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954B1 - 낚싯대 채비 - Google Patents

낚싯대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954B1
KR100814954B1 KR1020060105812A KR20060105812A KR100814954B1 KR 100814954 B1 KR100814954 B1 KR 100814954B1 KR 1020060105812 A KR1020060105812 A KR 1020060105812A KR 20060105812 A KR20060105812 A KR 20060105812A KR 100814954 B1 KR100814954 B1 KR 10081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gravity
steel wire
hook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호
Original Assignee
정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강호 filed Critical 정강호
Priority to KR102006010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 채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싯대 끝에 일단부가 매듭된 원줄; 상기 원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매듭 고정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방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에 봉돌이 장착되되 휘어진 후 복원되는 스프링 강 또는 와이어 형상의 금속으로 구비된 무게 중심부; 상기 무게 중심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리 또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무게 중심을 유지하며 바늘이 설치되는 무게중심 유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원줄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의 구조를 개선하여 빠른 어신을 기대하고, 원줄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중에서도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이 수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찌올림 또는 찌내림 운동 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찌 동작을 멋지게 연출한다.
연결부, 무게 중심부, 이격부, 분지 강선, 목줄 연결고리

Description

낚싯대 채비{Preparation of fishing rod}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낚시용 채비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낚시용 채비의 사용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구성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따른 제2 구성 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상세히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중심 유지부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일 예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원줄 20,40;제1,2 연결부
21,41;제1,2 연결부재 22,42;연결고리
30;무게 중심부 31;봉돌부재
32;수직 강선 33;이격부
34;테이프 형 봉돌부재 35;와셔
36;고리 50;무게중심 유지부
51;무게중심 유지 강선 53; 분지 강선
54;목줄 연결고리
본 발명은 낚싯대 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줄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의 구조를 개선하여 빠른 어신을 기대하고, 원줄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중에서도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이 수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찌올림 또는 찌내림 운동 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찌 동작을 멋지게 연출할 수 있는 낚싯대 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대와 원줄 그리고 목줄과 바늘 그리고 찌 등이 서로 조합되어 셋트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낚싯대는 사용 장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특히 민물낚시와 바다낚시에는 원줄의 끝에 목줄이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원줄(1)의 하측에는 연결줄(2)이 매듭되며, 연결줄(2)에는 물에 가라 앉히기 위한 봉돌(3)이 설치되며 그 봉돌(3)에는 목줄(4)과 바늘(5)이 매듭되어 고정된다.
물론 이와 같은 구조는 갖가지 채비의 예중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낚시하고자 하는 장소나 물의 밀도 또는 미끼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에 의해 낚시를 할 때에는 바늘(5)에 곡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를 끼워 입수시키면 그 미끼를 물고기가 흡입하며 먹을 때 봉돌(3)을 부력시키게 되고 그 부력은 도면표현을 생략한 찌에 전달되어 조사의 챔질에 의해 물고기를 낚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낚싯대 채비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바늘(5)에 미끼를 달은 상태에서 입수시키게되면 봉돌(3)의 무게에 의해 원줄(1)의 일부와 연결줄(2) 그리고 목줄(4)과 목줄(4)에 묶여진 바늘(5)은 물속에서 도 2와 같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늘어지게 되므로, 어신이 올 경우 그 어신은 바늘(5)과 목줄(4) 그리고 봉돌(3)과 연결줄(2) 및 원줄(1)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결국 원줄(1)에 설치된 찌는 부력에 의해 수면위로 상승되거나 침수되는 어신을 알리게 되고, 그와 같은 어신을 확인 후 챔질을 할 경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늘어진 원줄(1)과 연결줄(2) 그리고 목줄(4)의 구조에 의해 챔질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은 원줄(1)과 연결줄(2) 그리고 목줄(4)이 섬유사 또는 합성 섬유사로 제작된 구조에 의해 수중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모순점에 기인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납으로 제작된 봉돌(3)은 낚시하고자 하는 장소의 물의 밀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정확하게 찌 맞춤을 위해서 는 낚시터에서 봉돌(3)의 무게를 재조정해야 했고, 그와 같은 과정 중 봉돌(3)은 절단도구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버려지며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원줄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의 구조를 개선하여 빠른 어신을 기대할 수 있는 낚싯대 채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줄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중에서도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이 수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찌올림 또는 찌내림 운동 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찌 동작을 멋지게 연출할 수 있는 낚싯대 채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돌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양이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싯대 채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낚싯대 끝에 일단부가 매듭된 원줄; 상기 