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02U -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 Google Patents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02U
KR20210001102U KR2020190004562U KR20190004562U KR20210001102U KR 20210001102 U KR20210001102 U KR 20210001102U KR 2020190004562 U KR2020190004562 U KR 2020190004562U KR 20190004562 U KR20190004562 U KR 20190004562U KR 20210001102 U KR20210001102 U KR 202100011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el wire
joint
connection par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549Y1 (ko
Inventor
정이규
Original Assignee
정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이규 filed Critical 정이규
Priority to KR2020190004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4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단에 원줄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소켓과; 상기 상부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추홀더와; 상기 추홀더에 삽입, 지지되는 중량 조절용 원통추와; 상기 추홀더에 연결되는 강선추와; 상기 강선추의 하단에 연결되며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으로 이루어지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에 결합되는 좁쌀추가 선형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수중에서의 직립성과 물고기 입질에 대한 민감성이 우수한 선형 낚시추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Linier sinker set for fishing with joint region}
본 고안은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단에 원줄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소켓과; 상기 상부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추홀더와; 상기 추홀더에 삽입, 지지되는 중량 조절용 원통추와; 상기 추홀더에 연결되는 강선추와; 상기 강선추의 하단에 연결되며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으로 이루어지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에 결합되는 좁쌀추가 선형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수중에서의 직립성과 물고기 입질에 대한 민감성이 우수한 선형 낚시추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추(‘봉돌’이라고도 함)는 원줄에 의해서 낚시찌와 연결되고 목줄(‘밑줄’이라고도 함)에 의해서 낚시바늘과 연결되어 있으며, 낚시바늘의 위치를 잡아주고, 낚시찌의 부력과 무게 균형을 이루어서 물고기의 입질, 즉 어신(魚信)을 소위 찌오름 현상으로 낚시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낚시꾼이 어신을 감지하는 찌오름은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꿰어진 미끼를 물었을 때 찌머리가 수면 위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래서 물고기의 입질이 적시에 찌오름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침력을 서로 정확히 일치시키고, 나아가 낚시찌와 낚시추를 수직으로 똑바로 세워주는 소위 찌맞춤 작업을 해야 한다.
이러한 찌맞춤 작업은 낚시터의 수심이나 온도, 바람, 계절, 기압, 낚시 어종 등에 따라 그 조건이 달라지는 매주 정교한 작업이다. 그래서 종래에도 찌낚시의 찌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낚시추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275437호(2002년 05월 01일), 특허 제10-0821085호(2008년 04월 02일), 특허 제10-1000411호(2010년 12월 06일), 특허 제10-1363323호(2014년 02월 10일), 특허 제10-1621308호(2016년 05월 10일) 등이 있다.
첨부 도 1은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275437호(2002년 05월 01일)에 소개되어 있는 분할 낚시추(100)를 나타낸 것으로, 낚시추가 5개의 봉돌, 즉 제1 내지 제6 낚시추(120,130,140,150,160)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6 낚시추(120,130,140,150,160) 무게의 합에 의해서 발생하는 침력은 낚시찌(300)의 부력과 동일하다. 그리고, 제1 낚시추(120)에는 낚시바늘(400)이 부착되어 있고, 제6 낚시추(160)에는 원줄(110)에 의해서 낚시찌(30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첨부 도 2는 상기 특허 제10-1363323호(2014년 02월 10일)에 소개된 낚시추 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추(400)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510)와 상기 추(400)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부(520)를 갖는 홀더(500), 그리고 상기 바(510)의 상단에 체결되는 캡(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520) 하단의 제1 고리(521)에는 낚시바늘로 연결되는 목줄이 매어지고, 상기 캡(600) 상단의 제2 고리(611)에는 낚시찌로 연결되는 원줄이 매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510)의 상단에는 수나사부(5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600)에는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도 2에서는 보이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홀더(500)와 캡(600)은 서로 나사결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75437호(2002.05.01.) 특허 제10-0821085호(2008년 04월 02일) 특허 제10-1000411호(2010년 12월 06일) 특허 제10-1363323호(2014년 02월 10일) 특허 제10-1621308호(2016년 05월 10일)
