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339A -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 Google Patents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339A
KR20160112339A KR1020150037944A KR20150037944A KR20160112339A KR 20160112339 A KR20160112339 A KR 20160112339A KR 1020150037944 A KR1020150037944 A KR 1020150037944A KR 20150037944 A KR20150037944 A KR 20150037944A KR 20160112339 A KR20160112339 A KR 2016011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fishing
tension coil
fishing li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707B1 (ko
Inventor
김정용
Original Assignee
김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용 filed Critical 김정용
Priority to KR1020150037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0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추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장 방형 몸체(10)의 내부 공간부(11a)에 인장 코일스프링(20)을 내장 설치하되,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이 내부 공간부(11a)에서 상부로 인장 복귀 작동할 수 있는 여유 길이(L)를 남기도록 내장 설치하고,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의 하단은 고정하고, 상단은 낚시줄에 연동되게 연결하여 몸체가 수중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인장 코일스프링의 인장 복귀 과정에 의해 낚시줄의 절단이 방지됨은 물론 낚시 추가 탄발적으로 유동하면서 수중 장애물에서 손쉽게 이탈되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Weight-adjustable Sinker}
본 발명은 낚시 추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추의 몸체 내부에 내장된 인장 코일스프링을 낚시줄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하여 추의 몸체가 바위 등의 수중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인장 코일스프링의 인장 복귀 과정에 의해 낚시줄의 절단이 방지됨은 물론 낚시 추가 탄발적으로 유동하면서 수중 장애물에서 손쉽게 이탈되도록 하는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강 또는 호수 등에서 낚시를 위한 낚시 채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3)에 낚시 찌(4), 낚시 추(5) 및 낚시 바늘(6)을 차례로 연결하여 준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낚시 채비후 행하는 찌맞춤 작업은 낚시 추(또는 낚시봉돌)와 낚시 찌를 물속에 넣어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맞추어 주는 것인데, 이는 낚시 추의 무게가 낚시 찌보다 무거울 경우 낚시 찌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식별이 불가능하고, 낚시 추의 무게가 가벼울 경우 낚시 찌의 부력에 의해서 낚시 찌가 너무 상승하거나 서지 못하고 넘어지기 때문에 낚시 추의 무게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작업이다.
상기한 낚시 채비에서 종래의 낚시 추는 주로 납, 금속, 시멘트 등과 같은 중량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낚시 추는 단순 구조의 중량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 과정에서 바위 등의 수중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이 경우에 낚시줄이 끊어지거나 또는 낚시줄을 좌우로 흔들어 낚시 추가 수중 장애물에서 이탈하도록 노력하나 쉽지 않아 대부분 낚시줄을 끊어 낚시 추와 함께 낚시 바늘 등을 무단 폐기하므로 낚시 추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못함은 물론 이와 같이 폐기된 낚시 추에 의해 수중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한 종래의 낚시 추는 납으로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인체에 유해함은 물론 수질 오염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고,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에 부식이나 산화로 내구성이 떨어짐은 물론 수질 오염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멘트로 형성된 경우에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0944251호 2: 한국 등록특허 제10-136332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추의 몸체 내부에 내장된 인장 코일스프링을 낚시줄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하여 추의 몸체가 바위 등의 수중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인장 코일스프링의 인장 복귀 과정에 의해 낚시줄의 절단이 방지됨은 물론 낚시 추가 탄발적으로 유동하면서 수중 장애물에서 손쉽게 이탈되도록 하므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추의 몸체 외표면에 액상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여 부식이나 산화방지는 물론 특히 수질 오염을 방지하는 친 환경적인 효과와 함께 발광 작용으로 집어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장 방형 몸체의 내부 공간부에 인장 코일스프링을 내장 설치하되,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이 내부 공간부에서 상부로 인장 복귀 작동할 수 있는 여유 길이를 남기도록 내장 설치하고,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의 하단은 고정하고, 상단은 낚시줄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하여 몸체가 수중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인장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적으로 유동하면서 수중 장애물에서 이탈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몸체는 내부 공간부를 갖는 중앙 몸체와, 상기 중앙 몸체 상,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중앙 몸체의 내부 공간부에 연결되는 통공을 상하로 관통 형성하는 상,하부 몸체로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통공에는 외측에 낚시줄 연결을 위한 연결공이 형성된 상,하 연결고리의 삽입부를 삽입하되, 상기 삽입부에 인장 코일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몸체는 외표면에 액상원료 