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102A - 전동 실리콘건 - Google Patents

전동 실리콘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102A
KR20040104102A KR1020030035514A KR20030035514A KR20040104102A KR 20040104102 A KR20040104102 A KR 20040104102A KR 1020030035514 A KR1020030035514 A KR 1020030035514A KR 20030035514 A KR20030035514 A KR 20030035514A KR 20040104102 A KR20040104102 A KR 2004010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main body
rack member
gun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기
Original Assignee
김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기 filed Critical 김순기
Priority to KR102003003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4102A/ko
Publication of KR2004010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0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with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도 남녀 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실리콘 사용 도중에 그만 두고자 할 경우에 실리콘의 분출로 인한 낭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실리콘 튜브의 가압판을 미는 푸셔를 최대한 빨리 원상태로 복귀시켜 이후 실리콘 튜브를 최대한 빨리 장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실리콘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실리콘건은, 하부에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전측에 출구부가 구비된 본체와; 실리콘이 충진된 실리콘 튜브를 내장 설치함과 아울러 일단이 상기 본체의 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튜브 장착구와; 일단에 상기 실리콘 튜브의 가압판을 미는 푸셔를 구비하고, 하면에 기어부를 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띠형상의 래크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부재의 타단을 권취하는 권취수단과;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수단 및 이 감속수단을 통과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내장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체 케이스와; 상기 구동체 케이스의 외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래크부재의 기어부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권취수단의 권취력을 이겨 상기 래크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는 출력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실리콘건{A electromotion silicon gun}
본 발명은 전동 실리콘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도 남녀 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실리콘 사용 도중에 그만 두고자 할 경우에 실리콘의 분출로 인한 낭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실리콘 튜브의 가압판을 미는 푸셔를 최대한 빨리 원상태로 복귀시켜 이후 실리콘 튜브를 최대한 빨리 장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실리콘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건은 각종 건축자재간 또는 유리창을 창틀에 고정하거나 샤시를 벽체에 고정하는 등 각종 부재를 접착시킬때 또는 구멍이 틈새를 메울때 공기와 차단되도록 튜브내에 충진된 실리콘을 토출시켜 접착 또는 실링 작업을 기기이다.
이러한 실리콘건의 종래 기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건(10)은 몸체(11)의 하부엔 손잡이(13)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실리콘 용기(1)가 삽입되는 실리콘 용기 삽입구9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리콘 용기 삽입구(15)의 중심부를 따라서 압력봉(17)이 설치되는 데, 압력봉(17)은 일단부가 절곡 성형된다. 이러한 압력봉(15)에 가할 수 있도록 원판형(도시되지 않음)으로 형성되며, 타단부는 절곡 성형된다. 이러한 압력봉(15)에는 그 내부 공간으로 상기한 압력봉(15)이 관통되는 압력 스프링(19)이 설치되고, 압력스프링(19)의 단부 즉, 실리콘 용기 삽입구915)의 반대측에는 걸림쇠(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방아쇠(23)는 손잡이(13)의 상부에 설치된 중심핀(25)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범위내에서 방아쇠(23)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방아쇠(23)의 단부가 상기한 걸림쇠(21)에 걸리도록 하여 방아쇠(23)를 당긴후 놓는 경우에 압력스프링(23)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실리콘건(10)의 실리콘 분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실리콘 분사기(10)의 손잡이(11)를 잡고 방아쇠(23)를 손가락으로 당기면, 방아쇠(23)는 중심핀(2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그 단부가상기한 걸림쇠(21)에 힘을 작용하여 압력봉(17)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압력봉(17)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실리콘 용기(1)의 후방을 밀며 가압하고, 압력봉(17)이 이동한 만큼의 실리콘이 실리콘 용기(1)에서 분사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1㎝정도가 이동하는 데, 실리콘 용기의 길이가 약 23㎝이므로 약 23번 정도의 힘을 가하게 된다.
