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081A - 살림망 지지구 - Google Patents

살림망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081A
KR20080095081A KR1020070039428A KR20070039428A KR20080095081A KR 20080095081 A KR20080095081 A KR 20080095081A KR 1020070039428 A KR1020070039428 A KR 1020070039428A KR 20070039428 A KR20070039428 A KR 20070039428A KR 20080095081 A KR20080095081 A KR 20080095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kewer
support
frame
leng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섭
Original Assignee
양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섭 filed Critical 양성섭
Priority to KR1020070039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081A/ko
Publication of KR2008009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등에서 잡은 물고기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살림망을 지지하는 살림망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를 하여 잡은 물고기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살림망의 개구부를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살림망의 고정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살림망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가진 고정링;, 상기 고정링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와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꼬챙이부;, 상기 체결부의 꼬챙이부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꼬챙이부를 나사와 볼트 방식에 의하여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낚시, 살림망, 어망, 뜰채,

Description

살림망 지지구{support device of a fishing net}
도 1은 본 발명이 살림망과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착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종래 살림망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살림망 지지구 10 : 고정링
20 : 체결부 21 : 체결홈
30 : 꼬챙이부 31 : 제1프레임
32 : 제2프레임 33 : 길이조절수단
37 : 지지부 38 : 각도조절수단
50 : 결합부 60 : 착탈부재
본 발명은 낚시 등에서 잡은 물고기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살림망을 지지하는 살림망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를 하여 잡은 물고기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살림망의 개구부를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살림망의 고정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살림망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는 취미로 자리 잡은 낚시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도구 및 호수와 강이 많은 국내 실정과 맞물려 이용 인구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낚시는 자리를 잡은 상태에서 낚시대 또는 어망 등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은 후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데 이때 물고기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살림망은 그물 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잡은 물고기를 보관하거나 꺼내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살림망은 사용 중에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좋고 사용 후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철되거나 수축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잡은 물고기를 보관 하고 꺼내기 쉽게 하며 많은 수의 물고기를 보관하기 위하여 하부는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사용후 보관을 위해 접철 할때 상부 및 하부와 일정 간격 마다 구비된 지지대가 접철되거나 각각의 마디가 수축하여 부피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살림망을 사용할 때는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리한데,
즉, 한손에 낚시대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잡은 물고기를 파지하거나 뜰채로 물고기를 건져내게 되면 살림망을 조절할 수가 없어 파지한 물고기 또는 낚시대를 바닥에 내려놓은 후 살림망을 조절한 후 물고기를 보관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종래 이러한 살림망과 관련되어 제안된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311642호(공고일자 2003년05월09일) " 낚시용 접철식 살림망 "(이하 종래기술1 이라 함)이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세 개의 프레임(30) 상단에 각각의 상부 연결프레임(40)을 고정핀(90)으로 결합한 후 각각의 상부연결프레임(40)이 겹치도록 한 후 연결핀(100)으로 결합하여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프레임(30) 하단에도 각각의 하부연결프레임(50)을 고정핀(90)으로 결합한 후 각각의 하부연결프레임(50)이 겹치도록 한 후 연결핀(100)으로 결합하여 살림망 골조를 구성하고 좌,우입구프레임(60,70)은 망(10)과 체결하여 망(10)이 고정되도록 해서 연결핀(100)으로 결합하여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구성 하며, 각각의 프레임(30)의 망고정부(3c)에 망(10)을 끼워 고정시켜 살림망의 형태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살림망'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의 연결프레임을 구비하여 각각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물고기를 보관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 일측에 구비된 지퍼를 사용하여 보관 된 물고기를 꺼낼 수 있게 되어 있으나,
물고기를 보관할 때 상부의 좌,우입구프레임이 연결핀 과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어 작은 충격으로도 접혀지게 되어 사용시 입구가 닫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295917호(공고일자 2002년11월22일) " 강선 와이어를 이용한 살림망 " (이하 종래기술2 라 함)에서는,
' 강선의 와이어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비틀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와이어의 외주연에는 투명소재의 코팅재를 감싸주는 것이며 와이어와 코팅재를 마감처리하기 위하여 양측 단부가 만나는 접점부에는 파이프 형상의 금속 체결관을 체결한 후 양측을 각각 펀치로 가압함으로서 물이 코팅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부; 상기 링부는 직경이 상호 다른 복수개의 링부를 직경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링 외주연에 망사를 빗살이 엇갈리게 체결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링들이 위치하다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와이어를 이용한 살림망'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2는 강선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내측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살림망을 제안한 것으로 상부의 형성된 개구부는 일반적인 형태의 개구부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고 물고기가 보관 된 상태에서 자리를 이동할 때 살림마을 파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살림망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내부에 보관 된 상태의 물고기의 힘에 의해 살림망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살림망의 개구부를 일정한 형태로 항상 유지하며 외부의 충격에도 형태가 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고정하여 살림망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살림망 지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이 가능하여 쉽게 물고기를 보관할 수 있으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땅이 고르지 못한 지대에서도 비교적 고른 지대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도 살림망을 고정할 수 있는 살림망 