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990Y1 -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990Y1
KR200204990Y1 KR2020000017229U KR20000017229U KR200204990Y1 KR 200204990 Y1 KR200204990 Y1 KR 200204990Y1 KR 2020000017229 U KR2020000017229 U KR 2020000017229U KR 20000017229 U KR20000017229 U KR 20000017229U KR 200204990 Y1 KR200204990 Y1 KR 200204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ondol
pedestal
present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명국
Original Assignee
은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명국 filed Critical 은명국
Priority to KR2020000017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다낚시 및 민물낚시에 사용되는 봉돌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봉돌(100)에 구비된 탄성철사(120)에 의하여 봉돌(10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서있게 됨으로 찌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낚싯줄을 당길 때 장애물의 틈새에서 봉돌(100)이 쉽게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낚시채비가 밑걸림에 걸려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봉돌{a sinker used in fishing}
본 고안은 바다낚시 및 민물낚시에 사용되는 봉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낚시채비를 투척한 후 회수할 때 봉돌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돌은 납덩어리로서 조개봉돌, 녹두봉돌, 키달이봉돌 등이 있으며 형태와 크기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달이봉돌은 주로 릴낚시 및 바다낚시용으로서 봉돌(10)이 대략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무게중심이 하측이 있으며 상단에는 연결고리(11)를 가지고 있어 바늘줄이나 목줄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봉돌(10)로 낚시채비를 하여 낚시를 할 경우에 봉돌(10)이 밑걸림에 걸려서 낚시채비를 낭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컨데, 갯바위 낚시와 같이 바닥에 돌과 바위가 많은 경우에 낚시채비가 끌려 나오면서 돌, 바위 등의 틈새에 봉돌(10)이 끼이게 되면 낚시줄을 끊어서 낚시채비를 버려야만 하고, 특히 키달이봉돌과 같이 봉돌(10)이 원추형이고 크기가 큰 것일수록 더욱더 밑걸림에 걸리는 확률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봉돌(10)은 지면에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작아서 수중 바닥이 약간 경사졌을 경우에도 봉돌(10)이 똑바로 서 있지 못하고 쓰러지게 됨으로 찌높이가 변동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낚시용 봉돌이 갖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봉돌 상단에 복수개의 탄성철사를 아치형태로 고정시켜 낚시를 할 때 밑걸림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수중 바닥에 똑바로 서있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봉돌중의 한 종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2에 도시한 봉돌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봉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봉돌
110; 연결고리
120; 탄성철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은, 대략 원추형으로 된 봉돌(100)의 상단 중앙에 복수개의 탄성철사(120)를 고정시키고 이 탄성철사(120)를 봉돌(100)의 둘레에 아치형으로 연장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에 도시한 봉돌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봉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봉돌(100)은 납덩어리를 대략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철사(120)는 1mm 정도 직경으로서 탄성이 양호하며 부식에 강한 철사를 4개 또는 5개를 사용하여 봉돌(100)의 상단에 고정시킨 후 아치형(arch)으로 구부린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탄성철사(120)들의 한쪽은 연결고리(110)와 함께 매듭을 만들거나 새끼줄처럼 꼬아서 봉돌(100)의 중심부에 고착시켰는데, 탄성철사(120)들을 고착시키는 방법은 주조 또는 프레스가공으로 봉돌(100)을 성형할 때 내부에 매입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봉돌(100)의 상단에 고정된 탄성철사(120)들은 서로 등각을 이루도록 하면서 아치형으로 밴딩하되, 이들 탄성철사(120)들의 하단은 봉돌(100)의 저면이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봉돌(100)을 평평한 지면에 세웠을 때 그 저면 및 탄성철사(120)들의 하단이 지면에 안착되어 봉돌(100)이 똑바로 세워질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사용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낚시채비를 갖춰 낚시를 할 수 있다. 이때 낚시채비를 수중에 드리운 상태에서는 탄성철사(120)가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역할을 함으로 봉돌(100)이 똑바로 서있으려는 직립성이 있으므로 수중의 바닥이 고르지 못하고 어느 정도 경사져 있다 하더라도 봉돌(100)이 쓰러지지 않고 지면에 서있게 됨으로 찌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고안은 낚싯줄을 당기면 탄성철사(120)들의 일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봉돌(100) 및 낚시채비가 부드러우면서도 원활하게 끌려나오게 된다.
