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160A - 낚시추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추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9160A KR20140109160A KR1020130023529A KR20130023529A KR20140109160A KR 20140109160 A KR20140109160 A KR 20140109160A KR 1020130023529 A KR1020130023529 A KR 1020130023529A KR 20130023529 A KR20130023529 A KR 20130023529A KR 20140109160 A KR20140109160 A KR 201401091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ing
- hollow
- mounting holder
- weight
- 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60 weight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하거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제1중공이 종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중공에 제1결합부가 형성된 낚시추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중공에 삽입되는 바와, 상기 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금속재질의 장착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제공하여, 물의 유속 및 기 타 주변환경을 인해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에 변경이 필요한 경우, 낚시추의 무게 변경이나 낚시찌의 부력 변경 없이 길이조절부를 조작하여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손쉽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낚시추를 교체하여 무게를 조절하거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침하력을 가진 낚시추(또는 낚시 봉돌)와 부력을 가진 낚시찌를 물속에 넣어서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맞추는 찌맞춤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는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이용해 어신을 더욱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작업 후, 물속의 바닥을 회유하는 어종을 잡는 바닥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물속의 바닥에 낚시추(또는 낚시 봉돌)을 위치시키는 수심맞춤 작업을 해야 한다.
이러한 낚시 채비에 사용되는 종래의 낚시추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2974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6은 종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의 낚시추를 도시한 모습도이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는 도6과 같이 낚시줄상에 설치되는 탄성튜브체(13)를 중량체(1)내부에 삽입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는 탄성튜브체(13)가 중량체(1)로부터 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탄성변형이 일어나기 쉬워 중량체(1)로부터 더욱 이탈될 우려가 큰 것이 문제이다.
도7은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2974호의 낚시추를 도시한 모습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추는 낚시줄(10)과 목줄(61)의 사이에 설치되는 낚시용 추(1)를 구성함에 있어서, 낚시추(1)를 두 개의 몸체(11,12)로 분할 형성시키고, 분할된 각 몸체(11,12)의 단부에 고리(13)를 각각 형성시키고, 내부에 중량체(2)가 수납되는 수용부(15)를 형성시키며, 분할 형성되는 두 개의 몸체(11,12) 사이에 두 개의 몸체(11,12)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결합장치(3)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낚시채비의 낚시추(또는 낚시봉돌)는 물의 유속, 수중 대류현상, 기타 주변환경으로 인해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 낚시대를 회수하여 사용자의 후방으로 쭉 뺀 다음, 낚시찌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낚시추의 무게를 달리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몹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낚시추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몸체를 분리하여 중량체를 수납시키고 다시 분할된 몸체를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추의 무게조절이 번거롭고,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층 낚시 시, 낚시추의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낚시줄의 길이를 달리하여 낚시 바늘을 다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 채비를 준비함에 있어서 번거로움이 유발되고, 낚시 채비를 갖추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낚시추를 손쉽게 단단히 고정할 수 있어 낚시추 조립체의 무게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추에 연결된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함으써 보다 신속한 낚시 채비를 갖출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중공이 종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중공에 제1결합부가 형성된 낚시추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중공에 삽입되는 바와, 상기 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금속재질의 장착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낚시추는 상기 제1중공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외측으로 개구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되, 상기 절개홈은 낚시줄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중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홀더는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바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에서 형성된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홀더는 상기 제2결합부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고정되는 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장착홀더에 결합되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리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장착되도록 하는 오링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리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오목진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상단에서 위로 볼록진 라운드부를 포함하되,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부에 고정링이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장착홀더 내부에 형성된 제4결합부에 체결되는 제3결합부와; 상기 제3결합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상부캡과 상기 장착홀더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3결합부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체가 상기 장착홀더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길이조절부를 상기 장착홀더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낚시추에 제1중공을 이용하여 장착홀더의 상부에서 끼워 넣을 수가 있게 됨으로써 낚시추를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낚시추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홀더에 설치된 길이조절부에 낚시줄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낚시줄을 절개부로 통과시킴으로써 낚시추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가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낚시추를 장착하는 장착홀더를 사용함으로써 낚시추를 깍는 행위 없이 무게가 다른 낚시추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환해가며 무게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낚시추의 무게를 늘이거나 줄이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넷째, 오링 장착이 가능하므로 낚시추의 미세한 무게 조절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수면상의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때, 낚시대를 사용자의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제자리에서 간단하게 길이조절부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낚시 바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곱째,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낚시 채비를 갖출 수 있다.
