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943B1 - 낚시추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943B1
KR101343943B1 KR1020120118225A KR20120118225A KR101343943B1 KR 101343943 B1 KR101343943 B1 KR 101343943B1 KR 1020120118225 A KR1020120118225 A KR 1020120118225A KR 20120118225 A KR20120118225 A KR 20120118225A KR 101343943 B1 KR101343943 B1 KR 101343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eight
fishing weight
hollow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만
Original Assignee
변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만 filed Critical 변재만
Priority to KR102012011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와 상기 바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착홀더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제2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상부캡과, 종방향의 제1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의 하부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낚시추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의 하단면으로부터 상기 장착홀더의 내부로 형성되는 제2중공에는 길이조절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낚시찌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의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추의 무게 조절 또한 쉽게 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추 조립체{A fishing weight assembly}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하거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침하력을 가진 낚시추(또는 낚시봉돌)와 부력을 가진 낚시찌를 물속에 넣어서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맞추는 찌맞춤 작업을 하게 된다.
이는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이용해 어신을 더욱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작업 후, 물속의 바닥을 회유하는 어종을 잡는 바닥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물속의 바닥에 낚시추(또는 낚시봉돌)를 위치시키는 수심맞춤 작업을 해야 한다.
이러한 낚시 채비에 사용되는 종래의 낚시추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2974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추는 낚시줄(10)과 목줄(61)의 사이에 설치되는 낚시용 추(1)를 구성함에 있어서, 낚시추(1)를 두 개의 몸체(11)(12)로 분할 형성시키고, 분할된 각 몸체(11)(12)의 단부에 고리(13)를 각각 형성시키고, 내부에 중량체(2)가 수납되는 수용부(15)를 형성시키며, 분할 형성되는 두 개의 몸체(11)(12) 사이에 두 개의 몸체(11)(12)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결합장치(3)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낚시채비의 낚시추(또는 낚시봉돌)는 물의 유속, 수중 대류현상, 기타 주변환경으로 인해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 낚시대를 회수하여 사용자의 후방으로 쭉 뺀 다음, 낚시찌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낚시추의 무게를 달리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몹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낚시추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몸체를 분리하여 중량체를 수납시키고 다시 분할된 몸체를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추의 무게조절이 번거롭고,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층 낚시 시, 낚시추의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낚시줄의 길이를 달리하여 낚시 바늘을 다시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낚시 채비를 준비함에 있어서 번거로움을 유발하고, 낚시 채비를 갖추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낚시 채비를 준비함에 있어서,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낚시추의 무게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추에 연결된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낚시 채비를 갖출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와 상기 바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착홀더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제2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상부캡과, 종방향의 제1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의 하부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낚시추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의 하단면으로부터 상기 장착홀더의 내부로 형성되는 제2중공에는 길이조절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2중공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하측에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이탈방지부가 상기 받침부에 형성된 홈 내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낚시추의 일면에는 상기 받침부, 상기 상부캡, 상기 장착홀더의 무게합과 상기 낚시추의 무게를 합한 값이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의 상측 일부는 상기 바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물의 유속 및 기타 주변환경으로 인해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에 변경이 필요한 경우, 낚시추의 무게 변경이나 낚시찌의 부력 변경 없이 길이조절부를 조작하여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손쉽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때, 낚시대를 사용자의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제자리에서 간단하게 길이조절부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중층 낚시 시,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낚시 바늘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낚시 채비를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낚시추를 깎는 행위 없이 무게가 다른 낚시추를 교환해가며 무게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낚시추의 무게를 늘리거나, 낚시추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낚시추의 일면에 받침부와 상부캡과 장착홀더와 낚시추의 무게를 합한 값이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무게값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낚시 채비를 준비함에 있어서 장착홀더를 낚시추의 절개홈에 횡방향으로 삽입하여 종방향으로 간단히 나사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낚시 채비의 준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낚시추의 장착 여부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오링의 장착이 가능하므로 미세한 무게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의 길이조절부가 제2중공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의 길이조절부가 제2중공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의 길이조절부가 제2중공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의 길이조절부가 제2중공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의 길이조절부의 길이 변화에 따른 낚시찌의 수면상 위치변화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를 도시한 분해 시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의 길이조절부(200)가 제2중공(118)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의 길이조절부(200)가 제2중공(118)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의 길이조절부(200)가 제2중공(118)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의 길이조절부(200)가 제2중공(118)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112)와, 바(112)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16)를 포함하는 장착홀더(110)와, 제1결합부(11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부(120)와, 제2결합부(116)와 나사 결합되는 상부캡(130)과, 종방향의 제1중공(144)이 형성되고, 제1중공(144)의 하부에 제3결합부(142)가 형성되는 낚시추(140)를 포함하되, 받침부(120)의 하단면으로부터 장착홀더(110)의 내부로 형성되는 제2중공(118)에는 길이조절부(2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장착홀더(110)는 바(112)와, 바(11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114)와, 바(1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116)를 포함한다.