한편, 중심핀(2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 방아쇠(23)는 그 단부가 압력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다시 이동하여 방아쇠(23)를 당기기 전의 원상태로 되므로, 사용자가 다시 방아쇠를 당겨 실리콘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압력봉(15)을 뒤로 빼고자 하는 경우엔, 압력봉(15) 후미에 절곡성형된 부분을 잡아 당긴다.
결국, 사용자는 작업시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실리콘 분사기(10)는 압력봉(15)이 실리콘을 밀어내는 힘을 손아귀로 방아쇠(23)를 쥐어 압력봉(17)과 걸림쇠(21)의 마찰을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관계로 사용하다보면 압력봉(17)이 많이 깎여 압력봉(17)이 걸림쇠(21)에 잘 걸리지 않게 되어 수명이 짧았고, 또한 마찰로 인하여 쇠끼리 내는 소음이 적지 않았다.
게다가, 실리콘이 손아귀로 한번 쥐는 만큼만 분사되어 연속작업이 불가능하고 힘을 가하면서 실리콘을 분사하므로 실리콘 분사량 조절에 다소 어려움이 있어, 전문가가 아니면 실리콘 분사시 층이나 주름이 지며 선이 매끄럽지 모해 미관상 결점이 많았다.
그리고 작업이 많을 경우나 겨울철에 작업을 하는 경우엔 실리콘이 굳어 손아귀의 힘이 많이 들어가 작업자가 피로를 많이 느끼게 되며 건물 외부 로프 작업시 한 손으로 로프를 잡고 한 손으로 작업해야 하는 관계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점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어린이나 여성과 같이, 손이 작고 손아귀의 힘이 비교적 적은 사람들은 방아쇠를 당길 때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도 남녀 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실리콘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리콘 사용 도중에 그만 두고자 할 경우에 실리콘의 분출로 인한 낭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전동 실리콘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리콘 튜브의 가압판을 미는 푸셔를 최대한 빨리 원상태로 복귀시켜 이후 실리콘 튜브를 최대한 빨리 장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실리콘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실리콘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실리콘건의 내부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수단 및 구속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체 케이스 및 이 내부의 구성 요소 및 래크부재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본체와 안내수단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손잡이부
102 : 출구부 200 : 튜브 장착구
210 : 실리콘 튜브 212 : 가압판
300 : 래크부재 310 : 기어부
400 : 권취수단 410 : 권취롤
411 : 회전축 420 : 태엽스프링
500 : 구속수단 510 : 마찰부
511: 힌지축 520 : 탄력스프링
530 : 누름부 540 : 버튼부
600 : 구동체 케이스 610 : 모터
620 : 감속수단 630 : 동력전달수단
631,632 : 구동측/종동측 베벨기어 640 : 누름부재
700 : 가이드부 800 : 안내수단
810 : 관부재 820 : 후진스위치
900 : 지지다리 910 : 파이프
920 : 탄성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실리콘건은, 하부에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전측에 출구부가 구비된 본체와; 실리콘이 충진된 실리콘 튜브를 내장 설치함과 아울러 일단이 상기 본체의 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튜브 장착구와; 일단에 상기 실리콘 튜브의 가압판을 미는 푸셔를 구비하고, 하면에 기어부를 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띠형상의 래크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측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부재의 타단을 권취하는 권취수단과;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수단 및 이 감속수단을 통과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내장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체 케이스와; 상기 구동체 케이스의 외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래크부재의 기어부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권취수단의 권취력을 이겨 상기 래크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는 출력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실리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실리콘건의 내부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수단 및 구속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체 케이스 및 이 내부의 구성 요소 및 래크부재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본체와 안내수단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와, 튜브 장착구(200)와, 래크부재(300)와, 권취수단(400)과, 구동체 케이스(600)와, 출력기어(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하부에 손잡이부(101)를 구비하고, 전측에 출구부(102)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 장착구(200)는 실리콘이 충진된 실리콘 튜브(210)를 내장 설치함과 아울러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출구부(1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튜브 장착구(200)는 출구부(102)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실리콘 튜브(210)는 통상으로 널리 통용되는 것이며, 이는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 장착구(200)의 끝단부에는 실리콘 튜브(2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201)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크부재(300)는, 일단에 상기 실리콘 튜브(210)의 가압판(212)을 미는 푸셔(320)를 구비하고, 하면에 기어부(310)를 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래크부재(300)는 그 재질은 미는 힘이 작용할 경우에는 상기 실리콘 튜브(210)내의 가압판(212)을 밀어 실리콘이 토출될 수 있을 정도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후술하는 권취수단(400)에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권취수단(400)은 상기 본체(100)의 후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부재(300)의 타단을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권취수단(400)은, 권취롤(410)과, 태엽스프링(420)과, 구속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취롤(410)은 상기 