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924B1 - 낚시 채비 - Google Patents

낚시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924B1
KR102377924B1 KR1020190159849A KR20190159849A KR102377924B1 KR 102377924 B1 KR102377924 B1 KR 102377924B1 KR 1020190159849 A KR1020190159849 A KR 1020190159849A KR 20190159849 A KR20190159849 A KR 20190159849A KR 102377924 B1 KR102377924 B1 KR 10237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topper
fishing
weight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965A (ko
Inventor
변재만
정경아
Original Assignee
정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아 filed Critical 정경아
Priority to KR102019015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9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65A/ko
Priority to KR1020220033521A priority patent/KR20220039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924B1/ko
Priority to KR1020230074732A priority patent/KR102554883B1/ko
Priority to KR1020230087383A priority patent/KR20230106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제1링부재를 이용하여 찌맞춤을 완료한 낚시 채비에 있어서, 추가적인 제1링부재의 탈부착없이 낚시 채비에 설치된 제1링부재를 낚시 채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고정시킴으로써 낚시 채비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 채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 채비 {PREPARATION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 채비 내에서 링부재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낚시 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경우에는 낚시 바늘이 수중에 잘 잠길 수 있도록 다양한 무게를 갖는 봉돌을 낚싯줄에 엮어 사용하고 있다.
또한, 부력을 갖는 찌가 수면위로 적당한 높이를 가지고 물속에 잠기게 하기 위하여 낚시 채비에 봉돌 등을 부착하여 중량을 조절하는 찌맞춤을 진행하게 된다.
찌맞춤 시 미세 중량을 조절을 하기 위해 낚시 채비에 오링을 탈부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낚시 채비의 무게를 조절하는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2016-000238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하중조절링을 무게가변구에 탈착 함으로써 찌맞춤을 위한 낚시 채비의 무게를 조절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경우 찌맞춤이 완료된 상태에서 낚시 채비의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하중조절링을 무게가변구에서 분리 시킨 후 다른 위치에 다시 끼워 넣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중에 잠긴 낚시 채비의 민감도 조절을 위해 하중조절링을 추가하게 된다면, 낚시 채비의 전체 중량이 변화하게 되고 찌맞춤을 다시 해야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2016-00238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찌맞춤이 완료된 낚시 채비의 전체 중량의 변화없이 낚시 채비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 채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낚시 채비는 외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1스토퍼가 형성된 제1부재; 외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스토퍼가 형성된 제2부재; 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면에 제3나사산이 형성된 제1링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링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제1부재의 제1스토퍼와 상기 제1나사산에 의해 상기 제1부재에 위치 가능하고,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2스토퍼와 상기 제2나사산에 의해 상기 제2부재에 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의 외경은 제1링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강선 또는 와이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나사산과 상부 스토퍼 사이에 제1비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과 하부 스토퍼 사이에 제2비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부재의 외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링부재를 낚시 채비 내에서 제1부재 또는 제2부재로 이동시킴으로써, 낚시 채비의 전체 중량의 변화없이 낚시 채비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링부재는 제1부재, 제2부재 및 연결부재를 해체하거나, 제1링부재를 제1부재 또는 제2부재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제1링부재가 낚시 채비 내에서 제1부재 및 제2부재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의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체결부가 제1부재에 직접 형성된 형상을 나타낸 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의 변형도.
도 4는 도 3(b)의 제1부재에 추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스토퍼가 형성되지 않은 제1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캡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추 조립체의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추 조립체의 변형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와 캡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
도 7(b),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와 추 조립체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의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의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의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의 정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의 변형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의 변형도.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연결부재의 변형도.
