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553A -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553A
KR20210133553A KR1020200052283A KR20200052283A KR20210133553A KR 20210133553 A KR20210133553 A KR 20210133553A KR 1020200052283 A KR1020200052283 A KR 1020200052283A KR 20200052283 A KR20200052283 A KR 20200052283A KR 20210133553 A KR20210133553 A KR 2021013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upport
holder
handl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670B1 (ko
Inventor
박동산
Original Assignee
박동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산 filed Critical 박동산
Priority to KR102020005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6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10S211/01Magnetic article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낚시받침대용 고정장치 상부에 분해 및 결합가능하게 구비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대의 홀더를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외주면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낚시대에 물고기가 잡힐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홀더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큰 장대까지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support fixture for fishing pedestal}
본 발명은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받침대용 고정구 상부에 분해 및 결합가능하게 구비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대의 홀더를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외주면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낚시대에 물고기가 잡힐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홀더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큰 장대까지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낚시대와, 상기 낚시대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 지지대 및 후방 지지대로 구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지면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받침대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대 받침대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06688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 사용에 따른 전방지지대 및 상단에 낚시대 손잡이부를 수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가 부설된 후방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한 받침대는 홈부재와, 브라켓 및 장착판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전방지지대는 홈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후방지지대는 받침대의 브라켓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받침대는 아치형 프레임을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장착된다. 아치형 프레임의 양측 단부 부근에는 고정다리가 아치형 프레임의 전후방 측면을 따라 고정 및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한 홀더는 후방지지대의 지지부 상에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한 후방지지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 연결되는 장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 상에 제공되는 홀더는 원통형상의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이격되어 제공되는 원통형상의 제2회전부재와,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 상에 각각 제공되며, 서로에 대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제공되는 상부를 구비한 제1 및 제2 커버 및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하부 일측에 각각 제공되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한다.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는 각각 지지부 상에 고정장착되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상부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회전축을 구비한다.
또한,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의 상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걸림부재가 제공된다.
제1회전부재의 상부로 돌출하는 제1회전축과 제1걸림부재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예를들어, 스프링)가 제공되어, 제1회전부재에 제1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의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제2회전부재의 상부로 돌출하는 제2회전축과 제2걸림부재 사이에는 제 2 탄성부재가 제공되어, 제2회전부재에 제2방향(예를 들어,반시계방향)의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은 각각 편심축(eccentric axis)을 갖는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후방지지대의 홀더 상에서 낚시대를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사용자 측으로 잡아당기면,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 간의 간격이 벌어진다. 그 후, 낚시대가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 사이에 위치하면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각각의 복원력에 의해 낚시대가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 사이에서 고정된다.
그 후, 챔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다시 낚시대를 아래에서 위로 들어올리면서 사용자 측으로 잡아당기면,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가 다시 회전하면서 낚시대를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 사이에서 부드럽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회전부재 및 제2 회전부재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각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낚시대 받침구는 아치형 프레임의 양측 전후방에 상하 및 좌우 회전각도를 조정가능하게 한 고정다리를 구비하고, 전방으로는 낚시대의 전방지지대와 상측에는 후방지지대를 삽착가능하게 하는 받침대를 다수개 구비하여 낚시대를 안착 가능케 하되, 상기 낚시대의 상하 및 좌우 회전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낚시대 받침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 번째로, 후방지지대의 홀더가 낚시대를 고정 지지하게 위해서는 낚시대의 무게 중심보다 더 전방에서 낚시대를 지지하여야 한다. 그 결과 전방지지대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야 한다.
두 번째로, 고정다리가 아치형 프레임의 전후방 측면을 따라 고정 및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므로, 낚시대 받침구는 평지가 아닌 노지 낚시터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낚시대 받침구의 구성 상당히 복잡하며, 비용이 고가이다.
