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405B1 - 실리콘건 - Google Patents

실리콘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405B1
KR101259405B1 KR1020110049200A KR20110049200A KR101259405B1 KR 101259405 B1 KR101259405 B1 KR 101259405B1 KR 1020110049200 A KR1020110049200 A KR 1020110049200A KR 20110049200 A KR20110049200 A KR 20110049200A KR 101259405 B1 KR101259405 B1 KR 10125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push
actuating
spring pi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029A (ko
Inventor
이병남
Original Assignee
이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남 filed Critical 이병남
Priority to KR102011004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40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이 충진된 실리콘튜브를 실리콘건에 장착한 다음 실리콘건에 구비된 작동레버를 당겨 실리콘튜브 내에 충진된 실리콘이 배출되게 하는 과정에서 실리콘 작업을 잠시 중지한 상태에서도 실리콘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고, 또한 실리콘 가압용 로드를 임의 방향으로 절곡하여 그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하여 어느 작업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실리콘건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실리콘건{silicone gun}
본 발명은 유리 창문이나 창틀의 테두리, 타일 등과 같은 각종 자재간의 접착을 위하여 사용하는 실리콘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이 충진된 실리콘튜브를 실리콘건에 장착한 다음 실리콘건에 구비된 작동레버를 당겨 실리콘튜브 내에 충진된 실리콘이 배출되게 하는 과정에서 실리콘 작업을 잠시 중지한 상태에서도 튜브내의 잔존된 실리콘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고, 또한 실리콘 가압용 로드를 임의 방향으로 절곡하여 그 크기(길이)를 변형시킬 수 있게 한 실리콘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자재간의 마무리 접합을 위한 수단으로서, 실리콘을 이용한 접착 작업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실리콘 작업을 위하여서는 실리콘이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튜브를 실리콘건에 장치한 다음 작동레버를 당겨 실리콘튜브 내에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이 배출구를 통하여 압출되어 배출되게 함으로서 접합하는 부위에서 실리콘에 의해 자재 상호간을 접합되게 한 것이다.
도 13에는 종래의 실리콘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종래의 실리콘건(10)은 실리콘이 충전되어 있는 실리콘튜브가 설치되며, 전방에는 실리콘튜브에 구비된 토출구가 위치하는 스톱 플레이트(22)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1,제2격벽(24,26)이 이격 설치되며 하부로는 손잡이(30)가 돌출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후방으로부터 제1,제2격벽(24,26)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몸체(20)에 설치되는 실리콘튜브의 내부로 삽입되어 실리콘을 밀어내는 밀판(42)이 구비된 푸시로드(40)와, 상기 푸시로드(40)가 끼움되도록 상기 제1,제2격벽(24,26)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로드(40)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판(50)과, 상기 작동판(50)에 소정 텐션을 부여하도록 상기 푸시로드(40)의 외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격벽(24)과 작동판(50)의 사이에 설치된 작동스프링(60)과, 상기 작동스프링(60)을 압축하도록 상기 작동판(50)을 전진시킴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40)를 전진시킬 수 있게 상기 손잡이(30)의 전방에 힌지 결합된 작동레바(70)와, 상기 작동레버(70)의 조작에 의해 전진된 푸시로드(40)가 후진되지 못하게 상기 푸시로드(40)가 끼움되도록 제2격벽(26)의 후방에 일측단을 중심으로 타측단이 회동 가능하게 몸체(20)에 소정 경사를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경사진 상태를 수직을 이루게 회동시킴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40)를 인위적으로 후진시켜 복귀시킬 수 있는 된 복귀판(80)과, 상기 복귀판(80)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상기 푸시로드(40)의 외주로 배치되어 상기 복귀판(80)과 제2격벽(26)의 사이에 설치된 복귀스프링(9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실리콘건(10)에서 상기 작동레바(70)와 작동판(50)의 구조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작동판(50)에는 푸시로드(40)가 관통되게 작동공이 형성되어 그 작동공에 푸시로드(40)가 끼움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바(70)를 당기면 작동레버(70)의 상단부가 작동판(50)의 하부를 밀게 되고, 미는 과정의 초기에 푸시로드(40)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던 작동판(50)의 하부가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진하면서 푸시로드(40)를 전진시킨다. 즉, 작동판(50)이 푸시로드(40)에 대하여 수직위치에서 소정 경사를 이루게 기울어지게 위치되면서 작동판(50)의 작동공이 푸시로드(40)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하면서 푸시로드(40)를 전진시키게 되고, 작동레바(70)를 놓으면 작동판(50)은 작동스프링(60)의 복원에 의하여 후퇴하여 복원된다.
