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731A - 낚시 채비 - Google Patents

낚시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731A
KR20220117731A KR1020210021410A KR20210021410A KR20220117731A KR 20220117731 A KR20220117731 A KR 20220117731A KR 1020210021410 A KR1020210021410 A KR 1020210021410A KR 20210021410 A KR20210021410 A KR 20210021410A KR 20220117731 A KR20220117731 A KR 2022011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e
fishing
wir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만
정경아
Original Assignee
변재만
정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만, 정경아 filed Critical 변재만
Priority to KR102021002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731A/ko
Publication of KR2022011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와이어에 의해서 관통하는 상부 튜브 중공을 가지는 상부 튜브; 상기 와이어에 의해서 관통하는 하부 튜브 중공을 가지는 하부 튜브; 및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하는 바디 중공과, 상기 상부 튜브가 삽입되는 바디 상부홀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튜브가 삽입되는 바디 하부홀이 하측에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낚시채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 채비{FISHING TACKLE}
본 발명은 낚시 채비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와이어에 결합할 수 있는 낚시 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찌낚시의 경우 어신(魚信;물고기가 미끼를 물 때 꿈틀하는 찌나 낚싯대의 반응)을 감지하기 위하여 찌맞춤이 필수적이다. 찌 맞춤이란 부상력을 가지고 있는 찌와 침하력을 가지고 있는 낚시추의 합일체를 물 속에 넣었을 때 다른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조건에서 낚시꾼이 의도하는 상하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때 낚시 대상 어종이나 낚시 기법 또는 낚시인의 취향에 따라서 찌 맞춤의 위치나 범위에 허용 편차가 있을 수는 있지만, 찌 맞춤 자체의 편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낚시추의 무게를 조정하는 방법은 납을 소재로 한 봉돌을 사용한 것으로, 납은 비중이 클 뿐만 아니라 절단 가공이 용이하여 손쉽게 절단에 의해 무게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봉돌의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봉돌로서 납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납은 인체와 환경에 치명적인 해(害)를 끼치는 중금속이라는 문제점이 있어서, 납 성분을 가지는 기존 봉돌을 대신하면서 기존 납 봉돌 보다 세밀하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낚시추들이 개발되고 있다.
도 7은 종래 가변식 낚시용 추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종래 가변식 낚시용 추는 낚시추(10)를 낚시줄(2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30)을 제안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종래의 가변식 낚시용 추는 낚시줄(22)이 관통하는 낚시추(10)와, 낚시줄(22)이 일체로 구성되도록 중앙 상측 단부로부터 하측 단부까지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2)과,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야광수단(20)이 부착되는 부착홈(14)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가변식 낚시용 추는 낚시추(10)가 낚시줄(22)로부터 일정 범위만큼 자유롭게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고정링(30)이 낚시추(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고정링(30)은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재로 제조되며, 낚시줄(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링(30)의 외측으로부터 중앙까지 절개된 줄 고정부(32)가 형성되어 있어서 낚시줄(22)이 고정부(32)에 단순히 끼워지면서 고정링(30)과 낚시줄(22)이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고정링(30)을 이용하여 낚시추(10)를 낚시줄(22)에 고정하는 종래의 방법은 고정링(30)이 물속에서 오염되면서 부식되거나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신축성을 잃는 경우 낚시줄(22)에 대한 고정링(30)의 고정력이 약해져서 낚시줄(22)에 낚시추(10)를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KR10-2012-0010814호 (2012.02.0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낚시추를 낚시줄에 고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와이어를 절단하거나 묶는 행위 없이도 와이어에 낚시추를 결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접착제의 사용 없이 와이어에 낚시추를 결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와이어에 의해서 관통하는 상부 튜브 중공을 가지는 상부 튜브; 상기 와이어에 의해서 관통하는 하부 튜브 중공을 가지는 하부 튜브; 및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하는 바디 중공과, 상기 상부 튜브가 삽입되는 바디 상부홀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튜브가 삽입되는 바디 하부홀이 하측에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낚시채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에서,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에서,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는 각각 상기 바디 상부홀 및 상기 바디 하부홀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에서, 상기 체결부는 외측에 별도 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바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에서, 상기 바디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에서, 상기 바디 중공은 상기 바디 상부홀과 상기 바디 하부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 상부홀과 상기 바디 하부홀 보다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에서, 상기 상부 튜브는 상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튜브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하부 튜브는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튜브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낚시추를 낚시줄에 고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와이어를 절단하거나 묶는 행위 없이도 와이어에 낚시추를 결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접착제의 사용 없이 와이어에 낚시추를 결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가변식 낚시용 추에 관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체결부(100), 상부 튜브(200), 하부 튜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낚시 채비(10)는 와이어에 별도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와이어를 자르지 않으면서도 와이어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체결부(100)는 바디(110), 바디 상부홀(120), 바디 하부홀(140), 바디 중공(130), 바디 결합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00)는 후술할 상부 튜브(200) 및 하부 튜브(30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와이어에 낚시 채비(10)를 고정할 수 있다.
