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206B1 -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206B1
KR100880206B1 KR1020080097541A KR20080097541A KR100880206B1 KR 100880206 B1 KR100880206 B1 KR 100880206B1 KR 1020080097541 A KR1020080097541 A KR 1020080097541A KR 20080097541 A KR20080097541 A KR 20080097541A KR 100880206 B1 KR100880206 B1 KR 10088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ok
residual pressure
syringe
pist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호
Original Assignee
김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호 filed Critical 김충호
Priority to KR102008009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4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oo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1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piston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등의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데 사용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실례로 실리콘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그 배출되는 관성에 의해서 스위치를 OFF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불필요한 잔량 배출을 지속시키는 내부 잔압을 해제하여 잔량 배출을 신속히 멈추게 하며, 그를 위해서 실리콘이 충진된 실린지와 그 실린지에 결합되는 피스톤, 피스톤후크의 결합구조를 최적으로 달성한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 걸림돌기, 피스톤후크, 피스톤푸셔, 연동수단

Description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Inner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ruster}
본 발명은 실리콘 등의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데 사용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실례로 실리콘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그 배출되는 관성에 의해서 스위치를 OFF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불필요한 잔량 배출을 지속시키는 내부 잔압을 해제하여 잔량 배출을 신속히 멈추게 하며, 그를 위해서 실리콘이 충진된 실린지와 그 실린지에 결합되는 피스톤, 피스톤후크의 결합구조를 최적으로 달성한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스트란 젤 상태의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코자 하는 페이스트는 실리콘과 같은 형태의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실리콘과 같은 페이스트 내용물은 적당한 방식으로 토출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사용의 방식은 가장 일반화된 실리콘건을 통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실리콘 건은 몸체의 전면에 실린지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1)가 형성되고, 방아쇠(2)를 클릭하는 작업을 통해서 연동봉(3)을 좌우 방향으로 연동시키며 실린지 내부의 실리콘을 배출한다. 이때 종래의 연동봉(3)은 전진은 가능하지만 후퇴가 불가능하기에 작업에 사용되는 적당량의 실리콘 주입에 많은 문제점을 가져왔다.
즉, 일단 방아쇠(2)를 당겨서 일정한 범위까지 전진된 연동봉(3)은 작업장에서 일정량을 주입하고 더 이상의 주입을 중지하려고 할 경우에도 연동된 범위까지 내용물인 실리콘은 빠져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린지 내부의 내압이 "0"이 될때까지 어쩔 수 없이 토출시킬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내용물의 낭비는 물론 작업현장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점은 낳는다.
본 발명은 실리콘 등의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데 사용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례로 실리콘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그 배출되는 관성에 의해서 스위치를 OFF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불필요한 잔량 배출을 지속시키는 내부 잔압을 해제하여 잔량 배출을 신속히 멈추게 하며, 그를 위해서 실리콘이 충진된 실린지와 그 실린지에 결합되는 피스톤, 피스톤후크의 결합구조를 최적으로 달성한 토출기의 잔압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는,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1)이 충진된 원통형의 실린지(10) 일측에 피스톤(11)을 형성하되, 정중심부에서 돌출된 걸림턱(12)을 가진 원형의 걸림돌기(13)와; 위 걸림돌기(13)가 끼워지게 삽입공(21)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부(22)를 형성한 