또한, 상기 복귀판(80)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복귀판(80)에는 푸시로드(40)가 관통되게 복귀공이 형성되어 그 복귀공에 푸시로드(40)가 끼움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70)의 조작에 의해 푸시로드(40)의 전진과정에서는 복귀스프링(90)이 푸시로드(40)의 전진과정에 따라 미세하게 압착되면서 소정 경사를 이루게 설치된 복귀판(80)이 푸시로드(40)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되어 복귀공과 푸시로드(40)의 외주가 이격되므로 푸시로드(40)의 전진이 가능하게 되고, 또 푸시로드(40)의 전진이 완료되어 복귀스프링(90)에 의해 복원될 때 상기 복귀판(80)이 다시 소정 경사를 이루게 기울어지는 상태로 되어 상기 푸시로드(40)와 복귀공이 밀착되어 푸시로드(40)는 후퇴하지 않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한 작동판(50)만 후퇴하게 된다.
특히, 상기 푸시로드(40)가 완전히 전진하여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소정 경사를 이루게 설치된 복귀판(80)을 전방으로 밀어 수직상태를 이루게 하면 상기 복귀스프링(90)이 압착되면서 복귀판(80)에 압착되는 푸시로드(40)의 압착상태를 해지하여 상기 푸시로드(40)를 후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실리콘건(10)은 상기 작동레버(70)를 당겨 실리콘튜브 내에 끼워진 압축판을 밀어 압축되게 하면 압축판의 압축력에 의해 실리콘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당겼던 작동레버(70)를 놓아 복위되어도 실리콘튜브 내에는 압축되었던 압력이 잔류하면서 그 잔류압력에 의해 토출구를 통하여 실리콘이 계속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이 계속 흘러나오게 되면 다음 작업을 위하여 실리콘튜브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토출구를 실리콘작업을 하고자 하는 위치에 접촉시키면 잔류압력에 의해 계속 흘러나오는 실리콘에 의해 실리콘작업을 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에 접착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두껍게 층이 발생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폐단 때문에 일반적으로 토출구로 흘러나오는 실리콘을 작업자의 장갑 등에 이용하여 깨끗하게 닦은 후, 다음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실리콘건은 실리콘튜브를 밀어주기 위한 푸시로드(40)가 금속봉으로 구성됨에 의해 상기 푸시로브(40)가 몸체(20)의 후방으로 길게 돌출됨으로 인해 실리콘 작업시 공간적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몸체(20)의 후방으로 푸시로드(70)가 길게 돌출됨으로 인해 공간이 협소하거나 방해물이 있는 작업공간에서는 실리콘건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반 결점들에 비추어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링(Sealing) 작업을 잠시 중단한 상태에서도 실리콘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함으로서 작업시 외부로 배출된 실리콘을 일일이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성 향상 효과를 제공하고, 또한 실리콘 가압용 로드를 임의 방향으로 절곡하여 그 크기를 변형할 수 있게 하여 어느 작업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게 한 실리콘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이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튜브가 설치되며, 전방에는 실리콘튜브에 구비된 토출구가 위치하는 스톱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1,제2격벽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제1,제2격벽의 하부로는 손잡이가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부터 제1,제2격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실리콘튜브에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을 밀어낼 수 있는 밀판과 상기 밀판에 소정 텐션을 갖게 설치되어 상기 실리콘튜브에 구비되는 압축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가압수단; 상기 가압수단의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상기 제1,제2격벽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내측 상하부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1,제2작동판과 상기 제1,제2작동판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설치된 제1,제2작동스프링과 상기 제1,제2작동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는 제1,제2작동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작동으로 하여금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후진 작동되게 손잡이의 전방에 힌지 결합된 작동레버로 이루어진 작동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실리콘튜브 내에 압력을 가할 때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실리콘튜브를 고정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몸체의 후단 일측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실리콘튜브의 단부에 걸려 고정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지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는 상호 밀착되게 감기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외력이 가해질 경우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작동판은 푸시용 스프링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그 끼움구멍의 상하측에는 작동돌기가 상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에 작동돌기의 끝단이 인접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작동레버에 의해 상기 제1,제2작동판이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후진되게 작동될 때 그 제1,제2작동판의 경사에 의해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한 상태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를 전후진 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는 