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77B1 -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77B1
KR102432877B1 KR1020210114806A KR20210114806A KR102432877B1 KR 102432877 B1 KR102432877 B1 KR 102432877B1 KR 1020210114806 A KR1020210114806 A KR 1020210114806A KR 20210114806 A KR20210114806 A KR 20210114806A KR 102432877 B1 KR102432877 B1 KR 10243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hole
needle holder
fish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만
Original Assignee
변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만 filed Critical 변재만
Priority to KR102021011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877B1/ko
Priority to KR1020220093304A priority patent/KR2023003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의 미세조정이 가능하여 찌맞춤을 쉽게 하고, 물고기의 이물감을 감소시키는 낚시채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채비{Fishing Tackle}
본 발명은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찌맞춤을 쉽게 하고 물고기의 이물감을 감소시키는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에 사용되는 봉돌(추)은 부피는 작으면서 최대한 무거운 재료인 납, 황동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찌, 낚싯바늘 및 낚싯줄이 함께 연결되어 물속에서 찌의 부력과 봉돌의 침력의 평형을 맞추어 물속의 원하는 위치에 채비를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낚시채비는 스위벨 채비, 편대 채비 등의 다양한 채비를 사용하여 낚싯바늘을 연결하거나 봉돌에 낚싯바늘을 연결하여 사용하였고, 스위벨 채비 및 편대 채비도 봉돌과 연결되어 있어 결국 낚싯바늘이 봉돌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낚싯바늘은 봉돌에 직접 연결되거나, 낚싯바늘과 봉돌 사이에 다른 채비를 연결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물고기는 떡밥을 입에 물고 낚싯바늘을 통해 목줄을 당길 때 이물감을 느끼게 되며, 봉돌이 무거울수록 물고기는 이물감을 크게 느낀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물고기는 목줄을 당기게 되고, 목줄은 편대 또는 봉돌을 당기게 되며, 편대는 봉돌을 당기게 되는 결과, 물고기는 봉돌의 무게에 의한 이물감을 크게 느끼게 된다. 결국, 이물감을 크게 느낀 물고기는 떡밥을 놓아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 20-2021-0000106 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량의 미세조정이 가능하여 찌맞춤을 쉽게 하고, 물고기의 이물감을 감소시키는 낚시채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는,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채비에 있어서, 기둥줄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줄에 중량을 가하는 부력맞춤부; 및 상기 기둥줄을 관통하는 주관통홀을 가지고, 낚싯바늘이 연결되는 바늘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홀더는, 상기 부력맞춤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기둥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상기 기둥줄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기둥줄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력맞춤부는, 상기 부력맞춤부의 수평 단면적이 상부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늘홀더가 안착되기 위한 곡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력맞춤부는, 상기 곡면부 하단과 연결되는 중량변화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력맞춤부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부력맞춤부는, 상기 중량변화부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진다.
또한, 상기 부력맞춤부는, 상기 부력맞춤부의 상부에 상기 기둥줄이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부에 상기 기둥줄이 직접 체결되는 고리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부가 상기 부력맞춤부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상기 고리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의 길이는, 상기 주관통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력맞춤부는, 상기 부력맞춤부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줄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는, 제1부속부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줄에 연결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수체결부 또는 암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늘홀더는, 일측에 낚싯바늘을 연결할 수 있는 제1관통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늘홀더는, 상기 바늘홀더의 일측에 낚싯바늘을 연결할 수 있는 제1관통홀 및 상기 바늘홀더의 타측에 낚싯바늘을 연결할 수 있는 제2관통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늘홀더는, 상기 주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바늘홀더의 이동시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제3관통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늘홀더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바늘홀더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부속부는, 추조립체, 강선채비 또는 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부속부는 제2부속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부속부는 추조립체, 강선채비 또는 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낚시채비에 침력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량를 가하는 부력맞춤부와 바늘홀더를 구분함으로써, 침력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찌맞춤을 쉽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당기면 바늘홀더가 기둥줄을 따라 상승 이동하는 구조로, 추의 중량에 의한 물고기의 이물감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부력맞춤부의 중량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형상이 동일한 곡면부에 의해 바늘홀더가 곡면부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중량변화부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부력맞춤부가 상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침력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찌맞춤을 쉽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중량을 달리하는 부력맞춤부를 복수개 구비하여, 다양한 환경 및 다양한 찌의 부력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늘홀더가 상승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늘홀더가 고리부에 걸리는 경우에도 지지부를 견고하게 형성하여, 고리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부력맞춤부는 낚시채비에 중량을 가하여 침력을 형성함과 동시에 낚싯바늘을 연결하여 미끼를 끼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연결부를 통해 제1부속부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수단으로서 연결부는 수체결부 또는 암체결부를 포함하여 쉽게 제1부속부와 체결 및 분리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부속부와 쉽게 체결 및 분리됨으로써, 잡고자 하는 물고기에 맞는 중량을 가지는 바늘홀더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늘홀더에 제1관통홀 및/또는 제2관통홀을 포함시키고, 제1관통홀 및/또는 제2관통홀에 낚싯바늘을 연결하여 서로 엉킴없이 낚시채비를 구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늘홀더에 제3관통홀을 포함시켜, 바늘홀더의 이동에 대항하는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중량을 달리하는 바늘홀더를 복수로 구비하여, 다양한 환경 및 물고기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가 제1부속부와 연결될 수 있고 제1부속부가 다시 제2부속부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부속부와 쉽게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홀더가 물고기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형상의 곡면부 및 서로 다른 형상의 중량변화부를 포함하는 부력맞춤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고리부의 길이에 따른 차이를 나타낸 비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줄홀을 포함하는 부력맞춤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에 낚싯바늘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관통홀을 가지는 바늘홀더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가지는 바늘홀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맞춤부, 바늘홀더, 연결부, 제1부속부, 제2부속부 및 제3부속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와 돌출부의 체결준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부가 제1절삭부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부가 제2절삭부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부가 제3절삭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이라 함은, 구성이 대상에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구성과 대상 사이에 다른 구성이 추(510)가되어 간접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낚싯바늘(30)이 바늘홀더(200)에 연결된다는 의미는 낚싯바늘(30)이 목줄(20)을 통해 바늘홀더(200)에 연결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기둥줄(10)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줄(10)에 중량을 가하는 부력맞춤부(100); 및 상기 기둥줄(10)을 관통하는 주관통홀(210)을 가지고, 낚싯바늘(30)이 연결되는 바늘홀더(200);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홀더(200)는, 상기 부력맞춤부(100) 상에 위치하여 상기 기둥줄(10)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상기 기둥줄(10)이 상기 주관통홀(210)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기둥줄(1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부력맞춤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맞춤부(100)는 기둥줄(10)에 중량을 가할 수 있다.
