
53... 지지부 55... 힌지구멍
56... 힌지축 H... 작살하우징
O... 개구
본 고안은 자동식 작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사되는 작살의 격발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자동식 작살에 관한 것이다.
작살은 물고기를 잡기 위한 도구로서, 그 방식으로는 단순히 손으로 던지는 타입과, 고무밴드와 같은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던지는 타입 및 자동으로 발사되는 타입 등이 있다.
그런데, 자동으로 발사되는 타입은, 주로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작살을 발사하는 방식인데, 이 경우에는 작살의 격발강도가 조절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살을 격발하는 충격해머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격발되는 작살은 항상 일정한 강도(속도)로 발사되는데, 이 경우에 표적(물고기)이 근거리에 있거나, 그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표적이 손상되거나 심지어 부숴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작살은 표적을 향해 격발되는 작살부가 1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 경우 빈번한 사용에 따라 작살 전단부의 날의 예리함이 감소되어 뭉툭해지는 경우에 작살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였으므로 재료 및 비용의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 작살의 전단부 근처에는 잡힌 물고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핀이 돌출형성되어 있었는데, 잡힌 물고기를 빼는 경우 이탈방지핀에 물고기가 걸려 빼기가 어려웠고, 이 과정 동안 물고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격발되는 작살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작살의 전단부가 뭉툭해진 경우에는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전단부의 작살날부만을 교체할 수 있으며, 이탈방지핀이 회동될 수 있어서 쉽게 잡힌 표적을 빼낼 수 있는 구조의 자동식 작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작살은, 탄성수단에 의해 밀어부쳐져 작살샤프트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해머와, 이 충격해머의 충격력에 의해 격발되는 작살샤프트부와, 이 작살샤프트부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작살날부 및 상기 충격해머를 고정/해제하는 해머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식 작살로서, 상기 충격해머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충격해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배치되고 상기 해머고정부재에는 이 고정홈과 상보적인 형상인 1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거나,
상기 충격해머에는 1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배치되고, 상기 해머고정부재에는 이 고정돌기와 상보적인 형상인 다수의 고정홈이 이 해머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직각삼각형 형상의 홈이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충격 해머에 대면하는 해머고정부재의 부분 상에 배치된 상기 고정홈과 상보적인 직각삼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충격해머의 뒤쪽에는 그 후단부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뻗어있는 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수용홈 내에는 스프링의 전단부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해머고정부재의 전단부는 작살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외력에 의하여 회동되어 그 고정돌기 상에 안착되어 고정된 충격해머를 해제하며, 그 타단부에는 해머고정부재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살샤프트의 전단부와, 상기 작살날부의 후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상보적인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살날부에는 이탈방지핀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작살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를 뒤쪽으로 당긴 후에 누름버튼(52)를 눌러 서로 체결된 작살샤프트(30)와 작살날부(40)를 격발하는 방식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작살하우징(H) 내에 충격해머(1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충격해머(10)의 일측부의 고정개구(12)에는 파지부(13)가 삽입고정되어, 이 파지부(13)의 대부분은 상기 작살하우징(H)의 개구(O)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충격해머(10)는 실린더형상으로 금속제로써 그 일부분은 중공으로(hollow) 다른 부분은 중실로(solid) 형성되는데, 즉 충격해머(10)의 뒤쪽에는 그 후단부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뻗어있는 스프링수용홈(14)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수용홈(14)의 앞쪽의 부분은 중실로 형성되어 있다(도3참조). 이렇게 일부분이 중실로 형성되는 이유는 충격해머(10)가 격발되는 작살샤프트(30)에 충분한 충격량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수용홈(14) 내에는 그 일단부(후단부)는 작살하우징(H)의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지지부재(21)의 일부분(전단부)과, 상기 스프링지지부재(21)에 끼워져 지지되는 압축스프링(20)의 일부분(전단부)가 수용된다(도3 및 도4참조).
또한, 상기 충격해머(10)의 하단부에는 3개의 고정홈(11)이 충격해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홈(11)은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4참조).
또한, 상기 작살하우징(H)의 내에, 상기 충격해머(10)의 아래쪽에는 대략 "ㄴ" 자 형상의 해머고정부재(50)가 설치되는데, 그 전단부에는 힌지구멍(55)이 형성되고 이 구멍을 통과하여 힌지축(56)이 끼워져 상기 작살하우징(H)과 힌지결합되어 어느 정도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그 뒤쪽의 하부에는 지지부(53)가 수직하방 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53)의 외주에는 압축스프링(54)이 끼워져 이 해머고정부재(50)는 이 압축스프링(54)에 의해 항상 밀어올려지는 탄성력을 받는 상태에 있다(도3 및 도5참조).