원반형의 피스톤후크(20)와; 위 피스톤후크(20)의 배면에서 볼트(31) 결합되며, 연동봉(40)의 끝단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볼트공(33)이 형성된 피스톤푸셔(30)와; 볼트공(33)에 삽입된 볼트(34)로 체결된 피스톤푸셔(30)를 좌우 연동시켜주는 연동수단(9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서는 연동봉(40)을 연동시킴에 피스톤후크(20)가 피스톤(11)을 밀어 실린지(10) 내부 압을 증가시키는 작동으로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1)을 배출시키고, 피스톤후크(20)가 피스톤(11)을 잡아당겨 실린지(10) 내부압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 따른 피스톤후크(20)의 삽입공(21)에는 삽입공(2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쌍의 반원형의 피스톤 후크편(23)을 돌출시켜 스크류(24) 체결하고 피스톤 걸림돌기(13)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고; 대응되는 피스톤 후크편(23)과 걸림돌기(13)는 그 측면을 대응되게 사선으로 절단한 테이퍼면(19)을 형성하여 삽입시는 수월하지만 빠지지는 않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 따른 피스톤 후크편(23)이 체결된 피스톤후크(20)에는 삽입공(21)의 상부를 개구한 장형의 착탈공(28)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 따른 피스톤 후크편(23)은 피스톤후크(20)의 접촉면 내부에 삽입홈을 설치한 후 삽입 설치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서 피스톤 후크편(23)을 체결하는 스크류(24)에는 탄성스프링(47)이나 비틀림와셔(48)를 삽입하여 탄성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서 연동봉(40)을 좌우 연동시켜주는 연동수단(90)은, 연동봉(40)의 끝단 일측면에 형성시킨 렉기어(51); 렉기어(51)에 대응되게 모터(60)의 회전축에 체결된 감속기(61)와 연결된 회동기어(62); 모터(6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기(70); 모터(60)의 회전을 작동시키는 ON-OFF스위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서는 ON-OFF스위치(80)를 가압하면 충전기(70)의 동력이 접지부(71)를 통해 모터(60)에 전달되고, 모터(60)가 회전하여 회동기어(62)에 치합된 렉기어(51)를 연동시킴으로 연동봉(40)을 좌우 수평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에서 연동수단(90)에는 ON-OFF스위치(8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어부(78)를 통해 자동으로 역회전시켜 연동봉(40)을 후퇴시키게 역회전 프로그램화 되어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실리콘 등의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이 충진된 토출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피스톤과 피스톤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봉, 피스톤푸셔 및 피스톤후크의 결합이 정확하고 해체가 쉬워 졌으며, 그에 따라 작동이 간편해진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실리콘 등의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을 토출시킴에도 적당량을 토출하고, 불필요한 상태에서 내압의 유지로 인하여 계속해서 토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내용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토출기를 간편히 조작할 수 있으며 그 조작도 정확하여 작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 즉, 실리콘과 같은 내용물을 적정량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 2] 내지 [도 6]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1)이 충진된 원통형의 실린지(10) 일측에 피스톤(11)을 형성한다. 피스톤(11)의 다음으로는 원반향의 피스톤후크(20)가 제공되는데, 정중심부에서 돌출된 걸림턱(12)을 가진 원형의 걸림돌기(13)가 있고, 걸림돌기(13)가 끼워지게 삽입공(21)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부(22)를 형성하였다. 피스톤후크(20)의 배면에서 볼트(31) 결합되며, 연동봉(40)의 끝단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볼트공(33)이 형성된 피스톤푸셔(30)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공(33)에 삽입된 볼트(34)로 체결된 피스톤푸셔(30)를 좌우 연동시켜주는 연동수단(9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연동봉(40)을 연동시킴에 피스톤후크(20)가 피스톤(11)을 밀어 실린지(10) 내부 압을 증가시키는 작동으로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1)을 배출시키기도 하고, 피스톤후크(20)가 피스톤(11)을 잡아당겨 실린지(10) 내부압을 감소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종래의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1)을 토출시키는 기구나 장치의 경우 설명된 것처럼 내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기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실례로 실리콘을 토출시키는 토출기를 들어 설명하자면, 페이스트 상태의 실리콘이 충진된 실린지가 있고, 실린지는 원통형이며 일측단에는 토출을 위한 토출공이 형성된다. 