낚시를 위한 채비에는 찌, 바늘, 봉돌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찌는 본 발명인 낚시채비와 연결되어, 낚시채비에 부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봉돌은 침력을 형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맞춤부(100)는 추조립체(500)와 더불어 침력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낚시채비에 형성되는 부력과 침력이 평형을 이루는 경우 원하는 지역에 낚싯 바늘을 위치시키는 찌맞춤이 완성된다. 이때, 부력맞춤부(100)는 기둥줄(10)에 연결되어 침력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바늘홀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중심에 주관통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주관통홀(210)은 기둥줄(10)이 관통할 수 있다. 주관통홀(210)은 기둥줄(10)을 관통시킴으로써, 기둥줄(10)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관통홀(210)에 낚싯바늘(30)이 연결된 목줄(20)이 체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홀더(200)가 물고기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늘홀더(200)는 낚싯바늘(30)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낚싯바늘(30)은 목줄(20)을 통해 바늘홀더(200)에 연결될 수 있다. 물고기가 떡밥을 물어 낚싯바늘(30)을 잡아당기는 경우, 낚시바늘은 목줄(20)을 당기고, 목줄(20)은 바늘홀더(200)를 당김으로써, 바늘홀더(200)는 기둥줄(10)을 따라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찌맞춤과정에서 침력을 가하는 구성요소는 부력맞춤부(100) ,바늘홀더(200) 및 추조립체(500) 외에도 추가적인 봉돌, 편대 등 다양하지만, 편의상 부력맞춤부(100) ,바늘홀더(200) 및 추조립체(500)로만 설명하기로 한다.
찌맞춤과정에서 찌의 부력에 대항하는 침력은 부력맞춤부(100) ,바늘홀더(200) 및 추조립체(5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조립체(500)에 의한 침력, 바늘홀더(200)에 의한 침력 및 부력맞춤부(100)에 의한 침력을 합한 것(제1힘)과 찌에 의한 부력(제2힘)이 같아지는 때, 찌맞춤이 완성될 수 있다. 단, 제1힘과 제2힘이 반드시 같아지는 때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바늘홀더(200)가 다른 중량을 가지는 것으로 교체되는 정도로, 제1힘이 제2힘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찌맞춤이 완성될 수 있다.
찌맞춤이 완성된 후, 물고기가 바늘홀더(200)를 들어올리는 경우 바늘홀더(200)에 의한 침력이 소멸되면서, 찌의 부력과 부력맞춤부(100)의 침력만 남게 되어 힘의 평형이 깨지게 된다. 이때, 수면상에 일부가 노출된 찌는 소멸된 침력만큼 상승하게 되어 낚시를 하는 자는 물고기가 낚싯바늘(30)에 걸렸음을 인지할 수 있다.
힘의 평형이 깨짐으로써 찌가 상승하는 구조는, 찌의 부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부력맞춤부(100)와 바늘홀더(200)에 침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봉돌에 직접 낚싯바늘(30)을 연결하거나 봉돌과 연결된 편대 등에 낚싯바늘(30)을 연결하는 경우, 물고기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봉돌을 들어올리는 것과 같아, 이물감을 크게 느끼고 미끼를 놓아버리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부력맞춤부(100)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바늘홀더(200)를 이용하여 정교한 찌맞춤을 가능하게 하고, 물고기가 가벼운 바늘홀더(200)를 들어올림으로써 이물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늘홀더(200)는 부력맞춤부(1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주관통홀(210)에 기둥줄(10)을 관통시킴으로써 기둥줄(10)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바늘홀더(200)는 기둥줄(10)이 주관통홀(210)을 통과한 상태에서 기둥줄(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력맞춤부(100)의 형태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형상의 곡면부(110) 및 서로 다른 형상의 중량변화부(120)를 포함하는 부력맞춤부(1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맞춤부(100)는, 상기 부력맞춤부(100)의 수평 단면적이 상부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늘홀더(200)가 안착되기 위한 곡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맞춤부(100)는 곡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110)는 수평 단면적이 상부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면부(110)는 바늘홀더(20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곡면부(110)가 바늘홀더(200)를 안착시키는 것은 바늘홀더(200)가 곡면부(110) 상에 걸쳐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늘홀더(200)의 주관통홀(210)의 직경이 클수록 곡면부(110)의 하부에 바늘홀더(200)가 걸쳐질 수 있다. 반대로 바늘홀더(200)의 주관통홀(210)의 직경이 작을수록 곡면부(110)의 상부에 바늘홀더(200)가 걸쳐질 수 있다.
또한, 주관통홀(210)의 직경은 곡면부(110)의 최하단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주관통홀(210)의 직경이 곡면부(100)의 최하단의 직경보다 큰 경우, 바늘홀더(200)는 곡면부(200) 상에 안착될 수 없다.