한편, 이 해머고정부재(50)의 상면, 즉 상기 충격해머(10)에 대면하는 면 상에는 1개의 고정돌기(51)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형상은 상기 고정홈(11)과 상보적인 직각삼각형 형상이다. 이 고정돌기(51) 상에 상기 고정홈(11)이 안착되면, 이들이 서로 상보적인 직각삼각형 형상이므로, 충격해머(10)는 해머고정부재(50) 상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 해머고정부재(50)의 후단부에는 누름버튼(52)이 형성되어, 격발시에 이 누름버튼(52)을 아래로 누르게 되면, 도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고정부재(50)가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돌기(51)가 고정홈(11)의 밖으로 이탈되면, 충격해머(10)가 그 구속된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한편, 충격해머(10)의 앞쪽에는 이에 의해 격발되는 작살샤프트(30) 및 이 작살샤프트(30)의 앞쪽에 결합된 작살날부(40)이 설치된다.
작살샤프트(3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을 향하여 그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단부에는 수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도6참조). 또한, 작살날부(40)의 후단부에는 이 수나사부(31)와 상보적인 암나사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단부에는 뾰족한 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보적인 수나사부(31)와 암나사부(41)에 의해 작살샤프트(30)와 작살날부(40)는 서로 나사결합상태로 체결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이 나사결합을 풀고 다른 작살날부(30)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작살날부(40)에는 이탈방지핀(43)이 그 회동축(4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식 작살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작살 사용자는 표적의 상태를 관찰하여 그 격발강도를 결정한 후에, 즉, 강하게 또는 약하게 또는 중간강도로 발사할 것인지 결정한 후에 파지부(13)를 원하는 강도의 위치까지 잡아당긴 후에 해제하면, 잡아당겨진 충격해머(10)가 찰칵 소리와 함께 해머고정부재(50) 상에 고정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해머(10) 하부의 고정홈(11) 중 어느 하나가 해머고정부재(50) 상의 고정돌기(51) 상에 안착됨으로써 충격해머(10)가 고정되어 장전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 후, 서로 체결된 작살샤프트(30)와 작살날부(40)를 충격해머(10) 앞에 위치시킨 후에, 표적을 조준한 후 누름버튼(52)를 눌러 발사한다.
이에 따라, 해머고정부재(50)가 회동함으로써, 고정돌기(51)가 고정홈(11) 밖으로 이탈하면 충격해머(10)는 그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되어, 그 뒤쪽으로부터 작용하는 압축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앞쪽으로 전진하여, 그 앞쪽의 작살샤프트(30)의 후단부를 타격하면, 작살샤프트(30) 및 작살날부(40)가 표적을 향해 날아가 표적에 꽂히게 된다.
표적이 작살날부(40)에 꽂히는 동안, 이탈방지핀(44)는 표적에 의해 젖혀져(회동되어) 작살날부(40)와 함께 수평상태로 되어, 표적은 이탈방지핀(44)에 걸리지 않고 관통되고, 그 후 표적이 벗어나려고 하면 이 이탈방지핀(44)이 다시 수평상태로부터 회동되게 되고, 표적은 이 이탈방지핀(44)에 걸려 스스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그 후, 작살 사용자가 표적과 작살을 회수하여 표적을 빼내는 경우에는, 손으로 이 이탈방지핀(44)을 다시 수평상태로 회동시켜 빼내면 되므로, 표적은 손상되지 않고 쉽게 빠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동안 작살날부(40)의 날이 뭉툭해진 경우에는 작살샤프트(30)와의 나사결합을 풀어내고 다른 새로운 작살날부(40)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고정홈(11)이 충격해머(10)에 형성되고, 고정돌기(51)는 해머고정부재(50)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고정홈(11)의 개수는 변경가능하며, 그 설치위치도 전술된 실시예와 반대로, 즉 고정홈(11)은 해머고정부재(50)에, 고정돌기(51)은 충격해머(10)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살의 격발방식을 누름버튼을 누르는 타입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른 방아쇠 격발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는 점도 당업자에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자동식 작살에 의하면, 격발되는 작살 의 강도를 표적의 상태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잡힌 표적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살의 전단부의 날이 뭉툭해진 경우에는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전단부의 작살날부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재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핀이 회동될 수 있어서 잡힌 표적을 쉽게 빼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적을 빼는 동안 표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Claims (7)

  1. 탄성수단에 의해 밀어부쳐져 작살샤프트(30)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해머(10)와, 이 충격해머(10)의 충격력에 의해 격발되는 작살샤프트부(30)와, 이 작살샤프트부(30)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작살날부(40) 및 상기 충격해머(10)를 고정/해제하는 해머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자동식 작살에 있어서,
    상기 충격해머(10)에는 다수의 고정홈(11)이 충격해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배치되고, 상기 해머고정부재(50)에는 이 고정홈(11)과 상보적인 형상인 1개의 고정돌기(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작살.
