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323B1 - 낚시추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323B1
KR101363323B1 KR1020130116118A KR20130116118A KR101363323B1 KR 101363323 B1 KR101363323 B1 KR 101363323B1 KR 1020130116118 A KR1020130116118 A KR 1020130116118A KR 20130116118 A KR20130116118 A KR 20130116118A KR 101363323 B1 KR101363323 B1 KR 10136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older
cap
hole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만
Original Assignee
변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만 filed Critical 변재만
Priority to KR102013011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323B1/ko
Priority to PCT/KR2014/007429 priority patent/WO2015046750A1/ko
Priority to JP2016519909A priority patent/JP6353526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추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 및 상기 바의 일단에 형성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진 홀더와;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추와 상기 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홀더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추 및 캡을 홀더에 나사결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추와 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에 체결함으로써 추 및 캡을 홀더에 더욱 견고히 체결할 수 있으며, 추 및 캡이 외력에 의해 홀더에서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추 조립체{A fishing weight assembly}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추 및 캡을 홀더에 나사결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추와 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에 체결함으로써 추 및 캡을 홀더에 더욱 견고히 체결할 수 있으며, 추 및 캡이 외력에 의해 홀더에서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침하력을 가진 낚시추(또는 낚시봉돌)와 부력을 가진 낚시찌를 물속에 넣어서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맞추는 찌맞춤 작업을 하게 된다.
이는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이용해 어신을 더욱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낚시 채비에 사용되는 종래의 낚시추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0,727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추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상의 몸체(100)와, 몸체(100)의 일단에 고정결합하는 무게추(300)와, 몸체(100)의 측면에서 끼워져 임시결합하는 부가추(200)로 이루어지되, 몸체(100)의 측면에는 구분돌기(102)에 의해 무게추가 지지되어 부가추가 측면에서 끼워질 공간이 노출되고, 상기 부가추(200)는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방사상의 삽입홈이 구비되어 상기 노출된 봉상의 몸체 측면에서 용이하게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며, 상기 통공에는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돌기(202)가 구비되어 상기 봉상의 몸체(100)와 접하는 지점을 가압해 억지끼움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낚시추는 무게추와 봉상의 몸체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아니므로 물살 등의 외력에 의해 무게추가 봉상의 몸체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어신의 감지를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낚시추는 물살 등의 외력에 의해 결합부재가 봉상의 몸체에서 분리되면 무게추도 봉상의 몸체에서 이탈하게 되어 무게추를 분실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낚시추는 각각의 부분들을 조립하는 것이 복잡하고, 봉상의 몸체에 크기가 작은 결합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며, 견고히 체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추 및 캡을 홀더에 나사결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추와 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에 체결함으로써 추 및 캡을 홀더에 더욱 견고히 체결할 수 있으며, 추 및 캡이 외력에 의해 홀더에서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추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 및 상기 바의 일단에 형성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진 홀더와;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추와 상기 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홀더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와; 상기 바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나사부와; 상기 바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3나사부와; 상기 캡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나사부와 체결되는 제4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제1홀과 상기 제1홀보다 직경이 길게 형성되는 제2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제3나사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추와 캡을 홀더에 나사결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물살 등의 외력에 의해 추와 캡이 홀더에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무게가 서로 다른 추를 바꿔가며 홀더에 장착하여 낚시추 조립체의 무게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추와 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에 체결하기 때문에 추 및 캡을 홀더에 보다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추 및 캡을 홀더에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물살 등의 외력에 의해 추 및 캡이 홀더에서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추와 홀더와 캡을 조립하는 것이 간단하고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홀더와 추의 나사결합이 풀리더라도 홀더에 체결된 캡이 추의 이탈을 막아주는 이중 체결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추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0)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00)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410)을 갖는 추(400)와; 관통홀(410)에 삽입되는 바(510) 및 바(510)의 일단에 형성되는 받침부(520)로 이루어진 홀더(500)와; 체결공(610)이 형성되어 홀더(500)에 체결되는 캡(600);을 포함하되, 추(400)와 캡(60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500)에 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40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추(400)는 중앙에서 상부 및 하부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추(400)는 후술할 홀더(500)에 탈착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무게의 추(400)를 홀더(500)에 장착할 수 있다.
추(400)는 상단부 중앙에서 하단부 중앙까지 종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관통홀(410)을 갖는다.
관통홀(410)은 후술할 홀더(500)의 바(51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관통홀(410)은 제1홀(413)과 제2홀(414)로 이루어진다.
제1홀(413)은 관통홀(410)의 중앙 부근을 기준으로 상부 측에 형성되고, 제2홀(414)은 관통홀(410)의 중앙 부근을 기준으로 하부 측에 형성된다.