네 번째로, 낚시대 받침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아 분해 및 조립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요구되며, 부품의 분실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낚시대 지지대 및 낚시대 받침대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8-0013139호에 낚시대 지지대가 제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대 지지대는 전방지지대 및 상부에 낚시대를 거치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한 후방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하부 일측에는 회전 반경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제 1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제 1 걸림부재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하부 일측에는 회전 반경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제 2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제 2 걸림부재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제 2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 1 회전부재 상에 장착되며, 상부에는 제 3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1 돌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전부재와는 별개로 회전가능한 제 3 회전부재와, 상기 제 2 회전부재 상에 장착되며, 상부에는 제 4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2 돌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와는 별개로 회전가능한 원통형상의 제 4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3 회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 상에 고정 장착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부재 및 상기 제 4 회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 상에 고정 장착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부재 상에서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걸림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제 1 탄성부재와, 상기 제 2 회전부재 상에서 상기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2 걸림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제 3 회전부재 상에서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3 걸림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제 3 탄성부재 및 상기 제 4 회전부재 상에서 상기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4 걸림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제 4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부재, 상기 제 2 회전부재, 상기 제 3 회전부재 및 상기 제 4 회전부재는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회전부재, 상기 제 2 회전부재, 상기 제 3 회전부재 및 상기 제 4 회전부재의 원통형 외부는 각각 고무재질의 코팅층 또는 고무재질의 탄성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대 지지대는, 제 1 내지 제 4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른 복귀를 위해 4개의 탄성부재 즉, 제 1 내지 제 4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바, 홀더 조립에 따른 조립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8-0013139호, 출원일; 2008년09월30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받침대용 고정장치 상부에 분해 및 결합가능하게 구비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대의 홀더를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외주면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낚시대에 물고기가 잡힐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홀더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큰 장대까지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는, 낚시용 좌대 또는 상기 낚시용 좌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낚시대용 앞받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용 고정부와,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의 타단에 일단이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 구비되는 홀더설치부와, 상기 홀더설치부 상면 양측에 각 일단이 회동 및 복원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큰 장대까지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홀더부의 홀더설치부는, 상면 양측에 상기 홀더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 일부는 절개되되, 절개된 부분에는 상기 홀더가 회동되어 복귀시 멈춤시킬 수 있도록 멈춤편이 각각 형성되게 절개된 게이트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는, 저면과 관통되게 편심축 설치홀과 복원스프링 걸림홀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홀더는, 절두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설치부에 형성된 설치홈에 저면이 안착되는 것에 의해 스크류와 너트로 구성된 편심축을 축으로 편심되게 회동가능하도록 상면 일측에는 저면까지 관통된 편심회동용 관통홀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는 상기 홀더설치부에 형성된 게이트구를 통하여 입출되면서 멈춤편에 걸림되도록 멈춤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멈춤용돌기 일측에는 복원스프링 걸림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편심용 회동부재와, 상기 편심축의 스크류상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용 회동부재가 회동 후 복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복원스프링 걸림홀을 관통하여 걸림되고, 타단은 복원스프링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구비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편심용 회동부재를 저면 내측으로 수용하여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낚시대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되, 저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덮개부재 수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부재 수용홈의 바닥면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게 돌기수용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와,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의 덮개부재 수용홈에 삽입되어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경사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덮개용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용 경사판의 저면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용 경사판이 덮개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돌기수용홀에 삽입 고정되도록 덮개부재용 고정돌기가 형성된 덮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에 따르면, 낚시받침대용 고정구 상부에 분해 및 결합가능하게 구비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대의 홀더를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외주면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낚시대에 물고기가 잡힐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홀더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큰 장대까지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가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의 홀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의 홀더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200)는, 낚시용 좌대 또는 상기 낚시용 좌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낚시대용 앞받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100)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용 고정부(210)와,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210)의 타단에 일단이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홀더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부(220)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210)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 구비되는 홀더설치부(221)와, 상기 홀더설치부(221) 상면 양측에 각 일단이 회동 및 복원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큰 장대까지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홀더(222)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의 지지대용 고정부(210)는 후술할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100)의 지지대용 고정부재(140)에 형성된 나사홀(141)에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부(2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지지대용 고정부(210)는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100)의 지지대용 고정부재(140)에 형성된 나사홀(141)에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내측에 방사방향으로 복수의 볼이 갖추어지져 구비되는 고정결합부(211)와, 상기 고정결합부(211)의 타단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볼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연결부(212)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지지대용 고정부(210)는 공지의 기술로써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홀더부(220)의 홀더설치부(221)는, 상면 양측에 상기 홀더(222)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홈(221a)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21a)의 내측면 일부는 절개되되, 절개된 부분에는 상기 홀더가 회동되어 복귀시 멈춤시킬 수 있도록 멈춤편(221b)이 각각 형성되게 절개된 게이트구(221c)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221a)의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는, 저면과 관통되게 편심축 설치홀(221d)과 복원스프링 걸림홀(221e)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홀더(222)는 절두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설치부(221)에 형성된 설치홈(221a)에 저면이 안착되는 것에 의해 스크류(2221a)와 