  2. 탄성수단에 의해 밀어부쳐져 작살샤프트(30)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해머(10)와, 이 충격해머(10)의 충격력에 의해 격발되는 작살샤프트부(30)와, 이 작살샤프트부(30)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작살날부(40) 및 상기 충격해머(10)를 고정/해제하는 해머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자동식 작살에 있어서,
    상기 충격해머(10)에는 1개의 고정돌기(51)가 형성배치되고, 상기 해머고정부재(50)에는 이 고정돌기(51)와 상보적인 형상인 다수의 고정홈(11)이 해머고정부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작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1)은 직각삼각형 형상의 홈이고, 상기 고정돌기(51)는 상기 충 격해머(10)에 대면하는 해머고정부재(50)의 부분 상에 배치된 상기 고정홈(11)과 상보적인 직각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작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해머(10)의 뒤쪽에는 그 후단부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뻗어있는 스프링수용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수용홈(14) 내에는 스프링의 전단부(2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작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고정부재(50)의 전단부는 작살하우징(H)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외력에 의하여 회동되어 그 고정돌기(51) 상에 안착되어 고정된 충격해머(10)를 해제하며, 그 타단부에는 해머고정부재(5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수단(5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작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살샤프트(30)의 전단부와, 상기 작살날부(40)의 후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수나사부(3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나사부(31)와 상보적인 암나사부(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작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살날부(40)에는 이탈방지핀(4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작살.
KR2020050028849U 2005-10-10 2005-10-10 자동식 작살 KR200405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49U KR200405811Y1 (ko) 2005-10-10 2005-10-10 자동식 작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49U KR200405811Y1 (ko) 2005-10-10 2005-10-10 자동식 작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11Y1 true KR200405811Y1 (ko) 2006-01-11

Family

ID=4175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849U KR200405811Y1 (ko) 2005-10-10 2005-10-10 자동식 작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8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065A (ko) * 2014-06-05 2015-12-15 한신철 어식성 물고기 포획용 작살의 유인용 음향발생장치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US20220394960A1 (en) * 2021-06-12 2022-12-15 Justin Hughey Fishing head with retractable blades for bowfish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065A (ko) * 2014-06-05 2015-12-15 한신철 어식성 물고기 포획용 작살의 유인용 음향발생장치
KR101589893B1 (ko) * 2014-06-05 2016-01-28 한신철 어식성 물고기 포획용 작살의 유인용 음향발생장치
KR101581644B1 (ko) *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US20220394960A1 (en) * 2021-06-12 2022-12-15 Justin Hughey Fishing head with retractable blades for bowfi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1578B1 (en) Ear tag applicator
US8771112B2 (en) Broadhead
KR200405811Y1 (ko) 자동식 작살
CA2731516C (en) Explosive discharge actuated tool for driving fasteners
US9395145B2 (en) Automatic line release mechanism for a bow
EP1586850A3 (en) Pistol with magazine disconnect
US2947106A (en) Fish hook removers
US4173964A (en) Safety for the trigger mechanism of a gun
EP0634621A1 (fr) Mécanisme de mise à feu pour armes à feu
EP3246654A1 (en) Secondary safety device for crossbows
KR101497876B1 (ko) 자동 타격 장치
WO2018032590A1 (zh) 一种带剥离功能的钎杆
KR100880206B1 (ko)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KR20180031129A (ko) 공기총용 자동탄창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US5960574A (en) Bolt for a muzzle-loaded rifle
US4757628A (en) Shark saber
NZ335702A (en) Ear tag applicator biased to open once latch has been released
US4228606A (en) Means for mounting cylinder to frame of small hand gun
KR20170019405A (ko) 낚시 추 발사장치
TW200408507A (en) Explosively actuated tools
US5515751A (en) Tire puncture repair device
KR101565118B1 (ko) 절골장치
US3883062A (en) Cartridge ejection device for an explosion driven setting gun
US3496975A (en) Ratchet-type nutcracker
US20180361177A1 (en) Expandable baton structure with hidden smasher at rear end of handle and hidden smash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