원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매듭 고정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방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에 봉돌이 장착되되 휘어진 후 복원되는 스프링 강 또는 와이어 형상의 금속으로 구비된 무게 중심 부; 상기 무게 중심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리 또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무게 중심을 유지하며 바늘이 설치되는 무게중심 유지부를 포함하는 낚싯대 채비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구성 예는, 상기 제1,2 연결부는 상측이 밀폐되고 하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2 연결부재; 및 하측은 상기 제1,2 연결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며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은 상기 제1,2 연결부재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원형의 고리를 형성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구성 예는, 상기 무게 중심부는 그 상단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해 나사 결합되고 그 하방에는 납을 포함하는 봉돌부재를 관통하는 수직 강선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구성 예는, 상기 봉돌부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칭된 형상으로 이격 설치되며 그 사이에 테이프 형 봉돌부재가 감겨지는 이격부가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구성 예는, 상기 수직 강선의 상단부에는 상기 무게 중심부의 미세 조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와셔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5 구성 예는, 상기 무게중심 유지부는 그 상단부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 무게중심 유지 강선; 및 상기 무게중심 유지 강선의 하단부에 장착된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로 구 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6 구성 예는, 상기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는 그 양측으로 대칭되게 관통 설치되며 그 양단부에 목줄 연결고리가 설치된 분지 강선으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7 구성 예는, 상기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의 하측에는 목줄 연결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8 구성 예는, 상기 무게중심 유지부는 그 상단부는 상기 수직 강선의 하단부와 상응하는 제2 고리가 배열되며, 상기 고리와 상기 제2 고리는 체인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폐수의 부유물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와 요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보인 정면도 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채비는 낚싯대 끝에 매듭되는 원줄(10)에 설치된다.
상기 원줄(10)의 타단부에는 제1 연결부(20)가 매듭 고정되고, 제1 연결 부(20)의 하방에는 제1 연결부(20)에 대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에 봉돌이 장착되되 휘어진 후 복원되는 스프링 강 또는 와이어 형상의 금속으로 제작된 무게 중심부(30)가 구비된다.
또 상기 무게 중심부(30)의 하측에는 고리 또는 제2 연결부(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40)에는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무게 중심을 유지하며 바늘이 설치되는 무게중심 유지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2 연결부(20)(40)는 상측(또는 하측)이 밀폐되고 하측(또는 상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2 연결부재(21)(41) 및 하측(또는 상측)은 상기 제1,2 연결부재(21)(41)의 내측에 위치되며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또는 하측)은 상기 제1,2 연결부재(21)(41)의 상측(또는 하측)으로 노출되며 원형의 고리를 형성하는 연결고리(22)(42)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무게 중심부(30)와 무게중심 유지부(50)를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인 제2 연결부(40)는 상술했던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0)와 대동소이하게 구성한 후 그 내부에 무게중심 유지부(50)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게 중심부(30)의 하단부와 무게중심 유지부(50)의 상단부에 각각 고리(36)와 후술하는 제2 고리를 형성한 후 양쪽 고리를 통상적인 체인(100)에 의해 연결 및 해제하며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고리 또는 제2 고리는 수직강선의 하단부 또는 무게중심 유지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지만, 수직강선의 하단부와 무게중심 유지부의 상단부 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한 후 그 나사산에 상술했던 제1,2 연결부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무게 중심부(30)는 그 상단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21)에 대해 나사 결합되고 그 하방에는 납을 포함하는 봉돌부재(31)를 관통하는 수직 강선(32)으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봉돌부재(31)는 도 3a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칭된 형상으로 이격 설치되며 그 사이에 선택적으로 중량을 가중시키기 위한 테이프 형 봉돌부재(34)가 감겨지는 이격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직 강선(32)의 상단부에는 도 3b와 같이 상기 무게 중심부(30)의 중량을 조절할 때 미세 조정을 위하여 금속으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와셔(35)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무게중심 유지부(50)는 그 상단부는 상기 제2 연결부재(21)의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 무게중심 유지 강선(51)과 상기 무게중심 유지 강선(51)의 하단부에 장착된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52)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52)는 그 양측으로 대칭되게 분지 강선(53)이 관통 설치되며 그 양단부에는 목줄 연결고리(54)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목줄 연결고리(54)에는 일단부에 바늘이 매듭된 목줄이 연결 설치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상기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52)의 하측에는 목줄 연결고리(54)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 유지부(50)는 그 상단부는 상기 수직 강선의 하단부와 상응하는 제2 고리(55)가 배열되며, 상기 고리와 상기 제2 고리는 체인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설명의 이해와 도면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확대 도시한 것으로 실제 제품은 가는 철사 형상으로 슬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는 도 3 또는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 상태는 낚시용 채비가 물에 입수된 상태이며, 바늘에는 곡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가 끼워진 상태라 할 수 있다.