래크부재(300)가 권취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축(411)을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태엽 스프링(420)은 상기 권취롤(410)에 래크부재(300)가 감겨지도록 상기 회전축(411)상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4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구속수단(500)은 상기 권취롤(410)의 외면 일부에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해제되는 마찰부(510)와, 힌지축(511)을 매개로 상기 본체(100)내에서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마찰부(5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노출되는 누름부(530)와, 상기 마찰부(510)가 상기 권취롤(410)에 접촉되도록 탄력을 제공하는 탄력스프링(520)과,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510)를 누르거나 해제하는 버튼부(530)로 구성되어 상기 태엽 스프링(420)의 탄력을 이기고 상기 권취롤(410)을 정지/회전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체 케이스(600)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구동체 케이스(600)의 내부에는 모터(610)와 상기 모터(610)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수단(620) 및 이 감속수단(620)을 통과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630)을 내장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체 케이스(6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벽에 형성된 채널 형상의 가이드부(700)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탄성스프링(710)을 매개로 탄성적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출력기어(650)가 상기 래크부재(300)의 기어부(310)에 결합/해제되게 구성된다.
상기 구동체 케이스(600)의 상면에는 누름부재(640)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105)을 관통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출력기어(650)는 상기 구동체 케이스(600)의 외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래크부재(300)의 기어부(310)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모터(610)의 구동시 상기 권취수단(400)의 권취력을 이겨 상기 래크부재(300)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630)은 한쌍의 구동측/종동측 베벨기어(631)(6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감속수단(620)은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치차 결합된 것으로, 상기 모터(610)의 동력을 감속하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모터(610)가 전류를 공급받아 역회전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외부의 여건에 의해 역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감속수단(620)을 구비함에 따라 모터(610)가 구동되지 않은 경우에 권취수단(400)의 태엽스프링(420)이 감길 때 래크부재(300)가 후진되어 모터(610)가 역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래크부재(300)의 푸셔(320)와 함께 전진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800)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수단(800)은, 다수개의 관부재(810)가 다단으로 연결된 안테나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좌우로 절반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좌우 부재(100a)(1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부재(100a)(100b)의 출구부(102)측에 상기 관부재(810)가 요철부(810a)(810b)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모터(610)가 구동되어 상기 래크부재(300)가 일정 길이 상기 본체(100)의 전측 방향으로 전진된 경우에 상기 모터(610)를 역회전시켜 상기 래크부재(300)가 일정 길이 후진되도록 후진스위치(82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성에서 상기 튜브 장착구(200)의 전측 외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다리(90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900)는 두 개의 파이프(910)가 탄성 스프링(920)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일정 길이 중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다리(90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다리(900)를 구성함으로써, 실리콘의 도포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작업이 불편한 지역에서도 간편하게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30은 상기 모터(610)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작동 스위치이고, 840은 배터리이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터리(840)를 충전지로 사용하여 충전장치에서 충전시켜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튜브(210)를 튜브 장착구(200)에 장착한다. 이의 상태에서는 구속수단(500)을 구성하는 버튼부(540)가 후진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540)를 전진시켜 누름부(530)를 눌러 마찰부(510)가 힌지축(511)을 중심으로 탄력스프링(520)의 탄발력을 이기고 회동되어 권취롤(4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다음, 작동 스위치(830)를 온시켜 모터(610)를 구동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출력기어(650)가 회전되어 래크부재(300)가 전진되며, 결국 푸셔(320)는 가압판(212)을 밀면서 전진되어 실리콘 튜브(210)의 내부에 수용된 실리콘을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의 상태는 실리콘을 외부로 모두 방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모터(610)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640)를 하방향으로 눌러 구동체 케이스(600)가 가이드부(700)의 안내를 받아 탄성스프링(710)을 압축시키면서 하향 이동하도록 하여 출력기어(650)와 래크부재(300)의 기어부(310)와 치차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 다음, 후진 스위치(820)를 온시키게 되면, 모터(610)는 역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되어 래크부재(300)가 권취수단(400)을 구성하는 권취롤(410)에 권취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의 상태는 태엽스프링(420)이 풀려져 있는 