너트(2221b)로 구성된 편심축(2221)을 축으로 편심되게 회동가능하도록 상면 일측에는 저면까지 관통된 편심회동용 관통홀(2222a)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는 상기 홀더설치부(221)에 형성된 게이트구(221c)를 통하여 입출되면서 멈춤편(221b)에 걸림되도록 멈춤용돌기(2222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멈춤용돌기(2222b) 일측에는 복원스프링 걸림홈(2222c)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편심용 회동부재(2222)와, 상기 편심축(2221)의 스크류상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용 회동부재(2222)가 회동 후 복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복원스프링 걸림홀(221e)을 관통하여 걸림되고, 타단은 복원스프링 걸림홈(2222c)에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구비되는 복원스프링(2223)과, 상기 편심용 회동부재(2222)를 저면 내측으로 수용하여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낚시대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되, 저면에는 수용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2224a)에는 덮개부재 수용홈(2224b)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부재 수용홈(2224b)의 바닥면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게 돌기수용홀(2224c)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와,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의 덮개부재 수용홈(2224b)에 삽입되어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경사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덮개용 경사판(2225a)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용 경사판(2225a)의 저면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용 경사판(2225a)이 덮개부재 수용홈(2224b)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돌기수용홀(2224c)에 삽입 고정되도록 덮개부재용 고정돌기(2225b)가 형성된 덮개부재(222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편심용 회동부재(2222)의 상면 타측에는 낚시대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찌그러짐 방지용돌기(2222d)가 더 돌출 형서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의 각 외주면에는 낚시대에 물고기가 잡혔을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들려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이탈방기용 돌기(2224d)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의 각 외주면은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가 회동될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큰 장대까지도 수용하여 가압 지지가능하도록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의 경사면(2224e)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200)는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100)의 지지대용 고정부재(14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한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1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100)는 낚시용 좌대 또는 상기 낚시용 좌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낚시대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방향조절부재(110)와,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110)의 상면 양측에 일단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져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20)와,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110) 상면에 안착되어 복수의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양단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각 내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1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각 내측면에 양측면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20) 상부에 위치되되, 중앙부에는 뒤받침대용 지지대(200)를 나사 방식으로 고정시킬수 있도록 나사홀(14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지지대용 고정부재(140)와,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재(140) 하부에 위치되게 중간 부분이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은 낚시대의 중간부분을 지지하는 앞받침대를 수용하여 가압고정편(153)을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가(152a) 형성되고, 타단은 개구된 개구부(151a)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앞받침대용 고정부재(150)와, 상기 앞받침대용 고정부재(150)의 개구부(151a) 내측에 회동용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각도조절용 나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와, 상기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의 각도조절용 나사홀에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20)의 각 내측면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를 관통하여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른 타단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앞받침대용 고정부재(150)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앞받침대 각도 조절수단(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좌,우방향조절부재(110)는 상면 일측는 낚시용 좌대 또는 상기 낚시용 좌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만곡된 타원형의 각도조절용 홀(111)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상기 각도조절용 홀(111)의 전방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부재(120) 각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일자 형상의 수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12)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130)를 복수의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홀(113)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지지부재(120)는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110)의 상면 전방 양측에 형성된 수용홈(112)에 일단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져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한 지지부재(120)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각 저면에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110)의 상면 전방 양측에 형성된 수용홈(112)에 삽입가능하도록 일자형의 삽입돌기(121)가 각각 형성되고, 각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재(130)의 양단을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122)이 각각 형성되며, 각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재(140)의 양단을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끼움고정홈(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끼움고정홈과 삽입홈(122) 사이의 판상에는 회동용 핀을 매개로 상기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를 화동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각도조절용 홀(12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2)과 각도조절용 홀(123) 사이의 각 내측면에는 상기 앞받침대 각도 조절수단(17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홈(124)이 각각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고정부재(130)는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110) 상면에 안착되면서 양단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를 매개로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110)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고정부재(130)는 상기 지지부재(1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110) 상면에 안착되도록 직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양측면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각 내측면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삽입가능하도록 삽입고정용 돌기(131)가 돌출 형성되고, 판상에는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110)에 형성된 고정홀과 일치되어 복수의 볼트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연결홀(13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지지대용 고정부재(14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에 일단과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사각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판상에는 상기 뒤받침대용 지지대(200)를 나사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홀(141)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앞받침대용 고정부재(150)는,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재(140) 하부에 위치되게 중간 부분이 한 쌍의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면 즉, 전면은 낚시대의 중간부분을 지지하는 앞받침대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를 회동용 핀을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한 앞받침대용 고정부재(150)는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재(140) 하부에 위치되게 중간 부분이 한 쌍의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면은 단턱져 축경되면서 돌출된 돌출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회동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151a)를 형성하여 구비된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151)와, 상기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151)의 돌출부를 일단 내측으로 삽입시켜 복수의 고정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어 타단 내측으로 앞받침대를 수용하여 가압고정부재(153)를 매개로 고정시킬 수있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수용부(152)로 구성된다.
