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437Y1 - 분할 낚시 추 - Google Patents

분할 낚시 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437Y1
KR200275437Y1 KR2020010034937U KR20010034937U KR200275437Y1 KR 200275437 Y1 KR200275437 Y1 KR 200275437Y1 KR 2020010034937 U KR2020010034937 U KR 2020010034937U KR 20010034937 U KR20010034937 U KR 20010034937U KR 200275437 Y1 KR200275437 Y1 KR 200275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ing
knot
split
join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호
Original Assignee
최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호 filed Critical 최순호
Priority to KR2020010034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43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 추에 있어서, 이음줄과; 상기 이음줄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무게추와; 상기 제1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1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2무게추와; 상기 제2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2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3무게추와; 상기 제3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3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4무게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낚시 추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한 제1, 제2, 제3, 제4매듭을 가진 이음줄과; 상기 이음줄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무게추와; 상기 제1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1매듭과 제2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무게추와; 상기 제2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2매듭과 제3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무게추와; 상기 제3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3매듭과 제4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4무게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할 낚시 추{SECTION FISHING SINKER}
본 고안은 낚시 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게가 상이한 다수개의 추로 이루어진 분할 낚시 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낚시 추는 봉돌이라고도 하며, 낚싯줄이 물 속에 빨리 가라앉게 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며, 물의 흐름에 쓸려가지 않게 하고, 바늘끝이 여걸림되지 않게끔 위쪽을 향해 서 있도록 한다. 또한, 낚시 추는 미끼를 물의 중심으로 보내고 미끼를 가라앉히는 역할을 하며, 물 속에서는 찌의 부력과 무게 평형을 맞추어 물고기의 어신을 정확하게 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낚시 추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작으면서도 최대한 무거워야 하는데, 재료로는 납, 시멘트, 돌 등이 있으며, 보통 비중이 큰 납을 많이 사용한다. 상기 낚시 추의 모양, 크기 및 무게는 어구에 따라 다르지만, 모양은 일반적으로 마찰을 덜 받게 하기 위하여 둥근 것이 많다.
한편, 찌맞춤이란 찌의 부력과 낚시 추의 무게가 같게 조절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렇게 하면 채비가 물 속에서 무중력상태가 되어 고기가 미끼를 물고 낚시 추와 함께 떠올라도 찌의 부력이 낚시 추의 중력을 상쇄시킴으로써 고기가 낚시 추의 무게를 거의 느끼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찌맞춤을 할 때는 찌에 낚시 추만 단 상태로 찌를 물 속에 담그어 찌톱이 수면과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이렇게 하면 낚시 추의 무게가 찌의 부력보다 약간 크게 되지만 찌올림이 안정된 찌맞춤이 되므로 초보자에게 가장 무난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물고기의 초기 입질시 낚시 추에 의한 무게 부담감을 줄임으로써, 물고기가 초기 입질후 낚시 추의 무게를 느껴 달아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할 낚시 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반응성을 높여 챔질 시기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분할 낚시 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낚시 추에 있어서, 이음줄과; 상기 이음줄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무게추와; 상기 제1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1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2무게추와; 상기 제2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2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3무게추와; 상기 제3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3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4무게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낚시 추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한 제1, 제2, 제3, 제4매듭을 가진 이음줄과; 상기 이음줄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무게추와; 상기 제1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1매듭과 제2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무게추와; 상기 제2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2매듭과 제3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무게추와; 상기 제3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3매듭과 제4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4무게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할 낚시 추가 낚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음줄 120 : 제1무게추
130 : 제2무게추 140 : 제3무게추
150 : 제4무게추 160 : 제5무게추
170 : 보조추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100)는 이음줄(110), 제1무게추(120), 제2무게추(130), 제3무게추(140) 및 제4무게추(150)를 포함하고, 제5무게추(160)와 보조추(17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이음줄(110)은 낚시대에 연결된 원줄과 낚시 바늘이 연결된 목줄 사이를 이어주는 줄로서, 상단은 원줄과, 하단은 목줄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무게추(120)는 이음줄(110)의 최하단에 설치된 추이다. 상기 제1무게추(120)는 다른 무게추들(130, 140, 150, 160)보다 더 큰 중량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1무게추(120) 하단에는 고리(122)를 형성한다. 상기 고리(122)에는 낚시 바늘 혹은 낚시 바늘이 끼워진 목줄이 연결된다. 상기 제1무게추(120)는 분할 낚시 추(100)가 물 속에 담겨진 상태일 때 수직 방향을 유지하게 하고, 물 속의 흐름에 의해 분할 낚시 추(10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낚시 바늘 끝의 방향이 항상 위를 향하도록 유지시킨다.