제1,제2작동판이 설치되는 부위에서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제1,제2작동판이 설치되는 상기 제1,제2격벽의 사이에 지지관을 설치하여 그 지지관을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를 끼움 결합하고, 상기 지지관의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돌기가 작동구멍을 통해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작동판의 사이에는 스톱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편은 경사면과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밀판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리콘튜브에 구비된 압축판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밀판의 중심부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회전되게 복원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압축판에 결합된 걸림편을 해지할 수 있게 하는 끈을 설치하되, 상기 끈은 걸림편에 일측부가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내부를 지나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끝단부에서 고정구에 고정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고정구를 잡아당겨 상기 끈들에 의해 걸림편이 밀판의 중심부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회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건의 작업을 위해 작동레버를 당겨 실리콘튜브 내에 충진된 실리콘이 배출되게 하는 과정에서 실리콘 작업을 잠시 중지한 상태에서도 실리콘이 튜브 내에 잔류하는 압력에 의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고, 종래 외부로 흘러나온 실리콘을 일일이 닦지 않아도 되어 그 만큼 작업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실리콘 작업 개선 효과가 있고, 또 실리콘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튜브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로드를 외력에 의해 휘어지게 하여 그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효과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실리콘건에서 작동레버를 당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가압수단과 작동수단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에 구비되는 제1,제2작동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에 구비되는 가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에 구비되는 밀판을 일측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표시에 구비되는 밀판을 도 7표시와는 반대측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에 실리콘튜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실리콘건을 뒤에서 보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종래의 실리콘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G)은 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00)는 실리콘이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튜브(1)가 설치되며, 전방에는 실리콘튜브(1)에 구비된 토출구가 위치하는 스톱 플레이트(11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1,제2격벽(120,130)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제1,제2격벽(120,130)의 하부로는 손잡이(140)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G)은 가압수단(2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압수단(200)은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는 실리콘튜브(1)에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을 토출시킬 수 있게 실리콘튜브(1)의 내부를 밀어주도록 한 것으로, 상기 가압수단(200)은 몸체(100)의 후방으로부터 제1,제2격벽(120,130)을 관통하도록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가 설치되고,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선단에는 실리콘튜브(1)에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을 밀어낼 수 있게 하는 밀판(220)이 설치되며, 상기 밀판(220)에는 실리콘튜브(1)에 구비되는 압축판(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230)이 소정 텐션을 이루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판(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걸림편(230)은 경사면(232)과 걸림턱(234)을 구비하여 상기 밀판(220)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편(230)이 실리콘튜브(1)에 구비된 압축판(1a)에 결합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밀판(220)의 중심부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회전되게 복원스프링(236)이 설치되며, 상기 압축판(1a)에 결합된 걸림편(230)을 해지할 수 있게 하는 끈(238)이 설치된다.
이러한 끈(238)은 상기 걸림편(230)에 일측부가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내부를 지나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끝단부에서 고정구(240)에 고정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고정구(240)를 잡아당겨 상기 끈(238)에 의해 걸림편(230)이 밀판(220)의 중심부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편(230)에 의해 실리콘튜브(1)에 구비되는 압축판(1a)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구성 및 작용은, 상기 밀판(220)을 실리콘튜브(1)에 구비되는 압축판(1a)에 소정 힘으로 밀어주면, 상기 걸림편(230)의 경사면(232)에 의해 밀판(220)의 중심부로 걸림편(230)에 복원스프링(236)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회전된 후 복원스프링(236)의 복원력으로 복원되어 압축판(1a)에 걸려 고정된다.