도 1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가 제1부재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
도 1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가 제1부재에서 제2부재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1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가 제2부재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체결부가 제1부재에 직접 형성된 형상을 나타낸 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의 변형도이고, 도 4는 도 3(b)의 제1부재에 추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스토퍼가 형성되지 않은 제1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캡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추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추 조립체의 변형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와 캡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이고, 도 7(b),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와 추 조립체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의 변형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의 변형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연결부재의 변형도이고, 도 1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가 제1부재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가 제1부재에서 제2부재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고, 도 1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링부재가 제2부재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제1부재(100), 제2부재(200), 제1링부재(300) 및 연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부재(10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부재(100)는 제1나사산(110), 제1스토퍼(120) 및 제1비나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나사산(110)은 제1부재(1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나사산(110)은 제1비나사부(13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나사산(110)은 제1링부재(300)의 제3나사산(3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비나사부(130)는 제1나사산(110)과 제1스토퍼(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비나사부(130)의 외경은 제1스토퍼(1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제1나사산(1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120)는 제1부재(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120)는 제1비나사부(130)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스토퍼(120)의 외경은 제1링부재(3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120)는 제1비나사부(130)에 위치한 제1링부재(300)가 제1부재(100)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스토퍼(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제1스토퍼(120)는 제1부재(100)와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토퍼(120)는 제1부재(100)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제1부재(100)는 일측에 연결부재(400)가 연결될 수 있고, 제1부재(100)는 타측에 낚시용 추(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부재(100)의 하부에는 연결부재(400)가 연결될 수 있고, 제1부재(100)의 상부에는 낚시용 추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제1부재(100)는 하부에 연결부재(400)와 연결되는 연결부(140)가 형성될 수 있고, 제1부재(100)의 상부에는 낚시용 추가 연결될 수 있는 제1수나사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제1부재(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40)는 제1나사산(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연결부재(400)와 체결되는 제1체결부(141)와 제1체결부(14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부재(10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연장부(142)와 제1링부재(300)를 제1나사산(110)으로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제1삽입부(143)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0)의 외경은 제1링부재(3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141)는 고리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1체결부(141)는 연결부재(400)의 고리부(410)와 체결되어 연결부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연장부(142)는 제1체결부(14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삽입부(14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연장부(142)의 일측에는 제1체결부(14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연장부(142)의 타측에는 제1삽입부(143)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삽입부(143)는 제1나사산(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나사산(110)과 제1연장부(1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부(143)의 외경은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부(143)는 제1비나사부(130)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제1영역(144)과 제1비나사부(13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3영역(146) 및 제1영역(144)과 제3영역(146) 사이에 형성되어 외경의 길이가 제3영역(146)에서 제1영역(144)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커지는 제2영역(145)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삽입부(143)는 외경이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갈수록 커짐으로써 제1링부재(300)가 제1부재(10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링부재(300)가 제1삽입부(143)에 삽입될 때, 제3영역(146)의 외경이 길이가 제1링부재(300)의 내경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링부재(300)를 보다 쉽게 삽입부(143)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3영역(146)에 삽입된 제1링부재(300)는 제2영역(145)을 통해 제1영역(144)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1영역(144)은 외경이 제1링부재(30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링부재(300)가 동일한 외경을 가진 제1영역(144)에 삽입되어 제1링부재(300)와 제1부재(100)가 수직으로 정렬됨으로써 제1나사산(110)에 보다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3영역(146)에 삽입된 제1링부재(300)는 제2영역(145) 및 제1영역을 통해 제1나사산(110)까지 원활하게 안내되어 제1나사산(11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제1연결부(140)는 제1체결부(141)와 제1삽입부(14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모양의 제1체결부(141)가 제1삽입부(143)에 직접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부재(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120)의 형상이 상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120)의 외경은 제1스토퍼(120)의 최하부의 길이가 가장 작고, 제1스토퍼(120)의 최상부의 길이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부재(100)는 제1수나사부(120)에 추(82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820)는 제1부재(100)의 제1수나사부(150)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외주면의 형상이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된 추(820)가 제1수나사부(150)에 결합된다면, 제1스토퍼(120)의 외주면과 추(820)의 외주면이 맞닿아 자연스러운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부재(100)에 추(820)가 결합되면 추(820)와 제1부재(100)가 일체가 된 듯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는 제1스토퍼(120)가 생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수나사부(150)에 체결되는 추 조립체(800) 또는 추(820)가 제1부재(100)에 삽입된 링부재(300)가 제1부재(100)의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해주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부재(100)에 제1스토퍼(120)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제1부재(100)의 상측을 통해 보다 쉽게 링부재(300)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120)가 형성되지 않은 만큼의 여유공간이 확보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링부재(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스토퍼(120)의 상측에는 요철부(500) 및 제1수나사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500)는 제1수나사부(150)와 제1스토퍼(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500)는 외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500)는 낚시용 추와 제1부재(100)를 체결할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수나사부(150)는 요철부(5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낚시용 추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체결됨으로써 제1부재(100)와 낚시용 추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1수나사부(150)는 요철부(5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수나사부(150)에는 캡(700) 또는 추 조립체(800)가 연결될 수 있다.