상기 제2무게추(130)는 이음줄(110)에 제1무게추(120)와 이격되어 고정된 추로서, 상기 제1무게추(12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진다.
상기 제3무게추(140)는 이음줄(110)에 제2무게추(130)와 이격되어 고정된 추로서, 상기 제2무게추(13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진다.
상기 제4무게추(150)는 이음줄(110)에 제3무게추(140)와 이격되어 고정된 추로서, 상기 제3무게추(13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진다.
상기 제5무게추(160)는 이음줄(110)에 제4무게추(150)와 이격되어 고정된 추로서, 상기 제4무게추(15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진다.
상기 무게추들(120, 130, 140, 150, 160)은 수직 방향 길이가 직경보다 큰 럭비공 모양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납, 돌, 시멘트 등 낚시 추로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게추들(120, 130, 140, 150, 160)간의 간격(d1, d2, d3, d4)은 동일(d1=d2=d3=d4), 점차 증가(d1<d2<d3<d4) 혹은 점차 감소(d1>d2>d3>d4)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보조추(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장탈 가능한 추로서, 상기 제1무게추(120)와 제2무게추(130)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보조추(170)는 찌의 부력과 무게추들의 중력간 균형이 맞지 않을 때 찌맞춤을 위해 사용하며, 홈을 가진 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200)는 이음줄(210), 제1무게추(220), 제2무게추(230), 제3무게추(240) 및 제4무게추(250)를 포함하고, 제5무게추(260) 및 보조추(270)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200)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이음줄 중간에 다수개의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들 사이에 상이한 크기의 무게추들을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음줄(210)은 낚시대에 연결된 원줄과 낚시바늘이 연결된 목줄 사이를 이어주는 줄로서, 상단은 원줄과, 하단은 목줄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이음줄(210)은 등간격으로 형성한 제1매듭(211), 제2매듭(212), 제3매듭(213) 및 제4매듭(214)을 가진다. 상기 매듭들(211, 212, 213, 214)은 제2무게추(230), 제3무게추(240), 제4무게추(250) 및 제5무게추(260)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무게추(220)는 이음줄(210)의 최하단에 설치된 추로서, 무게추 중 가장 무거운 중량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1무게추(220)는 분할 낚시 추(200)가 물 속에 담겨진 상태일 때 수직 방향을 유지하게 하고, 물 속의 흐름에 의해 분할 낚시 추(20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무게추(220) 하단에는 고리(222)를 형성한다. 상기 고리(222)에는 낚시 바늘 혹은 낚시 바늘이 끼워진 목줄이 연결된다.
상기 제2무게추(230)는 제1매듭(211)과 제2매듭(212) 사이에 설치된 추로서, 상기 제1무게추(22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진다.
상기 제3무게추(240)는 제2매듭(212)과 제3매듭(213) 사이에 설치된 추로서, 상기 제2무게추(23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진다.
상기 제4무게추(250)는 제3매듭(213)과 제4매듭(214) 사이에 설치된 추로서,상기 제3무게추(24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진다.
상기 제5무게추(260)는 제4매듭(214) 위의 이음줄(210)에 설치된 추로서, 상기 제4무게추(26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진다.