이후, 압축판(1a)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끝단에 설치된 고정구(240)를 잡아당기게 되면, 그 고정구(240)에 고정된 끈(238)이 당겨지게 되어 상기 걸림편(230)은 복원스프링(236)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밀판(220)의 중심부로 회전되어 걸림 상태를 해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G)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는 상호 밀착되게 감기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이 가해질 경우 휘어지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외력에 의해 휘어지게 구성함에 의해 실리콘건의 작업 공간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게 한다. 즉,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G)은 작동수단(3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작동수단(300)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하는 제1,제2작동판(310,320)이 제1,제2격벽(120,130)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에는 내측 상하부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작동돌기(314a,324a,314b,324b)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돌기(314a,324a,314b,324b)에 의해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전후진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은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구멍(312,322)이 형성되고, 그 끼움구멍(312,322)의 상하측에 상기 작동돌기(314a,324a,314b,324b)가 상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작동돌기(314a,324a,314b,324b)의 끝단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작동레버(350)에 의해 제1,제2작동판(310,320)이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후진 되게 작동되면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전후진시킨다. 즉,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이 경사지게 작동됨에 의해 상기 작동돌기(314a,324a,314b,324b)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한 상태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하고자 제1,제2작동스프링(330,340)이 설치되며, 상기 제1,제2작동스프링(330,340)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는 제1,제2작동판(310,3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으로 하여금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전후진 시킬 수 있게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후진 작동되도록 손잡이(140)의 전방으로 힌지(352) 결합된 작동레버(35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35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이 소정 경사를 이루도록 작동하면서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전후진시킬 때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가 제1,제2작동판(310,320)이 설치된 부위에서 휨이 발생하지 않게 하고자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이 설치되는 상기 제1,제2격벽(120,130)의 사이에 지지관(360)을 설치하여 그 지지관(360)을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끼움 결합한다. 이때, 상기 지지관(360)의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구멍(362)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돌기(314a,324a,314b,324b)가 작동구멍(362)을 통해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접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의 사이에는 스톱퍼(370)를 설치하여,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의 작동거리를 제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건(G)은 지지수단(4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수단(400)은 상기 작동수단(300)에 의해 실리콘튜브(1) 내에 압력을 가할 때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는 실리콘튜브(1)를 고정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수단(400)은 몸체(100)의 후단 일측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실리콘튜브(1)의 단부에 걸려 고정 지지되는 지지편(410)과 상기 지지편(410)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지지스프링(42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건(G)을 구성하는 몸체(100)에 실리콘튜브(1)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실리콘튜브(1)의 선단 토출구를 스톱 플레이트(110)에 위치되게 한 후, 그 실리콘튜브(1)의 후단부를 상기 지지편(410)으로 고정 지지하고, 이후 상기 밀판(220)을 실리콘튜브(1)의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밀판(220)에 설치된 걸림편(230)은 경사면(232)에 의해 밀판(220)의 중심부로 복원스프링(236)에 의한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회전된 후 상기 복원스프링(236)에 의해 복원되어 실리콘튜브(1)에 구비된 압축판(1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350)를 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레버(350)의 상단부가 상기 제1작동판(310)의 하단부를 눌러주게 되어 상기 제1작동판(310)이 제1작동스프링(330)을 압축하면서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진하게 되고, 상기 제1작동판(310)이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진할 때 제1작동판(310)에 형성된 작동돌기(314a,324a,314b,324b)가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외주면을 밀착 가압한 상태로 전진됨에 의해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제2작동판(320)은 수직 상태를 이룬 상태로 제2작동스프링(340)에 의해 전진된다.
