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782B1 -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 Google Patents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782B1
KR102652782B1 KR1020210090907A KR20210090907A KR102652782B1 KR 102652782 B1 KR102652782 B1 KR 102652782B1 KR 1020210090907 A KR1020210090907 A KR 1020210090907A KR 20210090907 A KR20210090907 A KR 20210090907A KR 102652782 B1 KR102652782 B1 KR 10265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shing
fishing hook
buoyanc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402A (ko
Inventor
도준희
Original Assignee
도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준희 filed Critical 도준희
Priority to KR102021009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78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일정 크기의 중공에 의해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바닥의 수초나 돌틈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싯바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은 몸체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Fishing hook with buoyancy}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일정 크기의 중공에 의해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바닥의 수초나 돌틈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싯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고기를 잡는 방식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으나, 이중 바늘형태의 도구에 미끼를 꿰어 물속에 던져놓고 유인된 물고기를 잡는 방식을 낚시라고 한다.
이때 사용되는 도구는 낚싯대, 낚싯줄, 낚싯바늘, 낚싯봉 그리고 낚시찌 등의 한벌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중 미끼가 꿰어지고,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뾰족한 미늘과 끝을 가진 형태로 구성되는 낚싯바늘은 수중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꿰어진 미끼로 물고기를 유인하게 된다.
그러나 수중의 바닥에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수초가 자랄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돌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가 산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인 낚싯바늘이 수초, 돌틈 또는 쓰레기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이 상당하다.
이와 같이,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인 낚싯바늘이 무엇인가에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될 수 있으며, 걸린 정도에 따라서는 낚싯바늘을 회수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26호의 ‘중성부력을 갖는 낚시바늘’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713호의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26호의 ‘중성부력을 갖는 낚시바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제의 낚싯바늘에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구를 적용하여 부력을 형성함으로써 물고기들이 미끼를 쉽게 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낚싯바늘이 암석이나 각종 장애물에 걸려 훼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713호의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에는 낚싯줄의 하단에 부구를 적용하고, 그 하단에 목줄과 연계된 봉돌을 적용하여 그 부구에 의해 낚싯바늘이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떠오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싯바늘이 바닥이나 장애물에 걸리거나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부력의 형성을 위한 수단으로 낚싯바늘이나 낚싯줄에 부구를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를 위한 준비와 실제 현장에서의 사용이 번거롭거나 불편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잡고자 하는 물고기의 종류나 수중 환경에 따라 낚싯바늘 높이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한 구성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와 한계를 해결하고 극복하여 낚싯바늘이 수중의 암초나 돌틈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수중에서 부유하게 되는 높이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장치 등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26호(2000. 04. 1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713호(2004. 09. 01.)
본 발명에 의한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미끼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낚싯바늘들은 수초나 돌틈에 걸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발명들은 낚싯바늘을 수중에서 부유시키기 위한 부구의 구비를 전제로 하므로 낚시를 위한 준비와 사용이 번거롭거나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잡고자 하는 물고기의 종류나 수중의 환경에 따라 낚싯바늘이 수중에서 부유하게 되는 높이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한 구성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낚싯바늘에 있어서, 몸체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중공은 낚싯바늘의 몸체를 구성하는 굽과 축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몸체를 구성하는 축의 내부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를 구성하는 굽의 내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은,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바닥의 수초나 돌틈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몸체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수중에서 부유하는 높이 더 나아가 부유하는 형태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의 외부 사시도.
도 2a는 몸체를 구성하는 굽과 축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몸체를 구성하는 굽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c는 몸체를 구성하는 축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낚시에 사용되는 낚싯바늘에 관한 것이며, 하나의 미늘과 끝을 가진 싱글 훅, 두개의 미늘과 끝을 가진 더블 훅 또는 세개의 미늘과 끝을 가진 트레블 훅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물고기를 잡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은 낚싯줄 또는 목줄이 감기는 귀와 귀로부터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축, 축으로부터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굽 그리고 굽의 말단부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되는 끝과 미늘을 가진 형태로 몸체(100)의 외형이 구성되어, 그 외형에 있어서는 종래의 낚싯바늘과 동일하거나 별다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은 몸체(10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10)이 형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내부에 중공(110)이 없는 종래의 낚싯바늘들과의 차이를 가지며, 그 중공(110)의 내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물에 닿거나 잠긴 상태인 몸체(100)에 일정 크기의 부력이 발생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중공(110)의 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의 크기가 상기 몸체(100)의 무게에 의한 중력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몸체(100)가 수면에 부유하지 않고 수중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며, 중력에 의해 점점 가라앉게 되는 몸체(100)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게 되는 부력에 의해 바닥까지 가라앉지 않고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는 물속에 잠긴 상태이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수중에서 부유함으로써 수초나 돌틈 등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며 물고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내부의 중공(110)은 몸체(100)를 구성하는 굽과 축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몸체(100)의 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몸체(100)의 수중에서의 높이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의 중공(110)을 가진 몸체(100)는 수중의 바닥에 다량의 수초가 길게 자라 있거나 바닥의 높낮이 변화가 상당한 조건에서 다른 형태의 중공(110)을 가진 다른 몸체(100)보다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다른 몸체(100)와의 식별을 위해 굽과 축의 외부가 식별력 있게 도색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내부의 중공(110)은 몸체(100)를 구성하는 굽의 내부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몸체(100)의 부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도록 함으로써 그 몸체(100)가 수중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서 부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의 중공(110)을 가진 몸체(100)는 수중의 바닥에 안전하게 근접할 수 있는 조건에서 다른 형태의 중공(110)을 가진 다른 몸체(100)보다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다른 몸체(100)와의 식별을 위해 굽의 외부가 식별력 있게 도색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내부의 중공(110)은 몸체(100)를 구성하는 축의 내부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몸체(100)가 기울어진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의 중공(110)을 가진 몸체(100)는 몸체(100)의 측방이나 하방에서 미끼를 물기위해 접근하는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보다 쉽게 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몸체(100)와의 식별을 위해 축의 외부가 식별력 있게 도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는 장소의 특성과 잡고자 하는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몸체(100)를 선택하여 낚시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다만, 반드시 하나의 몸체(100)만을 이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사용자는 하나의 낚싯줄에 복수 개의 몸체(100)를 서로 위치가 다르게 목줄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몸체(100)가 하나의 낚싯줄에 목줄을 통해 연결되는 위치는 수중에 잠긴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굽과 축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태의 몸체(100)가 가장 상방에 위치하고, 굽의 내부에만 중공이 형성된 형태의 몸체(100)가 그 다음에 위치하며, 축의 내부에만 중공이 형성된 형태의 몸체(100)가 가장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몸체
110 : 중공