상기한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는 상기 앞받침대용 고정부재(150)의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151)에 형성된 개구부(151a)에 회동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중앙부는 후술할 상기 앞받침대 각도 조절수단(170)의 각도조절용 회전바(171)를 나사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각도조절용 나사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앞받침대 각도 조절수단(170)은 상기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나사홀에 각도조절용 회전바(171)를 나사방식으로 결합시켜 상기 각도조절용 회전바(171)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앞받침대용 고정부재(150)를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앞받침대 각도 조절수단(170)은 상기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60)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나사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는 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되, 외주면 일단은 민무늬 형상의 축경부(171a)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171a) 일부에는 고정용 나사부(171b)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노브(171c)가 부설되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회전바(171)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각 내측면에 형성된 설치홈(124)에 일단과 타단이 회동용베어링(172)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회전바(171)의 축경부(171a)에 지지용베어링(173)을 개재시켜 관통시킬 수 있도록 각도조절용 관통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74)와, 상기 각도조절용 회전바(171)의 일단이 각도조절용 회동부재(172)의 각도조절용 관통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앙부에는 상기 축경부(171a)에 형성된 고정용 나사부(171b)와 나사방식으로 결함가능하도록 이탈방지용나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17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를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100)의 지지대용 고정부재(140)에 형성된 나사홀(141)에 고정시킨 후,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홀더설치부(221) 상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홀더(222)측으로 삽입시키면,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22)는 편심축(2221)을 축으로 각각 편심되게 회동된다.
이후, 복원스프링(2223)에 의해 상기 홀더(222)가 복원되는 것에 의해 상기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낚시대에 물고기가 잡혔을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은 복수의 이탈방기용 돌기(2224d)로 인해 들려 빠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홀더(222)는 외주면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의 경사면(2224e)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큰 장대까지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낚싯대용 받침대 고정구 110 ; 좌,우방향조절부재
120 ; 지지부재 130 ; 고정부재
140 ; 지지대용 고정부재 150 ; 앞받침대용 고정부재
160 ; 앞받침대 각도조절용 회동부재 170 ; 앞받침대 각도 조절수단
200 ;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 210 ; 지지대용 고정부
220 ; 홀더부

Claims (6)

  1.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는,
    낚시용 좌대 또는 상기 낚시용 좌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낚시대용 앞받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낚시대용 받침대 고정구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용 고정부(210)와;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210)의 타단에 일단이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홀더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부(220)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용 고정부(210)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 구비되는 홀더설치부(221)와, 상기 홀더설치부(221) 상면 양측에 각 일단이 회동 및 복원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큰 장대까지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홀더(2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220)의 홀더설치부(221)는, 상면 양측에 상기 홀더(222)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홈(221a)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21a)의 내측면 일부는 절개되되, 절개된 부분에는 상기 홀더가 회동되어 복귀시 멈춤시킬 수 있도록 멈춤편(221b)이 각각 형성되게 절개된 게이트구(221c)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221a)의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는, 저면과 관통되게 편심축 설치홀(221d)과 복원스프링 걸림홀(221e)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22)는, 절두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설치부(221)에 형성된 설치홈(221a)에 저면이 안착되는 것에 의해 스크류(2221a)와 너트(2221b)로 구성된 편심축(2221)을 축으로 편심되게 회동가능하도록 상면 일측에는 저면까지 관통된 편심회동용 관통홀(2222a)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는 상기 홀더설치부(221)에 형성된 게이트구(221c)를 통하여 입출되면서 멈춤편(221b)에 걸림되도록 멈춤용돌기(2222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멈춤용돌기(2222b) 일측에는 복원스프링 걸림홈(2222c)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편심용 회동부재(2222)와, 상기 편심축(2221)의 스크류상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용 회동부재(2222)가 회동 후 복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복원스프링 걸림홀(221e)을 관통하여 걸림되고, 타단은 복원스프링 걸림홈(2222c)에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구비되는 복원스프링(2223)과, 상기 편심용 회동부재(2222)를 저면 내측으로 수용하여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낚시대 손잡이 부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되, 저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2224a)에는 덮개부재 수용홈(2224b)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부재 수용홈(2224b)의 바닥면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게 돌기수용홀(2224c)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와,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의 덮개부재 수용홈(2224b)에 삽입되어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경사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덮개용 경사판(2225a)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용 경사판(2225a)의 저면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용 경사판(2225a)이 덮개부재 수용홈(2224b)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돌기수용홀(2224c)에 삽입 고정되도록 덮개부재용 고정돌기(2225b)가 형성된 덮개부재(22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용 회동부재(2222)의 상면 타측에는 낚시대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찌그러짐 방지용돌기(2222d)가 더 돌출 형서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의 각 외주면에는, 낚시대에 물고기가 잡혔을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들려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이탈방기용 돌기(2224d)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의 각 외주면은,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낚시대 손잡이 가압부재(2224)가 회동될 때,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큰 장대까지도 수용하여 가압 지지가능하도록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의 경사면(2224e)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용 지지대.