캡(700)은 도 6(a) 내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캡(700)은 일측에 제4체결부(710)가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 제1암나사부(720)가 형성될 수 있다. 캡(700)의 상면에 제4체결부(710)가 형성될 수 있고, 하면에 제1암나사부(72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캡(700)은 외주면에 제3스토퍼(7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캡(700)의 외경은 제1부재(100)의 요철부(500)의 외경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4체결부(710)는 캡(7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체결부(710)는 낚시줄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암나사부(720)는 캡(700)의 한쪽 단부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후, 내면에 나사산이 구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암나사부(720)는 절개부(72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721)는 캡(700)의 끝단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700)의 양측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암나사부(720)의 끝단에 절개부(721)가 형성됨으로써, 제1암나사부(720)로 제1수나사부(150)가 삽입되어 체결될 경우 스크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제3스토퍼(730)는 캡(7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스토퍼(730)의 외경은 캡(700)의 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캡(700)은 외주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닐링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캡(700)에는 제2링부재(9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링부재(900)는 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링부재(900)는 외측면을 곡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링부재(900)는 내경이 캡(700)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스토퍼(120)와 제3스토퍼(730) 사이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추 조립체(8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810), 추(820), 및 상부캡(8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81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암나사부(811), 제2수나사부(812), 제3수나사부(813) 및 제4스토퍼부(8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810)는 일측에 제2암나사부(8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암나사부(811)는 바디부(8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암나사부(811)는 바디부(810)의 한쪽 단부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후, 내면에 나사산이 구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암나사부(811)는 외경이 제1부재(100)의 요철부(500)의 외경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암나사부(811)는 한쌍의 절개부(72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암나사부(811)는 제1부재(100)의 제1수나사부(15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암나사부(811)는 제1부재(100)와 결합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닐링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암나사부(811)의 상부에는 제4스토퍼(8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4스토퍼(814)는 제2암나사부(8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4스토퍼(814)는 외경이 제2암나사부(8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4스토퍼(814)는 제2링부재(900)가 바디부(800)의 하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4스토퍼(814)의 상부에는 제2수나사부(8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수나사부(812)는 바디부(8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수나사부(812)는 추(820)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 나사부(821)와 결합될 수 있다.
제4스토퍼(814)와 제2수나사부(812) 사이에는 제2링부재(900)가 안착되는 안착부(815)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815)는 외경이 제2링부재(900)의 내경의 길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800)는 타측에 제3수나사부(8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수나사부(813)는 바디부(8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캡(830)의 형성된 제3암나사부(831)와 결합될 수 있다. 제3수나사부(813)의 상부에는 제3삽입부(8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삽입부(817)는 상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3삽입부(817)가 형성됨에 따라, 바디부(800)의 상측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제2링부재(900) 및 상부캡(830)을 보다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제2수나사부(812)와 제3수나사부(813) 사이에는 여유부(8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유부(816)는 제2수나사부(812)에 추(820)가 결합될 경우 다양한 추(820)의 길이를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유부(816)에는 복수개의 제2링부재(900)가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추(820)는 외측면이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방향의 중심에서 양측(상부 혹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추(820)의 종방향(추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외측면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820)는 외면에 표시부(821)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821)는 추(820)의 상, 하를 구분함과 동시에 추(820)의 무게 중심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추(820)는 내측에 중공부(8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부(822)는 추(820)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추(820)는 중공부(822)에 의해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추(822)는 내면에 중공 나사부(8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 나사부(823)는 추(8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공 나사부(823)는 추(820)의 외면에 형성된 표시부(821)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바디부(810)에 추(820)를 삽입할 시 추(820) 외면에 형성된 표시부(821)를 통해 추(820)의 상, 하를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추(820)는 바디부(810)에 삽입된 후 바디부(810)의 제2수나사부(812)와 추(820)의 중공 나사부(823)가 결합됨으로써 추(820)와 바디부(810)는 결합될 수 있다.
상부캡(830)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캡(830)의 하면에는 제3암나사부(831)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캡(830)의 상면에는 제5체결부(8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830)은 외경이 바디부(8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830)은 외주면에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닐링 처리될 수 있다.
