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427B1 -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427B1 KR102459427B1 KR1020220048442A KR20220048442A KR102459427B1 KR 102459427 B1 KR102459427 B1 KR 102459427B1 KR 1020220048442 A KR1020220048442 A KR 1020220048442A KR 20220048442 A KR20220048442 A KR 20220048442A KR 102459427 B1 KR102459427 B1 KR 102459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ishing rod
- hole
- body portion
- body par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534454 Arenaria interpr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전방면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장착홈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회동돌편이 형성되는 몸체부; 일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2회동돌편과,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축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후미부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전방받침브라켓부; 및 원터치 푸쉬 동작으로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방지지대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대의 후미 부분 거치를 위해 사용하는 지지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시킬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낚시대 뿐만 아니라, 이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대 등 추가적인 장비가 요구된다. 여기서, 지지대는 낚시대를 고정 거치시키기 위해 손잡이 부근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지점이 거치 또는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이런 지지대를 지면 상측 공간에 위치시키기 위해 받침용 구조체에 지지대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종래, 지지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에 결합되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지지대의 장착이나 탈착 과정에서 별도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야기시켰다. 또한, 이런 방식은 지지대의 장착 및 탈착이 번거롭고, 시간적 측면에서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또한, 선행기술 문헌 등을 살펴보면 기존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구체적 해결수단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종래 불편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대용 지지대를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터치 푸쉬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후방지지대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원터치 작동에도 불구하고, 후방지지대부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후방지지대부와 더불어 새로운 구조의 전방받침브라켓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낚시대의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되는 제품 경쟁력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전방면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장착홈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회동돌편이 형성되는 몸체부; 일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2회동돌편과,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축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후미부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전방받침브라켓부; 및 원터치 푸쉬 동작으로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방지지대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전방받침브라켓부는, 낚시대 중 일 부분을 거치시키는 전방받침대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전방면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후미부에 상기 결합홈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직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지지대부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안착 결합되는 지지대몸체부; 상기 지지대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가압에 따라 눌림 동작하는 락킹핀부; 및 상기 지지대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직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방받침브라켓부의 탈착을 방지하는 락칼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홀은, 상기 지지대몸체부가 수용되며 상기 지지대몸체부를 고정시키는 내주벽면부; 및 상기 내주벽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대몸체부가 안착되는 내측안착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의 어느 일 측면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며, 상기 락킹핀부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락핀노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이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메인볼트부; 상기 메인볼트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노브; 양단이 상기 제1회동돌편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볼트부의 어느 일 방향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조절모재; 양단이 상기 제2회동돌편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볼트부의 말단 위치가 고정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모재;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메인볼트부와 결합되는 고정볼트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는 낚시대용 지지대를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터치 푸쉬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후방지지대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터치 작동에도 불구하고, 후방지지대부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방지지대부와 더불어 새로운 구조의 전방받침브라켓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낚시대의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되는 제품 경쟁력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몸체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전방받침브라켓부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전방받침브라켓부와 후방지지대부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몸체부의 전방이 각도조절부에 의해 최대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몸체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전방받침브라켓부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전방받침브라켓부와 후방지지대부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몸체부의 전방이 각도조절부에 의해 최대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몸체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방받침브라켓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전방받침브라켓부와 후방지지대부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몸체부의 전방이 각도조절부에 의해 최대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는 몸체부(100), 고정부재(200), 각도조절부(300), 전방받침브라켓부(400), 후방지지대부(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대상이다. 이런 몸체부(100)에는 전방면에 장착홈(110)이 형성되고, 상면에 장착홈(110)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장착홀(120)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회동돌편(130)이 형성된다.