토출공의 타측으로 피스톤이 끼워져 있기에 사용자가 피스톤을 가압하면 실린지 내부의 실리콘이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상 피스톤은 일측방향 즉, 실린지 내부의 압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만 작동된다. 이 실리콘 통인 실린지를 사용하게 하는 실리콘 건이 항상 연동봉을 피스톤을 가압하는 방향으로만 작동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을 잡아 뺄 수 있는 방향으로는 이동을 하더라도 피스톤이 뽑혀 나올 수 있는 구조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일단 가압된 피스톤은 배후로 이동될 수 없기에 내부압이 "0"으로 될 때까지 실린지 내부의 실리콘을 토출시키는 것이다. 이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점을 낳는다. 즉, 사용자가 실리콘의 적정량을 필요한 부위에 쏘고 나서 들어올리게 되면, 더 이상의 토출이 중지되어야 다음의 작업을 하는데 용이하다. 그리고 다 사용하고 나서도 더 이상의 토출이 없어야 보관이 용이하다. 종래의 실린지는 이러한 기능이 없기에 항상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도시된 것처럼, 실린지(10)의 끝단에 끼워지는 피스톤(11)의 정 중앙에 원형의 걸림돌기(13)를 형성하고 있다. 이 원형의 걸림돌기(13)는 [도 2]에서처럼 돌출된 상태로 가압은 물론 피스톤(11)을 잡아 뺄 수 있기 용이하게 형성되어 있기에 사용자가 피스톤(11)을 가압하고 적정량 잡아 뺀 상태에서 작업을 준비할 경우에도 실린지 내부의 실리콘이 토출공을 향해 토출되는 문제점이 없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의도된 피스톤(11)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구성이 피스톤후크(20)이다. 피스톤후크(20)는 피스톤(11)의 걸림돌기(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반형의 몸체 정 중심부에 삽입공(21)이 형성되어 걸림돌기(13)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피스톤후크(20)가 연동을 위한 연동봉(40)의 끝단에 결합되기 위해서 피스톤후크(20)의 배면에는 볼트(31)로 결합되는 피스톤푸셔(30)를 설치한다. 피스톤푸셔(30)도 피스톤후크(20)와 동일 형상인 원반형의 형태를 유지하며, 피스톤후크(20)와 결합을 위해서 볼트(31)를 사용하며, 연동봉(40)의 끝단부에 결합을 위해서 별도의 볼트공(33)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공(33)에 볼트(34)를 끼우고 연동봉(40)에 형성된 스크류공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두 구성요소는 견고한 체결을 달성한다.
연동봉(40)을 좌우 연동시키는 연동수단(90)의 작동을 통해서 연동봉(40)이 좌우로 연동하게 되면, 피스톤푸셔(30)는 가압되고, 결국 실린지(10)의 피스톤(11)을 가압하여 실리콘을 토출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중요한 요소는 피스톤(1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3)를 잡아 뽑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기에 연동봉(40)을 잡아 뽑게 되면 피스톤(11)도 같이 당겨져 일단 가압된 가압력으로 내압이 상승된 실린지(10)의 내압을 떨어트릴 수 있어서, 불필요하게 실리콘이 흘러내리는 경우의 발생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동수단(90)은 종래 사용되던 실리콘건을 사용할 수도 있 고, 별도의 주지 내지는 공지된 연동봉(40) 좌우 연동수단(90)을 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많은 연동수단(90) 중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일 실시예의 연동수단(90)을 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동수단(9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된 방식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의 또 다른 결합으로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후크(20)의 삽입공(21)에는, 삽입공(2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쌍의 반원형의 피스톤 후크편(23)을 돌출시켜 스크류(24) 체결하고 피스톤 걸림돌기(13)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스톤의 걸림돌기(13)와 피스톤후크(20)와의 보다 견고하지만 용이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서, 피스톤후크(20)의 삽입공(21)을 포개어 덮을 수 있는 피스톤 후크편(23)을 스크류(24) 체결하는 것이다.
피스톤 후크편(23)은 일측단이 삽입공(21)의 지름에 비하여 다소 작은 형태의 일부 구형으로 절단된 상태이고, 타측부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통을 관통하는 스크류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공에 스크류(24)를 삽입하고 피스톤후크(20)에 형성된 스크류공에 체결하면 피스톤 후크편(23)이 삽입공에서 다소 돌출된 상태로 포개어져 체결된다. 이는 피스톤(11)을 가압하여 삽입공(21)에 밀어 넣을 때,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피스톤 후크편(23)을 가압하여 밀어 젖히며 걸림돌기(13)가 들어오지만, 빠지지는 않고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다.