제3암나사부(831)는 바디부(810)의 제3수나사부(813)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5체결부(832)는 낚시줄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캡(830)은 바디부(810)의 상측에 형성된 제3수나사부(813)와 결합됨으로써, 제2수나사부(812)에 결합된 추(820)가 결합이 풀리더라도 바디부(810)에 삽입된 추(820)와 제2링부재(900)가 바디부(81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추 조립체(800)는 원통 형상의 바디부(810)에 제2링부재(900), 추 (820) 및 상부캡(830)을 순차적으로 삽입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추 조립체(80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 조립체(800)는 바디부(810)에 제2링부재(900)를 삽입할 수 있다. 제2링부재(900)는 바디부(810)에 삽입된 후 바디부(810)의 하측까지 삽입될 수 있으며, 제4스토퍼(814)에 의해 안착부(815)에 안착될 수 있다.
이후, 추(820)가 바디부(810)에 삽입되어 제2수나사부(812)에 체결될 수 있고, 바디부(810)에 삽입된 제2링부재(900)와 추(8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디부(810)의 상측에 상부캡(830)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 조립체(800)는 바디부(810)에 추(820)의 일부분인 추(820)의 분할부분(8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추(820)는 분할되어 제1분할부분(840)은 바디부(8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분할부분(850)은 바디부(810)에 탈부착 되는 것이다. 추(820)의 제1분할부분(840)은 제4스토퍼(813)와 제2수나사부(812) 사이에 형성되고, 안착부(815)의 위치에 추(820)의 분할부분(84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링부재(900)는 제1스토퍼(120)와 제4스토퍼(813)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추(820)의 제1분할부분(840)은 외면이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그 외경의 길이가 점점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820)의 제2분할부분(850)이 제2수나사부(812)에 결합되면 추(820)의 제1분할부분(840)의 상면과 추(820)의 제2분할부분(850)의 하면이 맞닿음으로써 완전한 추(82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추(820)의 제1분할부분(840)이 바디부(8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제2링부재(900)를 추 조립체(800)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추 조립체(800) 자체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부재(100)의 상부에 캡(700) 또는 추 조립체(800)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무게로 찌맞춤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1링부재(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면에 제3나사산(3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링부재(300)의 내경은 제1스토퍼(120) 및 제2스토퍼(2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비나사부(130) 및 제2비나사부(230)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링부재(300)는 내면에 제3나사산(3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나사산(310)은 제1나사산(110) 또는 제2나사산(2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링부재(300)의 외면에 미끄럼방지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600)는 외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부(600)는 제1링부재(300)가 제1나사산(110) 또는 제2나사산(210)에 결합될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제1링부재(300)는 후술할 연결부재(400)를 통해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로 이동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는 외면에 제2나사산(210)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스토퍼(2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200)의 상부에 제2체결부(240) 및 제2삽입부(26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스토퍼(220)의 양측으로 제3체결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나사산(210)은 제2부재(2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비나사부(23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나사산(210)의 상측에는 제2체결부(24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2비나사부(23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나사산(210)은 제1링부재(300)의 제3나사산(3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비나사부(230)는 제2나사산(210)의 하측에 형성되며, 제2스토퍼(2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비나사부(230)는 제2나사산(210)과 제2스토퍼(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비나사부(230)는 외경이 제2스토퍼(2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제2나사산(2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220)는 제2부재(2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220)는 제2비나사부(23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스토퍼(220)의 외경은 제2비나사부(2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220)는 제2비나사부(230)에 위치한 제1링부재(300)가 제2부재(200)의 하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삽입부(260)는 제2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부(260)는 제2나사산(210)과 제2체결부(2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2삽입부(260)는 제2부재(200)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삽입부(260)는 외경이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갈수록 작아짐으로써 제1링부재(300)가 제2부재(200)의 상부에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링부재(300)가 제2삽입부(260)에 삽입될 때, 제2삽입부(260)의 초입의 외경의 길이가 제1링부재(300)의 내경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링부재(300)를 보다 쉽게 제2삽입부(260)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체결부(240)는 제2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240)는 제2삽입부(26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부(240)는 원형의 결속구가 개구된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부(240)의 양측면은 오목하게 파이며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240)의 외경은 제1링부재(3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24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240)는 