여덟째, 물의 유속 및 기 타 주변환경을 인해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에 변경이 필요한 경우, 낚시추의 무게 변경이나 낚시찌의 부력 변경 없이 길이조절부를 조작하여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손쉽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리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로 길이조절한 상태에서 오링이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은 종래 낚시추의 모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리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로 길이조절한 상태에서 오링이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은 종래 낚시추의 모습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낚시추(1000)는 종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중공(110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중공(1100)의 하부에는 제1결합부(1110)가 형성된다.
낚시추(10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앙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살의 저항을 덜 받게 된다.
낚시추(1000)는 제1중공(1100)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외측으로 개구되는 절개부(1111)를 갖는다.
절개부(1111)는 낚시줄의 직경보다는 크고 제1중공(110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낚시추(1000)의 재질은 황동 또는 세라믹 또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낚시추(1000)의 재질이 납으로 이루어질 경우 낚시추(10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어 낚시추(1000)와 장착홀더(3000)의 체결시 나사산이 마모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또 다른 이유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낚시추(1000)는 무게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장착홀더(300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형봉 형상의 바(3100)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3100)의 외직경은 제1중공(1100)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3100)는 제1중공(1100)에 삽입될 수 있다.
바(31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3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부(3300)를 갖는다.
제2결합부(3300)의 양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턱(3310)은 제2결합부(330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하고 있어서 제1결합부(1110)가 턱(3310)에 걸리게 됨으로써 낚시추(100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받침부(3320)는 제2결합부(330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낚시추(1000)가 제2결합부(3300)에 결합될 때 낚시추(1000)의 유선형상과 매칭되기 때문에 물살의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낚시추(10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1중공(1100)의 하부 둘레면에는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30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1110)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제3실시예로서 제1결합부(1110)는 제1중공(1100)의 내벽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낚시추(1000)는 상하 방향에 무관하게 제2결합부(3300)와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1결합부(1110)는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30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홀더(3000)에 낚시추(1000)가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장착홀더(3000)의 바(3100)를 낚시추(1000)에 형성된 제1중공(1100)에 끼워 넣고 낚시추(1000)나 장착홀더(3000)를 종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결합부(3300)와 제1결합부(1110)가 서로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낚시추(1000)와 장착홀더(3000)를 서로 고정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낚시추(1000)의 중량을 조절하고 싶을 때에는 중량이 다른 낚시추(1000)를 장착 또는 분리하는 방식으로 낚시추(1000) 조립체 전체 중량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중공(3200)은 바(310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제2중공(3200)의 내벽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4결합부(3400)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조절부(2000) 상단에는 상부캡(2200)이 형성되고, 상부캡(2200)의 상측에는 낚시줄이 묶이게 되는 고정링(210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링(2100)은 상부캡(2200) 상단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고정링(2100)의 직경과 상부캡(2200)의 직경은 제1중공(1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3결합부(2300)는 상부캡(2200)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봉 형상을 하고 있다.
제3결합부(2300)는 제4결합부(3400)에 나사체결 된다.