부력맞춤부(100)가 곡면부(110)를 포함하지 않아 원기둥이나 각기둥 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부력맞춤부(100)는 바늘홀더(200)의 주관통홀(210)의 직경과 상관없이 부력맞춤부(100)의 윗면에 바늘홀더(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부력맞춤부(100)상에서 수평으로 많이 흔들리게 되고, 물고기가 바늘홀더(200)를 당기지 않았음에도 힘의 변화가 생겨 찌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낚시를 하는 자의 입장에서는 바늘홀더(200)가 흔들리는 것과 물고기가 바늘홀더(200)를 당기는 것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부력맞춤부(100)가 곡면부(110)를 포함함으로써, 바늘홀더(200)는 주관통홀(210)의 직경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곡면부(11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즉, 곡면부(110)는 바늘홀더(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부력맞춤부(10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바늘홀더(200)는 주관통홀(210)의 직경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곡면부(11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나, 바늘홀더(200)가 안착되는 높이의 변화는 곡면부(110)의 높이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곡면부(110)는 바늘홀더(200)가 안착되는 위치를 미시적으로 조절하여 바늘홀더(200)의 수평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거시적으로 바늘홀더(200)를 물 속의 곡면부(110) 상에 위치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맞춤부(100)는 상기 곡면부(110) 하단과 연결되는 중량변화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력맞춤부(100)는 중량변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변화부(120)는 곡면부(110)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중량변화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의 실시예 따라 부력맞춤부(100)는 곡면부(110)는 동일한 형태로 유지하면서, 중량변화부(120)만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중량변화부(120)는 찌맞춤을 위해 형태에 따라 다양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량변화부(120)는 원기둥, 원뿔, 원뿔대, 각기둥, 각뿔, 각뿔대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나열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량변화부(120)는 하부로 가면서 수평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곡면부(110)는 하부로 가면서 수평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곡면부(110)의 수평 단면적의 증가율은 중량변화부(120)의 수평 단면적의 증가율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주관통홀(210)의 직경의 변화가 큰 경우에도 곡면부(110)상에 안착되는 바늘홀더(200)의 높이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대로, 곡면부(110)의 수평 단면적의 증가율이 작은 경우에는 주관통홀(210)의 직경의 작은 변경에도 곡면부(110)상에 안착되는 바늘홀더(200)의 높이의 변화가 커지게 되어, 물속에서 일정한 높이에 바늘홀더(200)를 위치시킬 수 없다.
상기한 이유로, 중량변화부(120)는 수평 단면적의 증가율이 곡면부(110)의 수평 단면적의 증가율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중량변화부(120)는 수평 단면적의 증가율에 따라 중량을 달리할 수 있다.또한, 부력맞춤부(100)는 침력을 형성하므로, 찌의 부력에 따라 부력맞춤부(100)의 중량도 결정될 수 있다. 찌에 의한 부력은 부력맞춤부(100)에 의한 침력 및 바늘홀더(200)에 의한 침력과 평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중량변화부(120)의 중량은 찌의 부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맞춤부(1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부력맞춤부(100)는, 상기 중량변화부(120)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부력맞춤부(1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부력맞춤부(100)는 중량을 달리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부력맞춤부(100)의 곡면부(110)는 형태 및 중량이 동일하게 유지되나, 복수의 부력맞춤부(100)의 중량변화부(120)는 서로 다른 형태 및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부력맞춤부(100)를 살펴보면, 상부에 곡면부(110)가 구비되고 하부에 중량변화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에 곡면부(110)는 형태 및 중량이 같으나, 도 3(a) 내지 도 3(d)의 중량변화부(120)는 형태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곡면부(110)와 마찬가지로, 중량변화부(120)는 수평 단면의 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경우 중량변화부(120)의 외관은 경사를 가지게 되고, 부력맞춤부(100)는 전체적으로 유사한 외관을 유지하면서 중량변화부의 경사 기울기에 따라 중량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다음으로, 부력맞춤부(100)의 고리부(13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는 고리부(130)의 길이에 따른 차이를 나타낸 비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맞춤부(100)는 상기 부력맞춤부(100)의 상부에 상기 기둥줄(10)이 연결되는 고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130)는, 상기 고리부(130)에 상기 기둥줄(10)이 직접 체결되는 고리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부력맞춤부(100)는 고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130)는 기둥줄(10)이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고리부(130)는 고리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고리홀(131)은 기둥줄(10)이 고리부(130)에 연결되도록 직접 기둥줄(10)과 체결되는 곳을 의미한다. 고리부(130)는 기둥줄(10)과 연결됨으로써, 부력맞춤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낚시채비에 중량을 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리부(1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130)는, 상기 고리부(130)가 상기 부력맞춤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상기 고리홀(1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1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130)의 길이는, 상기 주관통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고리부(130)는 상부에 고리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고리부(130)는 지지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리부(130)는 고리부(130)의 상부에 라운드부(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부(133)는 고리부(1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부력맞춤부(100) 상에서 기둥줄(10)을 따라 상승 이동하기 때문에, 바늘홀더(200)의 이동이 고리부(130)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라운드부(133)는 고리부(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각 진 형태가 아닌 라운드 형상을 가짐으로써, 바늘홀더(200)가 고리부(130)에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고리홀(131)은 고리부(130)의 상부를 관통할 수 있다. 지지부(132)는 고리부(130)에서 고리홀(131)의 하부를 의미한다. 지지부(132)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132)는 홀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고리부(130)를 부력맞춤부(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132)가 없는 경우에는 고리부(130)가 부러지기 쉽다.
물고기가 목줄(20)을 당겨 바늘홀더(200)를 들어올리는 경우, 바늘홀더(200)와 고리부(130)는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물고기는 힘으로 목줄(20)을 당기고 바늘홀더(200)는 고리부(130)의 고리홀부분에 걸려 고리부(130)를 당기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고리부(130)는 쉽게 부러질 수 있다.