일반적으로 찌오름 현상은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침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물고기가 낚시 미끼를 물게 되면, 그 물고기가 낚시추 무게의 일부를 감당함으로써 낚시찌의 부력이 낚시추의 침력보다 더 커지기 때문에 낚시찌가 수면 위로 상승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고기는 미끼를 무는 순간에 낚시추의 무게로 인한 이물감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이물감은 물고기가 미끼를 회피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낚시꾼이 챔질(Hook-set)의 타이밍을 판단하는 어신(魚信)은 예신(豫信)과 본신(本信)으로 나눌 수 있다. 예신은 보통 물고기가 지느러미 운동 등 몸동작에 의해서 나타나는 신호이고, 본신은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할 때 나타나는 신호이다. 따라서 예신과 본신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예신을 본신으로 착각하면 헛챔질을 하게 된다. 예신과 본신을 확실하게 구별하기 위해서는 낚시추를 길게 연장하여 수직으로 세우는 찌맛춤을 통해서 소위 직립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종래 분할추의 경우, 낚시추의 무게가 수직으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찌(300)와 낚시추(100)를 수직으로 똑바로 세워주는 찌맞춤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 순간에 낚시찌가 수면 위로 상승하기 위해서는 가장 무거운 제1 낚시추(120)의 무게를 물고기가 감당하기 때문에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이 매우 크고, 나아가 낚시추(100)의 무게를 조절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2와 같은 종래 낚시추 조립체는 무게가 서로 다른 추(400)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추(400)의 무게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추(400)와 홀더(500) 및 캡(600)이 모두 한몸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 순간에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이 클 뿐 아니라 낚시추의 직립성이 부족하고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이 바로 낚시찌로 연결되는 민감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침력을 서로 정확히 일치시키고, 나아가 낚시찌와 낚시추를 수직으로 똑바로 세워주는 소위 찌맞춤 작업이 용이하여 예신과 본신의 구분이 분명하고,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 순간에 느끼는 이물감이 적을 뿐 아니라, 미세한 입질도 바로 낚시찌로 연결되는 민감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선형 낚시추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낚시줄이 꼬일 우려가 없고, 선형 구조 임에도 불구하고 뜰채로 물고기를 건져 올리는 작업이 용이하며, 특히 떡밥 등과 같이 죽은 미끼를 사용하여 중소형 어종을 낚는데 적합한 새로운 구조의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는, 상단에 원줄고리가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원통형 제1 접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소켓과; 상기 제1 접속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소정 길이의 강선(鋼線)으로 이루어진 강선지지부와, 상기 강선지지부의 하단에 설치된 원통형 제2 접속부를 갖는 추홀더와; 소정 길이의 파이프(pipe) 형상으로서, 상기 강선지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접속부의 상측에 지지되는 중량 조절용 원통추와; 상기 제2 접속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추홀더의 강선지지부 보다 길이가 더 긴 강선(鋼線)으로 이루어진 강선추와; 상기 강선추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합성섬유를 직조(織造) 하여서 제조되는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으로 이루어지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상기 관절부에 삽입되는 삽입돌부가 돌출되어 있고, 하단에는 원통형 제3 접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소켓과; 상기 제3 접속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목줄고리 또는 편대가 설치되어 있는 좁쌀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홀더와 상기 강선추 사이에는 합성섬유를 직조(織造) 하여서 제조되는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으로 이루어지는 상단관절부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단관절부의 상단에는 상기 추홀더의 제2 접속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접속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낚시추 세트는, 낚시추의 중량이 수직 방향으로 분산배치 되어 있으며, 원통추를 이용하여 중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찌맞춤이 용이하고, 예신과 본신의 구분이 분명하며, 특히 낚시추의 무게 중심이 하측에 비해 상측으로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물고기가 입질을 할 때 이물감이 적고, 입질 신호가 낚시찌로 민감하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형 낚시추 세트는, 강선추와 하부소켓 사이에 관절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길이가 긴 선형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뜰채로 물고기를 건져 올리는 작업이 용이하며, 낚시추가 휘거나 낚시줄이 꼬일 염려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낚시추 세트는, 수중에서의 직립성과 물고기 입질에 대한 민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컨대 떡밥과 같이 죽은 미끼를 사용하여 중소형 어종을 낚는 용도로 사용하게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낚시추 결합체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낚시추 세트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분리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작동요부를 확대한 분리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3에서 작동요부를 확대한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낚시추 세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의 규격이 실제보다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는, 첨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소켓(10)과 추홀더(20), 원통추(30), 강선추(40), 관절부(50), 하부소켓(60) 및 좁쌀추(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중에서 상기 상부소켓(10)과 추홀더(20), 강선추(40), 관절부(50), 하부소켓(60) 및 좁쌀추(70)가 일직선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편의상 상기 상부소켓(10)이 배치되는 방향을 상단 또는 상방이라 하고, 상기 좁쌀추(70)가 배치되는 방향을 하단 또는 하방이라 한다.