상태이고, 항상 감겨 권취롤(410)을 회전시키려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래크부재(300)는 권취롤(410)에 권취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540)를 후진시켜 누름부(53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마찰부(510)는 권취롤(410)로부터 이격된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동작중 최초 실리콘이 분출되어 한번도 정지하지 않고 모두 분출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실리콘건의 사용중 실리콘 튜브(210)내에 수용된 실리콘을 일부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을 일부만 사용한 상태에서 실리콘의 분출을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후진스위치(820)를 온시켜 모터(610)를 역회전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튜브(210)내의 실리콘은 일부만 사용된 채로 푸셔(320)는 래크부재(300)와 함께 후진되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진된 래크부재(300)는 권취수단(400)의 권취롤(410)에 태엽스프링(420)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리콘의 분출을 사용 도중에 중지하고자 할 경우에 실리콘 튜브(210)의 가압판(212)을 가압하고 있던 힘을 최대한 빨리 제거하여 실리콘 분출 잔여 압력도 최대한 낮추어 실리콘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도 남녀 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실리콘 사용 도중에 그만 두고자 할 경우에 실리콘의 분출로 인한 낭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실리콘 튜브의 가압판을 미는 푸셔를 최대한 빨리 원상태로 복귀시켜 이후 실리콘 튜브를 최대한 빨리 장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하부에 손잡이부(101)를 구비하고, 전측에 출구부(102)가 구비된 본체(100)와;
    실리콘이 충진된 실리콘 튜브(210)를 내장 설치함과 아울러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출구부(1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튜브 장착구(200)와;
    일단에 상기 실리콘 튜브(210)의 가압판(212)을 미는 푸셔(320)를 구비하고, 하면에 기어부(310)를 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띠형상의 래크부재(300)와;
    상기 본체(100)의 후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부재(300)의 타단을 권취하는 권취수단(400)과;
    모터(610)와 상기 모터(610)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수단(620) 및 이 감속수단(620)을 통과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630)을 내장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체 케이스(600)와;
    상기 구동체 케이스(600)의 외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래크부재(300)의 기어부(310)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모터(610)의 구동시 상기 권취수단(400)의 권취력을 이겨 상기 래크부재(300)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는 출력기어(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400)은,
    상기 래크부재(300)가 권취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축(411)을 매개로 설치되는 권취롤(410)과;
    상기 권취롤(410)에 래크부재(300)가 감겨지도록 상기 회전축(411)상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411)을 회전시키는 태엽 스프링(420)과;
    상기 권취롤(411)의 외면 일부에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해제되는 마찰부(510)와, 힌지축(511)을 매개로 상기 본체(100)내에서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마찰부(5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노출되는 누름부(530)와, 상기 마찰부(510)가 상기 권취롤(411)에 접촉되도록 탄력을 제공하는 탄력스프링(520)과,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530)를 누르거나 해제하는 버튼부(540)로 구성되어 상기 태엽 스프링(420)의 탄력을 이기고 상기 권취롤(411)을 정지/회전시키도록 하는 구속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3.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 케이스(6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벽에 형성된 채널 형상의 가이드부(700)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탄성스프링(710)을 매개로 탄성적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출력기어(650)가 상기 래크부재(300)의 기어부(310)에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실리콘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 케이스(600)의 상면에는 누름부재(640)가 상기 본체(100)의 상면을 관통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래크부재(300)의 푸셔(320)와 함께 전진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8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800)은, 다수개의 관부재(810)가 다단으로 연결된 안테나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610)가 구동되어 상기 래크부재(300)가 일정 길이 상기 본체(100)의 전측 방향으로 전진된 경우에 상기 모터(610)를 역회전시켜 상기 래크부재(300)가 일정 길이 후진되도록 후진스위치(8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장착구(200)의 전측 외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다리(90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900)는 두 개의 파이프(910)가 탄성 스프링(920)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일정 길이 중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630)은 한쌍의 구동측/종동측 베벨기어(631)(6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장착구(200)의 끝단에는 상기 실리콘 튜브(2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2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좌우로 절반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좌우 부재(100a)(1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부재(100a)(100b)의 출구부(102)측에 상기 관부재(810)가 요철부(810a)(810b)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실리콘건.