즉, 고리부(130)는 지지부(132)를 포함하여 바늘홀더(200)가 고리부(130)를 당길 때 고리홀(131) 부분이 아닌 지지부(132)에 접점을 형성하여 고리부(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리부(130)의 길이는 지지부(132)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지지부(132)를 길게 형성하면 고리부(130)의 길이는 길어지고, 지지부(132)를 짧게 형성하면 고리부(130)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고리부(130)가 너무 길어지는 경우 고리부(130)는 바늘홀더(200)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부(130)의 길이는 바늘홀더(200)의 주관통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주관통홀(210)의 직경이 고리부(130)의 길이보다 큰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바늘홀더(200)와 고리부(130)의 접점은 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고기가 바늘홀더(200)를 당기더라도 고리부(130)는 힘을 적게 받아 견고하게 부력맞춤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늘홀더(200)가 고리부(130)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부력맞춤부(100) 상에서 쉽게 상승 이동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주관통홀(210)의 직경이 고리부(130)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바늘홀더(200)와 고리부(130)의 접점은 두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고기가 바늘홀더(200)를 당기는 경우 고리부(130)는 힘을 양쪽에서 받아 부러지기 쉽다. 또한, 바늘홀더(200)가 고리부(130)에 무리를 주고 부력맞춤부(100) 상에서 쉽게 상승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바늘홀더(200)가 부력맞춤부(100)까지 들어올려 물고기의 이물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리부(130)의 길이는 주관통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력맞춤부(100)에 포함된 목줄홀(14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줄홀(140)을 포함하는 부력맞춤부(1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에 낚싯바늘(30)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맞춤부(100)는 상기 부력맞춤부(100)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줄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부력맞춤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줄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목줄홀(140)은 목줄(20)이 체결되는 홀을 의미한다. 목줄(20)은 주로 낚싯바늘(30)을 목줄홀(140)에 연결할 때 사용된다. 부력맞춤부(100)는 목줄홀(140)을 포함함으로써, 바늘홀더(200) 외에도 추가적으로 낚싯바늘(30)을 더 연결할 수 있다.
낚시를 하는 자는 부력맞춤부(100)에 연결된 낚싯바늘(30)을 통해 물고기를 포획할 수도 있으나, 바늘홀더(200) 및 부력맞춤부(100)에 연결된 복수의 낚싯바늘(30)을 통해 물고기를 유도(집어, 集魚)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력맞춤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에 중량을 가하는 것 외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줄홀(140)을 형성하여 하나 이상의 낚싯바늘(30)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부속부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3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제1부속부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줄에 연결된 연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300)는 수체결부 또는 암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하부에 기둥줄(1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0)는 제1부속부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제1부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부력맞춤부(100)를 포함하는 일련의 연속된 부품들의 결합으로서 낚싯대와 연결될 수 있다. 일련의 연속된 부품들이란, 부력맞춤부(100), 기둥줄(20), 연결부(300), 제1부속부의 결합을 의미하며, 나아가 제2부속부 및 제3부속부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이때, 부력맞춤부(100)는 연결부(300)를 이용해 쉽게 제1부속부에 쉽게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홀더(200)는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다양한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물고기에 따라 교체될 필요가 있다. 바늘홀더(200)는 물고기가 큰 경우, 물고기의 힘이 센 경우 또는 물살이 센 경우 더 큰 중량을 가지는 것으로 교체될 수 있고, 물고기가 작은 경우, 물고기의 힘이 약한 경우 또는 물살이 약한 경우 더 작은 중량을 가지는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연결부(300)를 포함함으로써, 연결부(300)가 제1부속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바늘홀더(200)는 연결부를 통과하여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는 상호간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는 상호간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체결부는 수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암체결부는 암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수나사 또는 암나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300)가 수체결부를 포함하는 경우, 연결부(300)와 연결되기 위한 제1부속부는 암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연결부(300)가 암체결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1부속부는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줄(10)은 합사, 와이어, 강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300)는 연결고리(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가 연결고리(390)를 포함하는 경우, 연결고리(390)에 기둥줄(10)이 체결될 수 있다. 단, 반드시 연결부(300)가 연결고리(390)를 통해 기둥줄(10), 목줄(20), 강선 등과 연결되는 것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제1관통홀(220)만을 포함하거나, 제1관통홀(220) 및 제2관통홀(230)을 모두 포함하는 바늘홀더(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관통홀(220)을 가지는 바늘홀더(200)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관통홀(220) 및 제2관통홀(230)을 가지는 바늘홀더(200)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홀더(200)는 일측에 낚싯바늘(30)을 연결할 수 있는 제1관통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제1관통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낚싯바늘(30)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관통홀(220)은 목줄(20)과 직접 체결될 수 있고, 목줄(20)을 통해 낚싯바늘(30)과 연결될 수 있다. 주관통홀(210)은 기둥줄(10)을 따라 이동하고, 고리부(130)를 감쌀 수 있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클 필요가 있고, 제1관통홀(220)의 직경은 주관통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낚싯바늘(30)이 반드시 제1관통홀(220)에 연결될 필요는 없으나, 제1관통홀(220)은 복수의 낚싯바늘(30)이 바늘홀더(200)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낚싯바늘(30) 간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낚싯바늘(30)이 주관통홀(210)에 연결되면 물 등의 외력에 의해 낚싯바늘(30) 상호간 엉킬 수 있다. 제1관통홀(220)은 바늘홀더(200)의 주관통홀(210)과는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물 속에서 이동을 하므로 물과의 접촉면이 커질수록 물의 저항을 많이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물고기가 바늘홀더(200)를 들어올릴 때 이물감이 커질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늘홀더(200)가 제1관통홀(220)을 포함하는 경우, 바늘홀더(200)는 두개의 고리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리형태는 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바늘홀더(200)의 이동에 대한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고리형태가 아닌 경우, 물과의 접촉면이 커져, 물고기의 이물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주관통홀(210) 및 제1관통홀(220)은 반드시 원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주관통홀(210)은 기둥줄(10)이 관통하고 제1관통홀(220)에는 낚싯바늘(30)이 연결됨으로써, 물고기가 제1관통홀(220)에 체결된 목줄(20)을 당기면 바늘홀더(200)는 기둥줄(10)을 따라 상승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바늘홀더(200)는, 상기 바늘홀더(200)의 일측에 낚싯바늘(30)을 연결할 수 있는 제1관통홀(220) 및 기 바늘홀더(200)의 타측에 낚싯바늘(30)을 연결할 수 있는 제2관통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일측에 제1관통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늘홀더(200)는 타측에 제1관통홀(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홀(220)은 상술한 것과 같다. 