장착홈(110)은 전방받침브라켓부(400)가 몸체부(100)에 장착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홈(110)의 횡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런 장착홈(110)은 몸체부(100)의 전방면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홀(120)은 몸체부(100)의 상면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장착홈(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장착홀(120)은 후방지지대부(500)의 지지대몸체부(510)가 삽입 장착되도록 한다. 장착홀(120)은 내주벽면부(121), 내측안착면부(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주벽면부(121)는 지지대몸체부(510)가 수용되며 지지대몸체부(5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내주벽면부(121)의 내경은 지지대몸체부(510)의 외경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안착면부(122)는 내주벽면부(121)의 하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지지대몸체부(510)가 안착되도록 한다.
제1회동돌편(130)은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회동돌편(130)은 후술할 각도조절모재(330)의 양단과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몸체부(100)에는 후방 하부 양 측면에 후술할 제2회동돌편(210)과 힌지 결합되는 회동홈부(140)가 형성된다. 회동홈부(140)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2회동돌편(210)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이 때, 회동홈부(140)와 제2회동돌편(210)은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 결과, 몸체부(100)는 고정부재(200)에 대해 소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동홈부(140)의 벽면은 중앙곡면부(142)와 중앙곡면부(142)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평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중앙곡면부(142)는 제2회동돌편(210)의 단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토퍼평면부(144)는 메인볼트부(310)가 어느 일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이도록 회동을 제한한다. 스토퍼평면부(144)는 일정 길이의 평면 구간을 포함한다. 그 결과, 이 때, 스토퍼평면부(144)는 제2회동돌편(210)의 단부 측면과 면접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몸체부(100)의 전방이 각도조절부(300)에 의해 최대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00)의 어느 일 측면에는 장착홀(120)과 연통되며, 후술할 락킹핀부(520)가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락핀노출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락핀노출홀(160)의 둘레에는 락핀(521)에 대한 가압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락핀노출홀(160)을 둘러싸는 환형의 가압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몸체부(100)의 상면과 내주벽면부(121)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부(150)는 락핀(521)이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몸체부(510)가 몸체부(1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홈부(150)는 소정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 때, 가이드홈부(150)는 내주벽면부(121) 방향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부(150)는 후방지지대부(500)가 몸체부(100)에 장착될 때, 장착 방향을 지시하는 안내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가이드홈부(150)에 의해 락핀(521)이 가압되어 눌리도록 동작을 취해 지지대몸체부(510)가 장착홀(120)에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그 과정에서 사용자는 락핀(521)이 내주벽면부(121)를 따라 이동하여 락핀노출홀(160)을 통해 돌출되도록 후방지지대부(500)를 90도 회동시킨다. 이를 위해, 가이드홈부(150)는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200)에는 일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몸체부(100)와 힌지 결합되는 제2회동돌편(210)과,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220)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회동돌편(210)은 연직 상측으로 연장되다가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2회동돌편(210)은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2회동돌편(210)은 후술할 고정모재(340)의 양단과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부재(2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가 지면 등의 피고정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체결홀(220)은 원형홀(221), 아크홀(2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홀(221)과 아크홀(222)은 고정부재(20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원형홀(221)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부재(200)가 피고정물에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아크홀(222)은 원형홀(221)의 중심에서 일정 반경을 갖는 호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홀(222)은 고정부재(200)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 때, 고정부재(200)는 전체적으로 부채꼴 모양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크홀(222)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부재(200)가 피고정물에 대해 소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고정부재(200)는 몸체부(100)의 전방면이 향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3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축 회동에 따라 몸체부(10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각도조절부(300)는 메인볼트부(310), 조절노브(320), 각도조절모재(330), 고정모재(340), 고정볼트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볼트부(3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런 메인볼트부(310)는 그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제1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노브(320)는 메인볼트부(310)의 단부에 결합되어 메인볼트부(3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조절노브(320)를 이용하여 메인볼트부(3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동시킬 수 있다.