만약, 봉돌(100)이 끌려나오다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은 장애물을 만나 틈새를 통과하게 될 경우에 탄성철사(120)의 탄발력과 압축,이완작용에 의하여 틈새로부터 쉽게 빠져 나오게 된다.
또한, 탄성철사(120)들이 봉돌(100)보다 넓은 면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바위나 돌이 많은 포인트에서 낚시를 할 경우에 봉돌(100)이 장애물들의 작은 틈새에 빠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봉돌(100)에 구비된 탄성철사(120)에 의하여 봉돌(10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서있게 됨으로 찌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낚싯줄을 당길 때 장애물의 틈새에서 봉돌(100)이 쉽게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낚시채비가 밑걸림에 걸려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작은 틈새가 많은 수중에서도 봉돌(100)이 틈새에 빠지지 않게됨으로 밑걸림 없이 열악한 수중환경의 포인트에서도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원추형으로 된 낚시용 봉돌에 있어서,
    봉돌(100)의 상단에 복수개의 탄성철사(120)를 고정시키고 이들 탄성철사(120)를 봉돌(100)의 둘레에 아치형으로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철사(120)들의 하단과 봉돌(100)의 저면이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탄성철사(120)들을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KR2020000017229U 2000-06-17 2000-06-17 낚시용 봉돌 KR200204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29U KR200204990Y1 (ko) 2000-06-17 2000-06-17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29U KR200204990Y1 (ko) 2000-06-17 2000-06-17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990Y1 true KR200204990Y1 (ko) 2000-12-01

Family

ID=1966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229U KR200204990Y1 (ko) 2000-06-17 2000-06-17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9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33B1 (ko) * 2013-06-26 2014-11-10 박우준 낚시용 봉돌 밑걸림 방지구
KR101590431B1 (ko) * 2015-06-15 2016-02-02 박용국 낚시용 싱커
KR101729516B1 (ko) 2016-10-26 2017-04-24 링윈 추이 낚시채비 보호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33B1 (ko) * 2013-06-26 2014-11-10 박우준 낚시용 봉돌 밑걸림 방지구
KR101590431B1 (ko) * 2015-06-15 2016-02-02 박용국 낚시용 싱커
KR101729516B1 (ko) 2016-10-26 2017-04-24 링윈 추이 낚시채비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266B2 (en) Weighted shank fish hooks
KR200204990Y1 (ko) 낚시용 봉돌
KR200473427Y1 (ko) 낚시 채비
JP2003079278A (ja) 擬似餌
KR200493239Y1 (ko) 낚시용품
KR102479367B1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CN211746352U (zh) 一种带有防挂底铅坠的渔具
KR100310161B1 (ko) 게 잡이용 낚시바늘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KR200301965Y1 (ko) 바다 낚시용 채비
KR200434854Y1 (ko) 게잡이낚시도구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JP2001333661A (ja) 魚釣り用擬似餌及び魚釣り用仕掛け
KR200217414Y1 (ko) 참게잡이용 낚시바늘 뭉치
US20040064999A1 (en) Center-weighted shank fish hooks
KR20190044831A (ko) 문어과 포획을 위한 조구
JP2012161299A (ja) 釣り具
KR100803557B1 (ko) 캡슐형 낚시찌
KR200194990Y1 (ko) 낚시용 봉돌
JP3204715U (ja) 釣用錘及び釣用錘付天秤
KR20040007206A (ko) 낚시 채비
KR20230000870U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KR100673584B1 (ko) 수중 찌
JP3294218B2 (ja) イカ釣り用野猿仕掛け
KR20240020940A (ko) 롤리폴리형 바닥 낚시 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