KR1020200052283A 2020-04-29 2020-04-29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KR10247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83A KR102475670B1 (ko) 2020-04-29 2020-04-29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83A KR102475670B1 (ko) 2020-04-29 2020-04-29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553A true KR20210133553A (ko) 2021-11-08
KR102475670B1 KR102475670B1 (ko) 2022-12-07

Family

ID=7849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283A KR102475670B1 (ko) 2020-04-29 2020-04-29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427B1 (ko) * 2022-04-19 2022-10-25 노상복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6839A2 (en) * 1992-10-19 1994-05-11 Giancarlo Caputi Multi-purpose carrying system
KR200354271Y1 (ko) * 2004-03-11 2004-06-29 최종대 낚시대용 안전 받침구
KR200395036Y1 (ko) * 2005-06-03 2005-09-07 신성균 이탈방지를 위한 거치대용 브레이크 홀더
KR20130006481U (ko) * 2012-05-01 2013-11-11 가순희 낚싯대 지지용 홀더
KR20170095001A (ko) * 2016-02-12 2017-08-22 (주)엔에스텍 낚싯대 거치장치
KR20180000453A (ko) * 2016-06-23 2018-01-03 권주현 낚시받침대 고정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6839A2 (en) * 1992-10-19 1994-05-11 Giancarlo Caputi Multi-purpose carrying system
KR200354271Y1 (ko) * 2004-03-11 2004-06-29 최종대 낚시대용 안전 받침구
KR200395036Y1 (ko) * 2005-06-03 2005-09-07 신성균 이탈방지를 위한 거치대용 브레이크 홀더
KR20130006481U (ko) * 2012-05-01 2013-11-11 가순희 낚싯대 지지용 홀더
KR20170095001A (ko) * 2016-02-12 2017-08-22 (주)엔에스텍 낚싯대 거치장치
KR20180000453A (ko) * 2016-06-23 2018-01-03 권주현 낚시받침대 고정구
KR101859664B1 (ko) * 2016-06-23 2018-05-18 권주현 낚시받침대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427B1 (ko) * 2022-04-19 2022-10-25 노상복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670B1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918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59664B1 (ko) 낚시받침대 고정구
US8066232B2 (en) Flat-screen monitor support
KR20210133553A (ko) 낚시 받침대용 지지대
US9642465B1 (en) Foot and leg support device for a chair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PT1696765E (pt) Unidade de suporte auto-estabilizadora para um artigo de mobiliário
KR101231959B1 (ko) 이젤
KR20170004640A (ko) 낚시 받침틀 지지장치
CN110319308B (zh) 用于led显示屏的可调地梁
KR102418561B1 (ko) 낚시대용 받침대의 고정장치
KR20170095001A (ko) 낚싯대 거치장치
EP3885634A1 (en) Handheld anti-shake stabilizing device and shooting stabilizer
KR101967182B1 (ko) 접이식 의자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CN206234566U (zh) 一种底座旋转结构及其支撑座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EP1654960A1 (en) Seat with a fold-up seat portion, in particular for sports facilities,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KR20200061831A (ko) 설치의 용이함과 지지력이 강화되는 낚시용 좌대의 회전 지지대
CN213472873U (zh) 座椅以及电控车辆
KR102275316B1 (ko) 낚싯대용 받침장치
CN220734910U (zh) 一种多向调节的座椅扶手
CN216742630U (zh) 一种斜端面摩擦阻尼式扶手平衡装置
JP6449686B2 (ja) 自動収納ベンチ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収納ベンチ
CN220168945U (zh) 投影仪支架及投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