Claims (4)

  1. 낚싯바늘에 있어서,
    몸체(10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10)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중공(110)은,
    상기 몸체(100)를 구성하는 축의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중공(110)이 형성된 축의 외부가 다른 몸체(100)와의 식별을 위해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2. 낚싯바늘에 있어서,
    몸체(10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10)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중공(110)은,
    상기 몸체(100)를 구성하는 굽의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중공(110)이 형성된 굽의 외부가 다른 몸체(100)와의 식별을 위해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3. 삭제
  4. 삭제
KR1020210090907A 2021-07-12 2021-07-12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KR10265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907A KR102652782B1 (ko) 2021-07-12 2021-07-12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907A KR102652782B1 (ko) 2021-07-12 2021-07-12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402A KR20230010402A (ko) 2023-01-19
KR102652782B1 true KR102652782B1 (ko) 2024-03-28

Family

ID=8507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907A KR102652782B1 (ko) 2021-07-12 2021-07-12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7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532A (ja) * 1998-07-31 2000-02-15 Hitoshi Tanuma 中空釣り針
KR200186726Y1 (ko) 2000-01-17 2000-06-15 김우일 중성부력을 갖는 낚시바늘
JP2007053997A (ja) 2005-08-25 2007-03-08 Morris:Kk 釣り針
JP2008206503A (ja) 2007-02-23 2008-09-11 Hidekazu Kawano 水(淡水・海水)に近い比重のつり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3742A (en) * 1984-06-14 1985-10-01 Rand Jr David Anesthetic or antiseptic injecting fish hook
KR200361713Y1 (ko) 2004-06-18 2004-09-13 윤성열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532A (ja) * 1998-07-31 2000-02-15 Hitoshi Tanuma 中空釣り針
KR200186726Y1 (ko) 2000-01-17 2000-06-15 김우일 중성부력을 갖는 낚시바늘
JP2007053997A (ja) 2005-08-25 2007-03-08 Morris:Kk 釣り針
JP2008206503A (ja) 2007-02-23 2008-09-11 Hidekazu Kawano 水(淡水・海水)に近い比重のつり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402A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907A (en) Upright jig
US20060191187A1 (en) Weighted shank fish hooks
US7828493B1 (en) Artificial reef structure
US7861456B2 (en) Fishing rig
US7841129B2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KR20160131357A (ko) 오징어 낚시용 루어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3981096A (en) Fishing lure
US20180153147A1 (en) Fishing lure
US1991253A (en) Fishing tackle
US20100313463A1 (en) Stinger Spinner Jig
KR102652782B1 (ko)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US20190208756A1 (en) Fishing lure
US2634540A (en) Fish catching means
US20180070568A1 (en) Top water lure bait
US20160330945A1 (en)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519708A1 (en) Fish luring device
KR102175432B1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WO2011109723A1 (en) Fishing lure
KR101483970B1 (ko) 낚시용 루어 및 이를 바닥 포인트로 운반하는 낚시용 싱커
KR200490888Y1 (ko) 공기 주머니가 구비되는 루어낚시 채비
JP6615244B2 (ja) ルアー
JP2006006199A (ja) ルア−
KR102609356B1 (ko) 낚시용 수중찌
JP6320835B2 (ja) ルア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