제1홀(413)과 제2홀(414)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제1홀(413)과 제2홀(414)은 원형 구멍이고, 제1홀(413)의 직경이 제2홀(414)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홀(413)은 제2홀(414)보다 작은 원형 구멍이다.
제1홀(413)은 후술할 바(510)의 직경에 알맞게 형성되고, 제2홀(414)은 바(51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다.
홀더(500)는 추(400)와 후술할 캡(60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써 바(510)와 받침부(520)로 이루어진다.
홀더(500)에는 무게가 서로 다른 추(400)를 바꿔가며 장착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바(51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막대 형상이다.
바(510)는 추(400)의 관통홀(410)에 삽입되어 추(400)와 서로 체결된다.
바(510)의 일단에는 받침부(520)가 형성된다.
받침부(520)는 바(5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받침부(520)는 후술할 제2나사부(511)의 하단에 위치한다.
받침부(520)는 꼭지 측이 절단된 두 원뿔을 붙여 놓은 형상으로 상부가 하부보다 크게 형성된다.
받침부(520)의 하단에는 제1고리(521)가 형성된다.
제1고리(521)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낚시줄(미도시)이나 낚시바늘(미도시)을 연결할 수 있다.
받침부(520)의 상단면은 추(400)의 하단면과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는 추(400)와 홀더(500)의 체결시 전체적인 형상이 유선형이 되게 하여 물살의 저항을 덜 받게 하기 위함이다.
홀더(500)의 상부에는 체결공(610)이 형성된 캡(600)이 체결된다.
캡(600)은 중앙 부근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다소 크게 형성된다.
캡(600)의 하단부에는 체결공(610)이 형성된다.
체결공(610)은 원형의 구멍으로써 바(510)의 상부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캡(600)은 홀더(500)에 체결될 경우, 홀더(500)에 체결된 추(400)와 이격되어 있고, 이때 바(51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외부로 노출된 바(510)에는 오링(미도시)이 끼워져 낚시추 조립체(1000)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캡(600)의 상단에는 제2고리(611)가 형성된다.
제2고리(611)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낚시줄(미도시)이나 낚시대(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다.
캡(60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부(620)가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620)는 캡(600)의 외주면 하부 측에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620)는 손가락으로 캡(600)을 잡고 회전시킬 때 손가락이 캡(6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미끄럼방지부(620)는 격자 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손가락으로 캡(600)을 잡고 회전시킬 때 손가락이 캡(6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격자 형상이 아니라도 무관하다.
추(400), 홀더(500), 캡(600)의 재질로는 납이 아닌 황동 또는 세라믹 또는 스테인레스 등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추(400), 홀더(500), 캡(600)의 재질이 납일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거나 형상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납은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황동 또는 세라믹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추(400)에는 제1나사부(411)가 형성되고, 바(510)에는 제2나사부(511)와 제3나사부(512)가 형성되며, 캡(600)에는 제4나사부(612)가 형성되어, 추(400)와 캡(600)을 홀더(500)에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제1나사부(411)는 추(400)의 내주면 하부 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추(400)의 내주면 하부 측이라 함은 제2홀(414)의 하부 측 둘레면을 말한다.
제2나사부(511)는 바(510)의 외주면 하부 측에 형성된다.
제2나사부(511)는 제1나사부(411)와 체결된다.
제2나사부(511)는 왼나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1나사부(411)가 형성되어 있는 추(400)를 홀더(50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제1나사부(411)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된다.
이로 인해 추(400)는 홀더(500)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무게가 서로 다른 추(400)를 필요에 따라 바꿔가며 홀더(50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제3나사부(512)는 바(510)의 외주면 상부 측에 형성된다.
제4나사부(612)는 캡(600)의 내주면 하부 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캡(600)의 내주면 하부 측이라 함은 체결공(610)의 하부 측 둘레면을 말한다.
제4나사부(612)는 제3나사부(512)와 체결된다.
제3나사부(512)는 오른나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4나사부(612)가 형성되어 있는 캡(600)을 홀더(50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제4나사부(612)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된다.