고정체(2400)는 제3결합부(2300)에 나사결합하고, 제3결합부(2300)가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4결합부(3400)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상부캡(2200) 하단과 장착홀더(3000) 상단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체(2400)의 직경은 제1중공(1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낚시추(1000)의 제1중공(1100)의 직경이 길이조절부(2000)의 고정링(2100)의 직경 및 상부캡(2200)의 직경, 고정체(2400)의 직경과 장착홀더(3000)의 직경보다도 더 크게 형성되어 있고, 낚시추(1000)에는 절개부(11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이 고정링(210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길이조절부(2000)가 설치된 장착홀더(3000)로부터 낚시추(1000)만을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역으로 설치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낚시줄이 연결된 길이조절부(2000)가 장착홀더(300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낚시추(1000)의 절개부(1111)로 낚시줄을 관통시킨 뒤 제1중공(1100)이 고정링(2100)과 상부캡(2200), 고정체(24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낚시추(1000)에 형성된 제1결합부(1110)가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300)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역순으로 낚시추(1000)만을 분리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낚시추(1000)를 매우 용이하게 교체하여 무게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부캡(22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는 부분으로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부캡(2200)을 잡고 돌림으로써 길이조절부(2000)가 장착홀더(3000)의 제4결합부(3400)에 나사결합하게 되면서 제2중공(320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결국 낚시추(1000) 조립체의 전체적인 길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체(2400)의 역할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길이조절부(2000)를 장착홀더(3000)에 삽입설치 후 상부캡(2200)을 돌려서 상부캡(2200)과 장착홀더(3000) 사이의 길이를 조절 한 뒤에 고정체(2400)를 조이게 되면 고정체(2400)가 장착홀더(3000)의 상단면에 밀착되고 결국 길이조절부(2000)가 장착홀더(3000)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싶거나,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가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 경우, 다시 낚시 채비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때, 상부캡(2200)을 잡고 좌우로 회전시켜서 길이조절부(200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미도시)의 적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길이조절부(2000)의 조절에 의한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조절은 바닥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고,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조절은 중층에서 서식하는 중층어를 잡기 위한 중층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낚시추(1000) 조립체는 바닥낚시 또는 중층낚시에 모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의 고정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자(400)에서 하부캡(430)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것과 고리(410)는 제2연장부(470) 상단부가 제1연장부(450) 방향으로 인접되도록 형성되는 것 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정자(400)는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5결합부(420)를 갖고 하측에는 후크모양의 고리(410)가 형성되는데, 고리(410)에는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리(410)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50)와, 제1연장부(450)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오목진 고정부(460)와, 고정부(460)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470)와, 제2연장부(470) 상단에서 위로 볼록진 라운드부(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은 고정부(460)에 고정되는 것이다.
고리(410)는 제2연장부(470) 상단부가 제1연장부(450) 방향으로 인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캡 일체형 바늘고정 도래를 이용하여 바늘목줄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
제1연장부(450)의 상단에는 스토퍼(490)가 설치되는데, 스토퍼는 고리(410)와 일체형 재질 또는 별도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리(410) 상측에는 하부캡(430)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하부캡(430)을 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때 제5결합부(420)는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4결합부(340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결국 고정자(400)가 장착홀더(3000)에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자(400)는 하부캡 상단에서 제5결합부 하단까지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링장착부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오링은 하부캡과 제5결합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으며, 오링장착부(440)의 직경은 하부캡(4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오링이 오링장착부(440)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낚시추(1000)(100) 조립체의 미세 무게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원하는 낚시 채비를 수월하게 이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오링장착부(440)가 낚시추(1000) 조립체의 하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기 때문에 미세한 중량 조절시에도 보다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리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로 길이조절한 상태에서 오링이 장착된 사시도이다.
낚시추(100)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중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중공(110)의 하부에는 제1결합부(111)가 형성된다.
낚시추(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앙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낚시추(100)의 재질은 황동 또는 세라믹 또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낚시추(100)의 재질이 납으로 이루어질 경우 낚시추(1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어 낚시추(100)와 장착홀더(300)의 체결시 나사산이 마모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또 다른 이유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낚시추(100)의 하단면은 받침부(350)의 상단면과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낚시추(100)와 받침부(350)의 접촉시 전체적인 형상이 유선형이 되기 때문에 물살의 저항을 덜 받게 된다.
낚시추(100)는 무게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중공(110)의 직경은 바(31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중공(110) 내에서 바(31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제1중공(110)의 하부 둘레면에는 장착홀더(3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4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111)가 존재한다.
제1결합부(111)는 장착홀더(3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4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홀더(300)에 낚시추(100)가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장착홀더(30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중공(110)에 삽입되는 바(310)를 갖고, 바(310)의 하단에서 바(3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부(340)를 갖는다.