제2관통홀(230)은 제1관통홀(220)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홀(230)은 목줄(20)과 직접 체결될 수 있고, 목줄(20)을 통해 낚싯바늘(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관통홀(220) 및 제2관통홀(230)의 직경은 주관통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제1관통홀(220)을 통해 낚싯바늘(30)과 연결될 수 있고, 제2관통홀(230)을 통해 낚싯바늘(30)과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낚싯바늘(30)은 집어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물고기를 포획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관통홀(220) 및 제2관통홀(230)은 크기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주관통홀(210)과 비교하여 반드시 클 필요는 없다. 바늘홀더(200)는 중앙에 주관통홀(210)을 포함하고, 주관통홀(210)의 일측에 제1관통홀(220)을 포함하고, 주관통홀(210)의 타측에 제2관통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주관통홀(210), 제1관통홀(220) 및 2관통홀은 각각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바늘홀더(200)는 3개의 고리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바늘홀더(200)가 포함하는 제3관통홀(24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홀더(200)는 상기 주관통홀(210)과 상기 제1관통홀(2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바늘홀더(200)의 이동시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제3관통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제3관통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관통홀(240)은 주관통홀(210)과 제1관통홀(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제3관통홀(240)은 주관통홀(210)과 제2관통홀(23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3관통홀(240)은 물이 통과하는 홀로서 반드시 클 필요가 없으므로, 제3관통홀(240)의 직경은 제1관통홀(220) 및 제2관통홀(2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물과의 접촉면이 작을수록 물의 저항에 대항하여 이동이 쉽기 때문에, 제3관통홀(240)에 의해 접촉면을 줄일 수 있다. 바늘홀더(200)의 중량이 커질수록 주관통홀(210), 제1관통홀(220) 및 제2관통홀(230)에 해당하는 고리의 두께 또는 굵기가 커질 수 있어, 바늘홀더(200)는 물의 저항이 크게 받을 수 있다. 이때, 바늘홀더(200)는 제3관통홀(240)을 포함하여, 물과의 접촉면을 줄이고 물이 제3관통홀(240)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홀더(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바늘홀더(200)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중량을 달리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바늘홀더(200)의 주관통홀(210), 제1관통홀(220) 및 제2관통홀(230)의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바늘홀더(2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고리의 두께 또는 굵기에 따라 서로 다른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중량을 달리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물고기의 크기나 힘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낚시채비는 제1부속부, 제2부속부 및 제3부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부속부, 제2부속부 및 제3부속부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맞춤부, 바늘홀더, 연결부, 제1부속부, 제2부속부 및 제3부속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부속부는, 추조립체(500), 강선채비(400) 또는 캡(60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추조립체(500), 강선채비(400) 또는 캡(6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잇다.
다음으로, 강선채비(4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선채비(400)는 제1연결부(310), 제2연결부(320), 기둥부(420), 걸림턱(430) 및 나사산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1연결부(310)는 기둥부(42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연결부(310)는 암체결부 또는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가 수체결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1연결부(310)는 연결부(300)에 대응하도록 암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연결부(300)가 암체결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1연결부(310)는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암체결부는 암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체결부는 수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암체결부 및 수체결부는 각각 후술할 삽입부(60) 및 돌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420)는 하부에 연결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기둥부(4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440)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기둥부(420)는 강선, 와이어, 합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링(440)은 본 발명인 낚시채비에 중량을 가할 수 있다. 오링(44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링(440)은 찌맞춤 과정에서, 찌의 부력에 대항하여 침력을 형성할 수 있다. 오링(440)은 중심의 홀을 관통하는 기둥부(42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할 수 있다.
나사산부(410)는 기둥부(42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나사산부(410)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사산부(410)는 오링(440)이 연결될 수 있다. 나사산부(410)나 암나사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오링(440)의 내측면은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나사산부(410)가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오링(440)의 내측면은 암나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오링(440)은 나사산부(410)를 통해 강선채비(4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오링(440)은 나사산부(4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오링(440)이 나사산부(410)에 결합된 상태인 경우, 강선채비(400)의 무게중심은 상대적으로 상부인 나사산부(410)에 집중될 수 있다. 오링(440)이 나사산부(410)를 통과하여 낚시채비의 하부로 이동한 경우, 강선채비(400)의 무게중심은 상대적으로 하부인 제1연결부(310)에 집중될 수 있다.
걸림턱(430)은 기둥부(4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430)은 제1연결부(3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턱(430)은 오링(440)이 강선채비(4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링(440)은 나사산부(410)와 결합될 수 있고, 나사산부(410)를 나사 이동하여 통과할 수 있다. 통과 후 오링(440)이 강선채비(400)에서 이탈하지 않게 걸림턱(430)은 오링(44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오링(440)이 걸림턱(430)에 걸려 있는 상태는, 강선채비(400)의 하부에 무게중심을 집중시킬 수 있다. 강선채비(400)의 하부에 무게중심이 집중되는 경우, 물에 의해 낚싯바늘(30)의 흘들림이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낚시채비의 상부에 무게중심이 집중되는 경우, 물에 의해 낚싯바늘(30)의 흘들림은 증가할 수 있다. 낚시 환경에 따라, 낚시를 하는 자는 오링(440)을 나사산부(4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걸림턱(43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2연결부(320)는 기둥부(42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320)는 제2부속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320)는 암체결부 또는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암체결부 및 수체결부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구조 및 효과를 갖는다.