본 발명에서 피스톤 후크편(23)은 피스톤후크(20) 상에 단순 설치될 수도 있지만(도 4 참조) 피스톤후크(20)의 접촉면 내로 삽입홈을 설치한 후 그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도 5 참조). 피스톤후크(20)의 접촉면 내부에 삽입홈을 설치한 후에 삽입 설치되는 경우에는 삽입 작용이 반복 되더라도 공고하게 그 설치 위치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토출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장기간 진행하게 되면 걸림돌기(13)가 삽입공을 통해 반복하여 피스톤후크(20) 내로 삽입하면서 피스톤 후크편(23)을 기계적으로 가압하여 밀게 되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피스톤 후크편(23)의 고정이 느슨하여져서 이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스톤후크(20)의 접촉면 내부에 삽입홈을 설치하고, 피스톤 후크편(23)은 그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 후크편(23)의 작용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대응되는 피스톤 후크편(23)과 걸림돌기(13)는 측면을 대응되게 사선으로 절단한 테이퍼면(19)을 형성하여, 삽입시는 수월하지만 빠지지는 않도록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화살촉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일단 삽입되는 것은 쉬우나 걸림돌기(13)와 피스톤 후크편(23)에 대응되는 테이퍼면(19)은 서로 빠지지 않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어서 피스톤후크(20)가 연동봉(40)과 피스톤푸셔(30)에 의해서 후방으로 후퇴를 할 때, 피스톤 후크편(23)이 걸림돌기(13)를 잡아 빼면서 내압을 감소시키기 유리하다.
피스톤 후크편(23)이 체결된 피스톤후크(20)에는 삽입공(21)의 상부를 개구한 장형의 착탈공(28)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실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실리콘 토출기나 토출건의 경우, 단품으로 구매하여 하나의 실린지(10)를 사용하고 나면, 이를 새것으로 교체하여 또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피스톤후크(20)와 피스톤(11)은 착탈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만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피스톤 후크편(23)에 따라 체결은 용이하지만 빠지지 않는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 이렇게 다수의 실린지(10)를 사용하기 힘든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조를 비치하고 있다. 즉, 피스톤후크(20)의 삽입공(21) 상부를 개구하여 일측으로 터진 착탈공(28)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면 일단 하나의 실린지(10)를 다 사용하고 나면, 연동봉(40)과 피스톤푸셔(30)에 체결된 피스톤후크(20)를 상부로 올려 피스톤(11)의 걸림돌기(13)가 착탈공(28)으로 타고 빠져나와 서로 손쉽게 빠질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착탈공(28)의 구조로 본 발명의 실린지(10)는 교체 가능한 장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실린지(10)의 지름에 비하여 충분히 작은 지름으로 본 발명의 피스톤후크(20)와 피스톤푸셔(30)를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피스톤 후크편(23)을 체결하는 스크류(24)에는 탄성스프링(47)이나 비틀림와셔(48)를 삽입하여 탄성력을 향상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피스톤 후크편(23)은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탄성력을 더욱 배가 될 수 있도록 스크류(24)의 외주면에 탄성스프링(47)이나 또는 비틀림와셔(48)를 끼워 어느 정도의 유동 공간부를 제공함으로 이러한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본 발명의 걸림돌기(13)는 보다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그 설명을 미루어 놓은, 연동봉(40)을 좌우 연동시켜주는 연동수단(9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6]에서처럼, 본 발명은 연동봉(40)의 끝단 일측면에 형성시킨 렉기어(51)가 있고, 렉기어(51)에 대응되게 모터(60)의 회전축에 체결된 감속기(61)와 연결된 회동기어(62)가 있으며, 모터(6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기(70)가 있다. 