각도조절모재(330)는 양단이 제1회동돌편(13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모재(33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각도조절모재(330)에는 메인볼트부(310)와 나사 결합되도록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메인볼트부(310) 중 나사홀을 관통하는 부분이 각도조절모재(3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볼트부(310)가 어느 일 방향으로 회동하면, 각도조절모재(330)는 몸체부(100)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볼트부(310)의 회동으로 조절노브(320)가 각도조절모재(330)에서 멀어지면, 몸체부(100)는 그 전방면이 더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모재(340)는 그 양단이 제2회동돌편(2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고정모재(34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관통홀은 메인볼트부(310)의 말단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정볼트부(350)는 관통홀을 통해 메인볼트부(3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볼트부(350)의 단부는 메인볼트부(310)의 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볼트부(350)와 메인볼트부(310)는 동일 회동축을 기준으로 동일 속도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300)는 고정볼트부(350)가 고정모재(340)를 통과하여 메인볼트부(310)와 고정 결합되면, 고정볼트부(350)의 헤드와 고정모재(340) 사이에 배치되도록 고정볼트부(350)에 끼워져서, 메인볼트부(310)의 회동에 따라 고정볼트부(350)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부재(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300)는 메인볼트부(310)와 고정모재(340)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볼트부(310)의 회동에 따른 마찰면 사이에 슬립을 제공하는 링부재(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받침브라켓부(400)는 후미부가 장착홈(110)에 삽입되어 몸체부(100)에 장착된다. 전방받침브라켓부(400)는 전방받침대(미도시)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받침브라켓부(400)에는, 낚시대 중 일 부분을 거치시키는 전방받침대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전방면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는 결합홈(410)과, 후미부에 배치되며 결합홈(41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직관통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몸체부(100)에 전방받침브라켓부(400)와 후방지지대부(500)를 각각 결합시킨 이후 이를 통해, 낚시대를 거치시킬 수 있다.
후방지지대부(500)는 원터치 푸쉬 동작으로 몸체부(100)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지지대부(500)는 지지대몸체부(510), 락킹핀부(520), 락칼럼부(530), 지지기둥부(540), 체결부(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몸체부(510), 락칼럼부(530), 지지기둥부(540) 및 체결부(550)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몸체부(510), 락칼럼부(530), 지지기둥부(540) 및 체결부(550)는 각각 그 횡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몸체부(510)는 장착홀(120)에 삽입되어 안착 결합되는 부분이다. 지지대몸체부(510)는 후방지지대부(500)가 몸체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그 횡단면이 락칼럼부(530) 등을 포함하는 후방지지대부(500)의 다른 구성요소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락킹핀부(520)는 지지대몸체부(5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가압에 따라 눌림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락킹핀부(520)는 락핀(521), 스프링부(미도시), 이탈방지체결구(5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락핀(521)은 전단 가압되는 부분이 반구 형상이고, 후단이 지지대몸체부(510)에 삽입된다. 스프링부는 락핀(521)이 가압되어 눌림 상태에 있으면, 락핀(52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락핀(521)에 대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락핀(521)은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하면서 지지대몸체부(510)의 외주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탈방지체결구(522)는 지지대몸체부(510)에 삽입되며, 락핀(521)에 가해지는 가압에 따라 락핀(521) 및 스프링부가 지지대몸체부(51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탈방지체결구(522)는 볼트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몸체부(100)에 장착된 후방지지대부(500)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락핀(521)을 가압하여 락핀(521)이 눌리면 동시에 후방지지대부(5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서 장착홀(120)에서 꺼내는 동작을 통해 후방지지대부(500)를 몸체부(100)에서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전방받침브라켓부(400)를 전방으로 당겨 꺼내는 동작을 통해 전방받침브라켓부(400)를 몸체부(100)에서 함께 탈착시킬 수 있다.
락칼럼부(530)는 지지대몸체부(510)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연직관통홀(420)을 관통하여, 전방받침브라켓부(400)가 몸체부(100)에서 탈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먼저 전방받침브라켓부(400)를 몸체부(100)에 장착한 이후, 후방지지대부(500)를 장착홀(120)에 장착하는 과정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를 조립할 수 있다.