또 이 상태는 낚시용 채비는 재질 및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물속에서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 즉 균형을 유지한채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제1 연결부(20)에서 교체 가능하게 무게 중심부(30)가 연결되고, 무게 중심부(30)의 하측에는 제2 연결부(40)를 매체로 무게중심 유지부(50)가 설치되며 이들 구성요소는 각각 곧은 금속 와이어로 설치된 구조에 의해 물속에서도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연결부(20)의 상측은 원줄(10)에 매달린 상태에서 그 하측에 순차적으로 장착된 무게 중심부(30)와 무게중심 유지부(50) 그리고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52)에 의해 꼿꼿하게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52)는 그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분지강선(53)에 의해 시소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바늘에 곡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를 걸은 상태에서 어느 한쪽의 바늘에서 어신을 받을 경우 그 어신은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52)로 전달되어 그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52)가 시소의 중심점 역할을 하며 다른 쪽을 상승시키나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시소 역할에 의해 무게중심 유지부(50)의 무게중심 유지 강선(51)과 그 상측에 설치된 무게 중심부(30)는 동반하여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조사로 하여금 어신을 인지시키게 되며 챔질로 이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배적인 특징부는 본 발명에 따른 채비는 기존에는 없던 방식으로 제1 연결부(20)에서 무게중심 유지부(50)까지 전부 금속으로 제작된 와이어 형상의 강선으로 제작된 구조에 의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어신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빠른 챔질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편, 찌의 부력과 본 발명에 따른 채비의 무게중심을 맞추는 과정, 즉 찌를 맞출때에는 상기한 제1 연결부(20)를 분리한 후 도 4와 같은 와셔(35)를 설치 및 분리하거나, 또는 도 3a와 같이 봉돌부재(31)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33)에 테이프형 봉돌부재(34)를 감아서 찌의 부력을 예민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연결부를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하거나 분리하므로 채비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찌의 부력을 맞추기 위해 납으로 제작된 봉돌을 절단하여 버림으로써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줄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의 구조를 개선하여 빠른 어신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원줄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중에서도 연결줄과 봉돌 그리고 목줄이 수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찌올림 또는 찌내림 운동 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찌 동작을 멋지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돌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양이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낚싯대 끝에 일단부가 고정된 원줄;
    상기 원줄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제1 연결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봉돌부재와, 상기 봉돌부재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되 휘어진 후 복원되는 금속재질의 수직 강선과, 중량의 미세조정을 위해 상기 수직강선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셔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부; 및
    상기 무게 중심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리 또는 제2 연결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무게 중심을 유지하며 바늘이 설치되는 무게중심 유지부;
    가 포함되는 낚싯대 채비.