강선채비(400)는 낚시채비에 중력을 가할 수 있다. 즉, 강선채비(400)는 찌의 부력에 대항하는 침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강선채비(400)는 오링(440)을 나사산부(410) 또는 걸림턱(430)에 위치시킴으로써, 낚시채비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강선채비(400)는 동일한 침력을 유지하면서 무게중심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미세한 찌의 이동, 중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낚시를 하는 자의 감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조립체(5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조립체(500)는 제3연결부(330), 제4연결부(340) 및 추홀더(5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조립체(500)는 낚시채비에 중량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찌의 부력에 대항하여 침력을 형성할 수 있다.
제3연결부(330)는 추조립체(5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3연결부(330)는 연결부(30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제2연결부(32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3연결부(330)는 암체결부 또는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암체결부 및 수체결부는 서로 대응하여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암체결부 및 수체결부의 구성 및 효과는 상술한 것과 같다.
추(510)는 내부에 관통홀을 가질 수 있으며, 추홀더(520)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추(510)는 낚시채비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 찌의 부력에 대항하여 침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추(510)는 다양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추홀더(520)는 추(51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추(51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추(510)는 추홀더(520)에 상하 고정될 수도 있고, 고정되지 않아 상하 이동할 수도 있다. 추홀더(520)는 추(510)와 나사결합을 통해 추(510)를 상하 고정시킬 수 있다.
제4연결부(340)는 추조립체(5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4연결부(340)는 제1연결부(31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는 후술할 제5연결부(35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캡(600)은 제5연결부(350) 및 캡고리(6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연결부(350)는 캡(6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5연결부(350)는 연결부(30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5연결부(350)는 제2연결부(32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5연결부(350)는 제4연결부(34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5연결부(350)는 암체결부 또는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암체결부 및 수체결부의 구조 및 효과는 상술한 것과 같다.
캡고리(690)는 캡(6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캡고리(690)는 원줄, 기둥줄(10), 목줄(20) 등이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50) 및 삽입부(60)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수체결부는 돌출부(50)를 포함할 수 있고, 암체결부는 삽입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60)는 상기 삽입부(60)의 일단에 상기 돌출부(50)가 진입하는 삽입구, 상기 삽입부(6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탄성체(61) 및 상기 삽입부(60)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체(61)의 종단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체(61)를 고정시키는 핀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은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된 상태에서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의미하고, 탄성체(61)는 이러한 성질을 갖는 물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체(61)는 스프링을 이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성체(61)는 삽입부(60) 내에 위치하여 돌출부(50)가 삽입부(60) 내로 진입할 때 돌출부(50)의 단부에 밀려 압축되고, 돌출부(50)가 후퇴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핀부(63)는 삽입부(6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체(61)가 삽입부(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50)는 핀부(63)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50)의 종방향으로 절삭된 제1절삭부(51), 상기 제1절삭부(51)의 끝으로부터 상기 핀부(63)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50)의 둘레를 따라 절삭된 제2절삭부(52), 상기 제2절삭부(52)의 끝으로부터 상기 핀부(63)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절삭된 제3절삭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0)는 핀부(63)에 의해 삽입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돌출부(50)는 그 일부가 절삭되어 삽입부(60)의 핀부(63)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핀부(6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절삭부(51)는 돌출부(50)의 끝단에서 시작되어 돌출부(50)의 종방향으로 절삭될 수 있다. 제1절삭부(51)는 삽입부(60) 내의 핀부(63)가 이동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절삭부(52)는 제1절삭부(51)의 끝에서 시작되어 돌출부(50)의 둘레방향으로 절삭될 수 있다. 이때 제2절삭부(52)는 삽입부(60) 내의 핀부(63)가 이동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른나사(시계방향 결합)가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오른나사와 같은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돌출부(50)의 단부에서 바라볼 때 시계방향으로 절삭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황에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절삭된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반드시 절삭 방향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3절삭부(53)는 제2절삭부(52)의 끝에서 시작되어 돌출부(50)의 종방향, 즉 돌출부(50)의 단부 방향으로 절삭될 수 있다. 제3절삭부(53)는 제1절삭부(51) 및 제2절삭부(52)를 이동해온 삽입부(60) 내의 핀부(63)가 돌출부(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삽입부(60)와 돌출부(50)가 연결되는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60)와 돌출부(50)의 체결준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핀부(63)가 제1절삭부(51)를 향해 다가가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이 때, 핀부(63)가 제1절삭부(51)의 시작점에 정확히 일치할 수도 있으나,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핀부(63)가 제1절삭부(51)의 시작점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돌출부(50)의 돌출부(50)가 삽입구를 통해 삽입부(60)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50)의 단부가 핀부(63)에 걸려 더이상 진입이 불가하나, 삽입부(60) 및/또는 돌출부(50)를 최대 1회전하여 핀부(63)와 제1절삭부(51)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관적으로 돌출부(50)를 삽입구를 통해 삽입부(60) 내로 진입시키고, 삽입부(60) 및/또는 돌출부(50)에 회전력을 가해 간단한 손동작으로 삽입부(60)와 돌출부(50)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부(63)가 제1절삭부(51)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b에 따르면, 핀부(63)가 제1절삭부(51)의 시작점과 일치한 상태에서 삽입부(60) 및/또는 돌출부(50)에 외력을 가하면 돌출부(50)의 단부는 탄성체(61)를 밀게 되고, 핀부(63)는 제1절삭부(51)를 따라 제1절삭부(51)의 끝(제2절삭부(52)의 시작)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부(63)가 제2절삭부(52)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c에 따르면, 핀부(63)가 제1절삭부(51)의 끝에 도달한 상태에서 삽입부(60) 및/또는 돌출부(50)에 회전력을 가하면 핀부(63)는 제2절삭부(52)를 따라 제2절삭부(52)의 끝(제3 절삭부의 시작)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부(63)가 제3절삭부(53)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d에 따르면, 핀부(63)가 제2절삭부(52)의 끝에 도달한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탄성체(61)는 복원력으로 돌출부(50)의 단부를 삽입구쪽으로 밀 수 있다. 다음으로 핀부(63)는 제3절삭부(53)에 걸려 삽입부(60)와 돌출부(50)가 연결되면서 삽입부(60)와 돌출부(50)가 완전히 체결된다. 이 때 탄성체(61)는 지속적으로 돌출부(50)의 단부에 대해 미는 힘을 가하고, 핀부(63)는 제3절삭부(53)에 대해 탄성체(61)의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결합 없이도 삽입부(60)와 돌출부(50)의 구조를 통해서 쉽게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물과 같은 외력에 대항하여 분리되지 않고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삽입부(60)를 돌출부(5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과정과 반대로 진행된다. 돌출부(50) 및/또는 삽입부(60)에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의 외력을 가하면 탄성체(61)는 압축되고, 핀부(63)는 제2절삭부(52)까지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50) 및/또는 삽입부(60)에 회전력을 가하면 핀부(63)는 제2절삭부(52)를 따라 제1절삭부(51)까지 이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력을 모두 제거하면 탄성체(61)는 복원력으로 돌출부(50)의 단부를 밀고, 핀부(63)는 제1절삭부(5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삽입부(60)는 돌출부(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체결과 분리하는 과정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60) 내로 돌출부(50)의 돌출부(50)가 들어가는 순간 탄성체(61)를 압축시키는 방향의 힘과 회전힘을 동시에 가하면 하나의 동작으로 최종 체결까지 이를 수 있다. 반대로 탄성체(61)를 압축시키는 방향의 힘과 회전힘을 동시에 가하면 하나의 동작으로 최종 분리까지 이를 수 있다.