상기 무게추들(220, 230, 240, 250, 260)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 길이가 직경보다 큰 럭비공 모양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납, 돌, 시멘트 등 낚시 추로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게추들(220, 230, 240, 250, 260)간의 간격(a1, a2, a3, a4)도 동일(a1=a2=a3=a4), 점차 증가(a1<a2<a3<a4) 혹은 점차 감소(a1>a2>a3>a4)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보조추(2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장탈 가능한 추로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무게추(220)와 제2무게추(230)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보조추(270)는 찌의 부력과 무게추들의 중력간 균형이 맞지 않을 때 찌맞춤을 위해 사용하며, 홈을 가진 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가 낚시에 직접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300)와 낚시 바늘(400)이 연결된 분할 낚시 추(100)에 물고기가 걸린 경우, 물고기는 입질시 제1무게추(120)에 미치는 중력 정도만을 느낄 수 있으므로 낚시 추의 무게 부담에 의해 미끼를 제대로 물지 않고 도망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할 낚시 추(100)는 수직 방향으로 무게추들(120, 130,140, 150, 160)의 중량이 분산되어 있어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도 찌(300)의 오르내림이 정확하게 나타나므로, 찌의 반응성 향상에 의해 수획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는 물고기의 초기 입질시 낚시 추에 의한 무게 부담감을 줄임으로써, 물고기가 초기 입질후 낚시 추의 무게를 느껴 달아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 낚시 추는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도 찌올림이 정확하게 나타남으로써 챔질 시기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낚시 추에 있어서,
    이음줄과;
    상기 이음줄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무게추와;
    상기 제1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1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2무게추와;
    상기 제2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2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3무게추와;
    상기 제3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3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4무게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이음줄에 제4무게추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5무게추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
  3. 제 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들간의 이격 간격은 상호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게추와 제2무게추 사이에는 홈을 가진 보조추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
  5. 낚시 추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형성한 제1, 제2, 제3, 제4매듭을 가진 이음줄과;
    상기 이음줄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무게추와;
    상기 제1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1매듭과 제2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무게추와;
    상기 제2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2매듭과 제3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무게추와;
    상기 제3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3매듭과 제4매듭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4무게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무게추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4매듭 위의 이음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5무게추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게추와 제2무게추 사이에는 홈을 가진 보조추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낚시 추.
KR2020010034937U 2001-11-14 2001-11-14 분할 낚시 추 KR200275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37U KR200275437Y1 (ko) 2001-11-14 2001-11-14 분할 낚시 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37U KR200275437Y1 (ko) 2001-11-14 2001-11-14 분할 낚시 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437Y1 true KR200275437Y1 (ko) 2002-05-16

Family

ID=7311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37U KR200275437Y1 (ko) 2001-11-14 2001-11-14 분할 낚시 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43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22Y1 (ko) *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200109919A (ko) 2019-03-15 2020-09-23 안석필 낚시용 분할추 세트
KR20210001087U (ko) 2019-11-12 2021-05-21 정이규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KR20210001102U (ko) 2019-11-14 2021-05-24 정이규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22Y1 (ko) *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200109919A (ko) 2019-03-15 2020-09-23 안석필 낚시용 분할추 세트
KR20210001087U (ko) 2019-11-12 2021-05-21 정이규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KR20210001102U (ko) 2019-11-14 2021-05-24 정이규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ko) 올림 낚시용 추
KR100858909B1 (ko) 낚시추
KR200275437Y1 (ko) 분할 낚시 추
KR100982541B1 (ko) 낚시추
KR200495249Y1 (ko) 유동 편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채비
JP2003092961A (ja) 多機能補助パイプを使用する可変浮力中通し浮き
US3010244A (en) Fishing tackle
KR20200000741U (ko) 이동가능한 찌톱을 갖는 낚시찌
KR20150093377A (ko) 눕힘형 낚시찌
KR200318734Y1 (ko) 낚시찌
KR100675493B1 (ko) 낚시용 구멍찌
US2877594A (en) Interchangeable fishing float and sinker
KR200381287Y1 (ko) 속이 비어있는 낚시용 막대찌
KR20090037241A (ko) 무게모멘트 가변형 찌다리
JP3011938U (ja) 感度調節中通し円錘浮子
CN211558529U (zh) 立式浮漂
JP3208405U (ja) 浮き用天秤仕掛
KR200204990Y1 (ko) 낚시용 봉돌
KR200260401Y1 (ko) 고정식 겸용 유동식 낚시찌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0327142Y1 (ko) 낚시용 찌
KR20020074298A (ko)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KR880000168Y1 (ko) 릴낚시용 낚시찌
JP4464163B2 (ja) 釣り浮き
JP2009022265A (ja) 涙滴型で中空形状のウキのフロートと他の中空形状のウキのフロ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