원형의 결속구가 개구된 판의 형태로 형성되되, 양측면이 직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부(240)는 고리의 형태로 가공된 강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선으로 이루어진 제2체결부(240)는 제2부재(200)의 상부에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240)는 연결부재(400)의 고리부(410)와 체결되어 제2부재(200)와 연결부재(400)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부재(200)의 하부에는 제3체결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체결부(250)는 제2스토퍼(220)의 양측에 고리의 형성될 수 있으며, 낚싯줄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3체결부(250)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장부(25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부(251)는 제3체결부(250)와 제2스토퍼(220) 사이에 형성되며 제3체결부(250)와 제2스토퍼(220)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장부(251)는 양측의 제3체결부(250) 중 적어도 한곳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의 제3체결부(250)는 제2스토퍼(2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한측의 제3체결부(250)는 제2연장부(251)가 형성됨으로써, 제2연장부(251)의 양측에 제2스토퍼(220) 및 제3체결부(250)가 형성됨으로써 제3체결부(250)가 제2스토퍼(22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양측의 제3체결부(250)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양측의 제3체결부(250)의 용도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제2연장부(251)가 형성된 제3체결부(250)는 제2연장부(251)가 형성되지 않은 제3체결부(250) 보다 민감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연장부(251)가 형성된 제3체결부(25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작은 외력에도 제2부재(200)가 들림으로써 찌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측의 제3체결부(250)에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가 설치된 낚싯줄이 연결된다면, 타측의 제3체결부(250)에는 물고기를 잡기 위한 미끼를 설치함으로써 양측의 제3체결부(250)의 용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장부(251)는 양측 제3체결부(2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연장부(251)는 제2부재(200)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부(251)가 양측 제3체결부(250)에 형성된다면, 양측에 제2연장부(251)가 형성되지 않은 제3체결부(250) 보다 민감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양측의 제3체결부(250)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작은 외력에도 제2부재(200)가 움직이게되고, 수면 위에 찌로 제2부재(200)의 움직임이 쉽게 전달될 수 있는것이다.
이와 다르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장부(251)가 양측 제3체결부(250)에 형성되되, 제2연장부(251)는 제2부재(200)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연장부(251)는 제2부재(2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2부재(200)의 하측방향으로 90°에서 180°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연장부(251)의 길이는 양측이 같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부(251)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제2연장부(251)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된 제2부재(200)보다 민감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2연장부(251)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2부재(200)는 보다 큰 외력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연결부재(400)는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 사이에 형성되어,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400)는 긴 강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400)는 고리부(410)를 포함하며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일측이 제1부재(100)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제2부재(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리부(410)가 제1체결부(141) 및 제2체결부(240)에 체결됨으로써, 연결부재(400)는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연결시켜줄 수 있다.
연결부재(400) 외경은 제1링부재(3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고리부(410)의 외경 또한 제1링부재(3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연결부재(400) 양측에 연결되는 관절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부(420)는 제1체결부(141)와 연결부재(400) 사이, 복수개의 연결부재(400) 사이 및 연결부재(400)와 제2체결부(240) 사이 등 각각의 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두 개의 관절부(42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하나의 관절부(42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부재(400)는 강선 또는 와이어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관절부(420)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400)는 다각도로 꺾임이 가능하게 되고,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는 낚싯줄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낚싯줄은 연결부재(400)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사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를 해체하거나 제1링부재(300)를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제1링부재(300)를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에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찌맞춤을 위해 두 개의 제1링부재(300)가 설치된 낚시 채비(10)에 있어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링부재(300)는 모두 제1부재(10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링부재(300)는 제1비나사부(130)에 위치하게 되고, 제1스토퍼(120)와 제1나사산(110)에 의해 제1부재(100)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1링부재(300)를 제2부재(200)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링부재(300)를 제1나사산(110)과 결합시킨 후 회전시킴으로써 제1링부재(300)를 제1나사산(110)의 하측, 즉 삽입부(143)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에서 빠져나온 제1링부재(300)는 연결부재(400)를 통해 제2부재(200)로 안내되고, 제2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나사산(210)과 결합하게 된다.