회전힘의 방향은 전술한 제2절삭부(52)의 절삭방향에 따라 홀더의 단부에서 바라볼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핀부(63)는 단일하게 삽입부(60) 내에 형성됨으로써, 제3절삭부(53)와 결합하는 기능 및 탄성체(61)가 삽입부(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연결부(310), 제3연결부(330) 또는 제5연결부(35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310)는 연결부(300) 또는 제4연결부(340)와 체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320)는 제3연결부(330) 또는 제5연결부(350)와 체결될 수 있다. 제3연결부(330)는 연결부(300) 또는 제2연결부(320)와 체결될 수 있다. 제4연결부(340)는 제1연결부(310) 또는 제5연결부(350)와 체결될 수 있다. 제5연결부(350)는 연결부(300), 제2연결부(320) 또는 제4연결부(34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속부는 강선채비(400), 추조립체(500) 또는 캡(6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속부는 강선채비(400), 추조립체(500) 또는 캡(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제1부속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부속부는 제2부속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는 캡(600), 추조립체(500), 강선채비(400), 연결부(300), 바늘홀더(200), 부력맞춤부(100) 순으로 연결되거나, 캡(600), 강선채비(400), 추조립체(500), 연결부(300), 바늘홀더(200), 부력맞춤부(100) 순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 추조립체(500) 및 강선채비(400) 중 적어도 하나는 제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운영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찌에 의한 부력과 추조립체(500), 부력맞춤부(100) 및 바늘홀더(200)에 의한 침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함으로써 찌맞춤이 완성될 수 있다. 바늘홀더(200)는 제1중량 내지 제4중량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중량은 가장 작은 중량을 의미한다. 제2중량은 제1중량보다 크고, 제3중량은 제2중량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중량 내지 제4중량은 등차 또는 등비수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중량의 바늘홀더(200)를 사용하여 찌맞춤을 한 후 찌의 움직임, 물고기의 입질 결과에 따라 제2중량의 바늘홀더(200)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2중량의 바늘홀더(200)로 교체한 후 다시 제3중량의 바늘홀더(200)로 교체할 수 있고, 동일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제1중량의 바늘홀더(200)로 찌맞춤을 하고 제2중량의 바늘홀더(200)로 교체하는 경우, 제2중량과 제1중량의 차이만큼의 찌의 하강이 일어날 수 있으나, 바늘홀더(200)의 중량은 부력맞춤부(100) 및 추조립체(500)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찌맞춤에 영향이 크지 않고, 찌의 하강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수준일 수 있다.
물고기의 입질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제1중량의 바늘홀더(200)는 그 이상의 중량을 가지는 바늘홀더(200)로 교체될 수 있고, 물고기에 의해 바늘홀더(200)가 들어올려지는 경우, 최초 찌맞춤 상태의 찌의 위치로부터 제1중량만큼의 찌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다.
나아가, 상대적으로 큰 중량의 바늘홀더(200)를 사용하면, 안정적인 찌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낚시를 하는 자는 정확하고 예민한 물고기의 입질 표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낚시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를 이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바늘홀더(200)에 2개의 낚싯바늘(30)을 연결하고, 부력맞춤부(100)의 목줄홀에 2개의 낚싯바늘(30)을 연결하면, 총 4개의 낚싯바늘(30)을 이용하여 집어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낚싯바늘(30)에 미끼를 연결하고 찌맞춤이 완료된 위치에서 미끼를 풀어 물고기를 끌어들일 수 있다.