지지기둥부(540)는 지지대몸체부(5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지지기둥부(540)는 미리 설정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50)는 지지기둥부(540)의 상단에 형성되며, 낚시대 중 일 부분을 거치시키는 후방받침대(미도시)의 하측 끼움홈부(미도시)가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낚시대는 전방받침대와 후방받침대를 통해 낚시용 받침용 구조체에 안정적으로 고정 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몸체부 200: 고정부재
300: 각도조절부 400: 전방받침브라켓부
500: 후방지지대부
110: 장착홈 120: 장착홀
121: 내주벽면부 122: 내측안착면부
130: 제1회동돌편 140: 회동홈부
142: 중앙곡면부 144: 스토퍼평면부
150: 가이드홈부 160: 락핀노출홀
162: 가압홈
210: 제2회동돌편 220: 체결홀
221: 원형홀 222: 아크홀
310: 메인볼트부 320: 조절노브
330: 각도조절모재 340: 고정모재
350: 고정볼트부 362: 와셔부재
364: 링부재
410: 결합홈 420: 연직관통홀
510: 지지대몸체부 520: 락킹핀부
521: 락핀 522: 이탈방지체결구
530: 락칼럼부 540: 지지기둥부
550: 체결부
300: 각도조절부 400: 전방받침브라켓부
500: 후방지지대부
110: 장착홈 120: 장착홀
121: 내주벽면부 122: 내측안착면부
130: 제1회동돌편 140: 회동홈부
142: 중앙곡면부 144: 스토퍼평면부
150: 가이드홈부 160: 락핀노출홀
162: 가압홈
210: 제2회동돌편 220: 체결홀
221: 원형홀 222: 아크홀
310: 메인볼트부 320: 조절노브
330: 각도조절모재 340: 고정모재
350: 고정볼트부 362: 와셔부재
364: 링부재
410: 결합홈 420: 연직관통홀
510: 지지대몸체부 520: 락킹핀부
521: 락핀 522: 이탈방지체결구
530: 락칼럼부 540: 지지기둥부
550: 체결부
Claims (6)
- 전방면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장착홈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회동돌편이 형성되는 몸체부;
일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2회동돌편과,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축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후미부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전방받침브라켓부; 및
원터치 푸쉬 동작으로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방지지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지지대부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안착 결합되는 지지대몸체부, 상기 지지대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가압에 따라 눌림 동작하는 락킹핀부 및 상기 지지대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받침브라켓부의 탈착을 방지하는 락칼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은 상기 지지대몸체부가 수용되며 상기 지지대몸체부를 고정시키는 내주벽면부 및 상기 내주벽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대몸체부가 안착되는 내측안착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상기 내주벽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부는 소정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주벽면부 방향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부에 의해 상기 락킹핀부의 락핀이 눌리면, 상기 락핀이 상기 내주벽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몸체부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락핀이 눌리면, 상기 후방지지대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장착홀에서 탈착시키고, 상기 전방받침브라켓부를 전방으로 당겨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전방받침브라켓부는,
낚시대 중 일 부분을 거치시키는 전방받침대의 후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전방면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후미부에 상기 결합홈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직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어느 일 측면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며, 상기 락킹핀부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락핀노출홀이 형성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이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메인볼트부;
상기 메인볼트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노브;
양단이 상기 제1회동돌편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볼트부의 어느 일 방향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조절모재;
양단이 상기 제2회동돌편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볼트부의 말단 위치가 고정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모재;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메인볼트부와 결합되는 고정볼트부;을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8442A KR102459427B1 (ko) | 2022-04-19 | 2022-04-19 |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8442A KR102459427B1 (ko) | 2022-04-19 | 2022-04-19 |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9427B1 true KR102459427B1 (ko) | 2022-10-25 |