또한 모터(60)의 회전을 작동시키는 ON-OFF스위치(8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ON-OFF스위치(80)를 가압하면 충전기(70)의 동력이 접지부(71)를 통해 모터(60)에 전달되고, 모터(60)가 회전하여 회동기어(62)에 치합된 렉기어(51)를 연동시킴으로 연동봉(40)을 좌우 수평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2]의 분해사시도와 [도 3]의 단면도에서 보이듯, 연동봉(40)의 일측단에는 렉기어(51)를 형성하고 렉기어(51)를 회동기어(62)를 통해서 이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즉, 충전기(70)의 전력을 접지부(71)를 통해서 전달받은 모터가 ON-OFF스위 치(80)를 가압하게 되면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력은 감속기(61)를 통해서 감속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감속기(61)의 축에 고정된 회동기어(62)가 회전하면 회동기어(62)에 치합된 렉기어(51)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렉기어(51)는 사실상 연동봉(40)에 일체로 성형된 상태이기에 연동봉(40)의 이동이 될 것이며, 이 이동에 따라서 연동봉(40)의 끝단에 체결된 피스톤푸셔(30)와 피스톤후크(20) 및 피스톤(11)이 이동하며 실리콘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피스톤(11)의 끝단에 걸림돌기(13)가 형성된 상태이기에 모터(60)가 역회전을 하게 되면 피스톤(11)을 뽑아 실린지(10) 내부의 압력을 떨어트리는 작동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터(60)와 충전지(70) 및 ON-OFF스위치(80)의 결합은 종래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건이나 드릴의 형태처럼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미설명된 부호 K는 가이드구로서 연동봉이 수평된 연동운동을 달성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동수단(90)에는 ON-OFF스위치(8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어부(78)를 통해 자동으로 역회전시켜 연동봉(40)을 후퇴시키게 역회전 프로그램화 되어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즉, 주로 실리콘을 토출하여 필요한 부위에 주입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실시예가 사용된다면, ON-OFF스위치(80)를 가압하면 회동기어(62)가 렉기어(51)를 작동시켜 실린지(10)의 피스톤(11)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동을 시키다가 ON-OFF스위 치(80)의 가압력을 풀게 되면 자동으로 모터(60)의 역회전을 유도하여 실린지(10) 내부의 압력을 떨어트리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프로그램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간단히 제어부(78)를 통해서 달성하는데, 역회전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불필요한 작업의 연속을 제거하기 위한 배려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실리콘 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의 작동 모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의 작동 모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식화한 시스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내용물 10; 실린지
11; 피스톤 12; 걸림턱
13; 걸림돌기 20; 피스톤후크
21; 삽입공 22; 공간부
23; 피스톤 후크편 24; 스크류
28; 착탈공 30; 피스톤푸셔
31; 볼트 33; 볼트공
34; 볼트 40; 연동봉
47; 탄성스프링 48; 비틀림와셔
51; 렉기어 61; 감속기
60; 모터 62; 회동기어
70; 충전기 71; 접지부
78; 제어부 80; ON-OFF스위치
90; 연동수단

Claims (7)

  1. 일측에 걸림돌기(13)를 구비한 피스톤(11)이 마련된 실린지(10)에 대하여 내용물의 토출시에 잔압을 제거하기 위한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로서,
    상기 걸림돌기(13)가 끼워지게 삽입공(21)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부(22)를 형성한 피스톤후크(20);
    상기 피스톤후크(20)의 배면에서 결합되며 연동봉(40)의 끝단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33)이 형성된 피스톤푸셔(30); 및
    상기 피스톤푸셔(30)를 좌우 연동시켜주는 연동수단(90);
    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동봉(40)을 연동시킴에 따라 상기 피스톤후크(20)가 상기 피스톤(11)을 밀어 상기 실린지(10)의 내부 압을 증가시켜 내용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피스톤후크(20)가 상기 피스톤(11)을 잡아당겨 상기 실린지(10)의 내부 압을 감소시켜 내용물의 배출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후크(20)의 삽입공(21)에는, 삽입공(2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피스톤 후크편(23)을 돌출시켜 체결하고 피스톤 걸림돌기(13)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후크편(23)이 체결된 피스톤후크(20)에는, 삽입공(21)의 상부를 추가 확장한 착탈공(28)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후크편(23)은 상기 피스톤후크(20)의 접촉면 내부에 삽입홈을 설치한 후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피스톤 후크편(23)과 걸림돌기(13)는 그 측면을 대응되게 사선으로 절단한 테이퍼면(19)을 형성하여, 삽입시는 수월하지만 빠지지는 