지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가진 고정링;, 상기 고정링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와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꼬챙이부;, 상기 체결부의 꼬챙이부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꼬챙이부를 나사와 볼트 방식에 의하여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림망 지지구를 설명함에 있어 도 1을 참조하여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결합부에 의해 꼬챙이부와 체결부가 결합되고 살림망과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링 쪽을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꼬챙이 쪽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살림망과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착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종래 살림망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내지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림망 지지구(1)는 탄성력을 가진 고정링(10)이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10)의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체결부(2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2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꼬챙이부(30)가 구비되고 상기 꼬챙이부(30)와 체결부(20)를 연결하는 결합부(50)가 포함 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링(1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선 와이어, 합성수지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10)은 내측에 수납공간(S)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S)에 살림망(100)이 결합되어 지지되고,
이때, 상기 고정링(10)의 크기가 상기 살림망(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고 있어 상기 살림망(100)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링(10)의 단부가 결합되는 체결부(20)는 상기 고정링(10)의 반대방향으로 결합부(50)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부(50)에는 체결홈(21)이 형성된 체결부(20)와 후술하는 꼬챙이부(30)가 각각 나사와 볼트 방식에 의해 각각 결합 고정되고, 이때 상기 꼬챙이부(30)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방향에서 결합 가능하도록 체결홈(21)이 상기 고정링(10)이 체결된 면을 제외한 면들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꼬챙이부(30)가 대상물(일예 : 지표면, 도면중 미도시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20)와 결합된 고정링(10)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쉽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꼬챙이부(30)는 제1프레임(31)과 제2프레임(3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결합부(5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대상물에 꽂기 위한 꼬챙이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길이조절수단(33)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길이조절수단(33)은 상기 제1프레임(31)의 내측에 탄성부(31b)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31b)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조절돌기(31a)와 상기 제2프레임(32)에 상기 길이조절돌기(31a)가 삽입되는 길이조절홈(32a)이 일정 간격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프레임(31)에 구비된 길이조절돌기(31a)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프레임(32)에 형성된 길이조절홈(32a)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길이조절돌기(31a)의 하부에 위치한 탄성부(31b)는 상기 길이조절돌기(31a)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31b)는 상기 길이조절돌기(31a)를 사용자가 가압할 때 일정길이 후퇴하여 상기 길이조절돌기(31a)가 상기 제2프레임(32)에 형성된 길이조절홈(32a)의 내측으로 후퇴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길이조절홈(32a)에 상기 길이조절돌기(31a)가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한다.
나아가 상기 꼬챙이부(30)에는 각도조절수단(38)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각도조절수단(38)은 상기 꼬챙이부(30)의 일단에 힌지(38a)가 구비된 한쌍의 지지부(37)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20)에 상기 힌지(38a)가 삽입되는 힌지공(37a)이 구비되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38)의 상기 지지부(37)의 내측에 각도제한부재(38b)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각도제한부재(38b)는 상기 꼬챙이부(30) 또는 상기 체결부(20)중 어느 하나가 상기 힌지(38a)에 의해서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도제한부재(38b)는 회전하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거나 또는 설정된 각도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하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꼬챙이부(30)는 끝단은 대상물에 쉽게 꼽기 위해서 끝이 날카로운 꼬챙이(39) 형상을 취하고 있어 대상물이 단단하여도 쉽게 꽂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룰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링(10)이 기존의 살림망(100)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부재(60)가 상기 고정링(10)에 구비된다.
상기 착탈부재(60)는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가 간단한 점을 고려하여 뚜껑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일반 김치통의 착탈고리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상기 고정링(10)과 기존의 살림망(100)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부(110)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요에 따라서 고정링(10)에 살림망(100)을 결합하는데 상기 살림망(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10)가 상기 고정링(10)에 걸치도록 하여 상기 개구부(110)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10)이 결합된 체결부(20)와 상기 체결부(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꼬챙이부(30)를 대상물에 꽂아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꼬챙이부(30)의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프레임(31)에 구비된 길이조절돌기(31a)를 가압하여 내측으로 밀어 넣고 제2프레임(32)을 전진 및 후진하여 원하는 위치의 길이조절홈(32a)에 상기 길이조절돌기(31a)를 삽입시켜 사용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꼬챙이부(30) 또는 고정링(10)의 각도를 조절할 때 각도조절수단(38)이 구비된 꼬챙이부(30) 및 체결부(20)를 이용하여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고정하여 대상물의 수평각이 일정하지 않아 상기 고정링(10)에 삽입된 살림망(100)의 개구부(1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고정링(10)과 살림망(10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탈부재(6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링(10)과 살림망(100)을 고정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손에 낚시대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물고기 또는 뜰채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살림망의 개구부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쉽게 물고기를 살림망에 보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를 지닌 대상물에 쉽게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된 살림망이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하지 않아 살림망이 유실될 염려가 적고 제품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사용 후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다.