바디(110)는 체결부(100)의 외형을 의미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바디(110)는 금속 재질 혹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00)는 바디(110)의 상측에 형성된 바디 상부홀(120), 하측에 형성된 바디 하부홀(140), 바디 상부홀(120)과 바디 하부홀(140)을 연통하도록 바디(110)를 관통하는 바디 중공(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은 상부 튜브(200)가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바디 하부홀(140)은 하부 튜브(300)가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디 중공(130)은 와이어에 의해서 관통될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 바디 중공(130), 바디 하부홀(140) 순으로 서로 연통하며 바디(1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바디(110)의 전체를 관통할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 바디 중공(130), 바디 하부홀(140)은 수직한 방향으로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바디(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과 바디 하부홀(140)의 수평한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비롯한 다각형으로 이뤄질 수 있고, 또는 원형으로 이뤄질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과 바디 하부홀(140)의 형상은 각각에 삽입되는 상부 튜브(200)와 하부 튜브(3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 중공(130)의 수평한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비롯한 다각형으로 이뤄질 수 있고, 또는 원형으로 이뤄질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과 바디 하부홀(140)의 수평한 단면적은 바디 중공(130)의 수평한 단면적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바디 상부홀(120)과 바디 하부홀(140)의 직경은 바디 중공(13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과 바디 하부홀(140)의 수직한 길이는 바디 중공(130)의 수직한 길이 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과 바디 하부홀(140)의 수직한 길이는 각각 상부 튜브(200)와 하부 튜브(300)의 수직한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바디 상부홀(120)은 수평한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바디 내부 상부 경사부(124)를 하측 단부에 가질 수 있다. 바디 내부 상부 경사부(124)는 바디 상부홀(120)에 삽입되는 상부 튜브(200)가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 역할을 제공하거나 좁아지는 직경에 의해서 상부 튜브(200)의 하단부를 끼움결합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바디 하부홀(140)은 수평한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바디 내부 하부 경사부(144)를 상측 단부에 가질 수 있다. 바디 내부 상부 경사부(144)는 바디 하부홀(140)에 삽입되는 하부 튜브(300)가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 역할을 제공하거나 좁아지는 직경에 의해서 하부 튜브(300)의 상단부를 끼움결합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체결부(100)는 바디(110)의 외측에 별도 부품을 결합할 수 있는 바디 결합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결합부(150)는 바디(1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일 수 있으며, 별도 부품은 내주에 나사산을 가지는 도넛 모양의 낚시추(미도시)일 수 있다. 낚시추(미도시)는 낚시추(미도시)는 나사 결합으로 바디(11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00)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바디 상부 경사부(122)를 바디(110)의 상측에 가질 수 있다. 바디 상부 경사부(122)는 낚시추(미도시)의 내주를 가이드하여 바디(110)의 상측에 원할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00)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바디 하부 경사부(142)를 바디(110)의 하측에 가질 수 있다. 바디 하부 경사부(142)는 낚시추(미도시)의 내주를 가이드하여 바디(110)의 하측에 원할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체결부(100)는 바디(110)의 외측에 돌출된 바디 스토퍼(15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스토퍼(150)는 바디(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 결합부(150) 보다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스토퍼(150)는 바디(110)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인 바디 결합부(150)에 나사 결합되는 낚시추(미도시)가 바디(110)의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튜브(200)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탄성 재질을 가지는 실리콘, 플라스틱 혹은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튜브(200)는 바디 상부홀(120)에 삽입되어 