  2. 낚싯대 끝에 일단부가 고정된 원줄;
    상기 원줄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구비된 봉돌부재와, 상기 봉돌부재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되 휘어진 후 복원되는 금속재질의 수직 강선을 포함하는 무게 중심부; 및
    상기 무게 중심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리 또는 제2 연결부에 설치되는 무게중심 유지 강선과, 상기 무게중심 유지 강선의 하단부에 장착된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가 구비되고, 무게 중심을 유지하며 바늘이 설치되는 무게중심 유지부;
    가 포함되는 낚싯대 채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유지부는,
    상기 무게 중심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리 또는 제2 연결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중심 유지 강선; 및
    상기 무게중심 유지 강선의 하단부에 장착된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채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부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칭된 형상으로 이격 설치되며, 그 사이에 테이프 형 봉돌부재가 감겨지는 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채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관통 설치되며, 양단부에 목줄 연결고리가 설치된 분지 강선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채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유지 봉돌부재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관통 설치되며, 양단부에 목줄 연결고리가 설치된 분지 강선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채비.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유지부는,
    상단부에 상기 수직 강선의 하단부와 상응하는 제2 고리가 배열되며, 상기 고리와 상기 제2 고리는 체인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채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유지부는,
    상단부에 상기 수직 강선의 하단부와 상응하는 제2 고리가 배열되며, 상기 고리와 상기 제2 고리는 체인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채비.
  9. 삭제
KR1020060105812A 2006-10-30 2006-10-30 낚싯대 채비 KR10081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12A KR100814954B1 (ko) 2006-10-30 2006-10-30 낚싯대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12A KR100814954B1 (ko) 2006-10-30 2006-10-30 낚싯대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954B1 true KR100814954B1 (ko) 2008-03-19

Family

ID=3941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812A KR100814954B1 (ko) 2006-10-30 2006-10-30 낚싯대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65A (ko) * 2019-12-04 2021-06-14 정경아 낚시 채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864U (ja) 1983-12-05 1985-06-29 石名田 義美 釣り用仕掛用具
JP2002218882A (ja) 2001-01-24 2002-08-06 Shoji Ogura 板オモリ巻軸付きクッション仕掛け
KR100553670B1 (ko) 2004-04-01 2006-02-24 신제길 중량 조절용 편납 홀더가 부설된 전자 낚시추 채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864U (ja) 1983-12-05 1985-06-29 石名田 義美 釣り用仕掛用具
JP2002218882A (ja) 2001-01-24 2002-08-06 Shoji Ogura 板オモリ巻軸付きクッション仕掛け
KR100553670B1 (ko) 2004-04-01 2006-02-24 신제길 중량 조절용 편납 홀더가 부설된 전자 낚시추 채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65A (ko) * 2019-12-04 2021-06-14 정경아 낚시 채비
KR102377924B1 (ko) 2019-12-04 2022-03-22 정경아 낚시 채비
KR20230088329A (ko) * 2019-12-04 2023-06-19 정경아 낚시 채비
KR102554883B1 (ko) 2019-12-04 2023-07-11 정경아 낚시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KR100814954B1 (ko) 낚싯대 채비
US5560140A (en) Fishing plug lure and spinner
KR200473427Y1 (ko) 낚시 채비
CN109349244A (zh) 触发式钓鱼器
US3430378A (en) Weight and bait holder for fishhooks
US3672088A (en) Fishing sinker
CN206118864U (zh) 一种钓鱼器
KR20200000741U (ko) 이동가능한 찌톱을 갖는 낚시찌
CN211746352U (zh) 一种带有防挂底铅坠的渔具
JP2014108072A (ja) 可動・着脱式ひとつテンヤ仕掛け
CN208739940U (zh) 一种带浮力球的浮漂
CN206402938U (zh) 一种河川沙塘鳢产卵器
CN214758701U (zh) 一种设有引诱结构的钓鱼装置
KR102501417B1 (ko)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
CN205455471U (zh) 一种带聚鱼光源带浮漂可更换子线钓钩的爆炸钩钓具
JP2002112684A (ja) 浮 き
KR20110010876U (ko)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KR100493213B1 (ko) 낚시용 수중찌
JP3068120U (ja) 魚掛けの餌付け具及び引っ掛け針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199471Y1 (ko) 낚시용 찌
KR20220105904A (ko) 가이드 링이 구비된 갈치전용 낚시줄 구조
JP2018061498A (ja) 釣り用ウキ
JP2024021716A (ja) 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及び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の胴付き仕掛け及びサビキ仕掛け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