먼저 상기 상부소켓(10)은 상단에 낚시찌로 연결되는 원줄을 잡아매는 원줄고리(11)가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원통형 제1 접속부(12)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줄고리(11)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지지부(11a)를 상기 상부소켓(10)의 중앙홀(H) 상단에 삽입한 상태에서 접착 또는 용접하여 상기 중앙홀(H1) 내에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중앙홀(H)의 입구를 강제로 오므려서 상기 원줄고리(11)의 지지부(11a)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추홀더(20)는 상기 상부소켓(10)의 제1 접속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소정 길이의 강선(鋼線)으로 이루어진 강선지지부(21)와, 상기 강선지지부(21)의 하단에 설치된 원통형 제2 접속부(22)를 갖는다. 상기 강선지지부(21)를 구성하는 강선의 직경은 0.7~1.5 mm이고, 길이는 2~4 cm 인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 접속부(22)는 상기 강선지지부(21) 보다 약간 더 굵은 직경을 가지며,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추(30)는 상기 강선지지부(21)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접속부(22)의 상측에 지지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낚시추 세트의 전체 중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원통추(30)는 상기 강선지지부(21)에 삽입할 수 있도록 중공형 파이프(pipe)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는 상기 강선지지부(21) 보다 약간 짧고, 무게는 예컨대 0.1~10g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원통추(30)는 외경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각형인 것도 무방하다.
첨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통추(30)의 하단 내경부에는 암나사부(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추홀더(20)의 강선지지부(21)와 제2 접속부(22) 사이에는 암나사부(31)에 대응하는 수나사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원통추(30)는 낚시 조건에 따라 적절한 무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암나사부(31)와 수나사부(23)를 서로 나사결합 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홀더(20)의 강선지지부(21)에는 상기 원통추(30)의 상측에 추가적으로 중량조절용 미세오링추(32)가 층층이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미세오링추(22)는 각각의 무게가 수 mg 정도에 불과한 오링(O-ring) 형태의 초소형 낚시추로서, 상기 원통추(30)의 중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강선추(40)는 상기 추홀더(20)의 제2 접속부(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추홀더(20)의 강선지지부(21) 보다 길이가 더 긴 강선(鋼線)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선추(40)는 길이가 3~15 Cm이고, 상부 직경이 1~2 mm 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tape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추(40)는 길이가 8~10 Cm, 상부 직경이 1.5 mm, 하부직경이 1.1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강선추(40)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짐으로써, 선형 낚시추 세트가 수중에서 수직으로 똑 바로 서는 직립성이 보장되고, 나아가 물고기가 입질을 할 때 이물감은 감소하고 낚시찌의 민감성이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관절부(50)는 상기 강선추(40)의 하단에 연결되어 부드럽게 꺾이는 관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합성섬유를 직조(織造) 하여서 제조되는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일명, ‘릴리안사’ 라고도 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절부(50)의 길이는 2~4 cm 정도인 것이 적당하다. 상기 중공형 직조 끈은 부드럽고 질기며 내수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상기 강선추(40) 및 하부소켓(60)과의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하부소켓(60)은 상기 관절부(5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상기 관절부(50)에 삽입되는 삽입돌부(61)가 돌출되어 있고, 하단에는 원통형 제3 접속부(62)가 구비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좁쌀추(70)는 상기 제3 접속부(6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하단에 목줄고리(71)가 설치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양측으로 확장된 편대(7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좁쌀추(70)는 통상적인 좁쌀추에 마찬가지로 0.5~1g 정도의 무게를 갖는 소형 봉돌추를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1 접속부(12)와 제2 접속부(22) 및 제3 접속부(62)와 여기에 결합되는 추홀더(20)와 강선추(40) 및 좁쌀추(70)는 각각 서로 나사결합(도시하지 않음)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예컨대 야간에 어두운 낚시터에서 이들을 서로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낚시줄이 꼬일 경우, 그 회전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나사결합이 저절로 풀릴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 접속부(12)와 추홀더(20), 상기 제2 접속부(22)와 강선추(40), 그리고 상기 제3 접속부(62)와 좁쌀추(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원터치(one-touch) 결합구조로 구현할 것을 제안한다. 