바디(1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튜브(200)를 바디 상부홀(12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압박을 가하면 탄성 재질을 가지는 상부 튜브(200)는 바디 상부홀(120)의 내부에 의해서 수평한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수축함으로써 바디 상부홀(120)에 끼움 결합되어 상부 튜브(200)는 바디 상부홀(120)에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부 튜브(200)는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상부 튜브 경사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튜브 경사면(230)은 상술한 바디 상부홀(120)에 상부 튜브(200)가 삽입될 때 상부 튜브(200)가 원할하게 바디 상부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튜브(200)는 수직한 방향으로 상부 튜브 중공(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튜브 중공(210)은 와이어(400)에 의해 관통되며, 상부 튜브(200)가 바디 상부홀(120)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때 상부 튜브 중공(210)의 내주면은 와이어(400)를 압박하여 와이어(400)가 상부 튜브(200)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튜브(200)는 바디 상부홀(120)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는 상부 튜브(200)에 상부 튜브 돌출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튜브 돌출부(240)는 상부 튜브(2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튜브(200)의 수평한 단면적 보다 크도록 상부 튜브(200)의 외주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부 튜브 돌출부(240)는 상부 튜브(200)가 바디 상부홀(120)에 끼움 결합된 경우 상부 튜브(200)를 바디 상부홀(12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힘을 줄 때 손톱 혹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하부 튜브(300)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탄성 재질을 가지는 실리콘, 플라스틱 혹은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튜브(300)는 바디 하부홀(140)에 삽입되어 바디(1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튜브(300)를 바디 하부홀(14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압박을 가하면 탄성 재질을 가지는 하부 튜브(300)는 바디 하부홀(140)의 내부에 의해서 수평한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수축함으로써 바디 하부홀(140)에 끼움 결합되어 하부 튜브(300)는 바디 하부홀(140)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하부 튜브(300)는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하부 튜브 경사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튜브 경사면(330)은 상술한 바디 하부홀(140)에 하부 튜브(300)가 삽입될 때 하부 튜브(300)가 원할하게 바디 하부홀(14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튜브(300)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 튜브 중공(3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튜브 중공(310)은 와이어(400)에 의해 관통되며, 하부 튜브(300)가 바디 하부홀(140)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때 하부 튜브 중공(310)의 내주면은 와이어(400)를 압박하여 와이어(400)가 하부 튜브(300)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튜브(300)는 바디 하부홀(140)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는 하부 튜브(300)에 하부 튜브 돌출부(3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튜브 돌출부(340)는 하부 튜브(3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튜브(300)의 수평한 단면적 보다 크도록 하부 튜브(300)의 외주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부 튜브 돌출부(340)는 하부 튜브(300)가 바디 하부홀(140)에 끼움 결합된 경우 하부 튜브(300)를 바디 하부홀(14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하측으로 힘을 줄 때 손톱 혹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와이어(400)를 상부 튜브(200)의 상부 튜브 중공(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시키고, 상부 튜브(200)를 관통한 와이어(400)를 체결부(100)의 바디 상부홀(120), 바디 중공(130), 바디 하부홀(140) 순으로 관통시키고, 체결부(100)를 관통한 와이어(400)를 하부 튜브(300)의 하부 튜브 중공(3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상부 튜브(200)를 체결부(100)의 바디 상부홀(120)에 밀어넣 어서 고정하고, 하부 튜브(300)를 체결부(100)의 바디 하부홀(140)에 밀어 넣어서 고정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튜브(200) 및 하부 튜브(300)를 관통한 와이어(400)는 상부 튜브(200)와 하부 튜브(300)의 각각에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즉, 낚시 채비(10)는 와이어(400)에 별도의 접착제나 와이어(400)를 끊고 묶는 방법 없이도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체결부(100)의 바디 결합부(150)에 낚시추(미도시)와 같은 별도 부품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부 튜브(200)의 상부 튜브 돌출부(230) 부분을 잡아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상부 튜브(200)를 체결부(1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하부 튜브(300)의 하부 튜브 돌출부(330) 부분을 잡아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하부 튜브(300)를 체결부(1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체결부(100)