제2나사산(210)과 결합된 제1링부재(300)는 회전을 통해 제2나사산(210)을 통과하게 되고,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비나사부(230)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제2비나사부(230)에 위치한 제1링부재(300)는 제2나사산(210)과 제2스토퍼(220)에 의해 제2부재(200)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제1, 2나사산(110, 210)은 제1링부재(300)가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통로의 역할과, 제1링부재(300)가 제1부재(100)의 하측으로 이탈 및 제2부재(200)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링부재(300)가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1, 2나사산(110, 210)을 필연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1링부재(300)는 제1링부재(300)의 내면에 형성된 제3나사산(310)이 제1나사산(110) 또는 제2나사산(210)에 결합된 후 제1링부재(300)에 작용되는 회전력에 의해 제1, 2나사산(110, 210)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제1링부재(300)는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에 위치하였을 때, 회전력을 받지 않는다면, 제1나사산(110) 또는 제2나사산(210)을 통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나사산(110) 및 제2나사산(210)은 제1링부재(300)가 제1부재(100)의 하측 및 제2부재(200)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부력을 갖는 찌가 수중에 잠긴 상태를 조절하는 찌맞춤을 한 상태에서 제1링부재(300)를 낚시 채비(10) 내에서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로 이동시킴으로써, 낚시 채비(10)의 전체 중량의 변화없이 낚시 채비(10)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채비(10)에 제1링부재(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링부재(300)가 제1부재(100)에 위치하게 되면, 제2부재(200)의 무게는 제1링부재(300)가 설치된 상태의 무게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부재(200)는 작은 외력에도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고, 제2부재(200)의 움직임이 수면 위에 찌에 전달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질의 신호를 주게 되는 것이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링부재(300) 중 하나의 제1링부재(300)를 제1부재(100)에서 제2부재(200)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2부재(200)의 무게는 증가하게 된다. 제2부재(200)의 무게가 증가하면 제2부재(200)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제1링부재(300)가 설치되지 않은 제2부재(200)에 가해지는 외력보다 더 큰 외력이 가해져야 한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에 두 개의 제1링부재(300)를 이동시키게 되면, 제2부재(200)는 하나의 제1링부재(300)가 설치된 제2부재(200)보다 더 큰 무게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2부재(200)는 하나의 제1링부재(300)가 설치된 제2부재(200)보다 더 큰 외력이 가해져야 제2부재(200)의 움직임이 수면 위에 찌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찌맞춤을 완료한 낚시 채비(10)에 별도의 제1링부재(300)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낚시 채비(10)에 설치된 제1링부재(300)를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로 자유롭게 이동시킴으로써 낚시 채비(10)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링부재(300)는 제1부재(100), 제2부재(200) 및 연결부재(400)를 해체하거나 제1링부재(300)를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제1링부재(300)가 낚시 채비(10) 내에서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1링부재(300)가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1나사산(110) 및 제2나사산(210)에 결합되기 위한 회전력만을 필요로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제1링부재(3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낚시 채비 100: 제1부재
110: 제1나사산 120: 제1스토퍼
130: 제1비나사부 140: 제1연결부
141: 제1체결부 142: 제1연장부
143: 제1삽입부 144: 제1영역
145: 제2영역 146: 제3영역
200: 제2부재 210: 제2나사산
220: 제2스토퍼 230: 제2비나사부
240: 제2체결부 250: 제3체결부
251: 제2연장부 260: 제2삽입부
300: 제1링부재 310: 제3나사산
400: 연결부재 410: 고리부
420: 관절부 500: 요철부
600: 미끄럼방지부 700: 캡
800: 추 조립체 900: 제2링부재

Claims (6)

  1. 제1부재;
    제2부재;
    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면에 제3나사산이 형성된 제1링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링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로 이동되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부재의 상부에는 제1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의 하부에는 제2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링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1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에 의해 상기 제1부재에 위치 가능하고,
    상기 제1링부재가 상기 제2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2스토퍼와 상기 제2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에 의해 상기 제2부재에 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2. 삭제
  3. 제1부재;
    제2부재;
    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면에 제3나사산이 형성된 제1링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링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로 이동되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결합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의 외경은 제1링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4. 제1부재;