이로 인해 캡(600)은 홀더(500)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1000)는 홀더(500)와 추(400)의 나사결합이 풀리더라도 홀더(500)에 체결된 캡(600)이 추(400)의 이탈을 막아주는 이중 체결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추(400)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나사부(411)와 제2나사부(511)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3나사부(512)와 제4나사부(612)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나사부(511)에 형성된 나사산과 제3나사부(512)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반대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1나사부(411)에 형성된 나사산과 제4나사부(612)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반대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나사부(511)의 직경은 제3나사부(512)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제2나사부(511)와 제3나사부(512)의 직경을 동일하게 할 경우, 제2나사부(511)와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부(411)의 직경도 동일해야 하고, 이때 홀더(500)의 바(510)에 추(400)를 끼워 넣어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1나사부(411)와 제3나사부(512)를 나사운동시킨 후, 제1나사부(411)와 제2나사부(511)를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2홀(414)이 제1홀(413)보다 더 큰 원형 구멍인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로써, 홀더(500)는 추(400)의 관통홀(410) 내에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며, 간단하게 추(400)를 체결할 수 있다.
제2나사부(511)에 형성된 나사산은 바(51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게 형성되고, 제3나사부(512)에 형성된 나사산은 바(510)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게 형성된다.
추(400)의 관통홀(410)에는 홀더(500)의 바(510)가 삽입되고, 제1나사부(411)의 상단에 제2나사부(511)의 하단을 위치시킨 뒤, 추(400)를 홀더(50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나사부(411)와 제2나사부(511)가 서로 체결되어 추(400)가 홀더(500)에 장착되어 진다.
이와 반대로 추(400)를 홀더(50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추(400)와 홀더(5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캡(600)의 체결공(610)에는 바(510)의 상부 일부가 삽입되고, 제3나사부(512)의 상단에 제4나사부(612)의 하단을 위치시킨 뒤, 캡(600)을 홀더(50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나사부(512)와 제4나사부(612)가 서로 체결되어 캡(600)이 홀더(500)에 장착되어 진다.
이와 반대로 캡(600)을 홀더(50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600)과 홀더(5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추(400)와 캡(600)은 홀더(500)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 즉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홀더(500)에 체결되기 때문에 추(400)와 캡(600)을 잡은 상태로 추(400)는 반시계 방향, 캡(60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추(400)와 캡을 홀더(500)에 최대한 견고히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추(400)와 캡(600)은 홀더(500)에 나사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물살 등의 외력에 의해 추(400)와 캡(600)이 홀더(500)에서 움직이지 않으므로 어신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추(400)와 캡(60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500)에 체결하는 이유는 추(400)와 캡(60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500)에 체결할 경우 홀더(500)의 받침부(520)를 잡은 상태로 추(400)와 캡(600)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추(400)와 캡(600)을 홀더에 견고히 체결하는 것이 한계가 있고, 추(400)보다 작은 크기의 받침부(520)를 잡고 추(400)와 캡(600)을 홀더(500)에 체결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갖게 한 것이다.
또한, 추(400)와 캡(60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500)에 체결할 경우에는 추(400)와 캡(600)을 잡고 홀더(500)에 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400 : 추 410 : 관통홀
411 : 제1나사부 413 : 제1홀
414 : 제2홀 500 : 홀더
510 : 바 511 : 제2나사부
512 : 제3나사부 520 : 받침부
521 : 제1고리 600 : 캡
610 : 체결공 611 : 제2고리
612 : 제4나사부 620 : 미끄럼방지부
1000 : 낚시추 조립체

Claims (4)

  1.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 및 상기 바의 일단에 형성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진 홀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추와 상기 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홀더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
    상기 바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나사부;
    상기 바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3나사부;
    상기 캡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나사부와 체결되는 제4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제1홀과 상기 제1홀보다 직경이 길게 형성되는 제2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제3나사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KR1020130116118A 2013-09-30 2013-09-30 낚시추 조립체 KR10136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118A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3-09-30 낚시추 조립체
PCT/KR2014/007429 WO2015046750A1 (ko) 2013-09-30 2014-08-11 낚시추 조립체
