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32Y1 - 낚시바늘 고정구 - Google Patents

낚시바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32Y1
KR200455532Y1 KR2020090000720U KR20090000720U KR200455532Y1 KR 200455532 Y1 KR200455532 Y1 KR 200455532Y1 KR 2020090000720 U KR2020090000720 U KR 2020090000720U KR 20090000720 U KR20090000720 U KR 20090000720U KR 200455532 Y1 KR200455532 Y1 KR 200455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ortion
fishing
base
r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665U (ko
Inventor
고장석
Original Assignee
(주)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림 filed Critical (주)하림
Priority to KR2020090000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8Fishing rods with attached auxiliary devices, e.g. for keeping the rod afloat or for line cutting
    • A01K87/009Hook or tack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바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낚싯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낚시바늘을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시바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낚시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일측 상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고 설치되는 제1고리부, 상기 제1고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와 동일한 높이까지 절곡형성되는 제2고리부 및 상기 제2고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고리부의 중앙부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3고리부로 구성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는 손잡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낚시바늘, 낚싯대, 고정구

Description

낚시바늘 고정구{fishhook holder}
본 고안은 낚시바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낚싯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낚시바늘을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시바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라 함은 낚싯줄을 매어 물고기를 잡을 때 쓰는 가늘고 긴 대를 말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대나무 낚싯대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글라스파이버, 카본 등을 이용한 낚싯대가 개발되어 고탄력, 고강도, 저하중의 낚싯대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낚싯대를 이용한 낚시에 있어 장소의 선정은 어획량과 관련이 된 중요한 요소로 어획량이 많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낚시를 하게 된다.
이동시는 낚시바늘과 낚싯줄이 낚시터 부근의 나무, 풀 등에 엉키지 않도록 손으로 파지하고 이동하는데, 이때 낚시바늘에 의해 손을 다칠 수 있으며, 낚시바늘에 주의를 집중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낚싯대 외주면에 낚시바늘을 임시로 고정시키기 위해 원형고리를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원형고리는 낚시바늘을 고리의 중심부로 낚시바늘의 삽입하고, 이탈시켜야 하는바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일측이 개방된 고리를 설치하여 개방된 일측으로 낚시바늘을 삽입하고 이탈시킬 수 있는 낚시바늘 고정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타측에 낚싯대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베이스를 형성하여 낚싯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낚시바늘 고정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낚시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일측 상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고 설치되는 제1고리부, 상기 제1고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와 동일한 높이까지 절곡형성되는 제2고리부 및 상기 제2고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고리부의 중앙부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3고리부로 구성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는 손잡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고안의 낚시바늘 고정구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를 설치하여 개방된 일측으로 낚시바늘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고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타측에 낚싯대의 외주면과 면 접촉하는 베이스를 형성하여 낚싯대에 결합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법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고정구가 설치된 낚싯대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낚시바늘 고정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낚시바늘 고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 고정구(1)는 낚싯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리부(20)로 이루어진다.
고리부(20)는 낚시바늘(7)이 임시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10)의 일단에서 형성되는 제1고리부(22)와, 제1고리부(22)의 일단에서 절곡형성되는 제2고리부(24) 및 제2고리부(24)의 일단에서 형성되는 제3고리부(26)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고리부(20)와 베이스(10)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나, 실시예에 따라 고리부(20)와 베이스(10)는 서로 다른 이질적인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고리부(20)와 베이스(10)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물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식성(耐蝕性)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제작되는 금속제 와이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을 이용한 금속제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고리부(20)와 베이스(10)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는 와이어의 중앙을 절곡시 키고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켜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는 단부 방향, 즉 절곡된 와이어에 대향되는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0)가 될 부분으로 낚싯대(3)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1'자 형상으로 가공된다.
이때, 용접에 의해 결합된 한 쌍의 와이어가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와이어와 와이어가 동일한 높이를 구성하도록 가공되며, 한 쌍의 와이어의 단부는 낚싯대(3)의 외주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1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절삭 가공된다.
베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고리부(22)는 베이스(10)의 일측에서 베이스(10)의 일측 상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고 절곡시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10)와 제1고리부(22) 사이의 경사는 약 80°정도가 되도록 절곡되며, 제1고리부(22)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와이어는 제1고리부(22)의 상부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부방향으로 둥글게 구부려 형성된다.
제1고리부(22)의 단부에서 형성되는 제2고리부(24)는 낚시바늘(7)의 고정시 탄성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고리부(22)의 단부에서 낚싯대(3)의 외주면 방향, 즉 일측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며, 제1고리부(22)와 동일하게 제2고리부(24)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와이어는 상부 방향으로 둥글게 구부려 형성된다.
이때, 제2고리부(24)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길이는 제2고리부(24)의 일측 단부가 낚싯대(3)의 외주면에 닿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따라서, 제1고리부(22)와 제2고리부(24)는 전체적으로 'Λ'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고리부(26)는 제1고리부(22)의 하부에 위치한 낚시바늘(7)에 직접 접촉하여 낚시바늘(7)을 고정하는 것으로, 제2고리부(24)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1고리부(22)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3고리부(26)의 타측 단부는 제2고리부(24)와 제3고리부 사이에 끼워진 낚시바늘(7)을 이탈시키는 경우, 낚시바늘(7) 및 낚시바늘(7)에 끼워진 미끼(도면 미도시)가 걸리지 않도록 와이어의 절곡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낚시바늘 고정구(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낚시바늘 고정구(1)는 일반적으로 낚싯대(3)의 손잡이(5) 주위에 고리부(20)가 손잡이(5)에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a)와 같이 설치된다.
낚시바늘(7)을 낚시바늘 고정구(1)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경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7)을 낚싯대(3)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낚싯대(3)의 손잡이(5) 방향으로 끌어당기며, 이때, 제1고리부(22)는 낚시바늘(7)을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고리부(22)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고리부(22)의 일측 단부 에 형성된 제2고리부(24)는 제1고리부(22)의 이동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고리부(24)의 일측 단부는 낚싯대(3)의 외주면과 이격하게 되어 낚시바늘(7)이 제1고리부(22)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낚시바늘(7)이 제1고리부(22)의 하부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7)을 제3고리부(26)와 제2고리부(24) 사이의 공간에 놓고 낚싯줄(9)을 팽팽하게 잡아당겨 고리부(20)와 낚시바늘(7)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고정구가 설치된 낚싯대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낚시바늘 고정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낚시바늘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낚시바늘 고정구 3; 낚싯대
5; 손잡이 7; 낚시바늘
9; 낚싯줄 10; 베이스
20; 고리부 22; 베이스
24; 제1고리부 26; 제2고리부
28; 제3고리부