바(112)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형의 막대 형상으로 상측의 일정 부분은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바(112)의 직경이 작은 부분은 후술할 오링(150)이 상하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낚시추(140)의 장착 및 분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오링(150)의 장착이 이루어지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바(112)의 횡방향측 단면의 모양은 원의 형상이다.
바(112)의 하단에는 제1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114)는 원통의 외면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형상이다.
제1결합부(114)는 후술할 낚시추(140)의 제3결합부(142)와 나사결합되어 장착홀더(110)와 낚시추(14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바(112)의 상단에는 제2결합부(116)가 형성된다.
제2결합부(116)는 제1결합부(114)와 마찬가지로 원통의 외면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형상이다.
제2결합부(116)는 장착홀더(110)와 후술할 상부캡(13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제1결합부(114)의 하단에는 받침부(120)가 형성된다.
받침부(120)는 제1결합부(11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받침부(120)의 하단면에는 체결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홈(122)의 입구측 직경이 내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체결홈(122)의 입구측 좌우에 단턱(124)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120)의 상단면에는 후술할 낚시추(140)가 결합 될 때, 낚시추(140)의 하단면이 접촉되어 진다.
상부캡(130)은 원통의 상단면이 라운드 져 있는 형상이다.
상부캡(130)의 하단면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의 내면 둘레에는 제4결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제4결합부(132)는 장착홀더(110)의 제2결합부(116)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므로, 장착홀더(110)에 상부캡(130)이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상부캡(130)의 외부면에는 격자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손으로 상부캡(130)을 회전시킬 때, 그립감을 높여준다.
상부캡(130)의 상단에는 낚시줄 및 낚시찌를 연결하기 위한 원형의 제2고리(134)가 형성되어 있다.
제2고리(134)는 상부캡(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낚시줄의 꼬임을 방지한다.
낚시추(140)는 중앙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낚시추(140)의 재질은 황동 또는 세라믹 또는 스테인레스 등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낚시추(140)의 재질이 납일 경우, 낚시추(140)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훼손될 수 있고, 낚시추(140)와 장착홀더(110)의 체결시 나사산이 마모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납 재질의 낚시추(140)는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황동 또는 세라믹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낚시추(14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낚시추(140)의 하단면은 받침부(120)의 상단면과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낚시추(140)와 받침부(120)의 접촉시 전체적인 형상이 유선형이 되므로 물살의 저항을 덜 받게 된다.
낚시추(140)는 무게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다른 각각의 낚시추(140)의 일면에는 받침부(120), 상부캡(130), 장착홀더(110)의 무게합과 낚시추(140)의 무게를 합한 값이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된다.
표시되는 숫자 또는 기호의 크기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숫자 또는 기호의 위치는 낚시추(140)의 둘레가 가장 큰 부분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120), 상부캡(130), 장착홀더(110)의 무게합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각의 낚시추(140)를 변경하여 장착할 경우, 낚시추(140)의 무게 외에 다른 무게값에 의한 무게차이가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낚시추(140)의 무게가 1.50g이고, 받침부(120), 상부캡(130), 장착홀더(110)의 무게합이 1.00g이면, 낚시추(140)의 일면에는 2.50g이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낚시추(140)의 무게가 2.00g일 경우에는 받침부(120), 상부캡(130), 장착홀더(110)의 무게합이 1.00g으로 일정하므로 낚시추(140)의 일면에는 3.00g이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낚시추(140)의 무게를 정확히 판단하게 되고, 찌맞춤시에 낚시추(140)의 무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찌맞춤 작업을 할 수 있다.