바디(110)
바디 상부홀(120)
바디 상부 경사부(122)
바디 내부 상부 경사부(124)
바디 중공(130)
바디 하부홀(140)
바디 하부 경사부(142)
바디 내부 하부 경사부(144)
바디 결합부(150)
바디 스토퍼(152)
상부 튜브(200)
상부 튜브 중공(210)
상부 튜브 경사면(230)
상부 튜브 돌출부(230)
하부 튜브(300)
하부 튜브 중공(310)
하부 튜브 경사면(330)
하부 튜브 돌출부(330)
와이어(400)

Claims (7)

  1. 와이어에 의해서 관통하는 상부 튜브 중공을 가지는 상부 튜브;
    상기 와이어에 의해서 관통하는 하부 튜브 중공을 가지는 하부 튜브; 및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하는 바디 중공과, 상기 상부 튜브가 삽입되는 바디 상부홀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튜브가 삽입되는 바디 하부홀이 하측에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낚시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는 각각 상기 바디 상부홀 및 상기 바디 하부홀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외측에 별도 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바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중공은 상기 바디 상부홀과 상기 바디 하부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 상부홀과 상기 바디 하부홀 보다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는 상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튜브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하부 튜브는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튜브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KR1020210021410A 2021-02-17 2021-02-17 낚시 채비 KR20220117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410A KR20220117731A (ko) 2021-02-17 2021-02-17 낚시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410A KR20220117731A (ko) 2021-02-17 2021-02-17 낚시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731A true KR20220117731A (ko) 2022-08-24

Family

ID=8311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410A KR20220117731A (ko) 2021-02-17 2021-02-17 낚시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77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814A (ko) 2010-07-27 2012-02-06 이차인 가변식 낚시용 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814A (ko) 2010-07-27 2012-02-06 이차인 가변식 낚시용 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706B1 (ko) 교체가 용이한 주꾸미낚시 애자
KR102436202B1 (ko)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US4649660A (en) Fishing float assembly
KR101434780B1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어구
US5351434A (en) Breakaway jig
KR20230129343A (ko) 낚시 채비
KR20220117731A (ko) 낚시 채비
US4817325A (en) Fishing lure
JP4238280B1 (ja) 釣り用錘
KR200441928Y1 (ko)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EP1880608B1 (en) Method feeder
JP2014217289A (ja) ルアー仕掛け
KR20210001102U (ko)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0479484Y1 (ko) 중공형 로드 및 그립을 구비한 루어 낚시대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GB2479612A (en) Releasable fishing float or sinker assembly
KR102377924B1 (ko) 낚시 채비
KR100491789B1 (ko) 날개부를 구비한 경사 구멍찌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JP2005013207A (ja) 魚釣具
KR101065581B1 (ko) 낚시 채비용 스토퍼
KR102554269B1 (ko) 집어등 기능을 갖는 루어낚시용 찌
KR200355916Y1 (ko) 반원구멍을 가지는 낚시용 흘림찌
KR200282202Y1 (ko) 중통찌
KR200260401Y1 (ko) 고정식 겸용 유동식 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