Claims (4)

  1. 낚시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일측 상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고 설치되는 제1고리부, 상기 제1고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와 동일한 높이까지 절곡형성되는 제2고리부 및 상기 제2고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고리부의 중앙부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3고리부로 구성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는 손잡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와, 상기 제1고리부 및 상기 베이스는 와이어의 중앙부를 접어 두 겹으로 형성시킨 뒤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고정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리부의 단부는 상기 와이어의 절곡된 중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의 양 단부로 이루어지며, 두 겹으로 형성되는 상기 와이어는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고정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는 상기 낚싯대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고정구.
KR2020090000720U 2009-01-21 2009-01-21 낚시바늘 고정구 KR200455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720U KR200455532Y1 (ko) 2009-01-21 2009-01-21 낚시바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720U KR200455532Y1 (ko) 2009-01-21 2009-01-21 낚시바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65U KR20100007665U (ko) 2010-07-29
KR200455532Y1 true KR200455532Y1 (ko) 2011-09-15

Family

ID=4445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720U KR200455532Y1 (ko) 2009-01-21 2009-01-21 낚시바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170B1 (ko) 2021-06-17 2021-11-10 서동환 낚싯줄과 낚시바늘 고정이 가능한 낚싯대용 채비 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065U (ko) * 1979-01-31 1980-08-01
JPS58100576U (ja) 1981-12-26 1983-07-08 西釜 弘之 釣針係止装置
KR200249307Y1 (ko) 2001-05-28 2001-11-16 김화진 낚시바늘 고정 및 낚시대 분실 방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065U (ko) * 1979-01-31 1980-08-01
JPS58100576U (ja) 1981-12-26 1983-07-08 西釜 弘之 釣針係止装置
KR200249307Y1 (ko) 2001-05-28 2001-11-16 김화진 낚시바늘 고정 및 낚시대 분실 방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170B1 (ko) 2021-06-17 2021-11-10 서동환 낚싯줄과 낚시바늘 고정이 가능한 낚싯대용 채비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65U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4615B (zh) Fishing rod with fishing line guide
JP4848057B1 (ja) 釣針
JP7244311B2 (ja) 疑似餌、及び、疑似餌用スプリットリング
KR200455532Y1 (ko) 낚시바늘 고정구
JP5836389B2 (ja) 釣り針用ガード、およびそのガードを取り付けたガード付き釣り針
JP5443258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
US20100236128A1 (en) Roller fishing line guide for a fishing rod
KR101243769B1 (ko) 낚시용 도래의 연결구조
KR200471412Y1 (ko) 걸림구가 구비된 낚시바늘
JP3160253U (ja) 魚掬い用網
JP2009268461A (ja) 釣り針
KR100872688B1 (ko) 바다 낚시용 채비
CN212381953U (zh) 一种刺鱼效果好的鱼钩
KR20180117541A (ko) 낚시용 천평
EP2926653A1 (en) Fishing pole for increasing casting power
KR200318062Y1 (ko) 낚시용봉돌
JP3177277U (ja) 釣用の鈎針
JP4822930B2 (ja) 伸縮自在な釣り用天秤及びそれを備えた釣り用仕掛け
JP3195136U (ja) 疑似餌及びラインアイを備えた連結部材
KR20220001378U (ko) 낚싯대 탈부착 고무 릴가이드
JP2007282554A (ja) ルアー用打ち抜きリング
KR20110009250U (ko) 낚싯대용 낚시바늘 고정구
KR20100113257A (ko) 오징어 낚시 바늘의 중봉 구조
JPH04691Y2 (ko)
JP6622689B2 (ja) フックホルダおよびフックホルダ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