    제2부재;
    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면에 제3나사산이 형성된 제1링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링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로 이동되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결합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강선 또는 와이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산과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 제1비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과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제2비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6.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의 외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KR1020190159849A 2019-12-04 2019-12-04 낚시 채비 KR10237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849A KR102377924B1 (ko) 2019-12-04 2019-12-04 낚시 채비
KR1020220033521A KR20220039691A (ko) 2019-12-04 2022-03-17 낚시 채비
KR1020230074732A KR102554883B1 (ko) 2019-12-04 2023-06-12 낚시 채비
KR1020230087383A KR20230106572A (ko) 2019-12-04 2023-07-05 낚시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849A KR102377924B1 (ko) 2019-12-04 2019-12-04 낚시 채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521A Division KR20220039691A (ko) 2019-12-04 2022-03-17 낚시 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65A KR20210069965A (ko) 2021-06-14
KR102377924B1 true KR102377924B1 (ko) 2022-03-22

Family

ID=7641752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849A KR102377924B1 (ko) 2019-12-04 2019-12-04 낚시 채비
KR1020220033521A KR20220039691A (ko) 2019-12-04 2022-03-17 낚시 채비
KR1020230074732A KR102554883B1 (ko) 2019-12-04 2023-06-12 낚시 채비
KR1020230087383A KR20230106572A (ko) 2019-12-04 2023-07-05 낚시 채비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521A KR20220039691A (ko) 2019-12-04 2022-03-17 낚시 채비
KR1020230074732A KR102554883B1 (ko) 2019-12-04 2023-06-12 낚시 채비
KR1020230087383A KR20230106572A (ko) 2019-12-04 2023-07-05 낚시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779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54B1 (ko) 2006-10-30 2008-03-19 정강호 낚싯대 채비
KR101000411B1 (ko) 2007-10-25 2010-12-14 정강호 낚시 채비 및 그에 사용되는 무게조절 봉돌부재
KR101343942B1 (ko) * 2012-10-31 2013-12-20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964060B1 (ko) 2017-10-17 2019-04-01 주식회사 마그마 다기능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968U (ko) * 1996-09-07 1996-12-16 김경진 낚시찌
KR20000002699U (ko) * 1998-07-09 2000-02-07 김재수 낚시용 봉돌구조
KR101061901B1 (ko) * 2008-11-20 2011-09-02 이정숙 사계절 낚시용 편대
KR101046463B1 (ko) * 2008-12-09 2011-07-04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20120138024A (ko) * 2011-06-14 2012-12-24 추승정 봉돌
KR101433514B1 (ko) * 2013-03-20 2014-08-25 이영수 주낙 낚시구
KR20160002384U (ko) 2014-12-31 2016-07-08 조형균 하중 가변형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54B1 (ko) 2006-10-30 2008-03-19 정강호 낚싯대 채비
KR101000411B1 (ko) 2007-10-25 2010-12-14 정강호 낚시 채비 및 그에 사용되는 무게조절 봉돌부재
KR101343942B1 (ko) * 2012-10-31 2013-12-20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964060B1 (ko) 2017-10-17 2019-04-01 주식회사 마그마 다기능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65A (ko) 2021-06-14
KR20230088329A (ko) 2023-06-19
KR20230106572A (ko) 2023-07-13
KR102554883B1 (ko) 2023-07-11
KR20220039691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ko) 올림 낚시용 추
CA2503169A1 (en) Fishing device
KR102577938B1 (ko) 낚시 채비
KR101964060B1 (ko) 다기능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KR102377924B1 (ko) 낚시 채비
US20060137238A1 (en) Slip-on hydrodynamic symmetrical fishing sinker
KR20160002384U (ko) 하중 가변형 낚시채비
KR20200002449U (ko) 선상 낚시 거치대 고정 장치
US5303499A (en) Fishing device
KR200494549Y1 (ko)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102230232B1 (ko) 낚시용 추 조립체
KR102175432B1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KR102229119B1 (ko) 낚시용 찌
KR20220118816A (ko) 낚시채비
KR101583728B1 (ko) 낚시용 봉돌
JP3247419U (ja) 釣り用の浮遊体
KR20230039310A (ko) 낚시채비
KR20220117731A (ko) 낚시 채비
KR102607742B1 (ko) 바닥추의 무게조절이 용이한 분할추채비
KR200203033Y1 (ko) 회전형 낚시용 봉돌
KR200355916Y1 (ko) 반원구멍을 가지는 낚시용 흘림찌
KR102652782B1 (ko)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JP3223413U (ja) 簡単装着で外れにくくタナが瞬時に変えられるダウンショットシンカー
JPH0331191Y2 (ko)
JP3165734U (ja) 釣り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