첨부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접속부(12)와 추홀더(20)의 원터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원터치 결합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추홀더(20)의 강선지지부(21) 상단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날개부(W)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날개부(W)는 상기 강선지지부(21)의 바깥둘레면에 일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나, 도 4 및 도 6과 같이 2개의 걸림날개부(W)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소켓(10)의 제1 접속부(12)에는 중앙홀(H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H1)의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날개부(W)가 통과하는 세로절개홈(H2)와 가로절개홈(H3) 및 걸림절개홈(H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로절개홈(H2)은 상기 중앙홀(H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되어 있고, 상기 가로절개홈(H3)은 상기 세로절개홈(H2)의 상단에서 중앙홀(H1)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각도, 예컨대 90도 정도 절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절개홈(H4)은 상기 가로절개홈(H3)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중앙홀(H1)의 하단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하향 절개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H1) 내부에는 상기 강선지지부(21)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주는 스프링(H5)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강선지지부(21)의 상단부를 상부소켓(10)의 중앙홀(H1) 속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걸림날개부(W)가 세로절개홈(H2)을 따라 진입한다. 상기 강선지지부(21)의 상단부가 중앙홀(H1) 속으로 충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추홀더(20)를 살짝 회전시켜 주면, 상기 걸림날개부(W)가 가로절개홈(H3)을 따라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추홀더(20)를 잡고 있던 손을 놓아주면, 상기 스프링(H5)의 탄성에 의해서 걸림날개부(W)가 걸림절개홈(H4) 속으로 진입하면서 잠금 상태가 된다.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H5)의 탄성을 이기고 강선지지부(21)를 밀어 올리지 않는 한, 상기 상부소켓(10)과 추홀더(20)가 절대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소켓(10)과 추홀더(20)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스프링(H5)의 탄성을 이기고 강선지지부(21)를 밀어 올려서 상기 걸림절개홈(H4)에서 걸림날개부(W)를 탈출시키고, 상기 가로절개홈(H3)을 따라 추홀더(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다시 세로절개홈(H2)를 따라 중앙홀(H1) 밑으로 추홀더(20)를 빼낸다.
첨부 도 5 및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H6은 상기 스프링(H5)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프링 시트(spring seat)’이고, 미설명 부호 H7은 상기 세로절개홈(H2)과 가로절개홈(H3) 및 걸림절개홈(H4)를 둘러싸는 ‘슬리브(sleeve)’ 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one-touch) 결합구조를 이용하면, 상기 상부소켓(10)과 추홀더(20)를 단 한번의 동작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단 한번의 동작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상태에서는 상기 상부소켓(10)과 추홀더(20)가 저절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없어서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부(22)와 강선추(40), 그리고 상기 제3 접속부(62)와 좁쌀추(70)에 대해서도 상기 제1 접속부(12)와 추홀더(20)와 같은 원터치(one-touch) 결합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선추(40) 및 상기 좁쌀추(70)의 상단에도 각각 세로절개홈(H2))과 가로절개홈(H3)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날개부(W)가 설치된다. 참고로 첨부 도 4는 상기 제1 접속부(12)와 추홀더(20) 및 상기 제2 접속부(22)와 강선추(40)는 각각 원터치 결합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접속부(62)와 좁쌀추(70)는 나사 결합구조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한편, 상기 관절부(50)를 형성하는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강선추(40)의 하단과 상기 하부소켓(60)의 삽입돌부(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나 열융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선추(40)의 하단과 상기 삽입돌부(61)의 외면에는 각각 상기 관절부(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미늘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추(40)의 하단부는 중공형 관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부(50)의 상단에는 강선추(40)의 하단 내경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벨(swivel) 접속부재(5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벨 접속부재(51)의 상단에는 상기 강선추(40)의 하단 내경부 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지지부(52)와 외향단턱부(5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강선추(40)의 하단 내경부에는 상기 외향단턱부(53)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향단턱부(41)가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접속부재(51)는 회전지지부(52)가 강선추(40) 하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스위벨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스위벨(swivel) 접속 구조는 낚시줄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할 때 미끼가 물고기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 하는 기능을 한다.