이후, 상기 작동레버(350)를 놓게 되면 상기 작동레버(350)가 복원되면서 상기 작동레버(350)의 상단부가 제2작동판(320)의 하부를 밀게 되어, 상기 제2작동판(320)이 제2작동스프링(340)을 압축하면서 소정 경사를 이루며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상기 제2작동판(320)의 작동돌기(314a,324a,314b,324b)가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외주면을 밀착 가압한 상태로 후퇴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작동판(310)은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전진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2작동판(320)은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후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제2작동판(310,320)이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후진되게 작동됨에 의해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가 전후진되면서 상기 실리콘튜브(1) 내에 압력을 가하여 실리콘튜브(1)의 선단 토출구를 통해 실리콘이 배출되게 한다. 즉,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가 피스톤운동(왕복운동)하면서 실리콘이 배출되게 함에 의해 작업을 중단한 상태에서 토출구를 통해 실리콘이 계속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는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음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시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임의 방향으로 휘어지게 한 후 작업함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는 평상시 제1,제2작동판(310,320)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자유로이 전후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완료 후 실리콘튜브(1) 내에 실리콘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후진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의 선단에 설치된 밀판(220)이 걸림편(230)에 의해 압축판(1a)에 고정된 상태임으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210)를 후진시킨 후, 압축판(1a)에 고정된 걸림편(230)의 고정 상태를 해지하면 상기 실리콘튜브(1) 내에는 토출구와는 반대방향으로 압이 발생되어 토출구를 통해 잔류압력에 의해 배출되지 않게 된다.
100 - 몸체 200 - 가압수단
210 - 푸시용 스프링파이프 220 - 밀판
230 - 걸림편 300 - 작동수단
310,320 - 제1,제2작동판 330,340 - 제1,제2작동스프링
350 - 작동레버 400 - 지지수단

Claims (6)

  1. 삭제
  2. 실리콘이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튜브가 설치되며, 전방에는 실리콘튜브에 구비된 토출구가 위치하는 스톱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1,제2격벽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제1,제2격벽의 하부로는 손잡이가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부터 제1,제2격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외력이 가해질 경우 휘어질 수 있도록 상호 밀착되게 감기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실리콘튜브에 충진되어 있는 실리콘을 밀어낼 수 있는 밀판과 상기 밀판에 소정 텐션을 갖게 설치되어 상기 실리콘튜브에 구비되는 압축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가압수단;
    상기 가압수단의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상기 제1,제2격벽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내측 상하부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1,제2작동판과 상기 제1,제2작동판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설치된 제1,제2작동스프링과 상기 제1,제2작동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는 제1,제2작동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작동으로 하여금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후진 작동되게 손잡이의 전방에 힌지 결합된 작동레버로 이루어진 작동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실리콘튜브 내에 압력을 가할 때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실리콘튜브를 고정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몸체의 후단 일측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실리콘튜브의 단부에 걸려 고정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지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작동판은 푸시용 스프링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그 끼움구멍의 상하측에는 작동돌기가 상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에 작동돌기의 끝단이 인접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작동레버에 의해 상기 제1,제2작동판이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전후진되게 작동될 때 그 제1,제2작동판의 경사에 의해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된 상태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건.
  4. 제3에 있어서,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는 제1,제2작동판이 설치되는 부위에서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제1,제2작동판이 설치되는 상기 제1,제2격벽의 사이에 지지관을 설치하여 그 지지관을 푸시용 스프링파이프를 끼움 결합하고, 상기 지지관의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돌기가 작동구멍을 통해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작동판의 사이에는 스톱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경사면과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밀판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리콘튜브에 구비된 압축판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밀판의 중심부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회전되게 복원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압축판에 결합된 걸림편을 해지할 수 있게 하는 끈을 설치하되, 상기 끈은 걸림편에 일측부가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내부를 지나 상기 푸시용 스프링파이프의 끝단부에서 고정구에 고정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고정구를 잡아당겨 상기 끈들에 의해 걸림편이 밀판의 중심부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회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건.
KR1020110049200A 2011-05-24 2011-05-24 실리콘건 KR10125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200A KR101259405B1 (ko) 2011-05-24 2011-05-24 실리콘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200A KR101259405B1 (ko) 2011-05-24 2011-05-24 실리콘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029A KR20120131029A (ko) 2012-12-04
KR101259405B1 true KR101259405B1 (ko) 2013-05-07

Family

ID=4751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200A KR101259405B1 (ko) 2011-05-24 2011-05-24 실리콘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40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0528A (zh) * 2013-07-30 2015-02-11 青岛罗素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昆虫信息素引诱剂的包装及挤出装置
KR101651471B1 (ko) 2016-02-29 2016-08-29 대동실란트(주) 실리콘건
KR101663596B1 (ko) 2016-01-08 2016-10-14 김재찬 실리콘 건
RU2651661C2 (ru) * 2016-03-25 2018-04-23 Гурген Мисакович Барсегян Рукоятка дрели с механизмом подачи
KR101965553B1 (ko) 2018-12-04 2019-04-04 김종성 코킹건
KR20190085721A (ko) 2018-01-11 2019-07-19 류수정 협소부 작업이 용이한 실리콘건
KR102151148B1 (ko) 2019-06-12 2020-09-02 장상훈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102223082B1 (ko) 2019-10-02 2021-03-03 장상훈 접힘식 실리콘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102466083B1 (ko) 2021-05-06 2022-11-10 이동철 실리콘 건
KR20230007193A (ko) 2021-07-05 2023-01-12 (주)투엔티원 기능성 실리콘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901B1 (ko) * 2013-03-21 2015-06-29 구원회 헤라가 장착된 실리콘 건
KR101663019B1 (ko) * 2016-05-25 2016-10-06 홍기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실리콘 건의 구조.