이어서, 부력맞춤부(100)에 연결된 낚싯바늘(30) 2개를 제거하고 바늘홀더(200)에 연결된 낚싯바늘(30) 2개만으로 낚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집어와 포획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충분한 집어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낚싯바늘(30) 1개를 제거하여 1개의 낚싯바늘(30)로 물고기를 포획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연결부(300) 및 제1연결부(310) 내지 제5연결부(350)는 암체결부 또는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암체결부는 삽입부(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체결부는 돌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60) 및 돌출부(50)를 이용하여 쉽게 각 연결부를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고, 바늘홀더(200)의 중량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기둥줄
20 : 목줄
30 : 낚싯바늘
50 : 돌출부
51 : 제1절삭부
52 : 제2절삭부
53 : 제3절삭부
60 : 삽입부
61 : 탄성체
63 : 핀부
100 : 부력맞춤부
110 : 곡면부
120 : 중량변화부
130 : 고리부
131 : 고리홀
132 : 지지부
133 : 라운드부
140 : 목줄홀
200 : 바늘홀더
210 : 주관통홀
220 : 제1관통홀
230 : 제2관통홀
240 : 제3관통홀
300 : 연결부
310 : 제1연결부
320 : 제2연결부
330 : 제3연결부
340 : 제4연결부
350 : 제5연결부
390 : 연결고리
400 : 강선채비
410 : 나사산부
420 : 기둥부
430 : 걸림턱
500 : 추조립체
510 : 추
520 : 추홀더
600 : 캡
690 : 캡고리

Claims (14)

  1.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채비에 있어서,
    기둥줄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줄에 중량을 가하는 부력맞춤부; 및
    찌의 부력에 대항하기 위해 상기 부력맞춤부와 함께 침력을 형성하며, 상기 기둥줄을 관통하는 주관통홀을 가지고, 낚싯바늘이 연결되는 바늘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홀더는, 상기 부력맞춤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기둥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상기 기둥줄이 상기 주관통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기둥줄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고,
    물고기가 상기 바늘홀더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부력과 상기 침력의 힘의 평형이 깨지게 되는, 낚시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맞춤부는,
    상기 부력맞춤부의 수평 단면적이 상부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늘홀더가 안착되기 위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낚시채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맞춤부는,
    상기 곡면부 하단과 연결되는 중량변화부를 더 포함하는, 낚시채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맞춤부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부력맞춤부는, 상기 중량변화부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낚시채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맞춤부는,
    상기 부력맞춤부의 상부에 상기 기둥줄이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부에 상기 기둥줄이 직접 체결되는 고리홀을 포함하는, 낚시채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부가 상기 부력맞춤부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상기 고리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의 길이는,
    상기 주관통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낚시채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맞춤부는,
    상기 부력맞춤부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줄홀을 포함하는, 낚시채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제1부속부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줄에 연결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수체결부 또는 암체결부를 포함하는, 낚시채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홀더는,
    일측에 낚싯바늘을 연결할 수 있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는, 낚시채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홀더는,
    상기 바늘홀더의 일측에 낚싯바늘을 연결할 수 있는 제1관통홀 및
    상기 바늘홀더의 타측에 낚싯바늘을 연결할 수 있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낚시채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홀더는,
    상기 주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바늘홀더의 이동시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제3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낚시채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홀더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바늘홀더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낚시채비.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속부는,
    추조립체, 강선채비 또는 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낚시채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속부는 제2부속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부속부는 추조립체, 강선채비 또는 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낚시채비.
KR1020210114806A 2021-08-30 2021-08-30 낚시채비 KR10243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06A KR102432877B1 (ko) 2021-08-30 2021-08-30 낚시채비
KR1020220093304A KR20230032885A (ko) 2021-08-30 2022-07-27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06A KR102432877B1 (ko) 2021-08-30 2021-08-30 낚시채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304A Division KR20230032885A (ko) 2021-08-30 2022-07-27 낚시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877B1 true KR102432877B1 (ko) 2022-08-12

Family

ID=828036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806A KR102432877B1 (ko) 2021-08-30 2021-08-30 낚시채비
KR1020220093304A KR20230032885A (ko) 2021-08-30 2022-07-27 낚시채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304A KR20230032885A (ko) 2021-08-30 2022-07-27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28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586U (ko) * 1998-09-16 2000-04-15 신명복 떡밥낚시채비
JP3068120U (ja) * 1997-12-15 2000-04-28 順一 寺岡 魚掛けの餌付け具及び引っ掛け針
KR200207744Y1 (ko) * 2000-06-02 2000-12-15 은명국 낚시바늘 채비
KR20160004324U (ko) * 2015-06-09 2016-12-19 김태동 다단굴절 낚시채비
KR20190025235A (ko) * 2017-09-01 2019-03-11 변무현 걸림방지봉돌
KR20190088179A (ko) * 2018-01-18 2019-07-26 조형균 낚시 도구
KR20210000106U (ko) 2020-12-21 2021-01-13 유재선 편대 채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120U (ja) * 1997-12-15 2000-04-28 順一 寺岡 魚掛けの餌付け具及び引っ掛け針
KR20000006586U (ko) * 1998-09-16 2000-04-15 신명복 떡밥낚시채비
KR200207744Y1 (ko) * 2000-06-02 2000-12-15 은명국 낚시바늘 채비
KR20160004324U (ko) * 2015-06-09 2016-12-19 김태동 다단굴절 낚시채비
KR20190025235A (ko) * 2017-09-01 2019-03-11 변무현 걸림방지봉돌
KR20190088179A (ko) * 2018-01-18 2019-07-26 조형균 낚시 도구
KR20210000106U (ko) 2020-12-21 2021-01-13 유재선 편대 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885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3977B1 (ja) 底蓋及び引っ掛け金具を有する中通し撒き餌カゴを用いた釣り具及び釣り方
JP6639486B2 (ja) 疑似餌システム
US20070033857A1 (en) Safeslide bobber apparatus
KR101581644B1 (ko) 자동 작살낚시장치
JP6534360B2 (ja) 釣用の仕掛け
US5615512A (en) Float with light indicators
KR102432877B1 (ko) 낚시채비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KR20170003424A (ko) 낚시용 리그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US8448375B1 (en) Fishing apparatus
US2256173A (en) Artificial minnow plug
US2074057A (en) Fishhook release
JP5931504B2 (ja) ルアー
KR20160084069A (ko)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CN107232153B (zh) 磁力触发自动钓鱼器
US2531235A (en) Fish landing grip
JP6254736B1 (ja) イカ釣り用ヤエン
KR20210001102U (ko)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0249270Y1 (ko) 자동포획낚시장치
KR102607742B1 (ko) 바닥추의 무게조절이 용이한 분할추채비
KR20230141312A (ko) 기능성을 개선시킨 두족류 낚시용채비
CN205357833U (zh) 一种打窝器
CN211268230U (zh) 一种多功能鱼钩
JP2023026410A (ja) 太刀魚テン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