낚시추(140)는 하단면 중심에서 상단면 중심으로 이어지도록 내부에 제1중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중공(144)의 직경은 바(112)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중공(144) 내에서 바(112)의 회전이 가능하다.
제1중공(144)의 하부 둘레면에는 제1결합부(114)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3결합부(142)가 존재한다.
제3결합부(142)는 장착홀더(110)의 제1결합부(114)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므로, 장착홀더(110)에 낚시추(140)가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제1중공(144)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외측 방향으로는 절개홈(146)이 형성된다.
절개홈(146)은 낚시추(140) 일측 외면의 높이 전체에서 제1중공(144)까지 이어진 형태로 존재한다.
절개홈(146)은 제1중공(144)의 직경보다 크거나 제1중공(144)의 직경과 같게 형성된다.
이는 바(112)가 절개홈(146)으로 횡방향 삽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절개홈(146)에 횡방향으로 바(112)가 삽입되어서 제1중공(144)에 위치하게 되면 낚시추(140)나 장착홀더(110)를 종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낚시추(140)와 장착홀더(110)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낚시추(140)의 중량을 조절하고 싶을 때에는 중량이 다른 낚시추(140)를 장착 또는 분리하는 형태로 낚시추(140)의 중량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다.
절개홈(146)은 상부캡(130)이 장착홀더(110)에 장착되어 있는 것에 상관없이 장착홀더(110)와 낚시추(140)가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받침부(120)의 하단면으로부터 장착홀더(110)의 내부에는 제2중공(118)이 형성된다.
제2중공(118)은 받침부(120)의 하단면에서 시작하여 바(112)의 직경이 작은 부분의 하측 내부까지 길게 형성된다.
제2중공(118)의 내부면 전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2중공(118)의 내부에는 길이조절부(200)가 삽입된다.
길이조절부(200)는 길게 형성된 원형 막대의 외부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길이조절부(200)는 제2중공(118)과 나사결합하여 제2중공(118)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길이조절부(200)의 하부에는 상부캡(130)과 유사한 형상인 회전부(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회전부(220)는 길이조절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는 부분이다.
회전부(220)의 하단에는 낚시줄 및 낚시 바늘(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한 원형의 제1고리(2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고리(222)는 회전부(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낚시줄의 꼬임을 방지한다.
즉, 사용자는 낚시찌(25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싶거나,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가 적절치 않다고 여겨질 경우, 다시 낚시 채비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때, 회전부(220)를 잡고 좌우로 회전시켜서 길이조절부(20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간단히 낚시찌(250)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조절부(200)의 조절에 의한 낚시찌(250)의 상하 위치 조절은 바닥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고,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 조절은 중층에서 서식하는 중층어를 잡기 위한 중층낚시에서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100)는 바닥낚시 또는 중층낚시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받침부(120)의 하측에는 길이조절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10)가 형성된다.
고정부(210)는 원통에 구멍이 형성된 형태이고, 구멍 내부에 나사산이 있다.
고정부(210)와 제2중공(118) 모두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물살이나 외력에 의해 길이조절부(2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구속구조를 위한 것이다.
고정부(210)의 역할은 길이조절부(200)의 위치를 조절하고 난 후, 고정부(210)를 회전시켜서 길이조절부(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고정부(210)와 회전부(220)의 외부면에는 상부캡(130)과 마찬가지로 격자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손으로 고정부(210)와 회전부(220)를 회전시킬 때, 그립감을 높여준다.
고정부(210)의 상단에는 종방향측 단면이 T자 형상인 이탈방지부(212)가 고정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부(212)의 직경이 큰 부분은 체결홈(122)의 내부에 위치하여 체결홈(122)의 입구측에 형성된 단턱(124)에 의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는다.