65~70 중량%, 세라믹 분말 27~30 중량%, 축광제 2~3 중량% 및 경화제 1~2 중량%를 혼합한 혼합 코팅액으로 액상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추의 몸체 내부에 내장된 인장 코일스프링을 낚시줄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하여 추의 몸체가 바위 등의 수중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인장 코일스프링의 인장 복귀 과정에 의해 낚시줄의 절단이 방지됨은 물론 낚시 추가 탄발적으로 유동하면서 수중 장애물에서 손쉽게 이탈되므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 만족성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하고, 종래 수중에 무단 폐기되는 낚시 추에 의한 수중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의 몸체 외표면에 액상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여 부식이나 산화방지는 물론 특히 수질 오염을 방지하는 친 환경적인 효과와 함께 발광 작용으로 집어 효과가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낚시 채비의 일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낚시 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추의 작동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 방형 몸체(10)의 내부 공간부(11a)에 인장 코일스프링(20)을 내장 설치하되,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이 내부 공간부(11a)에서 상부로 인장 복귀 작동할 수 있는 여유 길이(L)를 남기도록 내장 설치하고,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의 하단은 고정하고, 상단은 낚시줄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하여 몸체가 수중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인장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적으로 유동하면서 수중 장애물에서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내부 공간부(11a)를 갖는 중앙 몸체(11)와, 상기 중앙 몸체 상,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중앙 몸체의 내부 공간부(11a)에 연결되는 통공(12a)을 상하로 관통 형성하는 상,하부 몸체(12)(12')로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통공(12a)에는 외측에 낚시줄 연결을 위한 연결공(16)이 형성된 상,하 연결고리(15)(15')의 삽입부(17)를 삽입하되, 상기 삽입부(17)에 인장 코일스프링(2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의 상단과 하단에는 나사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 연결고리(15)(15')의 삽입부(17)에는 인장 코일스프링 상,하단의 나사부(21)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18)을 대응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외표면에 액상원료 65~70 중량%, 세라믹 분말 27~30 중량%, 축광제 2~3 중량% 및 경화제 1~2 중량%를 혼합한 혼합 코팅액으로 액상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장 방형 몸체(10)를 혼합 코팅액에 침전시키는 디핑(Dipping) 방식에 의해 코팅한 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혼합 코팅액은 주성분인 액상원료에 대하여 세라믹 분말을 혼합하되, 세라믹 분말 성분이 너무 적으면 부식이나 산화 방지 효과가 떨어지고 너무 많으면 코팅성이 떨어져 세라믹 분말 27~30 중량%이 바람직하고, 상기 축광제도 너무 적으면 축광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2~3 중량%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2b는 상,하부 몸체(12)(12')를 중앙 몸체(11)의 나사공(11a)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조립 나사부, 22a,22b는 인장 코일스프링(20)의 상하로 수직 연장된 상단과 하단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낚시 추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중앙 몸체(11)의 내부 공간부(11a)에 인장 코일스프링(20)을 삽입하고, 상기 중앙 몸체(11)의 상,하부에 상,하부 몸체(12)(12')를 나사 결합하여 장 방형 몸체(10)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 몸체(12)(12')의 통공(12a)에는 상,하 연결고리(15)(15')의 삽입부(17)를 삽입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삽입부의 나사공(18)에 인장 코일스프링(2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21)를 나사 결합하여 서로 연결한다.
특히,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은 중앙 몸체(11)의 내부 공간부(11a)에서 상부로 인장 복귀 작동할 수 있는 여유 길이(L)를 갖도록 내장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낚시 추의 몸체(10)는 상,하 연결고리(15)(15')의 연결공(16)에 의해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과 낚시 바늘에 연결된 낚시 줄(3)을 연결한 상태로 수중에 던져 넣어 낚시를 행하게 되는데 상기 낚시 추의 몸체(10)가 바위 등과 같은 수중 장애물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낚시 줄을 잡아 당기게 되면, 낚시 추의 몸체(10)가 수중 장애물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 연결고리(15)가 상부 몸체(12)의 통공(12a)에서 밖으로 잡아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 연결고리(15)가 잡아 당겨지면서 상 연결고리에 연결된 인장 코일스프링(20)의 상단이 잡아 당겨져 인장 코일스프링(20)이 몸체 내부의 공간부(11a)에서 여유 길이(L)이 만큼 상부로 인장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낚시 줄을 잡아 당겨도 인장 코일스프링(20)이 탄발 인장되면서 낚시 줄의 끊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낚시 줄의 움직임에 의해 인장 코일스프링(20)이 인장 및 인장 복귀하는 과정에 의해 낚시 추의 몸체(10)가 탄발적으로 유동하면서 수중 장애물에서 손쉽게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낚시 추의 몸체(10)는 외표면에 외표면에 액상원료 65~70 중량%, 세라믹 분말 27~30 중량%, 축광제 2~3 중량% 및 경화제 1~2 중량%를 혼합한 혼합 코팅액에 침전시키는 디핑(Dipping) 방식에 의해 코팅하여 외표면에 액상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만져도 인체에 무해하고, 수중에서도 무해한 친환경성을 갖음은 물론 부식이나 산화방지는 물론 수중 오염 방지를 행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액상 세라믹 코팅액에 포함된 축광제에 의한 발광에 의해 집어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낚시 어획량을 늘리게 되는 효과도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10: 몸체 11: 중앙 몸체