Family
ID=8380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8442A KR102459427B1 (ko) | 2022-04-19 | 2022-04-19 |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42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2187A (ko) | 2022-12-26 | 2024-07-03 | 김봉수 | 사용 편의성이 향성된 낚시대 받침장치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5081A (ko) * | 2007-04-23 | 2008-10-28 | 양성섭 | 살림망 지지구 |
KR20090006734U (ko) * | 2007-12-31 | 2009-07-03 | 신중균 | 낚시대 받침구의 지지장치 |
KR20100113185A (ko) * | 2009-04-13 | 2010-10-21 | 김용호 | 낚시대 받침대 |
KR20140079124A (ko) * | 2012-12-18 | 2014-06-26 | 조도영 | 낚시 좌대용 파라솔 지지 구조 |
KR20170004640A (ko) * | 2015-07-03 | 2017-01-11 | 박동순 | 낚시 받침틀 지지장치 |
KR20180115483A (ko) * | 2017-04-13 | 2018-10-23 | (주)아피스 | 낚시받침대 받침틀 |
KR20210001102U (ko) * | 2019-11-14 | 2021-05-24 | 정이규 |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
KR20210133553A (ko) * | 2020-04-29 | 2021-11-08 | 박동산 |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
-
2022
- 2022-04-19 KR KR1020220048442A patent/KR1024594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5081A (ko) * | 2007-04-23 | 2008-10-28 | 양성섭 | 살림망 지지구 |
KR20090006734U (ko) * | 2007-12-31 | 2009-07-03 | 신중균 | 낚시대 받침구의 지지장치 |
KR20100113185A (ko) * | 2009-04-13 | 2010-10-21 | 김용호 | 낚시대 받침대 |
KR20140079124A (ko) * | 2012-12-18 | 2014-06-26 | 조도영 | 낚시 좌대용 파라솔 지지 구조 |
KR20170004640A (ko) * | 2015-07-03 | 2017-01-11 | 박동순 | 낚시 받침틀 지지장치 |
KR20180115483A (ko) * | 2017-04-13 | 2018-10-23 | (주)아피스 | 낚시받침대 받침틀 |
KR20210001102U (ko) * | 2019-11-14 | 2021-05-24 | 정이규 |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
KR20210133553A (ko) * | 2020-04-29 | 2021-11-08 | 박동산 |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5505호 선반 및 조명장치가 구비된 낚시대 받침장치{A FISHING ROD-SUPPORT WITH LATHE AND LIGHT}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6235호 낚시대의 고정구 일체형 받침대{FIXING MEAN OF FISHING ROD AND STAY BAR IN ON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2187A (ko) | 2022-12-26 | 2024-07-03 | 김봉수 | 사용 편의성이 향성된 낚시대 받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48906B2 (en) | Support apparatus | |
CA2572714C (en) | Mounting system for flat panel electronic display | |
US5632049A (en) | Holder assembly for a shower head | |
US4174822A (en) | Shower holder | |
US7959120B2 (en) | Universal support for connecting to a base of a vehicle seat | |
GB2096234A (en) | Swivel mounting | |
KR102459427B1 (ko) |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 |
US5725187A (en) | Camera mount device | |
US4565025A (en) | Fishing pole mount | |
CN108980588B (zh) | 稳定器用机架组件的双轴枢转装置、机架组件及稳定器 | |
US20220061532A1 (en) | Desktop Fan Clamp | |
KR102034960B1 (ko) | 낚시대 고정장치 | |
JP2005090730A (ja) | 雲台装置 | |
KR101543606B1 (ko) | 파라솔용 각도조절장치 | |
GB2437850A (en) | Mounting bracket | |
JP6579988B2 (ja) | ロッドホルダ | |
KR20180115479A (ko) |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 |
KR20060012496A (ko) | 낚싯대용 팔 받침대 | |
WO2016011272A2 (en) | Selectively orientable static bearing assembly | |
KR20090012744A (ko) | 낚싯대용 받침기구 | |
CN108730934B (zh) | 头盔用灯具连接器及头盔装置 | |
KR200141568Y1 (ko) | Ccd카메라의 고정 브라켓트 | |
KR200410390Y1 (ko) | 회전거울 지지구 | |
CN221958471U (zh) | 显示器安装架 | |
KR20170000742U (ko) | 일체형 낚싯대 거치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