KR102164073B1 (ko) * 2018-07-23 2020-10-12 대동실란트(주) 실리콘건
CN110586215A (zh) * 2019-09-16 2019-12-20 甘肃金域医学检验所有限公司 一种用于病理封片的定量滴胶管
KR102610362B1 (ko) * 2023-07-03 2023-12-05 정희찬 다목적 실리콘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4827A1 (en) * 2000-01-25 2001-08-02 Adrian Paul Grieves Drip free caulking gun
KR100880206B1 (ko) * 2008-10-06 2009-01-28 김충호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4827A1 (en) * 2000-01-25 2001-08-02 Adrian Paul Grieves Drip free caulking gun
KR100880206B1 (ko) * 2008-10-06 2009-01-28 김충호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0528A (zh) * 2013-07-30 2015-02-11 青岛罗素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昆虫信息素引诱剂的包装及挤出装置
KR101663596B1 (ko) 2016-01-08 2016-10-14 김재찬 실리콘 건
KR101651471B1 (ko) 2016-02-29 2016-08-29 대동실란트(주) 실리콘건
RU2651661C2 (ru) * 2016-03-25 2018-04-23 Гурген Мисакович Барсегян Рукоятка дрели с механизмом подачи
KR20190085721A (ko) 2018-01-11 2019-07-19 류수정 협소부 작업이 용이한 실리콘건
KR101965553B1 (ko) 2018-12-04 2019-04-04 김종성 코킹건
KR102151148B1 (ko) 2019-06-12 2020-09-02 장상훈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102223082B1 (ko) 2019-10-02 2021-03-03 장상훈 접힘식 실리콘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102466083B1 (ko) 2021-05-06 2022-11-10 이동철 실리콘 건
KR20230007193A (ko) 2021-07-05 2023-01-12 (주)투엔티원 기능성 실리콘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029A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405B1 (ko) 실리콘건
CN113531136A (zh) 一种单向微调式液控节流装置
KR102070336B1 (ko) 거푸집용 연결핀
JP6491707B2 (ja) 簡易型防水装置
KR101225836B1 (ko) 방수제 도포기의 가압장치
KR101531901B1 (ko) 헤라가 장착된 실리콘 건
JP2018096114A (ja) 建物内への浸水防止装置
CN209184114U (zh) 一种电力拉线制作平台
KR200469590Y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KR200284405Y1 (ko) 실리콘건
CN110657314A (zh) 一种供水管道维修用堵水设备
CN108662332B (zh) 一种快速扣紧接头
CN109162525B (zh) 一种用在铝合金型材上的锁具快速装配结构
US2477910A (en) Ejector for reciprocating bender with pivoted sidearms
CN112296236B (zh) 一种连续的拉铆钉枪
CN206631881U (zh) 一种玻璃胶填缝装置
CN219773569U (zh) 一种用于清理脚手架上盘扣的装置
CN215907305U (zh) 墙面抹灰工具
CN215675511U (zh) 一种嵌入式室内机的过滤装置
CN210948263U (zh) 一种密封防水的推拉窗
CN211306000U (zh) 一种新型快速更换喷砂机枪头
KR101404197B1 (ko)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CN208185948U (zh) 一种拼接灯具
CN219411791U (zh) 一种建筑施工架连接锁扣
CN215918038U (zh) 一种钢管道内涂敷器发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