즉, 이탈방지부(212)는 받침부(120)에 형성된 체결홈(122) 내부에 체결되고, 이로 인해 이탈방지부(212)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210) 역시 받침부(120)의 하단 일정 위치 밖으로 이탈하지 않게 됨으로써, 고정부(210)의 위치가 제한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탈방지부(212)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210)를 사용하는 이유는 길이조절부(200)를 제2중공(118) 외부로 빼내거나 삽입시켜서 고정시킬 때, 고정부(210)가 길이조절부(200)와 결합 된 채 길이조절부(200)가 이동하는 위치까지 함께 움직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112)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직경이 작은 부분에는 오링(150)이 장착된다.
오링(150)의 구멍은 바(112)에서 직경이 큰 부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오링(150)이 바(112)의 직경이 큰 부분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오링(150)은 낚시추(140)의 장착 유무와 상관없이 상부캡(130) 분리 후, 독립적으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오링(150)은 중량을 달리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오링(150)은 장착홀더(110)에서 상부캡(130)을 분리시킨 후, 장착홀더(110)의 상부에 삽입한다.
장착홀더(110)에 장착하는 오링(150)의 수는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오링(150)은 낚시추(140)에 의한 중량 조절에 비해서 더욱 미세한 중량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의 길이조절부(200)의 길이 변화에 따른 낚시찌(250)의 수면(600)상 위치변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가지 형태의 낚시추 조립체(100)의 하단부는 지면(500)에 닿아 있다.
이는 여러 가지의 낚시 방법 중, 바닥낚시를 위한 것이다.
가장 좌측의 낚시추 조립체(100)는 길이조절부(2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고, 가운데 낚시추 조립체(100)는 가장 좌측의 낚시추 조립체(100)보다 길이조절부(200)가 낚시찌(250)의 눈금(255) 한 칸만큼 장착홀더(110)의 외측으로 나온 상태이며, 가장 우측의 낚시추 조립체(100)는 가운데 낚시추 조립체(100)보다 길이조절부(200)가 낚시찌(250)의 눈금(255) 한 칸만큼 장착홀더(110)의 외측으로 더 나온 상태를 나타낸다.
세 가지 형태의 낚시추 조립체(100)는 각각의 길이조절부(200)의 길이 차이만큼 낚시찌(250)의 상하 위치도 각각 달리 나타난다.
즉, 길이조절부(200)가 장착홀더(110) 외측으로 길게 나올수록 수면(600) 위로 올라오는 낚시찌(250)의 길이도 길어지는 것이고, 반대로 길이조절부(200)가 장착홀더(110) 내측으로 삽입될수록 수면(600) 위로 올라오는 낚시찌(250)의 길이는 점차 짧아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길이조절부(200)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낚시찌(25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낚시추(140)의 무게변화 없이 낚시찌(250)의 부력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수면(600)상 낚시찌(250)의 상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낚시대(미도시)를 회수하여 사용자의 후방으로 쭉 뺀 다음 낚시찌(250)의 위치를 조절하고, 다시 후방으로 뺀 낚시대(미도시)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투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100)는 낚시대(미도시)를 회수하여 낚시대(미도시)의 후방 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길이조절부(200)를 조절하는 것으로 낚시찌(25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낚시추 조립체 110 : 장착홀더
112 : 바 114 : 제1결합부
116 : 제2결합부 118 : 제2중공
120 : 받침부 122 : 체결홈
124 : 단턱 130 : 상부캡
132 : 제4결합부 134 : 제2고리
140 : 낚시추 142 : 제3결합부
144 : 제1중공 146 : 절개홈
150 : 오링 200 : 길이조절부
210 : 고정부 212 : 이탈방지부
220 : 회전부 222 : 제1고리
250 : 낚시찌 255 : 눈금
500 : 지면 600 : 수면

Claims (6)

  1.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와 상기 바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착홀더;
    상기 제1결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제2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상부캡;