12,12': 상,하부 몸체 12a: 통공
15,15': 상,하 연결고리 16: 연결공
17: 삽입부 18: 나사공
20: 인장 코일스프링 21: 나사부

Claims (4)

  1. 낚시줄에 연결 설치되는 낚시 추에 있어서,
    장 방형 몸체(10)의 내부 공간부(11a)에 인장 코일스프링(20)을 내장 설치하되,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이 내부 공간부(11a)에서 상부로 인장 복귀 작동할 수 있는 여유 길이(L)를 남기도록 내장 설치하고,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의 하단은 고정하고, 상단은 낚시줄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하여 몸체가 수중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에 인장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적으로 유동하면서 수중 장애물에서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내부 공간부(11a)를 갖는 중앙 몸체(11)와, 상기 중앙 몸체 상,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중앙 몸체의 내부 공간부(11a)에 연결되는 통공(12a)을 상하로 관통 형성하는 상,하부 몸체(12)(12')로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통공(12a)에는 외측에 낚시줄 연결을 위한 연결공(16)이 형성된 상,하 연결고리(15)(15')의 삽입부(17)를 삽입하되, 상기 삽입부(17)에 인장 코일스프링(2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0)의 상단과 하단에는 나사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 연결고리(15)(15')의 삽입부(17)에는 인장 코일스프링 상,하단의 나사부(21)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18)을 대응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외표면에 액상원료 65~70 중량%, 세라믹 분말 27~30 중량%, 축광제 2~3 중량% 및 경화제 1~2 중량%를 혼합한 혼합 코팅액으로 액상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KR1020150037944A 2015-03-19 2015-03-19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KR10180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944A KR101801707B1 (ko) 2015-03-19 2015-03-19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944A KR101801707B1 (ko) 2015-03-19 2015-03-19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39A true KR20160112339A (ko) 2016-09-28
KR101801707B1 KR101801707B1 (ko) 2017-11-27

Family

ID=5710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944A KR101801707B1 (ko) 2015-03-19 2015-03-19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3544A (zh) * 2019-02-20 2021-09-28 郑二圭 一键耦合式钓鱼铅坠组件
KR20220057987A (ko) * 2020-10-30 2022-05-09 김선호 낚시추
KR20230001091U (ko) * 2021-11-23 2023-05-31 신민혜 낚시용 봉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51B1 (ko) 2009-04-06 2010-02-24 정용범 민물낚시용 봉돌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4-02-14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437Y1 (ko) * 2002-10-22 2003-01-24 김종섭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중량조절이 가능한 낚시 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51B1 (ko) 2009-04-06 2010-02-24 정용범 민물낚시용 봉돌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4-02-14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3544A (zh) * 2019-02-20 2021-09-28 郑二圭 一键耦合式钓鱼铅坠组件
KR20220057987A (ko) * 2020-10-30 2022-05-09 김선호 낚시추
KR20230001091U (ko) * 2021-11-23 2023-05-31 신민혜 낚시용 봉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07B1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707B1 (ko)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KR101920043B1 (ko) 발광체가 구비된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EP1599091B1 (en) Angling rig
US20160330945A1 (en)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U2014362237A1 (en) Deepwater fish release device
US20120073183A1 (en) Adaptable Fishing Float
CN209950178U (zh) 一种打窝渔具和打窝饵料结构
KR20150051234A (ko) 수생 생물종의 배향 및/또는 억제를 위한 저장조 케이지 침지 시스템
CN206136949U (zh) 标枪式爆炸鱼钩组
CN208739940U (zh) 一种带浮力球的浮漂
RU151034U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здания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рифа
KR101147024B1 (ko) 가변식 낚시용 추
KR20140125999A (ko) 낚시용 구멍찌
KR200347573Y1 (ko) 복수의 원줄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다낚시용 구멍찌
JP2012161299A (ja) 釣り具
EP1695619A1 (en) Sinker for fishing tackle
KR200355916Y1 (ko) 반원구멍을 가지는 낚시용 흘림찌
KR20150053395A (ko) 낚시용 추
RU63174U1 (ru) Скользящий поплавок для закидной поплавковой удочки
KR102464680B1 (ko) 낚시추
CN204047675U (zh) 动态定点垂钓打窝器
AT148194B (de) Wurfangelzeug mit einem zwischen Schnuranschlägen lose gleitbaren Schwimmer.
CN201479749U (zh) 一种用于垂钓的自漂浮鱼钩
CN206547622U (zh) 一种深水抗风浪养殖网箱浮架用防滑套管
KR101401235B1 (ko) 낚시용 수중찌 및 수중찌와 낚시줄의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