JP2016519909A JP6353526B2 (ja) 2013-09-30 2014-08-11 釣り用おもりアセンブリ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118A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3-09-30 낚시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323B1 true KR101363323B1 (ko) 2014-02-14

Family

ID=5027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118A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3-09-30 낚시추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53526B2 (ko)
KR (1) KR101363323B1 (ko)
WO (1) WO2015046750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39A (ko) 2015-03-19 2016-09-28 김정용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KR20190002110U (ko) * 2018-02-09 2019-08-20 이몽용 수심 측정 싱커용 싱커축
KR20200101644A (ko) 2019-02-20 2020-08-28 정이규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KR20210001087U (ko) 2019-11-12 2021-05-21 정이규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KR20210001102U (ko) 2019-11-14 2021-05-24 정이규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210130987A (ko) 2020-04-23 2021-11-02 정이규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20210144242A (ko) 2020-05-22 2021-11-30 심유정 초정밀 무게조절이 용이한 낚시 무게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406302B1 (ko) 2021-03-24 2022-06-07 변재만 탄성체를 이용한 낚시추 조립체
KR20230020105A (ko) 2021-08-03 2023-02-10 정이규 테이퍼형 편대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357B1 (ko) * 2020-07-28 2021-01-22 조형균 개량형 낚시 봉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8649A (ja) * 1987-10-05 1989-05-11 Sulzer Morat Gmbh 繊維を梳き入れたニット製品を製造する編み機用カーディング車および丸編み機
JPH08168329A (ja) * 1994-12-17 1996-07-02 Mitsuru Seisakusho:Kk 釣り用錘り
KR200166786Y1 (ko) * 1999-07-16 2000-02-15 허종우 낚시추
KR20120003536U (ko) * 2010-11-12 2012-05-22 신태길 조합형으로 무게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낚시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1279A (en) * 1937-12-27 1938-06-21 Beck George Trolling ballast
JPS4330212Y1 (ko) * 1964-11-04 1968-12-10
JPS6456665U (ko) * 1987-10-01 1989-04-10
JPH054877U (ja) * 1991-07-12 1993-01-26 務 栗山 魚釣り用可変錘り及び浮き
JP3638539B2 (ja) * 2001-07-12 2005-04-13 株式会社パーマーク ルア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8649A (ja) * 1987-10-05 1989-05-11 Sulzer Morat Gmbh 繊維を梳き入れたニット製品を製造する編み機用カーディング車および丸編み機
JPH08168329A (ja) * 1994-12-17 1996-07-02 Mitsuru Seisakusho:Kk 釣り用錘り
KR200166786Y1 (ko) * 1999-07-16 2000-02-15 허종우 낚시추
KR20120003536U (ko) * 2010-11-12 2012-05-22 신태길 조합형으로 무게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낚시추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39A (ko) 2015-03-19 2016-09-28 김정용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KR20190002110U (ko) * 2018-02-09 2019-08-20 이몽용 수심 측정 싱커용 싱커축
KR200490901Y1 (ko) * 2018-02-09 2020-01-20 이몽용 수심 측정 싱커용 싱커축
KR20200101644A (ko) 2019-02-20 2020-08-28 정이규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KR20210001087U (ko) 2019-11-12 2021-05-21 정이규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KR200494549Y1 (ko) 2019-11-14 2021-11-03 정이규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210001102U (ko) 2019-11-14 2021-05-24 정이규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210130987A (ko) 2020-04-23 2021-11-02 정이규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20210144242A (ko) 2020-05-22 2021-11-30 심유정 초정밀 무게조절이 용이한 낚시 무게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406302B1 (ko) 2021-03-24 2022-06-07 변재만 탄성체를 이용한 낚시추 조립체
KR20220133139A (ko) 2021-03-24 2022-10-04 변재만 탄성체를 이용한 낚시추 조립체
US11844339B2 (en) 2021-03-24 2023-12-19 Jae Man BYEON Sinker assembly using elastic body
KR20230020105A (ko) 2021-08-03 2023-02-10 정이규 테이퍼형 편대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750A1 (ko) 2015-04-02
JP2016535981A (ja) 2016-11-24
JP6353526B2 (ja)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323B1 (ko) 낚시추 조립체
KR101343943B1 (ko) 낚시추 조립체
US8919690B1 (en) Fishing line management system
KR101343942B1 (ko) 낚시추 조립체
JP2011110032A (ja) ジグヘッド
US2962831A (en) Signal device for bobber
JP2009082073A (ja) 釣り糸係止具
KR20190141888A (ko) 낚시용 연결고리
US20170007061A1 (en) Hanger
JP6234115B2 (ja) 釣り竿の尻栓取付構造
KR100612134B1 (ko) 낚시찌세트
KR20060012496A (ko) 낚싯대용 팔 받침대
JP2010070994A (ja) 手摺りブラケット
JP5570184B2 (ja) 釣り竿
KR20160003610U (ko) 분리형 낚시용 추
KR20220117731A (ko) 낚시 채비
KR200384465Y1 (ko) 낚시대 유실방지구
CN212087695U (zh) 方便快速更换导环的鱼竿
JP5688066B2 (ja) 釣り用重り
KR200376342Y1 (ko) 낚싯대용 목줄홀더
KR200417617Y1 (ko) 낚시용 받침대
KR200455532Y1 (ko) 낚시바늘 고정구
KR200372333Y1 (ko) 구멍찌의 낚싯줄 착탈구조
KR20110004505U (ko) 골프깃발 고정용 골프깃대
KR20100049780A (ko) 후레쉬가 장착된 민물 낚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