않도록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후크편(23)을 체결하는 스크류(24)에는, 탄성스프링(47) 및 비틀림와셔(48)의 하나 이상을 삽입하여 탄성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KR1020080097541A 2008-10-06 2008-10-06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KR10088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41A KR100880206B1 (ko) 2008-10-06 2008-10-06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41A KR100880206B1 (ko) 2008-10-06 2008-10-06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206B1 true KR100880206B1 (ko) 2009-01-28

Family

ID=4048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41A KR100880206B1 (ko) 2008-10-06 2008-10-06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2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05B1 (ko) * 2011-05-24 2013-05-07 이병남 실리콘건
CN105772353A (zh) * 2016-05-09 2016-07-20 赵夫超 一种玻璃胶枪的挤出杆
KR101663596B1 (ko) * 2016-01-08 2016-10-14 김재찬 실리콘 건
RU2651661C2 (ru) * 2016-03-25 2018-04-23 Гурген Мисакович Барсегян Рукоятка дрели с механизмом подач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020A (ja) 1984-01-20 1985-08-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粘稠剤の押出装置
JPH0380959A (ja) * 1989-08-25 1991-04-05 Nippon Shiika Kk 押出しガン用粘性材装填装置
JPH1136571A (ja) 1997-07-17 1999-02-09 Ueki:Kk シーリング材の注入ガン
KR200356512Y1 (ko) 2004-04-09 2004-07-16 박동기 실리콘시공건의 여압자동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020A (ja) 1984-01-20 1985-08-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粘稠剤の押出装置
JPH0380959A (ja) * 1989-08-25 1991-04-05 Nippon Shiika Kk 押出しガン用粘性材装填装置
JPH1136571A (ja) 1997-07-17 1999-02-09 Ueki:Kk シーリング材の注入ガン
KR200356512Y1 (ko) 2004-04-09 2004-07-16 박동기 실리콘시공건의 여압자동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05B1 (ko) * 2011-05-24 2013-05-07 이병남 실리콘건
KR101663596B1 (ko) * 2016-01-08 2016-10-14 김재찬 실리콘 건
RU2651661C2 (ru) * 2016-03-25 2018-04-23 Гурген Мисакович Барсегян Рукоятка дрели с механизмом подачи
CN105772353A (zh) * 2016-05-09 2016-07-20 赵夫超 一种玻璃胶枪的挤出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206B1 (ko)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US8091542B2 (en) Electric toy gun with a power break control mechanism
CA2509323C (en) Injection device
AU593161B2 (en) Implanting device
CA2882229C (en) Automatic injection device
US4474572A (en) Implanting device and implant magazine
CN203578058U (zh) 动力分配工具
EP1516638B1 (de) Vorrichtung für eine dosierte Abgabe eines injizierbaren Produkts
EP3424575B1 (en) Toy gun
EP2221570A2 (en) Paintball loader
RU2014113407A (ru) Перезаряжаемы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инъектор
KR20140105756A (ko) 니들 프리 피내 주입 장치
US20110192386A1 (en) Electric toy gun with an improved power break control mechanism
EP1935572A1 (de) Handgeführtes Eintreibgerät
KR102290196B1 (ko) 다방향 발사기
WO2008114461A1 (ja) 模擬銃における安全装置
EP2703766B1 (de) Handfeuerwaffe
EP2390614B1 (en) Electric toy gun with an improved power break control mechanism
KR101290258B1 (ko) 마늘 세절장치
CN109622247A (zh) 一种脱油设备
KR200405811Y1 (ko) 자동식 작살
KR200324355Y1 (ko) 전동 실리콘건
KR20040104102A (ko) 전동 실리콘건
CN102179797A (zh) 带可释放的工件接触件的紧固工具
CN208660330U (zh) 可保持加速的发射器和具有其的发射玩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