사용자는 장착홀더(300)의 바(310)를 낚시추(100)에 형성된 제1중공(110)에 끼워 넣고 낚시추(100)나 장착홀더(300)를 종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결합부(340)와 제1결합부(111)가 서로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낚시추(100)와 장착홀더(300)를 서로 고정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낚시추(100)의 중량을 조절하고 싶을 때에는 중량이 다른 낚시추(100)를 장착 또는 분리하는 방식으로 낚시추(100) 조립체 전체 중량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바(310)의 내부의 제2중공(320) 내벽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3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제2중공(320)은 받침부(350)의 하단면에서 시작하여 바(310)의 내부에서 길게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받침부(350)는 제2결합부(34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제2중공(32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결합부(미도시)에는 길이조절부(200)의 하측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제6결합부(230)가 결합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6결합부(230)는 로드(2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길이조절부(200)는 긴 원형 막대 봉 형상의 로드(240)를 갖고 전체적으로 원형 막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단에는 낚시줄이 묶이는 관통공(220)을 갖는 상부캡(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캡(210)은 로드(2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는 부분으로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캡(210)의 외경은 낚시추(100)의 제1중공(110)의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사용자는 길이조절부(200)가 장착홀더(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낚시추(100)만을 장착홀더(300)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되어 길이조절부(200)를 따로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손쉽게 낚시추(10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부캡(210)을 잡고 돌림으로써 길이조절부(200)가 장착홀더(300)의 제3결합부(미도시)에 나사결합하게 되면서 제2중공(32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결국 낚시추(100) 조립체의 전체적인 길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싶거나,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가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 경우, 다시 낚시 채비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때, 상부캡(210)을 잡고 좌우로 회전시켜서 길이조절부(20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미도시)의 적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길이조절부(200)의 조절에 의한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조절은 바닥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고,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조절은 중층에서 서식하는 중층어를 잡기 위한 중층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낚시추(100) 조립체는 바닥낚시 또는 중층낚시에 모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자(400)는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5결합부(420)를 갖고 하측에는 후크모양의 고리(410)가 형성되는데, 고리(410)에는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리(410)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50)와, 제1연장부(450)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오목진 고정부(460)와, 고정부(460)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470)와, 제2연장부(470) 상단에서 위로 볼록진 라운드부(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은 고정부(460)에 고정되는 것이다.
고리(410) 상측에는 하부캡(430)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하부캡(430)을 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때 제5결합부(420)는 받침부(350) 내주면에 형성된 제4결합부(미도시)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결국 고정자(400)가 장착홀더(300)에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자(400)는 고리(410)와 받침부(350)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장착되는 오링장착부(440)를 갖는다.
고정자(400)가 장착홀더(300)에 고정될 때 받침부(350)와 하부캡(430) 사이에는 오링장착부(440)가 형성되는데 오링장착부(440)의 직경은 하부캡(4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오링이 오링장착부(440)에서 복수개 설치 될 수 있게 된다.