    종방향의 제1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의 하부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낚시추;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의 하단면으로부터 상기 장착홀더의 내부로 형성되는 제2중공에는 길이조절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2중공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하측에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이탈방지부가 상기 받침부에 형성된 홈 내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낚시추의 일면에는 상기 받침부, 상기 상부캡, 상기 장착홀더의 무게합과 상기 낚시추의 무게를 합한 값이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의 상측 일부는 상기 바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KR1020120118225A 2012-10-24 2012-10-24 낚시추 조립체 KR101343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25A KR101343943B1 (ko) 2012-10-24 2012-10-24 낚시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25A KR101343943B1 (ko) 2012-10-24 2012-10-24 낚시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943B1 true KR101343943B1 (ko) 2013-12-20

Family

ID=4998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225A KR101343943B1 (ko) 2012-10-24 2012-10-24 낚시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9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888A (ko) 2018-06-15 2019-12-26 변재만 낚시용 연결고리
KR20210001102U (ko) * 2019-11-14 2021-05-24 정이규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102261706B1 (ko) * 2020-10-06 2021-06-07 이홍식 교체가 용이한 주꾸미낚시 애자
KR20210093107A (ko) * 2020-01-17 2021-07-27 이영복 민물낚시용 봉돌 연결구
KR20220084987A (ko) * 2020-12-14 2022-06-21 김장섭 개량형 봉돌
CN115119810A (zh) * 2021-03-24 2022-09-30 卞在万 使用弹性体的钓鱼坠组装体
KR102470661B1 (ko) * 2021-08-20 2022-11-25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채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435A (ja) 1999-01-07 2000-07-18 Koichi Inaba サルカン一体おも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435A (ja) 1999-01-07 2000-07-18 Koichi Inaba サルカン一体おもり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888A (ko) 2018-06-15 2019-12-26 변재만 낚시용 연결고리
KR20210001102U (ko) * 2019-11-14 2021-05-24 정이규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0494549Y1 (ko) 2019-11-14 2021-11-03 정이규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210093107A (ko) * 2020-01-17 2021-07-27 이영복 민물낚시용 봉돌 연결구
KR102343538B1 (ko) 2020-01-17 2021-12-24 이영복 민물낚시용 봉돌 연결구
KR102261706B1 (ko) * 2020-10-06 2021-06-07 이홍식 교체가 용이한 주꾸미낚시 애자
KR20220084987A (ko) * 2020-12-14 2022-06-21 김장섭 개량형 봉돌
KR102624084B1 (ko) * 2020-12-14 2024-01-11 김장섭 개량형 봉돌
CN115119810A (zh) * 2021-03-24 2022-09-30 卞在万 使用弹性体的钓鱼坠组装体
KR102470661B1 (ko) * 2021-08-20 2022-11-25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943B1 (ko) 낚시추 조립체
KR101363323B1 (ko) 낚시추 조립체
KR101000411B1 (ko) 낚시 채비 및 그에 사용되는 무게조절 봉돌부재
KR101343942B1 (ko) 낚시추 조립체
CN106305645B (zh) 钓鱼用的钓钩组件
KR101279290B1 (ko) 부력조절체가 공기중에 위치하는 부력조절찌.
WO2008088173A1 (en) A fishing weight
KR20140130396A (ko)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KR20140109160A (ko) 낚시추 조립체
KR20090121526A (ko) 낚시추
US20120073183A1 (en) Adaptable Fishing Float
KR101453650B1 (ko) 낚시용 봉돌
WO2008035899A1 (en) Self-standing fishing float
KR200377267Y1 (ko) 낚시용 흘림찌
KR20120130038A (ko) 부력조절 낚시추
KR200159630Y1 (ko) 부력 조절용 낚시찌
KR20160003610U (ko) 분리형 낚시용 추
KR200469404Y1 (ko) 낚시용 봉돌
US11419322B1 (en) Fishing lure with hanging blade
KR200475337Y1 (ko) 중량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낚시추
KR200327138Y1 (ko) 낚시용 추
KR200227012Y1 (ko) 부력 조절용 낚시찌
JP2010081831A (ja) 餌木
KR101904246B1 (ko) 낚시추 조립체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