첨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추홀더(20)와 상기 강선추(40) 사이에 추가적으로 상단관절부(8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상단관절부(80)는 상기 관절부(50)와 동일하게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에는 상기 추홀더(20)의 제2 접속부(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접속부재(8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추홀더(20)의 제2 접속부(22)와 상기 분리형 접속부재(81)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도 4의 제2 접속부(22) 및 강선추(40)와 마찬가지로 원터치(one-touch)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관절부(80)는 앞서 설명한 관절부(50)와 함께 유연성을 발휘하여 강선추(40)가 휘거나 뜰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10; 상부소켓 11; 원줄고리
12; 제1 접속부 20; 추홀더
21; 강선지지부 22; 제2 접속부
23; 수나사부 30; 원통추
31; 암나사부 32; 미세오링추
40; 강선추 41; 내향단턱부
50; 관절부 51; 스위벨 접속부재
52; 회전지지부 53; 외향단턱부
60; 하부소켓 61; 삽입돌부
62; 제3 접속부 70; 좁쌀추
71; 목줄고리 72; 편대
80; 상단관절부 81; 분리형 접속부재
H1 ; 중앙홀 H2; 세로절개부
H3; 가로절개부 H4; 걸림절개부
H5; 스프링 H6; 스프링시트(spring seat)
H7; 슬리브(sleeve) W; 걸림날개부

Claims (8)

  1. 상단에 원줄고리(11)가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원통형 제1 접속부(12)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소켓(10)과;
    상기 제1 접속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소정 길이의 강선(鋼線)으로 이루어진 강선지지부(21)와, 상기 강선지지부(21)의 하단에 설치된 원통형 제2 접속부(22)를 갖는 추홀더(20)와;
    소정 길이의 파이프(pipe) 형상으로서, 상기 강선지지부(21)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접속부(22)의 상측에 지지되는 중량 조절용 원통추(30)와;
    상기 제2 접속부(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추홀더(20)의 강선지지부(21) 보다 길이가 더 긴 강선(鋼線)으로 이루어진 강선추(40)와;
    상기 강선추(4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합성섬유를 직조(織造) 하여서 제조되는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으로 이루어지는 관절부(50)와;
    상기 관절부(5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상기 관절부(50)에 삽입되는 삽입돌부(61)가 돌출되어 있고, 하단에는 원통형 제3 접속부(62)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소켓(60)과;
    상기 제3 접속부(6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목줄고리(71) 또는 편대(72)가 설치되어 있는 좁쌀추(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12)와 제2 접속부(22) 및 제3 접속부(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중앙홀(H1)과. 상기 중앙홀(H1)의 둘레면에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되어 있는 세로절개홈(H2))과, 상기 세로절개부(H2)의 상단에서 상기 중앙홀(H1)의 둘레방향으로 절개된 가로절개홈(H3)과, 상기 가로절개부(H3)의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개된 걸림절개홈(H4)과, 상기 중앙홀(H1) 내부에 지지되어 하방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H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홀더(20)의 강선지지부(21)와 상기 강선추(40) 및 상기 좁쌀추(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단에는 상기 세로절개홈(H2))과 가로절개홈(H3)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절개홈(H4)에 수납되는 걸림날개부(W)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홀더(20)의 강선지지부(21)와 제2 접속부(22) 사이에는 수나사부(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원통추(30)의 하단 내경부에는 상기 수나사부(23)에 대응하는 암나사부(3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50)를 형성하는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강선추(40)의 하단과 상기 하부소켓(60)의 삽입돌부(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나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강선추(40)의 하단과 상기 삽입돌부(61)의 외면에는 각각 상기 관절부(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미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추(40)는 길이가 3~15 Cm이고, 상부 직경이 1~2 mm 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taper)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추(40)의 하단부는 관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부(50)의 상단에는 강선추(40)의 하단 내경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벨(swivel) 접속부재(51)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벨 접속부재(51)는 상기 강선추(40)의 하단 내경부 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지지부(52)와 