오링이 오링장착부(440)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낚시추(100) 조립체의 미세 무게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원하는 낚시 채비를 수월하게 이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오링장착부(440)가 낚시추 조립체의 하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기 때문에 미세한 중량 조절시에도 보다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1000 : 낚시추 110, 1100 : 제1중공
111, 1110 : 제1결합부 200, 2000 : 길이조절부
210, 2200 : 상부캡 220 : 관통공
230 : 제6결합부 240 : 로드
300, 3000 : 장착홀더 310, 3100 : 바
320, 3200 : 제2중공 340, 3300 : 제2결합부
350, 3320 : 받침부 400 : 고정자
410 : 고리 420 : 제5결합부
430 : 하부캡 440 : 오링장착부
450 : 제1연장부 460 : 고정부
470 : 제2연장부 480 : 라운드부
490 : 스토퍼 1111 : 절개부
2100 : 고정링 2300 : 제3결합부
2400 : 고정체 3310 : 턱
3400 : 제4결합부
111, 1110 : 제1결합부 200, 2000 : 길이조절부
210, 2200 : 상부캡 220 : 관통공
230 : 제6결합부 240 : 로드
300, 3000 : 장착홀더 310, 3100 : 바
320, 3200 : 제2중공 340, 3300 : 제2결합부
350, 3320 : 받침부 400 : 고정자
410 : 고리 420 : 제5결합부
430 : 하부캡 440 : 오링장착부
450 : 제1연장부 460 : 고정부
470 : 제2연장부 480 : 라운드부
490 : 스토퍼 1111 : 절개부
2100 : 고정링 2300 : 제3결합부
2400 : 고정체 3310 : 턱
3400 : 제4결합부
Claims (10)
- 내부에 제1중공이 종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중공에 제1결합부가 형성된 낚시추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중공에 삽입되는 바와, 상기 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금속재질의 장착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추는 상기 제1중공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외측으로 개구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개부는 낚시줄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중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더는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바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에서 형성된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더는 상기 제2결합부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고정되는 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장착홀더에 결합되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리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장착되도록 하는 오링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오목진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상단에서 위로 볼록진 라운드부를 포함하되,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부에 고정링이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장착홀더 내부에 형성된 제4결합부에 체결되는 제3결합부;
상기 제3결합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3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캡과 상기 장착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체가 상기 장착홀더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길이조절부를 상기 장착홀더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529A KR20140109160A (ko) | 2013-03-05 | 2013-03-05 | 낚시추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529A KR20140109160A (ko) | 2013-03-05 | 2013-03-05 | 낚시추 조립체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28915A Division KR20140130396A (ko) | 2014-09-26 | 2014-09-26 |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160A true KR20140109160A (ko) | 2014-09-15 |
Family
ID=5175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3529A KR20140109160A (ko) | 2013-03-05 | 2013-03-05 | 낚시추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0916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00673A (zh) * | 2017-04-14 | 2017-06-30 | 吴世锏 | 防挂铅坠 |
KR20210001102U (ko) * | 2019-11-14 | 2021-05-24 | 정이규 |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
KR20210076332A (ko) * | 2019-12-16 | 2021-06-24 | 김현정 | 친환경 낚시 채비 |
-
2013
- 2013-03-05 KR KR1020130023529A patent/KR2014010916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00673A (zh) * | 2017-04-14 | 2017-06-30 | 吴世锏 | 防挂铅坠 |
KR20210001102U (ko) * | 2019-11-14 | 2021-05-24 | 정이규 |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
KR20210076332A (ko) * | 2019-12-16 | 2021-06-24 | 김현정 | 친환경 낚시 채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3943B1 (ko) | 낚시추 조립체 | |
KR101621308B1 (ko) | 올림 낚시용 추 | |
KR20140109160A (ko) | 낚시추 조립체 | |
KR20140130396A (ko) |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 |
KR20150127990A (ko) | 꼬임방지 및 링거세트 분리방지 링거걸이대 | |
US3672087A (en) | Fishing bobber mechanism | |
KR101343942B1 (ko) | 낚시추 조립체 | |
US2734303A (en) | Fishing bobber | |
US2548328A (en) | Fishing pole holder | |
KR100858909B1 (ko) | 낚시추 | |
US5490348A (en) | Two piece slip bobber | |
KR101279290B1 (ko) | 부력조절체가 공기중에 위치하는 부력조절찌. | |
KR100964289B1 (ko) | 낚시찌 | |
KR20230088329A (ko) | 낚시 채비 | |
KR20140119472A (ko) | 낚시용 봉돌 | |
KR200494549Y1 (ko) |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 |
KR100920452B1 (ko) | 낚시찌 감지장치 및 방법 | |
US8646202B1 (en) | Fishing device and method of attachment to a fishing line | |
KR20130007250U (ko) | 낚시대용 팔걸이 | |
KR101453650B1 (ko) | 낚시용 봉돌 | |
KR101583728B1 (ko) | 낚시용 봉돌 | |
KR20210001087U (ko) |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 |
KR200275437Y1 (ko) | 분할 낚시 추 | |
CN211558529U (zh) | 立式浮漂 | |
KR200477466Y1 (ko) | 낚시찌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