KR1020030035514A 2003-06-03 2003-06-03 전동 실리콘건 KR20040104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514A KR20040104102A (ko) 2003-06-03 2003-06-03 전동 실리콘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514A KR20040104102A (ko) 2003-06-03 2003-06-03 전동 실리콘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372U Division KR200324355Y1 (ko) 2003-06-03 2003-06-03 전동 실리콘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102A true KR20040104102A (ko) 2004-12-10

Family

ID=3737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514A KR20040104102A (ko) 2003-06-03 2003-06-03 전동 실리콘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41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21A1 (ko) * 2012-12-05 2014-06-12 An Hyeok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KR102151148B1 (ko) 2019-06-12 2020-09-02 장상훈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102223082B1 (ko) 2019-10-02 2021-03-03 장상훈 접힘식 실리콘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102404238B1 (ko) * 2021-12-23 2022-05-30 정홍석 책 제본을 위한 종이 원단 프레스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21A1 (ko) * 2012-12-05 2014-06-12 An Hyeok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KR102151148B1 (ko) 2019-06-12 2020-09-02 장상훈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102223082B1 (ko) 2019-10-02 2021-03-03 장상훈 접힘식 실리콘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102404238B1 (ko) * 2021-12-23 2022-05-30 정홍석 책 제본을 위한 종이 원단 프레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21274A1 (en) Water flosser
US4762515A (en) Medicament implant applicator
US5492247A (en) Automatic soap dispenser
US5762239A (en) Hand held scellant applicator
US6540113B2 (en) Fluid dispenser particularly adapted for hand-held operation
CA2479979C (en) Handy electric nailing gun
KR100472991B1 (ko) 블레이드 자동 토출이 가능한 줄자
US4114781A (en) Hand-held, battery-operated decorative extruder for cookie dough and similar food substances
US4986454A (en) Portable dispenser for viscous material
US6123235A (en) Caulking gun
JP2004533330A (ja) サイクル作動形工具用の戻し機構
WO2006108220A1 (en) Automated chuck exchange using rotating turret
US20020108971A1 (en) Motor operated caulking gun
EP0483981A1 (en) Caulking gun
US10766053B2 (en) Materia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20040104102A (ko) 전동 실리콘건
KR200324355Y1 (ko) 전동 실리콘건
JP3044972U (ja) カートリツジに収容されているパスタ状材料の押出し装置
US4501567A (en) Elongated wand-type wind-up and trigger-released separable actuator for motorized toy
KR101232286B1 (ko)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전동 실리콘 토출건
KR100880206B1 (ko) 토출기 잔압 제거장치
CN107019859B (zh) 阻燃逃生装置弹射机构
KR100239043B1 (ko) 전동 실리콘총
CN112206487B (zh) 一种足球清洗后提取设备
JPH01317793A (ja) 鉛筆削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