외향단턱부(5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강선추(40)의 하단 내경부에는 상기 외향단턱부(53)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향단턱부(4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홀더(20)와 상기 강선추(40) 사이에는 합성섬유를 직조(織造) 하여서 제조되는 중공형(中空形) 직조 끈으로 이루어지는 상단관절부(80)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단관절부(80)의 상단에는 상기 추홀더(20)의 제2 접속부(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접속부재(8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20190004562U 2019-11-14 2019-11-14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0494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62U KR200494549Y1 (ko) 2019-11-14 2019-11-14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62U KR200494549Y1 (ko) 2019-11-14 2019-11-14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02U true KR20210001102U (ko) 2021-05-24
KR200494549Y1 KR200494549Y1 (ko) 2021-11-03

Family

ID=7614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562U KR200494549Y1 (ko) 2019-11-14 2019-11-14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427B1 (ko) * 2022-04-19 2022-10-25 노상복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37Y1 (ko) 2001-11-14 2002-05-16 최순호 분할 낚시 추
KR100821085B1 (ko) 2007-01-18 2008-04-08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101000411B1 (ko) 2007-10-25 2010-12-14 정강호 낚시 채비 및 그에 사용되는 무게조절 봉돌부재
KR20120138024A (ko) * 2011-06-14 2012-12-24 추승정 봉돌
KR101343943B1 (ko) * 2012-10-24 2013-12-20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343942B1 (ko) * 2012-10-31 2013-12-20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4-02-14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20140109160A (ko) * 2013-03-05 2014-09-15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621308B1 (ko) 2014-10-02 2016-05-16 정이규 올림 낚시용 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37Y1 (ko) 2001-11-14 2002-05-16 최순호 분할 낚시 추
KR100821085B1 (ko) 2007-01-18 2008-04-08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101000411B1 (ko) 2007-10-25 2010-12-14 정강호 낚시 채비 및 그에 사용되는 무게조절 봉돌부재
KR20120138024A (ko) * 2011-06-14 2012-12-24 추승정 봉돌
KR101343943B1 (ko) * 2012-10-24 2013-12-20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343942B1 (ko) * 2012-10-31 2013-12-20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20140109160A (ko) * 2013-03-05 2014-09-15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4-02-14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621308B1 (ko) 2014-10-02 2016-05-16 정이규 올림 낚시용 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427B1 (ko) * 2022-04-19 2022-10-25 노상복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549Y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ko) 올림 낚시용 추
KR20210001102U (ko)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210001087U (ko)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KR100982541B1 (ko) 낚시추
US5490348A (en) Two piece slip bobber
US20120030991A1 (en) Floating fishing lure supporting a dancing bait on the water surface
CN113453544A (zh) 一键耦合式钓鱼铅坠组件
KR102479367B1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US3011285A (en) Fishing bobbers
KR20140109160A (ko) 낚시추 조립체
EP1880608A1 (en) Method feeder
JP4464163B2 (ja) 釣り浮き
KR102607742B1 (ko) 바닥추의 무게조절이 용이한 분할추채비
KR102447564B1 (ko)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KR200493863Y1 (ko) 도래 조립체
EP2098115B1 (en) A baiting device for use in angling
JP4822930B2 (ja) 伸縮自在な釣り用天秤及びそれを備えた釣り用仕掛け
KR20220011880A (ko) 회전 낚시채비
KR200194972Y1 (ko) 낚시용 낚시찌
JP2520635Y2 (ja) 釣用うき
KR20230020105A (ko) 테이퍼형 편대조립체
KR20090007939U (ko) 봉돌의 무게 조절이 가능한 낚시대
KR200282202Y1 (ko) 중통찌
JP3099558U (ja) うき天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