Claims (10)

  1. 탄성력을 가진 고정링;
    상기 고정링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와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꼬챙이부;
    상기 체결부의 꼬챙이부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꼬챙이부를 나사와 볼트 방식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꼬챙이부에는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힌지로 결합되되, 각도제한부재에 의하여 회전반경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부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탄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조절돌기와
    상기 제2프레임에 상기 길이조절돌기가 삽입되는 길이조절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꼬챙이부를 자유자재로 꽂을 수 있는 체결홈이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연결링이 더 포함되어 있어 기성 살림망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은
    기성 살림망 고정링에 착탈이 가능하는 착탈부재(일예 : 김치통고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부는
    끝단이 대상물에 꽂기 위하여 꼬챙이 형상을 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지지구.
KR1020070039428A 2007-04-23 2007-04-23 살림망 지지구 KR20080095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428A KR20080095081A (ko) 2007-04-23 2007-04-23 살림망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428A KR20080095081A (ko) 2007-04-23 2007-04-23 살림망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81A true KR20080095081A (ko) 2008-10-28

Family

ID=4015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428A KR20080095081A (ko) 2007-04-23 2007-04-23 살림망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0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201B1 (ko) * 2007-11-06 2009-12-07 김기태 바다낚시용 살림망 고정대
KR102094354B1 (ko) * 2018-10-10 2020-03-27 장창호 연체동물털이를 갖춘 어망고정부재
KR102459427B1 (ko) * 2022-04-19 2022-10-25 노상복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201B1 (ko) * 2007-11-06 2009-12-07 김기태 바다낚시용 살림망 고정대
KR102094354B1 (ko) * 2018-10-10 2020-03-27 장창호 연체동물털이를 갖춘 어망고정부재
KR102459427B1 (ko) * 2022-04-19 2022-10-25 노상복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낚시대 받침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5764B2 (en) Hoop net
US6178684B1 (en) Collapsible fishing net mechanism
US10638737B2 (en) Collapsible bait net
KR20110004112U (ko) 조립식 다용도 낚시용품 받침대
US6662488B1 (en) Fish containment device
KR20080095081A (ko) 살림망 지지구
US6381902B1 (en) Pot holder for use with posts
KR101315253B1 (ko)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
KR200441837Y1 (ko) 견지낚시용 수장대
KR100792228B1 (ko) 낚싯대용 받침대
CN105613439A (zh) 一种便携防逃鱼笼
KR101338795B1 (ko) 절첩식 통발
KR100860492B1 (ko) 낚시용 뜰채 걸이장치
CN215346588U (zh) 一种新型可拆卸的直立式鱼护网
CN216701373U (zh) 一种水产管理使用的便捷式捕捞网
CN209482788U (zh) 一种便携可拆卸式泳池清理用捞杆
KR200479646Y1 (ko) 낚시용 살림망
CN205830843U (zh) 一种小型鱼钩挂饵器
CN205727736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垂钓包
CN207767322U (zh) 快捷安装的钓台支撑装置及钓台
CN218389433U (zh) 一种水产养殖捕捞装置
KR200405834Y1 (ko) 인출식과 꼽기식이 결합된 낚시대
TW399135B (en) In-pipe stepless telescopic strengthening locking structure, helical sleeve hook component, linkage holder assembly and multi-functional tripod
CN218457091U (zh) 一种具有荧光功能的海钓仿生鱼饵
KR20100000728U (ko) 낚시용 보조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